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350B1 -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복합기초공법 - Google Patents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복합기초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350B1
KR100483350B1 KR10-2003-0067665A KR20030067665A KR100483350B1 KR 100483350 B1 KR100483350 B1 KR 100483350B1 KR 20030067665 A KR20030067665 A KR 20030067665A KR 100483350 B1 KR100483350 B1 KR 100483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prefabricated
installing
hollow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506A (ko
Inventor
이정영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주식회사 반석팽이기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23635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8335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주식회사 반석팽이기초 filed Critical 시지이엔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350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48Piles varying in construction along their length, i.e. along the body between head and shoe, e.g.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long their leng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02D27/14Pile framings, i.e. piles assembled to form the sub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기초하부의 지반보강을 도모함에 있어서, 파일본체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채움재의 공학적인 특성에 따라 현장에서의 타설 및 조립이 가능하며, 토목섬유내부에 배수재를 설치하여 영구배수시설로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내 바닥면에 토목섬유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목섬유상에 기초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기초철근위에 팽이형 파일을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간을 연결부 보강철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내에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채움재상에 뚜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 사이의 공극에 채움쇄석을 채우는 단계; 상기 뚜껑상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상에 바닥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된 팽이형 파일의 외관만을 공장에서 제작하고 팽이형 파일 내부를 채움재로 현장에서 시공하는 팽이형 파일을 형성함으로써, 대규모로 팽이형 파일을 제작하기 위한 부지 및 플랜트 시설을 생략할 수 있고 공학적인 안정성과 간편한 시공성 및 저렴한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In place assembling top blocks and their reinforced complex foundation method}
본 발명은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팽이형 파일을 현장에서 타설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일체 또는 분리형 및 현장조립형으로 하며, 상기 팽이형 파일을 합성수지, 철재류, 목재류 등의 속이 빈 제품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기초공법으로 하여 상기 팽이형 파일내의 채움재의 공학적인 특성에 따라 현장 타설 및 조립이 가능하고, 기초보강용 채움쇄석층에 포켓형 토목섬유내부에 양면배수용 수평배수재가 설치된 배수재를 추가로 배치하여 영구배수시설로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기초공법은 구조물의 기초지반표면에 팽이형상의 콘크리트 파일을 부설하는 공법으로 연약지반에서 기초의 일부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지반에 대한 보강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하중을 분산시켜 지반에 부드럽게 전달함으로써, 기초부분과 그 부근지반을 개량하는 경우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 공법은 기초지반표면에 파일의 위치확보도 겸한 정방형으로 된 위치철근을 깔고 그 위에 팽이형 콘크리트 파일을 나란히 부설한 후, 파일을 걸기 위해 묻어둔 철근고리에 연결철근을 또 다시 정방형으로 결속하며, 파일의 하부공간은 쇄석으로 충진시키고 충분히 다짐한다.
한편, 상기한 연약지반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원형의 상면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상면의 중앙에는 고리가 돌출 형성된 팽이부와 상기 팽이부의 중앙 하부에 길게 연장 설치된 파일본체부와 상기 파일본체부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원추형 저면을 갖는 파일선단부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원추형상의 팽이부와 파일본체부가 45°의 경사면을 이룸으로써 상부에서 하부에 작용하는 상재하중을 지반의 사방으로 분산시킴으로 인하여 매우 높은 지반보강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의 팽이형 파일 형상을 제작하는데 따른 부지(생산 및 야적) 및 플랜트 시설에 대한 부담이 상당히 큰 단점이 있다.
두 번째,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의 경우 중량이 60-80Kg의 중량 구조체로 되어 숙련된 성인기술자와 기중기에 의한 운반 및 설치가 필수적이며 이에 따른 운반 및 현장 설치비용이 비교적 고가인 단점이 있다.
세 번째,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설치시 팽이형 파일의 수평을 맞추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과 동시에 숙련된 기능공 및 기술자가 필요하고, 일일 설치량이 극히 적을 뿐만 아니라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네 번째,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팽이형 파일을 부분 조립형상의 제작 및 설치가 불가능(팽이부, 파일부)하며, 기초의 하중형태에 따라 기초 지내력을 부담하는 다양한 재료(레미콘, 몰탈, 쇄석과 그라우트재, 모래와 그라우트재, 일반토사와 그라우트재, EPS재)의 선택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다섯 번째,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영구기초 조건하에 국한되어 사용되므로 그 사용상 범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여섯 번째,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팽이형 파일의 지름이 넓은 팽이부에 지름이 작은 파일부가 하향으로 돌출된 특유의 형상으로 인하여 무근 및 철근이 보강된 콘크리트제 일지라도 탈형시나 양생장으로의 운반 및 거치시 또는 현장 설치시 등등에 팽이부와 파일부의 접속부 밑동부에 큰 응력이 걸리기 쉽고, 이 접속부 밑동부에 균열이 생기거나 심할 때는 파일부가 절손되는 문제가 있다.
