KR100486384B1 - Dispensing liquids - Google Patents

Dispensing liqui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384B1
KR100486384B1 KR10-2000-7014294A KR20007014294A KR100486384B1 KR 100486384 B1 KR100486384 B1 KR 100486384B1 KR 20007014294 A KR20007014294 A KR 20007014294A KR 100486384 B1 KR100486384 B1 KR 100486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andoned
payment
registration fee
reservoir
wick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52928A (en
Inventor
레오나르도스티븐보윤
밀러알렌데일
콜바로버트에드워드
존슨매릴린마리
미뉴스티븐비
디마레스트스코트더블유
버흘러제임스이
브라운트레버오웬
Original Assignee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8338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8638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052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9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384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액체 분배 장치(1)는 하우징(2)과 수세식 변기의 림으로부터 하우징(20)을 거는 후크(3)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밀봉된 뒤집힌 저장용기(6)를 하우징의 내부로 넣으며, 이것은 밀봉을 깨트린다. 하우징(2) 내에 위치되는 심지 소재(7)는 병으로부터의 액체를 유출수의 스트림 내의 위치로 전달한다. 이 심지 소재(7)는 다른 변기를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심지 소재(7)의 두 극단위치를 한정하는 하우징 내의 두 개의 체결 돌부에 의해 결합되는 두 개의 가이드 슬롯을 구비한다. 저장용기(6)의 통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심지 소재(7)에는 작은 개구(14)들이 형성된다. 심지 소재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고체판일 수 있으나 다수의 돌기구멍 또는 긴 슬롯을 구비한다. 판은 저장용기(6)의 입구와 결합하는 통기 포스트를 구비할 수 있다. 통기는 병에 개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병의 상단은 개구를 밀봉하는 플러그와, 구멍을 덮는 파손가능한 밀봉부 또는 개구를 덮고 사용자에 의해 또는 하우징 내의 돌기에 의해 자동으로 삽입전에 병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제거가능한 탭를 구비하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일방향 밸브를 갖추고 있으며, 하우징은 플러그에 기대어 플러그를 병의 내부로 방출하며, 하우징은 개구를 밀봉하는 튜브부재를 구비한다.The liquid dispensing device 1 has a housing 2 and a hook 3 which hangs the housing 20 from the rim of the flush toilet. The user inserts the sealed inverted reservoir 6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which breaks the seal. The wick material 7 located in the housing 2 delivers the liquid from the bottle to a location in the stream of effluent. The wick material 7 can be adjusted to accommodate other toilet seats and has two guide slots that are joined by two fastening protrusions in the housing that define the two pole units of the wick material 7. Small openings 14 are formed in the wicking material 7 to allow for ventilation of the reservoir 6. The wick material may be a solid plate having the same shape but has a plurality of projection holes or long slots. The plate may have a vent post that engages the inlet of the reservoir 6. Aeration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n opening in the bottle. The top of the bottle is a one-way valve with a plug that seals the opening and a plug having a breakable seal that covers the opening or a removable tab that covers the opening and is automatically removed from the bottle before insertion by the user or by a protrusion in the housing. And the housing leans against the plug and discharges the plug into the bottle, and the housing has a tube member for sealing the opening.

Description

액체 분배 장치{Dispensing liquids}Dispensing liquids

본 발명은 액체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세식 변기의 림으로부터 세정액 및/또는 리프레싱액과 같은 액체를 계량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분배기는 전형적으로 심지 소재와 같은 심지 소재에 액체를 공급하는 거꾸로 된 병의 형태를 취하는 저장용기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liquids such as cleaning liquids and / or refreshing liquids from a rim of a flush toilet. Such dispensers typically have a reservoir that takes the form of an inverted bottle that supplies liquid to the wick material, such as the wick material.

이러한 형태를 갖는 하나의 공지된 장치가 공개된 유럽특허출원 EP-A-0 785 315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출원은, 병 속의 액체 수위가 떨어짐에 따라 액체가 분배되는 속도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떨어지고 따라서 분배기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One known device having this form is described in published European patent application EP-A-0 785 315. This application points out the problem that as the liquid level in the bottle drops, the rate at which the liquid is dispensed drops over time and therefore the efficiency of the dispenser is lowered.

상기 참고문헌에서 제시된 문제의 해결책은 병으로부터 심지 소재로의 액체 흐름과 분배기의 외부로부터 병 내부로의 공기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병의 입구와 심지 소재 사이에 특정의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solution to the problem presented in this reference is to provide a specific structure between the inlet of the bottle and the wick material to allow liquid flow from the bottle to the wick material and air flow from the outside of the dispenser into the bottle.

그러나, 이러한 구조물은, 복잡하여서 제조에 많은 비용이 든다. 또한, 상기 참고문헌에 기재된 형태의 분배기는 수세식 변기의 림과 수세용 물 유량의 상대 위치가 미리 정해진 변기 시스템에서만 정상적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However, these structures are complex and costly to manufacture. In addition, the dispenser of the type described in the above reference is such tha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im of the flush toilet and the flushing water flow rate can only function normally in the toilet system.

이러한 형태의 선행기술에 따른 액체 분배기의 또한가지 문제점은 소비자가 예컨대 분배 유닛에 거꾸로 된 병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병을 개방시키는 경우,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압력에 유지되는 병 속의 액체 일부가 외부로 분출되는 데에 있다. 그 이유는, 아미도 공장에서 병의 입구를 밀봉하는 과정에서 액체가 특정 정도로 가압되기 때문일 것이다.Another problem with this type of liquid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that when the consumer opens the bottle, for example by inserting an inverted bottle into the dispensing unit, some of the liquid in the bottle is kept at a pressure slightly above atmospheric pressure to spout out. It is in becoming. The reason is that the liquid is pressurized to a certain degree in the process of sealing the inlet of the bottle in the Amido factory.

삭제delete

따라서, 상기한 선행기술 분배기의 단점들을 해소하거나 적어도 완화시킬 수 있는 액체 분배 장치와, 이러한 액체 분배 장치용 병을 충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liquid dispensing device capable of mitigating or at least alleviating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dispensers described above, and a method of filling bottles for such liquid dispensing devices.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라 청구항 1의 액체 분배 유닛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dispensing unit of claim 1.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라 청구항 14의 하우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the housing of claim 14.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따라 청구항 15의 액체 분배 유닛이 제공된다.심지 소재에는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통기용 개구부가 제공되어, 하나 이상의 상기 개구부는 심지 소재가 조절가능하게 될 때 조절가능한 심지 소재의 모든 가능한 기능 위치에 대해 하나 이상의 기능성 통기공으로 작용하도록 위치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the liquid dispensing unit of claim 15. The wick material is preferably provided with one or more venting openings so that the one or more openings of the wick material are adjustable when the wick material becomes adjustable. It is positioned to act as one or more functional vents for all possible functional positions.

유출 트레이는 사용시, 하나 이상의 통기용 개구부와 연통하도록 배열되는 통기 채널이 그 내부에 형성된 심지 소재의 하부에, 유리한 방식으로 위치된다.The outlet tray, in use, is located in an advantageous manner at the bottom of the wick material formed therein, the vent channels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vent openings.

삭제delete

본 발명의 제 4 특징에 따라 청구항 19의 액체 분배 유닛이 제공된다.본 발명의 제 5 특징에 따라 청구항 20의 액체 분배 유닛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dispensing unit of claim 19.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the liquid dispensing unit of claim 20.

상기 또는 각각의 통기용 개구부는 실질적으로 원형 구멍 또는 연신된 슬릿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The or each vent opening may take the form of a substantially circular hole or an elongated slit.

본 유닛은 심지 소재의 위치가 다른 위치에서 조정되는 것을 허용하여 다른 형태 및 다른 수세시스템을 갖는 수세식 변기에 작용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nit preferably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position of the wick material to be adjusted at different positions to act on a flush toilet having a different shape and a different flushing system.

본 유닛은 또한 저장용기에서 심지 소재로 액체를 운반하기 위한 도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관은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병의 원형 입구를 결합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원형단면의 실린더형 입구부를 구비하고, 바람직하게 끝이 비스듬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타원형 개구부를 한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관은 또한 예를 들어 D형, 원형 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으로 되며 입구부의 횡단면적 보다 실질적으로 적은 횡단면적을 갖는 실질적으로 실린더형 출구부를 구비하며, 도관의 입구부는 출구부에서 측방향으로 옮겨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배열은 조정가능한 심지 소재가 제공될 때 기하학적으로 특히 유리하다. 출구부가 D형 단면을 가지면, "D"의 바(bar)가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도관의 실질적으로 원형 입구부의 직경과 일치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관의 출구부는 심지 소재를 눌러서 이들간에 실질적인 액밀(liquid-tight seal)을 형성한다.The unit also preferably includes a conduit for conveying liquid from the reservoir to the wick material. Such conduits preferabl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 cylindrical inlet for engaging the circular inlet of the bottle constituting the reservoir, and preferably beveled at an end to define a substantially oval opening. The conduit also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outlet, for example having a D, circular or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ubstantially less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the inlet of the conduit being moved laterally from the outlet. You may lose. This arrangement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geometrically when an adjustable wick material is provided. If the outlet has a D-shaped cross section, the bar of "D" can be designed to match the diameter of the substantially circular inlet of the conduit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utlet of the conduit presses on the wick material to form a substantial liquid-tight seal between them.

출구부는 실린더형이고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수 있는 장벽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둘러 쌓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수세수가 저장용기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The outlet portion is preferably enclosed at least in part by a barrier which may be cylindrical and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This structure serves to prevent the washing of water into the storage container.

본 심지 소재는 저장용기로부터 액체를 받기 위한 제 1 부위와 사용중에 분배위치에 위치되도록 배열된 제 2 부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부위는 사용중에 수세수의 흐름내에 위치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제 2 부위를 사용중에 제 1 부위와 수세식변기의 림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ck material preferably has a first portion for receiving liquid from the reservoir and a second portion arranged to be positioned at the dispensing position during use. The second site may be arranged to be positioned within the flow of flush water during use, in which case it is preferred to arrange the second site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site and the rim of the flush toilet during use.

본 분배 유닛은 심지 소재의 위치가 그 제 1 부위가 도관의 출구부에 대한 슬라이딩에 의해 조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ensing unit is preferably configur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wick material can be adjusted by sliding the first portion relative to the outlet of the conduit.

