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6058B1 -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6058B1
KR100486058B1 KR10-2001-0059315A KR20010059315A KR100486058B1 KR 100486058 B1 KR100486058 B1 KR 100486058B1 KR 20010059315 A KR20010059315 A KR 20010059315A KR 100486058 B1 KR100486058 B1 KR 10048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ing wastewater
ionization gas
tank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469A (ko
Inventor
박성돈
Original Assignee
박성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돈 filed Critical 박성돈
Priority to KR10-2001-0059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6058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04Sludge detox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08Dyes; Colorants; Fluorescent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염색폐수를 저수하는 분해조와, 분해조의 염색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도 및 유기물을 제거시킬 수 있는 이온화가스를 발생시키는 이온화가스 발생수단과, 이온화가스 발생수단으로부터 분해조로 이온화가스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수단과, 주입되는 이온화가스를 분해조의 염색폐수에 폭기시키는 폭기수단과, 분해조를 거친 반응수에 포함되는 부유물질을 응집시키는 응집수단과; 응집수단을 거친 유출수의 슬러지를 침전시켜 정화수를 방류시키는 침전수단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이온화가스 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시킨 이온화가스를 분해조의 염색폐수에 폭기시킴으로써, 염색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도 및 유기물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을 이온화가스의 반응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설비가 간단하고, 운전이 간편하여 염색폐수를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온화가스에 의한 염색폐수의 처리에 의하여 슬러지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감량시킬 수 있으며, 독성물질이 없는 슬러지로 처리할 수 있고, 탈수 후 슬러지의 함수율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IONIZED GAS AIDED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COLOR AND ORGANIC MATTER OF DYEING WASTEWATER}
본 발명은 이온화가스(Ionized Gas)를 이용하여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을 제거하기 위한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질을 착색시키는 재료를 총칭하여 색소(Coloring Matter)라 하며, 내세(耐洗), 내광(耐光), 내산(耐酸), 내알칼리 및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염료(Dye Stuff)라 한다. 염료는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선을 흡수하여 색을 띠는 원자 또는 원자단으로 발색단(發色團)을 가지고 있으며, 발색단은 자체는 색이 엷기 때문에 조색단(助色團)이라고 하는 특정한 기를 도입하여 색의 강도를 크게 하고 염색성을 갖게 하고 있다. 염료를 포함하고 있는 염색폐수의 성상은 원단, 염료의 종류, 염색방법, 염색공정과 사용약제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인체나 생태계에 유해한 난분해성(Non-Bio Degradable)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염색폐수는 완벽한 처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난분해성 염색폐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복합시킨 복합처리방법에 의하여 처리하고 있다. 염색폐수의 물리적 처리방법은 스크린, 침사지, 침전조 등에 의하여 염색폐수 중에 부유하는 부유물질을 처리한다. 염색폐수의 화학적 처리방법은 오존(O 3 ), 과산화수소수, 자외선 등을 이용하여 OH라디칼(Radical)을 생성시킴으로써, OH라디칼의 강력한 산화력으로 염료가 가지고 있는 이중결합, 삼중결합 등의 결합을 분해하여 색도를 제거한다. 그러나 염색폐수의 화학적 처리방법은 유기물의 제거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으로 발생되는 슬러지(Sludge)에 의하여 운전이 상당히 곤란하고, 화학약품의 사용이 많은 단점을 수반하고 있다. 화학약품의 과다한 사용은 비용을 증가시키며, 화학약품에 의한 2차적인 오염을 유발시킬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가 있다. 특히, 슬러지에 잔류되는 중금속 등의 독성물질로 인하여 슬러지의 재활용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슬러지의 처리 비용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염색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방법은 화학적 처리공정의 상류 또는 하류에서 미생물에 의하여 염색폐수의 유기물을 제거한다. 