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723B1 - 리파아제를 이용한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입체선택적 가아민분해 방법 - Google Patents

리파아제를 이용한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입체선택적 가아민분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723B1
KR100483723B1 KR10-2001-0020162A KR20010020162A KR100483723B1 KR 100483723 B1 KR100483723 B1 KR 100483723B1 KR 20010020162 A KR20010020162 A KR 20010020162A KR 100483723 B1 KR100483723 B1 KR 100483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xylic acid
aziridine
phenylethyl
lipase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8029A (ko
Inventor
박재훈
이원구
하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주식회사 이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주식회사 이매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Priority to KR10-2001-0020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723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7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7/00Separation of optically-active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로부터 리파아제를 이용한 광학분리를 통하여 광학활성의 가아민분해산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유도체 및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광학활성 산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각각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구조식 (1)의 라세믹 혼합물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아민으로 포화된 알코올 용매에서 리파아제를 이용하여 가아민분해(aminolysis)시켜 구조식 (2)의 광학활성 가아민분해 산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구조식 (3)의 광학활성 산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각각 수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R1은 벤질, (R)-페닐에틸, 또는 (S)-페닐에틸이고, R2는 메틸, 에틸, n-부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리파아제를 이용한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입체선택적 가아민분해 방법{LIPASE-MEDIATED STEREOSLECTIVE AMINOLYSIS OF AZIRIDINE-2-CARBOXYLATES}
광학 활성 아지리딘은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이로부터 간단한 변환을 통해 의약품을 비롯한 여러가지 정밀화학제품을 만드는데 유용한 화합물이다. (D. Tanner, Angew. Chem. Int. Ed. Engl. 1994, 33, 599-619). 이 중에서도 특히 아지리딘 -2-카르복시산 유도체는 여러 가지의 다양한 화합물로 전환이 가능한 키랄 출발물질이 될 수 있다(한국 특허 공개 10-2001-196호 및 10-2000-63913호). 그렇지만 광학활성의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유도체를 얻는 것은 간단하지 않다. 따라서 아지리딘을 만드는 기술은 오래 전부터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그 제조방법은 몇 가지의 큰 범주로 나눌 수 있다. 가장 많이 알려진 방법으로는 아미노산의 하나인 광학활성 세린으로부터 제조하는 방법(J. E. Baldwin, et. al., Tetrahedron Lett., 1996, 37, 3761-3764), 이민으로부터 비대칭 아지리딘화 반응을 통해서 제조하는 방법(J. C. Antilla, et. al., J. Am. Chem. Soc., 1999, 121, 5099-5100), 알켄으로부터 비대칭 아지리딘화 반응을 통해서 제조하는 방법(K. B. Hansen, et. al., Angew. Chem. Int. Ed. Engl. 1995, 34, 676-679)이 있다. 세린으로부터 제조하는 방법은 세린의 천연 입체배열을 가진 아지리딘만을 제조할 수 있으며 다른 비대칭합성 방법으로 제조하는 방법은 많은 양을 반응시키기 어렵고 광학 순도가 99%이상을 가지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 밖에 (2R) 및 (2S)-아지리딘-2-카르복실산 (-)-멘톨 에스테르를 얻고, 얻어진 아지리딘을 분별결정으로 각각의 이성질체를 분리하는 방법 (한국 특허 공개 10-2001-195호) 도 개발 되었다. 한편 라세믹 혼합물에서 리파아제 효소를 이용하여 광학분리하는 방법(M. Martres. Tetrahedron Lett. 1994, 35, 8787)이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CCL로 불리는 리파아제를 부틸알코올에서 에스테르전환 방법으로 광학분리 해서 얻어지는 가장 좋은 거울상 선택성이 단지 76% ee 이며 또한 얻어지는 산물과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광학활성의 출발 물질을 관 크로마토그래피 등으로 분리를 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아지리딘의 질소에 작용기의 전환이 불가능한 일반 알킬만 일부 반응됨으로서 공업적 용도로의 발전은 불가능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아지리딘의 질소에 작용기의 전환이 용이한 벤질이나 메틸벤질을 보유하고 있는 아지리딘의 각종 에스테르를 아민으로 포화된 t-부틸알코올의 용매에서 리파아제를 이용하여 가아민분해 시킴으로서 광학활성 가아민분해 산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광학활성 산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각각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로부터 리파아제를 이용한 광학분리를 통하여 광학활성의 가아민분해산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유도체 및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광학활성 산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각각 얻는 방법이다. 이렇게 얻어지는 광학활성의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유도체는 여러 키랄 아민화합물 제조의 중요한 출발물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로부터 리파아제를 이용한 광학분리를 통하여 광학활성의 가아민분해(aminolysis)산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유도체 및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광학활성 산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각각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구조식 (1)의 라세믹 혼합물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아민으로 포화된 알코올 용매에서 리파아제를 이용하여 가아민분해(aminolysis)시켜 구조식 (2)의 광학활성 가아민분해산물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구조식 (3)의 광학활성 산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각각 얻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R1은 벤질, (R)-페닐에틸 또는 (S)-페닐에틸이고, R2는 메틸, 에틸, n-부틸을 포함한다.