심지 소재는 실질적으로 엷은 판의 형태가 바람직하며 상기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병의 목부분을 받아들이기 위한 요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심지 소재는 하나 이상의 기다란 개구를 형성시킬 수도 있고, 하우징에는 상기 기다란 개구부를 결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응돌기를 구비시켜 심지 소재의 최외부의 가능한 조작위치를 한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돌기는 심지 소재가 하우징 내로 삽입될 때 심지 소재에 있는 대응하는 개구부를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체결 돌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wick material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thin plate and may be formed to have a recess for receiving a neck portion of the bottle constituting the storage container. The wick material may form one or more elongated openings, and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corresponding projections for engaging the elongated openings to define the outermost possible operating position of the wick material. In this case, the protrusion may have a fastening protrusion disposed to engage the corresponding opening in the wick material when the wick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심지 소재는 사용중에 상기 저장용기의 입구에 삽입되기 위한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돌기는 통기 채널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The wick material may be provided with a projection for insertion at the inlet of the reservoir during use. This protrusion is formed to penetrate the ventilation channel.

심지 소재는 다공성 패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대신에 내부에 채널 또는 원형 구멍을 갖는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채널은 플레이트 내에 연신된 개구부 또는 연신된 채널로 형성될 수도 있고,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저장용기에서 분기통로에 액체를 운반하도록 할 수 있다.The wick material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orous pad, but may instead be provided with a plate having a channel or circular hole therein. This channel may be formed as an elongated opening or elongated channel in the plate, and may be arranged in an outwardly opening shape to convey liquid to the branch passage in the reservoir.

본 발명은 이러한 분배 유닛과 수세식 변기의 림에 이 유닛을 매달기 위한 수단의 조합체를 포함한다.The invention comprises a combination of such a dispensing unit and a means for suspending it in the rim of a flush toile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원형단면의 입구부를 갖는 도관이 제공된 이러한 분배 유닛과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병의 조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병은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는 도관의 입구부의 횡단면보다 실질적으로 큰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와 도관의 입구부는 실린더가 저장용기 입구에 삽입될 때 실질적인 액밀을 형성하도록 하는 치수를 갖는다.The invention comprises a combination of such a dispensing unit provided with a conduit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 section inlet and a bottle constituting the reservoir, the bottle having an opening for dispensing liquid, the opening having an inlet section of the conduit. It has a cross section substantially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and the opening and the inlet portion of the conduit are dimensioned to form a substantial liquid seal when the cylinder is inserted into the reservoir inlet.

병의 입구는 도관의 원형입구부에 대해 시일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사용중에 파열되도록 설계된 파열성 시일로 사용전에 덮어씌워진다. 도관의 실린더형 입구부는 파열성 시일이 파열되게 하는 개방수단과 병의 입구를 봉쇄하지 않는 위치에서 파열성 시일을 보유하기 위한 보유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let of the bottle is covered before use with a rupturable seal designed to rupture in use by forcing the seal against the circular inlet of the conduit. The cylindrical inlet portion of the conduit preferably includes opening means for causing the burstable seal to rupture and retaining means for retaining the tearable seal in a position that does not block the inlet of the bottle.

상기 시일은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그 한 측면에서 선회되도록 설계된 것이 바람직하며, 시일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각도는 실질적으로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수단은 이러한 하나의 측면에서 대체로 대향하는 폐쇄부재의 측면을 누르도록 설계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수단은 개방위치에 있을 때 폐쇄부재의 하나의 면을 누르도록 설계된 또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al is substantially rigid and designed to pivot on one side between the open and closed positions, and the angle at which the seal is moved between the open and closed positions is preferably 90 °. The opening means has a protrusion designed to press on the side of the generally opposite closing member on one such side, and the holding means preferably has a protrusion designed to press on one side of the closing member when in the open position. Do.

시일은 바람직하게 원형일 수 있으며, 개방수단 및 유지수단은 시일에 대해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들에 배치된다. 개방수단 및 유지수단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비스듬한 원뿔대형 실린더 상에 형성되며, 이 실린더는 저장용기의 입구에 삽입되어 시일이 그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개방수단은 비스듬한 원뿔대형 실린더의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유지수단은 스터드와 같은 실린더로부터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 may preferably be circular, and the opening and retaining means are disposed at radially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seal. The opening and retaining means are formed on a substantially circular oblique conical cylind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reservoir to allow the seal to move to its open position. The opening means may comprise an end of an oblique truncated cylinder and the retaining means may comprise a projection from a cylinder, such as a stud.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이러한 분배 유닛과, 병과 수세식 변기의 림에 이 유닛을 매달기 위한 수단의 조합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ination of such a dispensing unit and means for suspending the unit on the rim of the bottle and flush toilet.

본 발명의 제 6 특징에 따라 청구항 64의 액체 분배 유닛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dispensing unit of claim 64.

본 발명의 제 7 특징에 따라 청구항 65의 액체 분배 유닛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dispensing unit of claim 65.

통기수단은 덕-빌 밸브(duck-bill valve)와 같은 일방향 밸브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venting means may be provided with a one-way valve, such as a duck-bill valve.

이 대신에, 통기수단은 제거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유닛은 사용자가 저장용 병을 유닛에 대한 조작위치에 놓았을 때 플러그를 제거하여 저장용 병에 통기용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위치되는 상호조작 돌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Instead, the venting means has a plug that can be removed, and the unit is positioned to remove the plug to form the venting opening in the storage bottle when the user places the storage bottle in the opera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nit. An interoperation protrusion may be provided.

또한 장치에 있어서, 통기수단은 제거할 수 있는 플러그를 구비하고, 상기 유닛은 사용자가 저장용 병을 유닛에 대한 조작위치에 놓았을 때 플러그를 제거하고 저장용 병내로 돌출하도록 상호조작 중공돌기를 구비하여, 중공돌기가 통기 채널을 구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Also in the apparatus, the ventilating means has a plug that can be removed, and the unit has a cooperating hollow protrusion to remove the plug and protrude into the storage bottle when the user places the storage bottle in an opera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nit. In addition, the hollow protrusions may be configured to constitute the ventilation channel.

또 다른 장치에 있어서, 통기수단은 사용전에 사용자에 의해 제거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저장용 병을 유닛에 대한 조작위치에 놓았을 때 커버부가 제거되도록 유닛에 마련된 돌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커버부에 의해 밀봉된 저장용 병에 공기구멍을 구비할 수도 있다.In another apparatus, the venting means is a cover portion which can be removed by the user prior to use or automatically by a protrusion provided in the unit so that the cover portion can be removed when the user places the storage bottle in the opera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nit. The storage bottle sealed by means of air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분배유닛 내에 저장용기로서 사용하기 위한 분배 장치용 병을 충전 및 밀봉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방법은 저장용 병을 밀봉하기 전에 액체를 가열하여 액체가 실온으로 냉각될 때 병 내부에 부분 진공이 생기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대신에, 또는 이에 더하여, 병은 액체로 충전한 후에 가압하여, 가압되는 동안 밀봉하여 밀봉후에 병 내부에 부분진공이 생기도록 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for filling and sealing a bottle for a dispensing device for use as a reservoir in a dispensing unit. The method includes heating the liquid prior to sealing the storage bottle such that a partial vacuum is created inside the bottle when the liquid is cooled to room temperature. Alternatively, or in addition, the bottle may be pressurized after filling with liquid to seal during pressurization to cause partial vacuum inside the bottle after sealing.

본 발명에 따르는 또하나의 액체 분배 장치는 입구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입구를 밀봉하고 개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폐쇄부재가 구비된 저장용 병을 포함하며, 여기서 액체는 저장용기에서 분배될 수 있으며, 또한 본 장치는 페쇄부재가 개방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개방수단과 개방위치에서 폐쇄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Another liquid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storage bottle with a closing member which is capable of sealing the inlet and being moved to the open position when in the closed position with the inlet, wherein the liquid can be dispens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opening means for causing the closure member to be moved to the open position and means for holding the closure member in the open position.

이러한 구조는 저장용기가 일단 개방되면 폐쇄부재가 예컨대 거꾸로 된 저장용기의 경우에 저장용기에 남아있는 액체의 무게에 의해 폐쇄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안 저장용기로부터 액체가 분배되게 할 수 있다.This structure allows the liquid to be dispensed from the reservoir once the reservoir is opened while preventing the closure member from returning to the closed position by the weight of the liquid remaining in the reservoi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nverted reservoir.

상기 폐쇄부재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그 하나의 측면에서 선회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부재가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각도는 실질적으로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거꾸로 된 저장용기의 경우에 저장용기에 남아있는 액체의 무게에 의해 폐쇄부재가 받는 힘이 감소하게 된다.The closure member is preferably rigid and designed to pivot on one side between the open and closed positions. Preferably, the angle at which the closure member is moved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is substantially 90 degrees. This reduces the force the closure member receives due to the weight of the liquid remaining in the reservoir in the case of an inverted reservoir.

개방수단은 상기 한 측면에 대체로 대향하는 폐쇄부재의 측면을 누르도록 설계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수단은 개방위치에 있을 때 폐쇄부재의 한 면을 누르도록 설계된 또 하나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means has a projection designed to press the side of the closing member generally opposite to the one side, and the holding means has another projection designed to press one side of the closing member when in the open position. Do.

폐쇄부재는 바람직하게 원형일 수 있으며, 개방수단 및 유지수단은 폐쇄부재에 대해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들에 배치된다.The closing member may preferably be circular, and the opening and retaining means are disposed at radially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losing member.

개방수단 및 유지수단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비스듬한 원뿔대형 실린더 상에 형성되며, 이 실린더는 저장용기의 입구에 삽입되어 폐쇄부재가 그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이 경우에, 개방수단은 비스듬한 원뿔대형 실린더의 단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유지수단은 스터드와 같은 실린더로부터의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opening and retaining means are formed on a substantially circular oblique truncated cylind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reservoir to move the closure member to its open position. In this case, the opening means may comprise an end of an oblique truncated cylinder, and the retaining means may comprise a projection from a cylinder, such as a stud.

실린더와 저장용기 입구는 실린더가 저장용기 입구에 삽입될 때 실질적인 액밀을 형성하는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ylinder and the reservoir inlet are preferably dimensioned to form substantial liquid tightness when the cylinder is inserted into the reservoir inlet.