그러나 다량의 유기물과 독성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염색폐수를 미생물에 의해서만 제거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 있다. 그리고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복합시킨 염색폐수의 복합처리시스템은 설비가 복잡하고, 운전이 곤란하여 설비 및 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비가 간단하고, 운전이 간편하여 염색폐수를 경제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색폐수의 처리 후 발생하는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감량시킬 수 있으며, 독성물질이 없는 슬러지로 처리할 수 있고, 탈수 후 슬러 지의 함수율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는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단위공정의 염색폐수를 저수하는 분해조와; 상기 분해조와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분해조의 염색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도 및 유기물을 제거시킬 수 있는 이온화가스를 발생시키는 이온화가스 발생수단과; 상기 이온화가스 발생수단으로부터 상기 분해조로 이온화가스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수단과; 상기 공기주입수단으로부터 주입되는 이온화가스를 상기 분해조의 염색폐수에 폭기시키는 폭기수단과; 상기 분해조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분해조를 거친 반응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을 응집시키는 응집수단과; 상기 응집수단의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응집수단을 거친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켜 정화수를 방류시키는 침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시스템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분해조에 단위공정의 염색폐수를 공급시키는 단계와, 분해조의 염색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도 및 유기물을 제거시킬 수 있는 이온화가스를 이온화가스 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시키는 단계와, 이온화가스를 공기주입수단에 의하여 분해조에 주입시키는 단계와, 공기주입수단에 의하여 주입되는 이온화가스를 분해조의 염색폐수에 폭기시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을 제거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해조의 하류에 상기 분해조를 거친 반응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을 무기질응집제에 의하여 1차 응집시키는 단계와, 상기 1차 응집단계를 거친 1차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을 고분자응집제에 의하여 2차 응집시키는 단계와, 상기 2차 응집단계를 거친 2차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켜 정화수를 방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방법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염색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염색폐수를 집수하는 집수조(10)와, 집수조(10)와 제1 펌프(12)에 의하여 연결되어 염색폐수를 저장하는 분해조(20)를 구비한다. 집수조(10)와 분해조(20)는 원통 또는 사각 형상의 직립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집수조(10)는 염색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염색폐수를 분해조(20)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집수하여 저장하며, 제1 펌프(12)는 분해조(20)의 단위공정에서 요구되는 소요량의 염색폐수를 집수조 (10)로부터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분해조(20)와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이온화가스를 발생시키는 이온화가스 발생장치(30)를 구비한다. 이온화가스 발생장치(30)는 액체, 기체 등의 절연체 속에 넣은 두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시켜 절연파괴(Break Down)에 의한 방전, 예를 들어 아크방전(Arc Discharge)을 발생시킨다. 이 아크방전에 의하여 방전공간(Discharge Volume)에서 기체 중의 전자가 에너지의 증가로 가속되면서 분자와 충돌을 일으켜 전자, 이온, 중성입자로 구성되는 이온화 (Ionization)에 의하여 이온화가스를 발생시킨다. 이온화가스는 에너지의 증가에 의한 전자의 가속으로 또 다시 이온화를 일으켜 주변 기체의 분자와 충돌함으로써 다량의 기체를 이온화시킨다. 이온화가스는 공기와 반응하여 다량의 라디칼을 생성시키고 염색폐수에 투입되어 색도 및 유기물을 분해·분리하여 제거한다. 특히, 라디칼은 염색폐수의 물분자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강력한 산화력을 갖게 되며, 강력한 산화력을 갖는 오존은 염색폐수 속의 유기물, 색도 등 난분해성 물질을 분해·분리시킨다.
한편, 이온화가스 발생장치(30)와 연결되어 있는 공기주입장치(40)는 이온화가스 발생장치(30)로부터 이온화가스를 공기와 함께 분해조(20)로 주입시킨다. 공기주입장치(40)는 에어블로워(Air Blower: 42)나 컴프레서(Compressor)로 구성할 수 있다. 분해조(20)의 바닥에는 공기주입장치(40)로부터 주입되는 이온화가스를 분해조(20)에 폭기(曝氣, Aeration)시키는 폭기장치(50)가 설치되어 있고, 폭기장치(50)는 분해조(20) 전체에 이온화가스를 균일하게 폭기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노즐(52)을 가지고 있다.