우선 반응식 1에 나와 있는 출발 물질인 구조식 (1)의 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또는 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의 메틸, 에틸, 또는 n-부틸 에스테르를 공지의 방법 (Y. Lim, Tetrhedron Letters, 1995, 36, 8431)으로 제조하고 이를 아민으로 포화된 t-부틸알코올 용매에서 리파아제와 반응시킨다.
이때 한쪽 이성질체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가아민분해 반응이 일어나서 에스테르기가 아미드로 전환된 구조식 (2)의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이때 R1은 N-벤질-, N-[(R)-1-페닐에틸]- 또는 N-[(R)-1-페닐에틸])가 물층에서 얻어지며, 유기층에서는 가아민분해 반응을 하지않고 남아 있는 출발물질이 얻어지는데, 이 물질은 구조식 (3)의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로서 광학적으로 활성인 한가지 이성질체만을 포함하거나 최소한 한가지 이성질체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수율이 좋다.
한편 상기 구조식 (1)에서 R1은 N-벤질-, N-[(R)-1-페닐에틸]- 또는 N-[(S)-1-페닐에틸] 이며, R2는 메틸, 에틸 또는 n-부틸을 나타낸다. 반응중에 여러 가지의 리파아제에 대하여 약간 또는 다소의 가아민분해 반응이 일어나며, 특히 이 반응에서 사용하는 리파아제로서 칸디다 안타르티카(Candida antarctica)에서 유래된 리파아제를 사용함으로서 반응 산물은 (2S)의 입체화학을 가지며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출발물질은 (2R)의 입체화학을 가지게 된다. 이들의 입체선택성 정도와 관련하여, 98%이상 순수한 하나의 이성질체만을 가지거나 최소한 어느 하나의 이성질체가 대부분인 형태로 구조식 (2)의 화합물 및 구조식 (3)의 화합물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2S)-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2R)-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의 제조
라세믹 혼합체의 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 1.2 g을 암모니아로 포화된 t-부틸알코올 100 mL에 용해시키고 35 oC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칸디다 안타르티카(Candida antarctica)에서 유래된 리파아제 120 mg을 가한다. 반응 혼합물을 35 oC의 온도에서 50분간 교반하면 반응의 ½만큼 진행된다. 반응을 마치고 이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필터를 통과시켜 수득된 용액을 감압 증류 해서 모두 증발시킨다. 여기에 10 mL의 물을 가한 후, 생성된 수용액을 50 m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2회로 나누어 추출한다. 추출한 유기용매를 증발시키면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0.6 g의 (2R)-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를 61% ee로 수득한다. 한편 수용액층을 완전하게 증발시키면 그곳에서 0.5 g의 (2S)-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를 56% ee로 수득한다. (2R)-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 1H NMR (200 MHz, CDCl3) δ7.34-7.27 (m, 5H), 3.70 (s, 3H), 3.52 (s, 2H), 2.25-2.18 (m, 2H), 1.74 (d, J = 6.6 Hz, H). (2S)-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1H NMR (200 MHz, CDCl3), δ7.29-7.16 (m, 5H), 4.78 (s, 3H), 3.44 (s, 2H), 2.18-2.04 (m, 2H), 1.54 (d, J = 6.6 Hz, 1H).
실시예 2
(2S)-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2R)-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틸에스테르의 제조
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 대신 같은 당량의 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틸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시킨다. 반응으로부터 (2S)-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반응않고 남아 있는 (2R)-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틸에스테르를 얻는다. (2R)-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틸에스테르의 1H NMR (200 MHz, CDCl3) δ7.31-7.27 (m, 5H), 4.24-4.09 (m, 2H), 3.53 (s, 2H), 2.23-2.14 (m, 2H), 1.72 (d, J = 6.4 Hz, H), 1.28-1.20 (m, 3H).
실시예 3
(2S)-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2R)-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n-부틸에스테르의 제조
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 대신 같은 당량의 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n-부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시킨다. 반응으로부터는 (2S)-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반응않고 남아 있는 (2R)-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n-부틸 에스테르를 얻는다. (2R)-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n-부틸에스테르의 1H NMR (200 MHz, CDCl3) δ7.28-7.22 (m, 5H), 4.14-3.98 (m, 2H), 3.65-3.38 (m, 2H), 2.20-2.11 (m, 2H), 1.92-1.24 (m, 5H), 0.87 (t, J = 7.4 Hz, 3H).