개방수단과 유지수단은 통상적으로 저장용기용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하며, 하우징은 개방수단과 유지수단이 저장용기 입구에 삽입될 때 저장용기가 거꾸로된 위치에서 입구 최하부로 지지되고, 액체가 중력에 의해 저장용기에서 분배될 수 있도록 본 장치를 현가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장치는 변기의 림에 매달려지게 설계될 수 있고, 액체는 세정액 및/또는 리프레싱액일 수 있다.The opening and retaining means typically form part of a housing for the reservoir, the housing being supported at the bottom of the inlet in an inverted position when the opening and retaining means are inserted into the reservoir inlet, and the liquid being gravity It may be provided with means for suspending the device so that it can be dispensed from the reservoir. For example, the apparatus may be designed to be suspended from the rim of the toilet, and the liquid may be a cleaning liquid and / or a refreshing liquid.

본 발명은 입구와, 폐쇄위치에서 입구를 밀봉하도록 배열되고 유체가 저장용기에서 분배될 수 있는 개방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폐쇄부재를 갖는 액체 저장용기용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폐쇄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개방수단과, 개방위치에서 상기 폐쇄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for a liquid storage container having an inlet and a closing member arranged to seal the inlet in a closed position and capable of moving to an open position in which fluid can be dispens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the housing comprising: Opening means for moving to the open position, and means for holding the closure member in the open position.

본 발명은 또한 저장용기에서 분재위치로 분배될 액체를 운반하도록 내부에 형성된 채널을 갖는 플레이트를 내장하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액체 분배 유닛을 포함한다.The invention also includes a liquid dispensing unit having a housing containing a plate having a channel formed therein for carrying liquid to be dispensed from the reservoir to the bonsai position.

또 다른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청구항 74에 따르는 분배 유닛을 제공한다.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 전반적으로 수평면에 유지된다.바람직한 구현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상기 저장용기에서 액체를 받아들이기 위한 제 1 부위와, 수세수의 유량 내에 위치되도록 한 제 2 부위를 가지며, 판의 제 2 부위는 만곡된 에지로 끝이 나있다. 제 2 부위는 벽에 형성될 수도 있다.모세관 채널이 실질적으로 평행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고, 판은 채널의 방향에 대해 횡단 연장하는 요부가 형설될 수 있다. 요부는 바람직하게 채널과 연통하며, 요부의 저부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바람직하게 내부에 모세관 채널이 없다.판은 저장용기의 입구에 삽입하기 위한 돌기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돌기는 바람직하게 저장용기와 플레이트 사이의 액체 도관을 한정하는 다수개의 방사상 휜이 제공된 포스트 형태이다.In another aspect, the invention provides a dispensing unit according to claim 74. The plate is preferably held generally in a horizontal plan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first portion for receiving liquid in the reservoir. The second portion of the plate ends with a curved edge. The second site may be formed in the wall. The capillary channels may be arranged in a substantially parallel configuration, and the plate may be recessed to extend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the channel. The recess is preferably in communication with the channel, the bottom of the recess being preferably substantially planar, preferably free of capillary channels therein. The plate may comprise a protrusion for insertion at the inlet of the reservoir, the protrusion preferably being It is in the form of a pos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dial shocks defining a liquid conduit between the reservoir and the plat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는 액체 분배 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quid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체 분배 장치의 단면도;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도 3은 저장용 병이 없는 다른 배열에서 도 2의 횡단면 상세도;3 is a cross-sectional detail view of FIG. 2 in another arrangement without a storage bottle;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나 저장용기가 없는 액체 분배 장치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shown in FIGS. 1-3 but without a reservoir;

도 4a 내지 도 4c는 출구부의 다른 3가지 구조의 하부 평면도;4A-4C are bottom plan views of the other three structures of the outlet section;

도 5는 도 1 내지 4의 액체 분배 장치의 정면도;5 is a front view of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of FIGS. 1 to 4;

도 6은 도 1 내지 5의 액체 분배 장치의 배면도;6 is a rear view of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of FIGS. 1 to 5;

도 7은 심지 소재가 바람직한 실시예의 액체 분배 장치의 하우징내로 삽입될 수 있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7 shows schematically how the wick material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of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도 8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액체 분배 장치와 이 액체 분배 장치가 현가되는 변기 림의 상대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8 shows schematically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toilet rim on which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is suspended;

도 9는 다른 구조를 갖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액체 분배 장치와 이 액체 분배 장치가 현가되는 다른 변기 림의 상대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9 schematically shows the relative position of a liquid dispensing device of a preferred embodiment having a different structure and another toilet rim on which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is suspended;

도 10은 변기수세장치의 다른 형태들을 예시한 차트;10 is a chart illustrating other forms of toilet flushing device;

도 1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하기 위한 유출 트레이와 통기 채널을 임의의 배치를 예시한 도면;11 illustrates any arrangement of outlet trays and vent channels for us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도 12a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액체 분배 장치의 심지 소재의 제 1 대안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12A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first alternative of the wick material of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to 10;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액체 분배 장치의 심지 소재의 횡단면도;1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ck material of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shown in FIG. 12A;

도 13a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액체 분배 장치의 심지 소재의 제 2 대안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FIG. 13A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second alternative of the wick material of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to 10;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액체 분배 장치의 심지 소재의 횡단면도;FIG. 1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ck material of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shown in FIG. 13A;

도 13a 및 13b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액체 분배 장치의 심지 소재의 제 3 및 제 4 대안의 구조를 각각 예시한 도면;13A and 13B illustrate the structures of the third and fourth alternatives of the wick material of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shown in FIGS. 1 to 10, respectively;

도 15a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액체 분배 장치의 저장용기와 조합되어 있는 심지 소재의 제 5 대안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15A illustrates a fifth alternative structure of the wick material in combination with the reservoir of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shown in FIGS. 1 to 10;

도 15b는 도 15a에 도시된 액체 분배 장치의 심지 소재와 저장병의 횡단면도;FIG. 1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ick material and the reservoir bottle of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shown in FIG. 15A;

도 16a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액체 분배 장치용 통기구조의 제 1 대안을 예시한 도면;16A illustrates a first alternative of the ventilation structure for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shown in FIGS. 1 to 10;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된 통기구조의 횡단면도;FIG. 1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ntilation structure shown in FIG. 16A;

도 17a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액체 분배 장치용 통기구조의 제 2 대안을 예시한 도면;FIG. 17A illustrates a second alternative of the ventilation structure for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shown in FIGS. 1 to 10;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통기구조의 횡단면도;FIG. 17B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ventilation structure shown in FIG. 17A; FIG.

도 17c는 통기 플러그의 해제를 예시하는 도 17b의 일부 횡단면도;17C is a partial cross sectional view of FIG. 17B illustrating release of the vent plug;

도 18a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액체 분배 장치용 통기구조의 제 3 대안을 예시한 도면;FIG. 18A illustrates a third alternative to the vent structure for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shown in FIGS. 1 to 10;

도 18b는 도 18a에 도시된 통기구조의 횡단면도;FIG. 18B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ventilation structure shown in FIG. 18A; FIG.

도 19a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액체 분배 장치용 제 4 대안의 통기구조에서 저장병과 하우징의 상부 사시도;19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reservoir and housing in a fourth alternative vent structure for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shown in FIGS. 1 to 10;

도 20a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액체 분배 장치용 제 5 대안의 통기구조의 사시도;20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alternative ventilation structure for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shown in FIGS. 1 to 10;

도 20b는 통기구멍을 노출시키기 위하여 파열된 커버판을 보여주는, 도 20a에 도시된 저장병의 부분 사시도;FIG. 20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reservoir shown in FIG. 20A showing a cover plate ruptured to expose vent holes; FIG.

도 20c는 도 20a 및 20b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나 액체 분배 장치의 하우징상의 돌기에 의해 저장병이 하우징내로 삽입시에 커버판이 파열되는 제 5 대안의 통기구조의 사시도.20C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alternative vent structure similar to that shown in FIGS. 20A and 20B but wherein the cover plate ruptures when the reservoi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by projections on the housing of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액체 분배 장치는 하우징(2)과 수세식 변기의 림(도시 안됨)에 하우징(2)을 현가하기 위한 스프링 현가후크(3)를 구비한다. 제조의 편의를 위하여, 현가후크(3)는 하우징(2)에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2)은 현가후크의 하단이 제조중에 삽입되는 직사각단면의 일체형 가이드 채널(4)(도 2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현가후크(3)의 하단은 융기된 챔퍼부(raised, chamfered portion)를 포함하여서, 삽입시 후크(3)가 스냅-조립 방식으로 채널(4)내에 결합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1 to 7,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spring suspension hook 3 for suspending the housing 2 on the housing 2 and the rim (not shown) of the flush toilet. For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e, the suspension hook 3 is formed in a structure separated from the housing 2, and the housing 2 is a rectangular guide channel 4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suspension hook is inserted during manufacture (Fig. 2) is formed. The lower end of the suspension hook 3 comprises a raised, chamfered portion such that the hook 3 is retained in the channel 4 in a snap-assembly manner upon insertion.

본 유닛이 이와 같이 현가되면, 사용자는 하우징(2)에 밀봉된 거꾸로 된 저장용기(6)를 하우징(2)내로 삽입한다. 이러한 삽입작용에 의해 저장병의 밀봉이 후술되는 방식으로 파열된다. 다공성 패드 형태의 심지 소재(7)가 하우징(2) 내의 슬로트에 배치되고, 이 심지 소재는 액체를 저장병에서 변기내에서 수세수의 흐름내의 한 위치로 모세관 작용에 의해 운반한다.When the unit is thus suspended, the user inserts an inverted reservoir 6 sealed in the housing 2 into the housing 2. This insertion causes the sealing of the reservoir bottle to rupture in the manner described below. A wick material 7 in the form of a porous pad is placed in a slot in the housing 2, which carries the liquid by capillary action to a position in the flow of water in the toilet in a reservoir.

하우징(2)은 액체를 저장용기(6)에서 심지 소재(7)로 운반하기 위한 도관(8)을 포함한다. 이 도관(8)은 저장용기(6)의 원형 입구 내에 안착하는 크기를 갖는 원형단면의 개방수단(9)을 구비한다. 개방수단(9)은 도 2 및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끝이 비스듬하게 되어, 타원형 입구를 형성한다. 저장용기(6)는 플라스틱 또는 호일 캡과 같은 폐쇄부재(6')로 밀봉되어 있어, 거꾸로된 저장용기(6)를 하우징(2)내로 삽입하는 작용에 의해 폐쇄부재(6')가 파열되고, 도관(8)의 개방수단(9) 형상에 의하여 액체가 저장용기에서 도관(8)으로 중력하에 낙하하게 된다.The housing 2 comprises a conduit 8 for conveying liquid from the reservoir 6 to the wicking material 7. This conduit 8 is provided with opening means 9 of circular cross section sized to fit within the circular inlet of the reservoir 6. The opening means 9 is obliquely ended as shown in Figs. 2 and 3, forming an elliptical inlet. The storage container 6 is sealed with a closing member 6 ', such as a plastic or foil cap, so that the closing member 6' is ruptured by the action of inserting the inverted storage container 6 into the housing 2. By means of the opening means 9 of the conduit 8, the liquid falls under gravity from the reservoir to the conduit 8.