분해조(20)의 하류에는 제2 펌프(22)에 의하여 분해조(20)로부터 공급되는 반응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질, 예를 들어 콜로이드를 응집(Coagulation)시키기 위한 응집조(60)가 배치되어 있다. 응집조(60)의 상류에 무기응집제를 응집조(60)에 공급하기 위한 무기응집제 저장조(62)가 배치되어 있으며, 무기응집제 저장조(62)는 제3 펌프(64)에 의하여 응집조(60)와 연결되어 있다. 응집조(60)에는 반응수와 무기응집제를 교반시키는 교반기(66)가 설치되어 있고, 무기응집제는 액상 황산알루미늄과 철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응집조(60)의 하류에는 응집조(60)로부터 유출되는 1차 유출수를 다시 응집시키는 반응조(70)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고, 응집조(60)와 반응조(70)는 벽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리피스(Orifice: 68)를 통하여 연통되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한다. 반응조(70)의 상류에 고분자응집제, 예를 들어 수용성 폴리머(Polymer)를 반응조(70)에 공급하기 위한 고분자응집제 저장조(72)가 배치되어 있으며, 고분자응집제 저장조(72)는 제4 펌프(74)에 의하여 반응조(70)와 연결되어 있다. 반응조 (70)에는 1차 유출수와 고분자응집제를 교반시키는 교반기(7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반응조(70)의 하류에는 반응조(70)로부터 유출되는 2차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Sludge)를 침전시키는 침전조(80)가 배치되어 있으며, 침전조 (80)는 중앙유입식 원형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침전조(8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유입정(Inlet Well: 82)은 반응조(70)의 오리피스(78)와 도관(82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침전조(80)의 바닥에는 회전구동에 의하여 침전되어 있는 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제거기(84)가 설치되어 있다. 침전조(80)의 상부 벽면에 슬러지가 제거된 정화수를 배출시키는 오리피스(86)가 형성되어 있고 바닥 중앙에는 슬러지제거기(84)에 의하여 제거되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배출구(88)가 형성되어 있다.
침전조(80)의 하류에는 슬러지의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농축시키는 농축조(90)가 배치되어 있으며, 농축조(90)는 중앙유입식 원형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농축조(90)의 상부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유입정(92)은 침전조(80)의 슬러지배출구 (88)와 제5 펌프(9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농축조(90)의 바닥에는 회전구동에 의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제거기(96)가 설치되어 있고 바닥 중앙에는 슬러지제거기(96)에 의하여 제거되는 농축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배출구(88)가 형성되어 있다. 농축조(90)의 하류에는 농축 슬러지를 탈수시키는 탈수기(100)가 배치되어 있으며, 탈수기(100)는 슬러지를 이송시키면서 수분을 탈수시키는 사판형 벨트(10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염색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염색폐수는 집수조(10)에 집수시킨다(S200). 이때, 집수조(10)에는 분해조(20)의 단 위공정에서 요구되는 소요량의 염색폐수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염색폐수를 저장시켜 시스템의 운전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집수조 (10)에 집수되는 염색폐수가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면, 집수조(10)의 염색폐수는 제1 펌프(22)의 작동에 의하여 분해조(20)에 공급시켜 단위공정의 소요량으로 저수시킨다(S202).
다음으로, 이온화가스 발생장치(30)의 작동에 의하여 이온화가스를 발생시키고(S204), 이온화가스는 공기주입장치(40)의 작동에 의하여 공기와 함께 분해조 (20)에 주입시킨다(S206). 공기주입장치(40)로부터 주입되는 이온화가스는 폭기장치(50)에 의하여 분해조(20)의 염색폐수에 폭기시킨다(S208). 이때, 이온화가스는 폭기장치(50)의 노즐(52)을 통하여 분해조(20) 전체에 균일하게 폭기된다.
이온화가스는 공기주입장치(40)에 의하여 주입되는 공기와 반응하여 다량의 라디칼을 생성시킴과 동시에 염색폐수와 반응하면서 색도 및 유기물을 분해·분리하여 제거시킨다. 염색폐수의 색도는 이온화가스, 라디칼 및 라디칼과 염색폐수의 물분자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오존의 강력한 산화력과 에너지에 의하여 분해·분리되면서 다량의 활성물질을 생성하면서 효율적으로 제거되며, 최종적으로 무색으로 변환되어 색도의 재발현이 방지된다. 또한, 유기물은 염색폐수의 성상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최종적으로는 CO2+H2O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온화가스에 의하여 처리한 염색폐수에는 슬러지의 발생량이 크게 감소되며, 후속하는 슬러지처리공정에서 독성물질이 없는 슬러지로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 후 슬러지의 함수율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표1에는 1일 10톤의 처리용량을 가지며, 분해조에서의 체류시간이 5시간으로 설계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염색가공공정에서 발생한 염색폐수를 분해조에서의 저수시킨 후, 이온화가스에 1.5시간 반응시킨 결과로서, 파장에 따른 염색폐수와 반응수의 흡수율과 반응수의 탈색율을 나타냈으며, 표2에는 중크롬산칼륨에 의한 화학적 산소요구량(CODCr)을 측정하여 반응수의 유기물 제거율을 나타냈다.