실시예 4
2(S)-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2(R)-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의 제조
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 대신 1.35 g의 54:45의 비율을 가지는 부분입체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인 (2S)-와 (2R)-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1시간 20분 동안 반응시키면 광학적으로 순수한 (2S)-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0.65 g 및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광학적으로 순수한 0.5 g의 (2R)-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를 각각 얻는다. (2R)-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의 1H NMR (200 MHz, CDCl3), δ7.40-7.21 (m, 5H), 3.75 (s, 3H), 2.53 (q, J = 6.6 Hz, 1H), 2.23-2.04 (m, 2H), 1.60 (d, J = 6.6 Hz, 1H), 1.49 (d, J = 6.6 Hz, 1H). (2S)-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의 1H NMR (200 MHz, CDCl3), δ7.29-7.06 (m, 5H), 4.78 (s, 3H), 2.53 (q, J = 6.6 Hz, 1H), 2.01-1.71 (m, 3H), 1.28 (d, J = 6.6 Hz, 1H).
실시예 5
2(S)-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2(R)-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 대신 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틸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 시킨다. 상기 반응으로부터 (2S)-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반응않고 남아 있는 (2R)-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는다. (2R)-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틸에스테르의 1H NMR (200 MHz, CDCl3), δ7.41-7.22(m, 5H), 431-4.10 (m, 2H), 2.55 (q, J = 6.6 Hz, 1H), 2.21-2.13 (m, 2H), 1.58 (d, J = 6.2 Hz, 1H), 1.45 (d, J = 6.6 Hz, 2H), 1.30 (t, J = 7.2 Hz, 3H).
실시예 6
2(S)-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2(R)-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n-부틸 에스테르의 제조
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 대신 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n-부틸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 시킨다. 상기 반응으로부터 (2S)-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반응않고 남은 (2R)-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n-부틸 에스테르를 얻는다. (2R)-N-[(R)-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n-부틸에스테르의 1H NMR (200 MHz, CDCl3), δ7.43-7.22(m, 5H), 4.28-4.07 (m, 2H), 2.63 (q, J = 6.6 Hz, 1H), 2.54-2.16 (m, 4H), 1.73- 1.17 (m, 7H), 0.99 (t, J = 7.4 Hz, 3H).
실시예 7
2(S)-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2(R)-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의 제조
실시예 1의 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 대신 1.35 g의 45:55의 비율을 가지는 부분입체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인 (2S)-와 (2R)-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실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21시간 동안 반응시켜 광학적으로 순수한 (2S)-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0.5 g과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광학적으로 순수한 0.6 g의 (2R)-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를 각각 얻는다. (2R)-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의 1H NMR (200 MHz, CDCl3), δ7.32-7.16 (m, 5H), 3.61 (s, 3H), 2.45 (q, J = 7.0 Hz, 1H), 2.30 (d, J = 2.88, 1H), 2.06-1.98 (m, 1H), 1.54 (d, J = 6.6 Hz, 1H), 1.41 (d, J = 6.6 Hz, 3H). (2S)-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의 1H NMR (200 MHz, CDCl3), δ7.29-7.06 (m, 5H), 4.78 (s, 3H), 2.53 (q, J = 6.6 Hz, 1H), 2.12-1.71 (m, 3H), 1.28 (d, J = 6.6 Hz, 1H).
실시예 8
2(S)-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2(R)-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틸에스테르의 제조
N-벤질아지리딘-2-카르복시산 메틸에스테르 대신 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틸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반응시킨다. 상기 반응으로부터 (2S)-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반응않고 남아 있는 (2R)-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틸 에스테르를 얻는다. (2R)-N-[(S)-1-페닐에틸]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틸 에스테르의 1H NMR (200 MHz, CDCl3), δ7.36-7.27 (m, 5H), 4.12 (q, J = 7.0 Hz, 2H), 2.58 (q, J = 6.6 Hz, 1H), 2.35-2.04 (m, 2H), 1.77 (d, J = 6.8 Hz, 1H), 1.49 (d, J = 6.6 Hz, 3H), 1.19 (t, J = 7.0 Hz, 3H).