개방수단(9)은 개방위치에서 폐쇄부재(6')를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스터드 형태의 유지수단(9')이 제공되어 있다. 이해하여야 할 것은, 이러한 스터드의 부재시에, 폐쇄부재(6')는 저장용기(6) 내에 남아있는 액체의 무게 때문에 원 위치에 돌아가게 되고, 이에 의해 액체가 더 이상 분배되는 것을 방지하는 힘을 받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2, 3 및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지수단(9')은 개방수단(9)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하여 그 최단점에서 개방수단에 인접한다. 유지수단(9')은 개방수단(9)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개방수단(9)의 극단은 저장용기(6)의 폐쇄부재(6')의 일 측에 기대어 폐쇄부재가 파열되어 반대 측에서 축을 따라 피봇하게 한다. 개방수단(9)을 저장용기(6)에 완전히 삽입하면, 유지수단(9')은 폐쇄부재(6')의 외면을 눌러서 캡이 폐쇄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지수단(9')은 제조의 편의를 위하여 예를 들어 몰딩에 의해 실린더형 개방수단(9)의 전길이를 따라 연장한다.The opening means 9 is provided with stud-shaped retaining means 9 'which act to hold the closing member 6' in the open pos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 the absence of such studs, the closing member 6 'will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weight of the liquid remaining in the reservoir 6, thereby providing a force to prevent further dispensing of the liquid. Can be received. As shown in Figs. 2, 3 and 4, the retaining means 9 'extends parallel to the axis of the opening means 9 and adjoins the opening means at its shortest point. The holding means 9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pening means 9. That is, the extremes of the opening means 9 lean against one side of the closing member 6 'of the storage container 6 so that the closing member ruptures and pivots along the axis on the opposite side. When the opening means 9 is fully insert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6, the holding means 9 'presses the outer surface of the closing member 6' to prevent the cap from returning to the closed position. The retaining means 9 'extends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cylindrical opening means 9, for example by molding.

도관(8)은 또한 심지 소재를 누르는 실린더 형태의 출구부(10)를 구비한다. 출구부(10)의 횡단면적은 개방수단(9)의 횡단면적 보다 적게 되어있어, 저장용기(6)로 수세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그 양을 극소화하는데 도움을 준다.The conduit 8 also has a cylindrical outlet 10 for pressing the wick material.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outlet portion 10 is less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opening means 9, which helps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storage container 6 or to minimize the amount thereof.

도 4a 및 4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구부(10)의 실린더는 D-형, 원형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수 있으며, 출구부(10)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의 실린더형 장벽(10')으로 둘러싸여져서, 수세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As can be seen in FIGS. 4A and 4C, the cylinder of the outlet portion 10 may have a D-shaped,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outlet portion 10 may have a cylindrical barrier 10 ′ of a partially or who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It is surrounded by) and acts to prevent the inflow of water.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구조들에 있어서, 장벽(10')의 직사각 단면의 두 개의 긴변중의 하나는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도관(8)의 원형단면의 직경과 일치한다. 이러한 배열은 일 부위가 항상 광범위한 다양한 수세식 변기들을 위한 수세수의 흐름에 놓여있는 것을 보장하는 한편 도관(8)의 출구부(10)가 심지 소재에 의해 효과적으로 폐쇄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도록 심지 소재(7)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4A and 4B, one of the two long sides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barrier 10 ′ coincides with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conduit 8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arrangement ensures that a part is always in the flush flow for a wide variety of flush toilets, while ensuring that the outlet 10 of the conduit 8 is effectively closed by the wick material. 7)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도 4c에 도시한 구조에 있어서, 출구부(10)의 직사각 단면의 중심은 수직방향으로 보았을 때 개방수단(9)의 원형단면의 중심과 일치한다. 이러한 배열은 도 13a 및 도 13b 또는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되는 심지 소재의 실시예들, 또는 내부에 기다란 채널을 가지는 판 형태의 심지 소재와 결합하여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4C, the center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outlet portion 10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of the opening means 9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arrangement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embodiments of the wick material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3A and 13B or 14, or with a wick material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n elongated channel therein.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구조들에 있어서, 도관(8)의 개방수단(9)과 출구부(10)는 작은 원형 개구(10")가 제공된 막에 의해 분리된다.In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opening means 9 and the outlet portion 10 of the conduit 8 are separated by a membrane provided with a small circular opening 10 ″.

도 4a 및 4c에 도시된 구조들에 있어서, 출구부의 D-형 단면 및 직사각형 단면(10')은 수세들 사이에서 심지 소재(7)에 소망하는 양의 액체를 분배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In the structures shown in FIGS. 4A and 4C, the D-shaped cross section and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10 ′ of the outlet portion are large enough to distribute the desired amount of liquid to the wicking material 7 between the flushes.

사용자가 심지 소재(7)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식이 도 7에 예시된다. 심지 소재(7)에는 두 개의 기다란 가이드 슬로트(11)가 제공되며, 이 슬로트들은 하우징(2)내에 있는 두 개의 대응하는 체결 돌부(12)에 의해 결합된다. 가이드 슬포트(11)들은 하우징(2) 내에 심지 소재(7)의 가능한 위치들의 영역에서 두 개의 극단 위치들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manner in which the use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wick material 7 is illustrated in FIG. 7. The wick material 7 is provided with two elongated guide slots 11, which are joined by two corresponding fastening protrusions 12 in the housing 2. The guide slits 11 serve to define two extreme positions in the region of possible positions of the wick material 7 in the housing 2.

공기가 저장용기(6)에서 분배된 액체를 대신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하여, 일련의 작은 통기 구멍(13)[일반적으로 직경 1.3mm(50/1000인치)]이 심지 소재(7)에 형성되고, 가이드 슬로트들(11)에 의해 한정된 영역내에 심지 소재(7)가 어떠한 위치에 있다하더라도 항상 공기가 심지 소재(7)의 밑으로부터 저장용기(6)의 입구로 도관(8)을 경유하여 연통하도록 배치된다.In order to allow air to displace the liquid dispensed in the reservoir 6, a series of small vent holes 13 (generally 1.3 mm (50/1000 inches in diameter)) are formed in the wick material 7, No matter where the wick material 7 is located in the area defined by the guide slots 11, air always communicates via the conduit 8 from under the wick material 7 to the inlet of the reservoir 6. Is arranged to.

하우징(2)은 또한 빗-형상의 일련의 개구부(14)가 전방 측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어, 수세수가 심지 소재(7) 위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허용한다.The housing 2 also has a comb-shaped series of openings 14 formed in the bottom face of the front side, which allows the flushing water to be discharged above the wick material 7.

부가적으로 저장용기(6)의 상부에서 대응하는 수평 홈(도시 안됨)을 결합하기 위한 수평한 갈비모양의 돌기들이 다수개 제공되어 있어, 사용자가 일단 저장병을 삽입하면 하우징 내에서 저장용기(6)를 조작위치에서 유지시킨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rizontal rib-shaped protrusions are provided at the top of the storage container 6 to join corresponding horizontal grooves (not shown). Keep 6) at the operating position.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조정가능한 심지 소재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개방림을 갖는 변기에 사용될 때 액체 분배 장치의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액체 분배 장치(1)가 이러한 변기의 림(16)에 현가되면, 심지 소재(7)가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 있을 때 굵은 화살표로 표시되는 수세수의 흐름이 심지 소재(7)를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도 9에 예시되는 바와 같은 박스형(boxed) 림 구조를 갖는 변기에 사용할 경우에는, 좀더 긴 심지 소재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처럼 긴 심지 소재(7)가 완전히 삽입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게 되면 박스형 림(17)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수세수의 흐름은 심지 소재와 접촉하지 않아서, 액체 분배 장치가 적절하게 기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박스형 림 구조에 긴 심지 소재를 제공하고자 한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히 연장된 위치로 빼내어서, 굵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세수의 흐름에 그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도관(8)의 출구부(10)는 심지 소재(7)의 내부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2) 내에서 체결 돌부(12)와 접하고 있는 심지 소재(7) 내의 가이드 슬로트(11)에 의해 보장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adjustable wick materi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8 illustrates the shape of a liquid dispensing device when used in a toilet with an open rim. When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1 is suspended on the rim 16 of this toilet, the flow of the flushing water indicated by the thick arrow passes through the wick material 7 when the wick material 7 is in the fully inserted position. . However, when used in a toilet having a boxed rim structure as illustrated in FIG. 9, a longer wick material is provided. However, if such a long wick material 7 is maintained in the fully inserted position, the flow of water from the box-shaped rim 17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wick material, so that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may not function properly. It can be seen that. If a long wick material is to be provided in such a box-shaped rim structure, it can be pulled out to a fully extended position as shown in FIG. 9 so that a part of it is exposed to the flow of water as indicated by the thick arrow. Even in this state, the outlet portion 10 of the conduit 8 remains closed by the interior of the wick material 7. That is, as described above, it is ensured by the guide slot 11 in the wicking material 7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protrusion 12 in the housing 2.