구분 파장578nm 파장600nm 파장656nm 탈색율(%)
염색폐수 2.311569 2.294052 1.898407 -
반응수 0.064453 0.059448 0.025909 98
구분 CODCr(㎎/ℓ) 제거율(%)
염색폐수 660 -
반응수 141 79
표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염색폐수를 이온화가스에 1.5시간 반응시킨 반응수는 염색폐수에 비하여 파장에 따른 색도의 흡수율이 크게 감소되었으며, 염색폐수가 가지고 있는 색도의 98%가 제거되어 완전히 맑은 상태로 정화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중크롬산칼륨에 의한 화학적 산소요구량(CODCr)의 측정 결과, 반응수는 그 유기물의 제거율이 79%에 이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1일 처리용량 및 분해조에서의 체류시간은 염색폐수의 오염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분해조(20)의 반응수는 제2 펌프(22)의 작동에 의하여 응집조(60)로 공급하고, 응집조(60)에는 제3 펌프(64)의 작동에 의하여 무기응집제 저장조(62)로부터 무기응집제를 공급하여 반응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을 1차 응집시킨다 (S210). 응집조(60)에서 1차 응집을 거친 1차 유출수는 오리피스(68)를 통하여 반응조(70)에 공급되며, 반응조(70)에는 제4 펌프(74)의 작동에 의하여 고분자응집제 저장조(72)로부터 고분자응집제를 공급하여 1차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 을 2차 응집시킨다(S212). 이와 같은 무기응집제와 고분자응집제의 병용에 의해서는 무기응집제에 의하여 응집시키지 못한 부유물질을 고분자응집제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응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무기응집제의 사용량을 절반 이하로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분자응집제는 무기응집제에 비하여 슬러지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슬러지의 탈수효율을 증대시켜 환경 보존 및 처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색도를 구성하는 물질이 분해·분리되어 원천적으로 제거된 반응수로부터 무기응집제와 고분자응집제에 의하여 슬러지를 응집하기 때문에 독성물질에 의한 슬러지의 오염이 방지된다.
계속해서, 반응조(70)의 오리피스(78)와 도관(82a)을 통하여 유출되는 2차 유출수는 침전조(80)의 유입정(82)에 공급된다. 2차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는 침전조(80)의 바닥에 침전되며(S214), 침전조(80)의 오리피스(86)를 통하여 슬러지가 제거된 정화수는 배수시설로 방류시킨다(S216). 이때, 침전조(80)의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는 슬러지제거기(86)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슬러지배출구(88)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침전조(80)의 슬러지배출구(88)를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는 제5 펌프 (94)의 작동에 의하여 하류의 농축조(90)에 공급하여 농축시키며(S218), 농축조 (90)에서 농축시킨 슬러지는 슬러지제거기(96)의 회전구동에 의하여 슬러지배출구 (98)로 배출시킨다. 농축조(90)의 슬러지배출구(98)를 통하여 배출되는 농축 슬러지는 탈수기(100)의 사판형 벨트(102)로 공급하여 탈수시킨 후(S220), 탈수가 완료된 슬러지는 벨트(102)로부터 수거한다. 수거한 슬러지에는 독성물질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슬러지 자체를 재활용할 수 있어 슬러지의 처리 비용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을 이온화가스의 반응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설비가 간단하고, 운전이 간편하여 염색폐수를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이온화가스에 의한 염색폐수의 처리에 의하여 슬러지의 발생을 효율적으로 감량시킬 수 있으며, 독성물질이 없는 슬러지로 처리할 수 있고, 탈수 후 슬러지의 함수율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시스템을 나타낸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집수조 20: 분해조
30: 이온화가스 발생장치 40: 공기주입장치
50: 폭기장치 60: 응집조
70: 반응조 80: 침전조
90: 농축조 100: 탈수기

Claims (4)

  1. 단위공정의 염색폐수를 저수하는 분해조와;
    상기 분해조와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분해조의 염색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도 및 유기물을 제거시킬 수 있는 이온화가스를 발생시키는 이온화가스 발생수단과;
    상기 이온화가스 발생수단으로부터 상기 분해조로 이온화가스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수단과;
    상기 공기주입수단으로부터 주입되는 이온화가스를 상기 분해조의 염색폐수에 폭기시키는 폭기수단과;
    상기 분해조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분해조를 거친 반응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을 응집시키는 응집수단과;
    상기 응집수단의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응집수단을 거친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켜 정화수를 방류시키는 침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시스템.