본 발명으로 N이 다양하게 치환된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 입체이성질체의 라세믹 혼합물 또는 N이 다양하게 치환된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 부분입체이성질체로부터 광학적으로 순수한 다량의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알킬 에스테르 및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리파아제를 이용한 광학분리를 통하여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아민으로 포화된 알코올 용매에서 가아민분해 반응을 실시함으로서 광학활성의 가아민분해산물로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광학활성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각각 물층과 유기층에서 얻을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지는 아지리딘은 의약품등을 비롯하여 여러 정밀화학제품의 중간체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

  1. 구조식 (1)의 라세믹 혼합물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아민으로 포화된 t-부틸알코올의 용매에서, 칸디다 안타르티카(Candida antarctica)에서 유래된 리파아제를 이용하여 가아민분해 (aminolysis) 시켜 구조식 (2)의 광학활성 가아민분해산물인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아미드 및 반응하지 않고 남아있는 구조식 (3)의 광학활성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를 각각 수득하는 방법:
    상기 구조식에서 R1은 N-[(R)-1-페닐에틸]- 또는 N-[(S)-1-페닐에틸]이며 R2는 메틸, 에틸 또는 n-부틸을 나타낸다.
KR10-2001-0020162A 2001-04-16 2001-04-16 리파아제를 이용한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입체선택적 가아민분해 방법 KR100483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162A KR100483723B1 (ko) 2001-04-16 2001-04-16 리파아제를 이용한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입체선택적 가아민분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162A KR100483723B1 (ko) 2001-04-16 2001-04-16 리파아제를 이용한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입체선택적 가아민분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029A KR20010068029A (ko) 2001-07-13
KR100483723B1 true KR100483723B1 (ko) 2005-04-18

Family

ID=19708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162A KR100483723B1 (ko) 2001-04-16 2001-04-16 리파아제를 이용한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입체선택적 가아민분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813A (ko) * 2002-01-24 2003-07-31 주식회사 이매진 광학적으로 활성인 다이아릴알라닌과 그 유도체의 중간체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029A (ko) 200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sborn et al. The asymmetric synthesis of aziridines
Williams et al. Practical asymmetric syntheses of. alpha.-amino acids through carbon-carbon bond constructions on electrophilic glycine templates
Vogt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amino acid-derived chiral acylnitroso hetero Diels-Alder reactions
Altmann et al. Versatile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Completely Protected Trifunctional α‐Methylated α‐Amino Acids Starting from Alanine
JPS581105B2 (ja) 光学活性アミノ酸−マンデル酸複合体及びその製造法
FI117438B (fi) Menetelmä optisesti rikastetun bupivakaiinin valmistamiseksi
Banerjee et al. Novel synthesis of various orthogonally protected C α-methyllysine analogue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a Vapreotide analogue containing (S)-α-methyllysine
Beaufils et al. The activation of free dipeptides promoted by strong activating agents in water does not yield diketopiperazines
EP0365212B1 (en) Method of resolving cis 3-amino-4-[2-(2-furyl)eth-1-YL]-1-methoxycarbonylmethyl-azetidin-2-one and malic acid salts thereof
Levit et al. Kinetic Resolution Using Diastereoselective Acylating Agents as a Synthetic Approach to Enantiopure Amines
KR100483723B1 (ko) 리파아제를 이용한 아지리딘-2-카르복시산 에스테르의 입체선택적 가아민분해 방법
Szakonyi et al. Mild and efficient ring opening of monoterpene-fused β-lactam enantiomers. Synthesis of novel β-amino acid derivatives
Nam et al. Asymmetric nucleophilic substitution of α-bromo amides via dynamic kinetic resolution for the preparation of dipeptide analogues
EP0854857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ptisch aktiven alpha-aminosäuren und alpha-aminosäure-derivaten
Nishiguchi et al. Total synthesis of (+)-negamycin and its 5-epi-derivative
KR100554085B1 (ko) 광학적으로 활성인 형태의 아지리딘-2-카르복실산 유도체 및 그의 제조 방법
Szakonyi et al. Synthesis of 3‐and 4‐Hydroxy‐2‐aminocyclohexanecarboxylic Acids by Iodocyclization
Trifonova et al. The use of nonactivated iminodienophiles in the stereoselective aza-Diels–Alder reaction
EP0253571B1 (en) Process for resolution and race mization of amines with acidic alpha-hydrogens
ES2331867B1 (es) Sintesis enzimatica de derivados enantiomericamente enriquecidos de trans-ciclopentano- 1,2-diaminas.
EP095907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3-Amino-2-oxopyrrolidinen, neue Zwischenprodukte und deren Verwendung
Baggaley et al. Studies on the biosynthesis of clavulanic acid. Part 5. Absolute stereochemistry of proclavaminic acid, the monocyclic biosynthetic precursor of clavulanic acid
Chang et al. Dynamic kinetic resolution of α-bromo carboxylic acid derivatives in asymmetric nucleophilic substitution with chiral α-amino esters
Hofmann The influence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structure and reactivity of small organic catalysts and the synthesis of ¹⁵N-labeled compounds
Hofmann The influence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structure and reactivity of small organic catalysts and the synthesis of 15N-labeled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