심지 소재의 조정능력은 개방 림형태의 변기나 박스형 림 형태의 변기에 사용될 때 특히 유리한데, 그 이유는 다른 국가들에서 다양한 변기 림 형태들의 예들을 예시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타입내에 광범위한 지오메트리가 있고, 이에 의해 다공성 패드를 선정할 수 있고 또한 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효용성이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도면은 액체 분배 장치의 하우징의 위치와 수세수의 흐름 사이의 거리를 예시한다. 크로스해치된 면적은 선행기술의 액체 분배 장치에 알맞은 제한된 영역의 거리(16mm(0.625인치)까지)를 표시하고, 싱글해치된 면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다공성 패드의 단일크기에 대한 거리(22mm(0.875인치)까지)의 영역을 표시한 것이다. 패드 크기가 클수록 유효거리는 무한정 연장되나, 실제 요구되는 최대 거리는 48mm(1.9인치)이다. 바들은 다음의 다른 국가들에서 발견되는 거리의 영역을 나타낸 것이다 : (a) 호주, (b) 영국, (c) 말레이지아, (d) 남아프리카공화국, (e) 프랑스, (f) 이태리, (g)스페인, (h) 일본, (i) 태국, (j)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 (k) 한국, (l)필리핀, (m) 및 (n) 미국. 바를 가로지르는 수직선은 개방 림 구조의 변기(상기 선의 좌측으로)와 발스형 림 구조의 변기(상기 선의 우측으로) 사이의 대략적인 분할선을 나타낸 것이다.The ability to adjust the wick material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when used in toilets in the form of open rims or in the form of boxed rims, as shown in FIG. 10 illustrating examples of various toilet rim types in different countries. This is because there is a wide range of geometry, whereby the porous pads can be selected and the utility to adjust their position. More specifically, this figure illustr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housing of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and the flow of flush water. The crosshatched area represents the distance of the limited area (up to 16 mm (0.625 inch)) suitable for the prior art liquid dispensing device, and the single hatched area is the distance to the single size of the porous pa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 to 22 mm (0.875 inch)). The larger the pad size, the greater the effective distance, but the maximum required distance is 48 mm (1.9 inch). The bars represent the range of distances found in other countries: (a) Australia, (b) United Kingdom, (c) Malaysia, (d) South Africa, (e) France, (f) Italy, (g ) Spain, (h) Japan, (i) Thailand, (j) Brazil, Argentina, Mexico, (k) Korea, (l) Philippines, (m) and (n) United States. The vertical line across the bar represents the approximate dividing line between the toilet of the open rim structure (to the left of the line) and the toilet of the Bals rim structure (to the right of the line).

도 11에 도시되는 다른 구조에 있어서, 하우징(2)은 심지 소재(7)의 통기 구멍과 정렬상태로 위치되는 수직 통기 채널을 통합하고 있는 유출 트레이(18)가 제공된다. 이는 과잉 액체를 수집하는 기능을 하며 그 동안 저장병은 아직 통기시킬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In another structure shown in FIG. 11, the housing 2 is provided with an outlet tray 18 incorporating a vertical vent channel positioned in alignment with the vent hole of the wick material 7. This serves to collect excess liquid while the reservoir is still in a ventilable state.

심지 소재의 제 1 실시예의 구조가 도 12a에 사시도로 도시되고, 도 12b에 단면도로 도시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심지 소재는 도 7에 도시되는 것과 전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판(20) 형태이며, 이 판은 다른 변기 지오메트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판(20)의 위치의 조정능력을 제공하는 기다란 가이드 슬로트(11)를 구비한다. 그러나, 판(20)이 다공성이 아니라 내부에 다수의 융기된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는 솔리드(solid)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이 관통공들은 수세수로 희석될 때 액체가 투명 화살표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검정 화살표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저장용기(6)의 통기를 허용한다. 이 관통공들은 희석되지 않은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충분할 정도로 작다.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wick material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in FIG. 12A and in cross section in FIG. 12B. In this embodiment, the wick material is in the form of a plate 20 having the same overall shape as shown in FIG. 7, which provides the abilit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late 20 to be applied to other toilet geometry. Elongated guide slot 11 is provided. However, the plate 20 is distinguished in that it is not porous but is a solid in which a plurality of raised through holes 21 are formed therein. These through holes allow the liquid to pass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arrow when diluted with flush water, and also allow aeration of the reservoir 6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black arrow. These through holes are small enough to prevent the passage of undiluted liquid.

심지 소재의 제 2 실시예의 구조가 도 13a에 사시도로 도시되고, 도 13b에 단면도로 도시된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구조에서 처럼, 이 심지 소재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전체적으로 형상이 동일한 플레이트(22) 형태이고, 다른 변기 지오메트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22)의 위치 조정능력을 제공하는 기다란 가이드 슬로트(11)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플레이트(22)도 역시 비다공성이나 전반적으로 평행하되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기다란 슬로트(23)이 내부에 형성된 솔리드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슬로트(23)는 액체가 수세수로 희석될 때 액체가 투명 화살표 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한 검정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병의 통기를 허용한다. 슬로트(23)는 희석되지 않은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충분할 정도로 작다.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wick material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in FIG. 13A and in cross section in FIG. 13B. As in th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2A and 12B, the wick material is in the form of a plate 22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whole shown in FIG. 7, and the plate 22 can be applied to other toilet geometry. Elongated guide slots (11) that provide the ability to adjust position. In this embodiment, the plate 22 is also nonporous, but is distinguished in that a plurality of elongated slots 23 having a form that is generally parallel but outwardly open are solids formed therein. The slot 23 allows the liquid to pass in the direction of the clear arrow when the liquid is diluted with water washes, and also permits aeration of the reservoir, as indicated by the black arrow. The slot 23 is small enough to prevent passage of the undiluted liquid.

제3 및 제4 실시예의 심지 소재가 도 14a 및 도 14b에 사시도로 각각 도시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한 제 2 실시예의 구조에서 처럼, 이 심지 소재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전체적으로 형상이 동일한 플레이트(22) 형태이고, 다른 변기 지오메트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24,24')의 위치 조정능력을 제공하는 기다란 가이드 슬로트(11)를 구비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기다란 슬로트(25,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a의 실시예에 있어서, 슬로트(25)는 평행하되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는 형태로 배열된다. 더욱이, 거꾸로된 저장용기(6)의 상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플레이트(24) 내에 요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b의 실시예에 있어서, 슬로트(25')는 액체가 저장용기에서 분기통로로 운반될 수 있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배열된다. 이 실시예에서, T-형 요부(26')가 판에 형성되나, 이 요부에 모세관 체널은 없다. 요부(26')는 도 14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T"의 다리가 "T"의 바 보다 약간 얕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 다리는 공기의 통기구로서 작용한다.The wicking materials of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are shown in perspective view in FIGS. 14A and 14B, respectively. As i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3A and 13B, the wick material is in the form of a plate 22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whole shown in FIG. 7, and the plate 24 can be applied to other toilet geometry. Elongated guide slots (11) providing a position adjusting capability of 24 ', and a plurality of elongated slots (25, 25') are formed therein. In the embodiment of FIG. 14A, the slots 25 are arranged in parallel but not outwardly. Furthermore, recesses 26 are formed in the plate 24 to accommodate the top of the inverted reservoir 6. In the embodiment of FIG. 14B, the slots 25 ′ are arranged so as to spread outwardly from which liquid can be transported from the reservoir to the branch passage. In this embodiment, a T-shaped recess 26 'is formed in the plate, but there is no capillary channel in the recess. The recess 26 'is formed such that the legs of "T" are slightly shallower than the bars of "T", as can be seen in FIG. 14B. This leg acts as an air vent.

심지 소재의 제 5 실시예의 구조가 도 15a에 사시도로 도시되고, 도 15b에 단면도로 도시된다. 도 13a 및 도 13b와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한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의 구조에서 처럼, 이 심지 소재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전체적으로 형상이 동일한 비-다공성 판(27) 형태이고, 내부에 다수개의 기다란 슬로트(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슬로트(28)는 전반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나, 저장용기(6)의 입구 영역에서 테이퍼진 지오메트리를 형성한다. 판(27)은 사용중에 저장용기(6)의 입구와 짝을 이뤄 통기 채널을 제공하는 돌기(29)를 구비한다. 돌기(29)에는 저장용기(6)와 판(27) 사이에 액체도관을 한정하는 다수개의 방사상 휜(fin: 30)이 제공된다. 도 12b 및 도 13b에서 처럼, 액체의 흐름 및 통기는 투명 화살표와 검정 화살표로 각각 표시된다. 이해하여야 할 것은, 이 실시예에서 개별 판(27)은 각기 다른 지오메트리의 변기 림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는 점이다.The structure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wick material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in FIG. 15A and in cross section in FIG. 15B. As in the structures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3A and 13B and 14A and 14B, this wick material is a non-porous plate 27 having the same overall shape as that shown in FIG. ) And a plurality of elongated slots 28 are formed therein. In this embodiment, the slots 28 are generally arranged in parallel but form tapered geometry in the inlet region of the reservoir 6. The plate 27 has protrusions 29 which, in use, mate with the inlet of the reservoir 6 to provide a vent channel. The protrusion 29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dial fins 30 defining a liquid conduit between the reservoir 6 and the plate 27. As in FIGS. 12B and 13B, the flow and aeration of the liquid are indicated by transparent arrows and black arrows, respective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 this embodiment the individual plates 27 will need to be provided on the toilet rims of different geometry.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그리고 위에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통기는 심지 소재를 통해 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통기가 저장병 자체에, 이에 더하여 액체가 분배되는 저장병의 입구에 통기 개구부를 제공하는 것에 의한 보다 직접적인 형태로 달성되는 구조도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and in another embodiment described above, aeration is achieved through the wick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also encompasses a structure in which the aeration is achieved in a more direct form by providing a vent opening in the reservoir bottle in addition to the inlet of the reservoir in which the liquid is dispensed.

도 16a에 사시도로 도시되고, 도 16b에 단면도로 도시되는 통기구조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병(31)의 상면에는 덕-빌 밸브(32) 형태의 일방향 밸브가 제공된다. 이 밸브는 저장병(31)의 내외부 압력차가 소정 수준에 도달하면 공기가 저장병으로 유입되는 것을 허용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tructure shown in perspective view in FIG. 16A and in cross section in FIG. 16B, a one-way valve in the form of a duck-bill valve 3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31. This valve allows air to flow into the reservoir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inside and outside the reservoir 31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도 17a에 사시도로 도시되고, 도 17b 및 17c에 단면도로 도시되는 통기구조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병(33)의 상면에는 저장병 내의 개구부(35)를 밀봉하는 플러그(34)가 제공되고, 하우징(36)에는 대응하는 핀(37)이 제공되어서, 사용자가 저장병(33)을 도 17b의 투명화살표 방향으로 삽입하면 핀(37)이 도 17c에 검정화살표로 방향으로 플러그(34)를 눌러서 도 17c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저장병(33) 내로 이를 해제한다. 핀(37)은 핀(37)과 개구부(35) 사이에 통기 채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구부(35)에 상대적인 크기로 된다.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tructure shown in perspective view in FIG. 17A and in cross-sectional view in FIGS. 17B and 17C, a plug 34 for sealing the opening 35 in the reservoir bottl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bottle 33. The housing 36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pin 37 so that when the user inserts the reservoir 33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parent arrow in FIG. 17B, the pin 37 plugs in the direction of the black arrow in FIG. 17C. 34) to release it into the reservoir 33 as shown in FIG. 17C. The pin 37 is sized relative to the opening 35 to provide a vent channel between the pin 37 and the opening 35.