  2. 삭제
  3. 분해조에 단위공정의 염색폐수를 공급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해조의 염색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색도 및 유기물을 제거시킬 수 있는 이온화가스를 이온화가스 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이온화가스를 공기주입수단에 의하여 상기 분해조에 주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기주입수단에 의하여 주입되는 이온화가스를 상기 분해조의 염색폐수에 폭기시켜 상기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을 제거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해조의 하류에 상기 분해조를 거친 반응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을 무기질응집제에 의하여 1차 응집시키는 단계와;
    상기 1차 응집단계를 거친 1차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질을 고분자응집제에 의하여 2차 응집시키는 단계와;
    상기 2차 응집단계를 거친 2차 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침전시켜 정화수를 방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 방법.
  4. 삭제
KR10-2001-0059315A 2001-09-25 2001-09-25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86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315A KR100486058B1 (ko) 2001-09-25 2001-09-25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315A KR100486058B1 (ko) 2001-09-25 2001-09-25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469A KR20030026469A (ko) 2003-04-03
KR100486058B1 true KR100486058B1 (ko) 2005-04-29

Family

ID=2956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315A KR100486058B1 (ko) 2001-09-25 2001-09-25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6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2980B (zh) * 2014-09-11 2015-12-02 蒋有南 微孔增氧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094A (ja) * 1993-05-24 1994-11-29 Toray Eng Co Ltd 汚水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00017711A (ko) * 1999-07-29 2000-04-06 박호군 슬러지 무배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20732A (ko) * 1998-09-23 2000-04-15 백종헌 비열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20030030261A (ko) * 2001-10-09 2003-04-18 박성돈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 시스템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8094A (ja) * 1993-05-24 1994-11-29 Toray Eng Co Ltd 汚水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00020732A (ko) * 1998-09-23 2000-04-15 백종헌 비열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20000017711A (ko) * 1999-07-29 2000-04-06 박호군 슬러지 무배출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30261A (ko) * 2001-10-09 2003-04-18 박성돈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 시스템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469A (ko) 200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56002A1 (zh) 一种纳米催化电解絮凝气浮装置
KR100848117B1 (ko) 복합 고도정수처리 장치
CN110002639A (zh) 一种中晚期生活垃圾填埋场垃圾渗滤液的处理装置及方法
KR101221565B1 (ko) 전기응집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0446042B1 (ko) 포말분리법, 중공사막필터 여과법과 고급산화공법을연계한 산업폐수 중수처리시스템
CN110104836A (zh) 一种适用于水基切削液废水的强化处理方法
KR100292225B1 (ko) 오·폐수 및 축산, 분뇨폐수의 중수도화에 관한 방법 및 장치
KR100486058B1 (ko)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염색폐수의 색도 및 유기물 제거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18362B1 (ko) 이온화가스를 이용한 고농도 유기성 폐수 처리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177208Y1 (ko) 전기분해법에 의한 폐수 처리장치
CN212356860U (zh) 一种油墨废水处理成套装置
CN210974234U (zh) 一种高效无污染的电化学污水处理装置
CN111875121A (zh) 一种市政污水提标改造的光-Fenton催化氧化工艺及系统
CN206428128U (zh) 污水处理设备
CN206014610U (zh) 一种印染废水末端二次脱色系统
KR100457957B1 (ko) 전기분해법을 이용한 유기슬러지의 감량화방법
KR200161832Y1 (ko) 오폐수처리장치
KR20070051604A (ko) 폐수 및 악취 다중 플라스마 처리방법
KR200173545Y1 (ko) 오폐수의 중수도화 장치
CN214192959U (zh) 一种新型的超声波清洗废水处理设备
RU169396U1 (ru) Моб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воды
KR100487573B1 (ko) 전기응집처리부와 살균수공급유니트를 갖는 폐수처리장치및 폐수처리방법
CN219929837U (zh) 一种工业园废水处理系统
CN215250165U (zh) 一种高压脉冲等离子污水处理设备
CN212924635U (zh) 一种机械设备洗胶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