도 18a에 사시도로 도시되고, 도 18b 및 18c에 단면도로 도시되는 통기구조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병(38)의 상면에는 저장병(38)내의 개구(40)를 커버하는 파열성 시일(39)이 제공되고, 하우징(41)에는 이에 대응하는 관부재(42)가 제공되며, 상기 관부재(42)는 사용자가 저장병(38)을 도 18b에 투명화살표로 표시되는 방향으로 삽입할 때 도 18c의 검정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시일(39)을 눌러서 도 18c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저장병(38) 내로 해제하고 개구(40)를 밀봉하는 방식으로 위치정해지고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통기 채널이 관부재(42)의 내부통공을 따라 제공된다. 관부재(42)의 말단은 개구(40)내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챔퍼된다.In a third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tructure shown in perspective view in FIG. 18A and in cross-sectional view in FIGS. 18B and 18C, the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38 has a burstable property that covers the opening 40 in the reservoir 38. A seal 39 is provided, and the housing 41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tubular member 42, the tubular member 42 be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marks the reservoir 38 with a transparent arrow in FIG. 18B. When inserted, it is positioned and sized in such a way as to press the seal 39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black arrow of FIG. 18C to release it into the reservoir 38 and seal the opening 40 as shown in FIG. 18C. Thus, a vent channel is provided along the inner hole of the pipe member 42. The distal end of the tubular member 42 is chamfered to facilitate placement in the opening 40.

도 19a에 사시도로 도시되고, 도 19b에 단면도로 도시되는 통기구조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병(43)의 상면에는 저장병의 입구(45)와 구분되나 이에 근접하게 통기용 개구부(44)가 제공되어 있다. 저장병(43)의 통기용 개구부(44)와 입구(45) 양자는 사용하기 전에는 파열성 시일(도시안됨)로 밀봉되어 있다. 하우징(46)은 포스트(47)가 제공되며, 이 포스트(47)는 사용자가 저장병(43)을 도 19a의 투명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하우징(46)내로 삽입할 때, 시일을 파열하고, 통기용 개구부(44)로 삽입되어 도 19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개구를 밀봉하도록 위치정해지고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통기 채널이 포스트(47)의 내부통공을 따라 제공된다.In a fourth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tructure shown in perspective view in FIG. 19A and shown in cross section in FIG. 19B, an upper opening of the storage bottle 43 is distinguished from an inlet 45 of the storage bottle but close to the ventilation opening ( 44) is provided. Both the vent opening 44 and the inlet 45 of the reservoir 43 are sealed with a rupturable seal (not shown) before use. The housing 46 is provided with a post 47, which ruptures the seal when the user inserts the reservoir 43 into the housing 46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transparent arrow in FIG. 19A, It is inserted into the vent opening 44 and positioned and sized to seal the opening as shown in FIG. 19B. Thus, a vent channel is provided along the inner aperture of the post 47.

도 20a 및 도 20b에 사시도로 도시되는 통기구조의 제5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병(48)의 상면에는 제거할 수 있는 탭(50)에 의해 커버된 통기 구멍(49)에 제공된다. 이 탭은 사용자가 도 20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저장병(48)을 하우징(51)내에 삽입하기 전에 도 20a에 투명화살표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저장병(48)에서 떼어내도록 배치된다. 도 20c에 단면도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변형에서는 사용자가 저장병(48)을 하우징(51)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탭(50)을 제거하도록 배치되는 램프(ramp) 돌기(52)가 하우징(51)에 제공된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ventilation structure shown in perspective view in FIGS. 20A and 20B, the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48 is provided in the ventilation hole 49 covered by the removable tab 50. This tab is arranged to be removed from the reservoir 48 by manipulating as indicated by the transparent arrow in FIG. 20A before the user inserts the reservoir 48 into the housing 51 as shown in FIG. 20B. . In a variant of this embodiment, as shown in cross section in FIG. 20C, a ramp protrusion 52 is arranged to allow the user to automatically remove the tab 50 by inserting the reservoir 48 into the housing 51. Is provided in the housing 51.

삭제delete

예를 들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심지 소재가 다공성 패드 또는 원형 또는 기다란 관통개구를 갖는 판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어있으나, 심지 소재는 선택적으로 내부에 기다란 채널을 가지는 판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고, 액체는 수세수가 이 채널에서 액체를 치환하는 것에 의해 이 채널로부터 분배될 수 있는 것이다.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For example, while the wick material in the preferr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a plate having a porous pad or a circular or elongated through opening, the wick material may optionally include a plate having an elongated channel therein, The liquid can be dispensed from this channel by flushing the liquid in this channel. 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not so limited and is hereby claime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5)

화장실 변기의 림으로부터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액체 분배 장치에 있어서,A liquid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liquid from a rim of a toilet bowl, comprising: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저장용기;A reservoir for holding a liquid; 상기 저장용기를 유지하기 위한 하우징; 및A housing for holding the storage container; And 화장실 변기의 림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현수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Means for suspending the housing from the rim of the toilet bowl; 상기 하우징이, 분배될 액체를 저장용기로부터 유동하는 수세용 물로 반송하기 위한 심지 소재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housing is characterized by a wick material for conveying the liquid to be dispensed into the flushing water flowing from the reservoi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심지 소재가 그 내부에 형성된 채널들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wick material is comprised of a plate having channels formed therei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채널들이 평행한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channels are arranged in parallel form.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플레이트가 화장실 변기 내에서 사용될 때 고정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plate is held in a fixed position when used in the toilet bowl.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플레이트가 대체로 수평한 평면 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plate is held in a generally horizontal plane.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액체를 수납하기 위한 제 1 부분 및 수세용 물의 흐름 내에 위치되도록 의도된 제 2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plate has a first portion for receiving liquid from the reservoir and a second portion intended to be located in the flow of flushing wat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플레이트가 다공성을 띠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Liquid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is not porous.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8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플레이트가 채널들을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a recess extending said plate extending across the channels.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리세스가 상기 채널들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recess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hannels.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플레이트가 저장용기의 입구 내로 삽입되기 위한 돌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a protrusion for inserting the plate into the inlet of the reservoi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채널들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distributing the channels outwardly.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채널들이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channels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late.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장용기가 입구 및 입구를 덮는 파열성 시일을 갖고, 상기 시일은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었을 때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Said reservoir has an inlet and a tearable seal covering said inlet, said seal rupturing when said reservoir is positioned within said housing.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4 was abandoned when the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장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도록 배열되며 개방 위치로 이동되어 액체가 저장용기로부터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폐쇄 부재;A closing member arranged to seal the inlet of the reservoir when in the closed position and moved to an open position to allow liquid to be dispensed from the reservoir; 상기 폐쇄 부재를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개방 수단; 및Opening means for moving the closure member to the open position; And 상기 폐쇄 부재를 상기 개방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Means for maintaining the closure member in the open position; 상기 폐쇄 부재가 강성을 가지며 그 일 측면을 중심으로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closure member is rigid and arranged to pivot between the open and closed positions about one side thereof.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폐쇄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각도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angle at which the closing member moves between the open position and the closed position is 90 °.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개방 수단이, 상기 일 측면에 대향되는, 폐쇄 부재의 일측면 상에서 지탱되도록 배열되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said opening means comprises a projection arranged to bear on one side of said closure member, opposite said one side.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유지 수단이, 폐쇄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폐쇄 부재의 면 상에 지탱되도록 배열되는 제 2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retain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second projection which is arranged to bear on the face of the closure member when the closure member is in the open position.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8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폐쇄 부재가 대체로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방 수단 및 상기 유지 수단이 폐쇄 부재에 관하여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위치들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closing member has a generally circular shape, and wherein the opening means and the holding means are disposed at radially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closing member.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1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개방 수단 및 상기 유지 수단이 원형의 경사적으로 절단된 실린더 상에 형성되고, 동 실린더는 상기 저장용기의 입구 내로 삽입되도록 배열되므로써 상기 폐쇄 부재가 그 개방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The opening means and the retaining means are formed on a circular obliquely cut cylinder, the cylinder being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reservoir so that the closure member is moved to its open position. Dispensing device.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개방 수단이 상기 경사적으로 절단된 실린더의 단부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wherein said opening means consists of an end portion of said obliquely cut cylinder.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유지 수단이 상기 실린더로부터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retaining means is constituted by a projection from the cylinder.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돌출부가 스터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Liquid pro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composed of a stud.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실린더 및 저장용기 입구가, 상기 실린더가 상기 저장용기 입구 내로 삽입되었을 때 액밀 시일을 형성하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cylinder and the reservoir inlet are sized to form a liquid seal when the cylinder is inserted into the reservoir inlet.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4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개방 수단 및 유지 수단이 상기 저장용기를 위한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opening means and the holding means form part of a housing for the reservoir.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하우징이, 상기 개방 수단 및 유지 수단이 저장용기 입구 내에 삽입되었을 때 액체가 저장용기로부터 분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입구가 최하단에 위치되는 뒤집어진 상태로 상기 저장용기가 지지되도록, 상기 장치를 현수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Wherein the housing is supported such that the reservoir is supported in an inverted position with the inlet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so that the liquid can be dispensed from the reservoir when the opening and retaining means are inserted into the reservoir inlet. And a means for suspending the liquid dispensing apparatus.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액체 분배 장치가, 다른 형상들 및 다른 수세 시스템들을 갖는 수세식 변기에서 기능할 수 있도록 심지 소재가 서로 다른 위치들 사이에서 조절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liquid dispensing device is configured to allow the wick material to be adjusted between different positions so that it can function in a flush toilet having different shapes and different flushing systems.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심지 소재에 하나 이상의 통기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t least one venting means is provided in said wick material.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8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통기 수단이, 조절가능한 심지 소재의 모든 가능한 기능 위치에 대해 하나 이상의 기능가능한 통기 구멍이 존재되도록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용 개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said vent means is at least one vent opening positioned such that there is at least one functional vent hole for every possible functional position of the adjustable wick material.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2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사용시 심지 소재의 아래에 위치되고 하나 이상의 기능가능한 통기용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배열되는 통기 채널이 그 내부에 형성되는 유출 트레이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Further comprising an outlet tray formed therein with a vent channel positioned underneath the wick material and arrang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functional vent opening.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하나 이상의 통기용 개구부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체로 원형인 구멍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wherein said at least one vent opening comprises one or more generally circular holes.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하나 이상의 통기용 개구부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신된 슬릿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at least one vent opening comprises one or more elongated slits.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저장용기로부터 심지 소재로 액체를 반송하기 위한 도관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a conduit for conveying the liquid from the reservoir to the wick material.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3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2, 상기 도관이 상기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병의 원형 입구와 계합되기 위한 원형 횡간단면을 갖는 원통형 유입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a cylindrical inlet portion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cross section for engaging the conduit with the circular inlet of the bottle constituting the reservoir.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4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유입 부분이 타원형 개구부를 마련하기 위해 경사적으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inlet portion terminates obliquely to provide an elliptical opening.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도관이 상기 유입 부분보다 작은 횡간 단면적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유출 부분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conduit further comprises a generally cylindrical outlet portion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inlet portion.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도관의 유입 부분이 유출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inlet portion of the conduit is laterally displaced from the outlet portion.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원통형 유출 부분이 대체로 D형 횡간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cylindrical outflow portion has a generally D-shaped cross section.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8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원통형 유출 부분이 대체로 원형인 횡간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cylindrical outflow portion has a generally circular transverse cross section.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3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원통형 유출 부분이 대체로 장방형의 횡간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cylindrical outflow portion has a gener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하우징이, 상기 저장용기 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장벽으로서 작용하기 위해 도관의 상기 유출 부분을 일부분 이상 둘러싸는 원통형 장벽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housing further comprises a cylindrical barrier member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let portion of the conduit to act as a barrier to block water from entering the reservoir.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4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0, 상기 장벽 부재가 장방형 횡간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barrier member has a rectangular transverse cross section. 청구항 4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41 항에 있어서,42. The method of claim 41 wherein 상기 장벽 부재의 장방형 횡간단면의 두 개의 장변들중의 하나가 종방향 횡간단면에서 관찰되었을 때 상기 도관의 원형 유입 부분의 직경에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one of the two long sides of the rectangular cross section of the barrier member coincides with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inlet portion of the conduit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청구항 4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3 was abandoned when the set registration fee was paid.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도관의 유출 부분이 상기 심지 소재와의 사이에 액밀 시일을 창출하기 위해 상기 심지 소재에 대해 지탱되도록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wherein the outlet portion of the conduit is structured to bear against the wick material to create a liquid tight seal with the wick material. 청구항 4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4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심지 소재가 저장용기로부터 액체를 수납하기 위한 제 1 부분 및 사용시 분배 위치에 있도록 배열되는 제 2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wherein the wick material has a first portion for receiving liquid from the reservoir and a second portion arranged to be in a dispensing position during use. 청구항 4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4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4, 상기 제 2 부분이 사용시 수세용 물의 흐름에 위치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second portion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in the flow of flush water in use. 청구항 4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4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5, 상기 제 2 부분이 사용시 상기 제 1 부분과 수세식 변기의 림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second portion is arrang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ortion and the rim of the flush toilet in use. 청구항 4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4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3, 상기 유닛이, 도관의 유출 부분에 대해 심지 소재의 제 1 부분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심지 소재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un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position of the wick material to be adjusted by sliding the first portion of the wick material relative to the outlet portion of the conduit. 청구항 4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8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fee was pai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심지 소재가 엷은 판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wick material is a thin plate. 청구항 4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48 항에 있어서,49. The method of claim 48 wherein 엷은 판으로된 심지 소재에, 상기 저장용기를 구성하는 병의 목부분을 수납하기 위한,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a depression is formed in the thin wick material for accommodating the neck portion of the bottle constituting the storage container. 청구항 5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4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9, 상기 심지 소재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신된 개구부들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심지 소재의 가능한 최외측 작동 위치를 마련하기 위해 상기 연신된 개구부들과 계합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응되는 돌출부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One or more elongated openings are formed in the wick material, the housing having one or more corresponding protrusions for engaging the elongated openings to provide the outermost possible operating position of the wick material. Liquid dispensing device. 청구항 5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50 항에 있어서,51. The method of claim 50 wherein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들의 각각이, 심지 소재가 하우징 내로 삽입되었을 때 심지 소재 내의 대응되는 개구부와 계합되도록 배열되는, 스프링 핑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Wherein each of the one or more protrusions is arranged to engage a corresponding opening in the wick material when the wick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청구항 5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48 항에 있어서,49. The method of claim 48 wherein 상기 심지 소재가 사용시 상기 저장용기의 입구 내로 삽입되기 위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이 돌출부는 그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기 채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a projection for inserting the wick material into the inlet of the reservoir when in use, the projection having a vent channel formed therethrough. 청구항 5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심지 소재가 다공성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wherein the wick material comprises a porous pad. 청구항 5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4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심지 소재가 그 내부에 형성된 원형 구멍들을 갖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plate has circular holes formed therein. 청구항 5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3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3, wherein 상기 병이 그로부터 액체를 분배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고, 이 개구부는 도관의 유입 부분보다 큰 원형 횡간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Said bottle having an opening for dispensing liquid therefrom, said opening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the inlet portion of the conduit. 청구항 5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6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5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5, 도관의 상기 개구부 및 유입 부분이, 동 유입 부분이 동 개구부 내로 삽입되었을 때 액밀 시일을 형성하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opening and the inlet portion of the conduit are sized to form a liquid seal when the inle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청구항 5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5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5, 병의 입구가 사용 전에 파열성 시일로 덮여지고, 동 파열성 시일은 사용시 도관의 원통형 유입 부분에 대해 동 시일을 압축시킴으로써 파열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Wherein the inlet of the bottle is covered with a burstable seal prior to use, the burstable seal being arranged to burst by use of compressing the seal against the cylindrical inlet portion of the conduit in use. 청구항 5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8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5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7, 도관의 원통형 유입 부분이, 파열성 시일이 파열되도록 하기 위한 개방 수단, 및 병의 입구를 막지 않는 위치에 상기 파열성 시일을 보유하기 위한 보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cylindrical inlet portion of the conduit comprises an opening means for causing the burstable seal to rupture, and a retaining means for retaining the burstable seal in a position that does not block the inlet of the bottle. 청구항 5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9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5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8, 상기 파열성 시일이 강성을 가지며 그 일측면을 중심으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선회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burstable seal is rigid and arranged to pivot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about one side thereof. 청구항 6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5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9, 상기 파열성 시일이 상기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각도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wherein the angle at which the burstable seal moves between the open and closed positions is 90 °. 청구항 6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5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9, 상기 개방수단이 상기 일측면에 대체로 대향되게 파열성 시일의 상기 측면을 지탱하기 위해 배열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Said opening means having a projection arranged to bear said side of said burstable seal generally opposed to said one side. 청구항 6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61 항에 있어서,62. The method of claim 61, 상기 보유 수단이, 파열성 시일의 개방 위치에서 파열성 시일의 측면을 지탱하기 위해 배열되는 다른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said retaining means has another projection arranged to bear the side of the burstable seal in the open position of the burstable seal. 청구항 6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6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2, 상기 파열성 시일이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방수단 및 보유수단이 파열성 시일에 관하여 직경방향으로 대향되는 위치들에 배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breakable seal has a circular shape, and wherein the opening and retaining means are disposed at radially opposit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breakable seal. 청구항 6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4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6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3, wherein 상기 개방수단 및 상기 보유수단이, 파열성 시일을 그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병의 입구 내로 삽입되도록 배열되는 원형의 경사적으로 절단되는 실린더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Said opening means and said retaining means being formed on a circular obliquely cut cylinder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bottle to move the burstable seal to its open position. 청구항 6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5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6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4, wherein 상기 개방수단이 경사적으로 절단되는 실린더의 단부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Liquid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means consists of an end portion of the cylinder which is cut obliquely. 청구항 6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6 was abandoned when the setup fee was paid. 제 6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4, wherein 상기 보유수단이 상기 실린더로부터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said retaining means comprises a projection from said cylinder. 청구항 6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7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6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6, wherein 상기 돌출부가 스터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Liquid proj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composed of a stud. 청구항 6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8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통기수단이 일방향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Liquid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nting means is composed of a one-way valve. 청구항 6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69 was waived upon payment of a setup registration fee. 제 6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8, wherein 상기 일방향 밸브가 덕-빌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nd the one-way valve is configured as a duck-bill valve. 청구항 7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0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통기수단이 제거가능한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유닛은, 저장용기가 사용자에 의해 유닛에 관하여 작동위치에 놓여졌을 때 상기 플러그를 제거하여 저장용기 내에 통기용 개구부를 창출하도록 위치되는 상호 협력적인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The venting means has a removable plug; And the unit has a mutually cooperative protrusion positioned to remove the plug to create an air vent in the reservoir when the reservoir is placed in the opera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nit by the user. 청구항 7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1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통기수단이 제거가능한 시일을 구비하고; 상기 유닛은 상호 협력적인 중공형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 중공형 돌출부는, 저장용기가 사용자에 의해 유닛에 관하여 작동위치에 놓여졌을 때 상기 시일을 제거하고 저장용기 내로 돌출하도록 위치되면서 통기용 채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The venting means has a removable seal; The unit has a cooperative hollow projection; Wherein the hollow projection is configured to remove the seal and protrude into the reservoir when the reservoir is placed in the opera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unit by the user to constitute a vent channel. 청구항 7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2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통기 수단이, 사용전에 사용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커버 부분에 의해 밀봉되는, 저장용기 내의 에어 벤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Wherein said venting means comprises an air vent in the reservoir, sealed by a cover portion that can be removed by a user prior to use. 청구항 7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3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set-up fee. 제 2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7, 상기 통기수단이 커버 부분에 의해 밀봉되는 저장용기 내의 에어 벤트를 구비하고; 상기 분배 장치는, 상기 저장용기가 사용자에 의해 분배장치에 관하여 작동위치에 놓여졌을 때 상기 커버 부분을 제거하도록 배열되는 돌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The venting means has an air vent in the storage container sealed by the cover portion; The dispens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projection arranged to remove the cover portion when the reservoir is placed in an opera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dispensing device by a user. 청구항 7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74 was abandoned upon payment of a registration fee.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돌출부가, 저장용기 및 플레이트 사이에서 액체를 위한 도관을 마련하는 다수의 반경방향 휜들이 제공되는, 포스트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배 장치,A liquid dispensing device in which the protrusion takes the form of a pos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adial pins providing a conduit for liquid between the reservoir and the pl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0-7014294A 1998-06-15 1999-06-15 Dispensing liquids KR10048638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812892.9 1998-06-15
GB9812892A GB2338495B (en) 1998-06-15 1998-06-15 A unit for dispensing a liquid from the rim of a lavatory bowl
GB9905828.1 1999-03-12
GB9905828A GB2338496B (en) 1998-06-15 1999-03-12 A unit for dispensing liquids from a reservo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928A KR20010052928A (en) 2001-06-25
KR100486384B1 true KR100486384B1 (en) 2005-05-19

Family

ID=1083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294A KR100486384B1 (en) 1998-06-15 1999-06-15 Dispensing liquids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KR (1) KR100486384B1 (en)
AR (2) AR015024A1 (en)
AT (1) ATE444413T1 (en)
AU (2) AU8745698A (en)
CO (1) CO5090853A1 (en)
DE (1) DE69941495D1 (en)
GB (3) GB2345494A (en)
MX (1) MXPA99002525A (en)
WO (1) WO1999066140A1 (en)
ZA (1) ZA20000740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70284T1 (en) * 1998-06-15 2007-09-15 Johnson & Son Inc S C FLUID DISPENSER
DE19912217C2 (en) * 1999-01-12 2002-09-05 Jeyes Deutschland Gmbh Device for dispensing active substances in the flushing water, especially in toilet bowls
IT1311606B1 (en) 1999-12-14 2002-03-13 Falp Srl ADJUSTABLE DISPENSER OF SURFACTANTS AND / OR LIQUID-SANITIZERS / DEODORANTS.
WO2001044591A1 (en) * 1999-12-14 2001-06-21 S.C. Johnson & Son, Inc. Improved liquid dispensing toilet bowl cleaner
NZ519259A (en) 1999-12-14 2003-07-25 S Liquid dispensing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US6178564B1 (en) 1999-12-14 2001-01-30 S. C. Johnson & Son, Inc. Liquid dispensing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FR2809122A1 (en) * 2000-05-19 2001-11-23 Eurvest S A Lavatory bowl cleaning/scented liquid dispenser has outlet orifice adjacent to side of bowl which allows liquid out only during flushing
FR2809123B1 (en) * 2000-05-19 2003-01-10 Eurvest S A MAINTENANCE LIQUID DISPENSER FOR TOILETS
FR2813331B1 (en) * 2000-08-22 2003-04-04 Brill Manitoba Spa DEVICE FOR CLEANING AND REFRESHING A W.C. BOWL
FR2813330B1 (en) 2000-08-22 2003-10-31 Brill Manitoba Spa DEVICE FOR CLEANING AND REFRIGERATING A WC OF W.C.
GB2367567A (en) * 2000-10-03 2002-04-10 Mcbride Robert Ltd Toilet detergent dispenser
GB0025887D0 (en) 2000-10-23 2000-12-06 Reckitt Benckiser Uk Ltd A device
GB2368576A (en) 2000-11-02 2002-05-08 Brian Parry Slade Liquid delivery device having a layer of textile material
DE10113036B4 (en) * 2000-11-17 2005-02-17 Henkel Kgaa Device for delivering fluids with active substances into flushing water in a toilet bowl, has storage containers with outlets arranged so that they deliver fluids only during each flushing operation
DE20116963U1 (en) 2000-11-17 2002-03-28 Henkel Kgaa Dispenser for dispensing active fluids
GB2372046A (en) 2001-02-09 2002-08-14 Jeyes Group Ltd Liquid dispensing unit for a toilet bowl
GB2372047A (en) * 2001-02-13 2002-08-14 Unilever Plc Rechargable unit for dispensing an active ingredient into a toilet bowl
IL157130A0 (en) 2001-02-14 2004-02-08 Gw Pharma Ltd A cannabis based pharmaceutical formulation
ITRE20010116A1 (en) * 2001-12-05 2003-06-05 Relevi S P A DISPENSER FOR LIQUID ACTIVE SUBSTANCES, FOR WC OF W.C.
DE10162904B4 (en) * 2001-12-20 2006-05-11 Jeyes Deutschland Gmbh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active ingredient into a rinsing water
DE10204928B4 (en) * 2002-02-07 2004-04-01 Henkel Kgaa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n active fluid into the flushing liquid in a toilet bowl
JP4423184B2 (en) 2002-05-10 2010-03-03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Dispensing device for discharging liquid into the toilet
GB2389123B (en) 2002-05-29 2005-08-17 Unilever Plc Rechargeable dispensing device
US6651261B1 (en) 2002-07-19 2003-11-25 S. C. Johnson & Son, Inc. Toilet rim mounted toilet cleaner with extension plate
US6662380B1 (en) 2002-08-29 2003-12-16 S.C. Johnson & Son, Inc. Dual action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US6898806B2 (en) 2002-10-01 2005-05-31 Skot S.A. Chemical Products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active substance
DE20215129U1 (en) * 2002-10-01 2003-03-13 Skot S A Chemical Products Att Device for dispensing a liquid active substance
DE10303155A1 (en) * 2003-01-27 2004-08-12 Henkel Kgaa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an active fluid into the flushing liquid in a toilet bowl
EP1840280A3 (en) 2003-04-15 2007-10-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lavatory bowl rim-block providing a combination of ongoing perfume delivery with a perfume boost upon flushing
EP1469131A1 (en) * 2003-04-15 2004-10-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lavatory bowl rim-block providing a combination of ongoing perfume delivery with a perfume boost upon flushing
DE602004003101T2 (en) 2003-04-25 2007-02-15 S.C. Johnson & Son, Inc., Racine DEVICE APPLIED TO THE EDGE OF A TOILET BASIN FOR DELIVERING TWO LIQUIDS
EP1473357A1 (en) * 2003-04-29 2004-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lavatory bowl rim-block
EP1473356A1 (en) * 2003-04-29 2004-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lavatory bowl rim-block
EP1473355A1 (en) 2003-04-29 2004-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method for increasing the hydrophobicity of a lavatory bowl surface
EP1659228A1 (en) 2004-11-18 2006-05-24 Budich International GmbH Active ingredient dispensing device
US8291524B2 (en) 2005-12-20 2012-10-23 S.C, Johnson & Son, Inc. Clip for mounting a fluid delivery device
US20100071121A1 (en) 2005-12-20 2010-03-25 Kissner William R Toilet Bowl Cleaning and/or Deodorizing Device
US7603726B2 (en) 2005-12-20 2009-10-20 S.C. Johnson & Son, Inc. Toilet bowl cleaning and/or deodorizing device
AU2007228531B2 (en) 2006-03-22 2013-01-17 Reckitt Benckiser Llc Improvements in dispensing devices
WO2007107755A1 (en) 2006-03-22 2007-09-27 Reckitt Benckiser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improved dispensing devices
EP1907638B1 (en) 2006-06-23 2012-02-22 Reckitt Benckiser LLC Method for manufacturing cagelss lavatory dispensing divices
WO2008137100A2 (en) 2007-05-04 2008-11-13 S. C. Johnson & Son, Inc. Toilet bowl cleaning and/or deodorizing device
GB0718420D0 (en) 2007-09-21 2007-10-31 Reckitt Benckiser Inc Improvements in dispensing devices
GB0812141D0 (en) 2008-07-03 2008-08-06 Reckitt Benckiser Inc Improvements in dispensing devices
GB2461549A (en) 2008-07-03 2010-01-06 Reckitt Benckiser Inc Process for preparing a cageless device for dispensing a lavatory treatment composition
US8522370B2 (en) 2008-08-08 2013-09-03 S. C. Johnson & Son, Inc. Fluid dispenser
US20110088153A1 (en) 2009-10-19 2011-04-21 Jesse Richard Non-contact spray toilet bowl cleaning device
US8359676B2 (en) 2009-10-19 2013-01-29 S.C. Johnson & Son, Inc. Relatively compact non-contact spray toilet bowl cleaning device
US20120174304A1 (en) 2010-11-09 2012-07-12 Matthew Abbondanzio Toilet Bowl Cleaning Device Including Container Retention Mechanism
US20120110722A1 (en) 2010-11-09 2012-05-10 Matthew Abbondanzio Clip for Mounting a Fluid Delivery Device
WO2012071386A1 (en) 2010-11-26 2012-05-31 S.C. Johnson & Son, Inc. Toilet bowl cleaning device including dual activation mechanism
WO2014053390A1 (en) 2012-10-04 2014-04-10 Zobele España, S.A. Device for cleaning and/or desinfecting surfaces and corresponding method
WO2019174713A1 (en) 2018-03-12 2019-09-19 Symrise Ag Active substance adhesive film
WO2021098950A1 (en) 2019-11-19 2021-05-27 Symrise Ag Home care product or formul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2449A (en) * 1985-08-20 1988-02-02 Alfatechnic Ag Container closure with hinged cap and seal piercing mea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72950A1 (en) * 1974-05-31 1975-12-26 Carnaud Total Interplastic Flexible container sealing process - uses cap with vent and distorting membrane inside and inert gas
US4349988A (en) * 1980-06-09 1982-09-21 Kotula Frank T Herbicide dispensing apparatus
CA1130763A (en) * 1980-10-10 1982-08-31 Raza Alikhan Non-inverting liquid dispenser
NL9101759A (en) * 1991-10-22 1993-05-17 Sara Lee De Nv LIQUID CLEANER AND / OR FRESHENER FOR A TOILET POT.
NL1001722C2 (en) * 1995-11-22 1997-05-23 Sara Lee De Nv Cleaning and refreshing unit intended to be hung on a toilet bowl ri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2449A (en) * 1985-08-20 1988-02-02 Alfatechnic Ag Container closure with hinged cap and seal pierc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45494A (en) 2000-07-12
GB2338495A (en) 1999-12-22
AU8745698A (en) 2000-01-05
GB2338495B (en) 2000-08-09
DE69941495D1 (en) 2009-11-12
GB0011204D0 (en) 2000-06-28
GB2338496A (en) 1999-12-22
MXPA99002525A (en) 2002-03-27
GB9812892D0 (en) 1998-08-12
AU753432B2 (en) 2002-10-17
ATE444413T1 (en) 2009-10-15
AR018682A1 (en) 2001-11-28
AR015024A1 (en) 2001-04-11
AU9700598A (en) 1999-12-23
GB9905828D0 (en) 1999-05-05
CO5090853A1 (en) 2001-10-30
WO1999066140A1 (en) 1999-12-23
KR20010052928A (en) 2001-06-25
GB2338496B (en) 2002-01-09
ZA200007402B (en) 200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6384B1 (en) Dispensing liquids
US6505356B1 (en) Dispensing liquids
US6591431B2 (en) Device to dispense active substances into rinse water, especially in toilet bowls
US6675396B2 (en) Liquid dispensing toilet bowl cleaner
US6412120B1 (en) Liquid dispensing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EP1341974B1 (en) Device with multiple toilet care action
WO2001044591A1 (en) Improved liquid dispensing toilet bowl cleaner
MXPA00012552A (en) Dispensing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