일곱 번째,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지반에 설치한 후에는 팽이형 파일의 팽이부와 파일부의 연결부간에 결함(크랙 및 절단)을 확인할 수 없어 국부적인 결함이 기초구조의 부등침하로 인한 손상으로 확대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여덟 번째,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기초지반 하부의 지반을 추가로 보강할 경우나 편심기초 및 응력집중부 기초보강을 위한 팽이형 파일의 파일부의 길이 연장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아홉 번째,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팽이부 또는 파일부를 통한 기초부위 보강 및 그라우트 주입장치의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열 번째,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의 상호간 연결을 위해서는 연결철근으로만 결속시켜야 되는 단점이 있다.
열한 번째, 종래의 공장제작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은 팽이형 파일의 주위에 채움재인 쇄석의 용도가 기초응력 분산효과에만 국한되며, 부력저항시설의 병행으로 이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연약지반의 정의는 "설계지지력이 부족한 모든 지반을 의미하며, 설계지지력이 확보되는 지반일지라도 부등침하와 전체침하 및 측방유동을 설계기준치 이라호 억제시키고자 하는 지반을 통칭하고, 암반층까지 포함한 용어"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팽이형 파일을 이용하여 기초하부의 지반보강 및 파일본체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팽이파일내를 채우는 채움재의 공학적인 특성에 따라 현장에서의 타설 및 조립이 가능하고, 기초보강용 채움쇄석층에 포켓형 토목섬유내부에 배수재를 추가로 설치하여 영구배수시설로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은 상광하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팽이부와; 상기 팽이부의 하부로 소정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파일본체부와; 상기 파일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단면이 축소 형성되는 파일선단부로 구성된 팽이형 파일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내 바닥면에 토목섬유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목섬유상에 기초철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기초철근위에 팽이형 파일을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간을 연결부 보강철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내에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채움재상에 뚜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의 사이의 공극에 채움쇄석을 채우는 단계; 상기 뚜껑상에 버림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상에 바닥슬래브를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을 도시한 사시도1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을 도시한 단면도1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을 도시한 사시도2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을 도시한 단면도2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을 도시한 사시도1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을 도시한 단면도1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을 도시한 사시도2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을 도시한 단면도2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 제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 제6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은 상광하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팽이부(10)와; 상기 팽이부(10)의 하부로 소정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파일본체부(20)와; 상기 파일본체부(2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단면이 축소 형성되는 파일선단부(30)로 구성된 팽이형 파일(P)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P)은 팽이부(10)와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을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재질이 폴리에틸렌수지(PE : polyethylene), 폴리스티렌수지(PS : polystyrene), ABS수지(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able Poly-Styrene), 함석류, 알루미늄, 철판, 철선, 금속류, 비금속류 및 목재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내, 외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60), 나선으로 권회 형성되는 나선부(62) 및 층이지게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부(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내측에 채움재가 채워지되, 상기 채움재는 중량자재, 재활용자재, 자연산자재 및 경량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량자재는 레미콘, 몰탈, 쇄석 그라우트재 및 혼화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재활용자재는 슬래그, 재사용골재 및 톱밥 그라우트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연산자재는 토사, 자갈, 모래 및 소일시멘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량자재는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able Poly-Styrene) 블록 및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able Poly-Styrene) 경량골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팽이부(10)는 그 단면형상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구각형, 십각형, 십이각형, 십오각형 및 십팔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팽이부(10)에는 그 상단부에 내외부가 차단되도록 팽이부(1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의 뚜껑이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뚜껑은 그 재질이 합성수지, 철판, 목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내, 외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철물(86, 88, 89)이 설치된다.
즉, 상기 보강철물(86, 88, 89)은 팽이부(10),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각각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 팽이부(10)와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팽이부 보강철물(86)이고,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파일본체부 보강철물(88) 및 파일선단부 보강철물(89)이다.
또한, 상기 팽이형 파일(P)에는 소정의 위치에 내외가 관통되도록 다수개의 통공(66)이 형성되는 바, 상기 통공(66)은 팽이부(10),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에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내 바닥면에 토목섬유(D)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목섬유(D)상에 기초철근(FS)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기초철근(FS)위에 팽이형 파일(P)을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간(P)을 연결부 보강철물(90)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내에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채움재상에 뚜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의 사이의 공극에 채움쇄석(F)을 채우는 단계; 상기 뚜껑상에 버림콘크리트(W)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W)상에 바닥슬래브(BS)를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바닥면상에 설치하는 영구배수시설인 토목섬유(D)와 연약지반을 보강하는 팽이형 파일(P)을 겸용 사용하여 복합기초한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토목섬유(D)는 그 내부에 양면배수용 수평배수재를 설치된 것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 팽이형 파일(P)간을 연결부 보강철물(90)로 연결하는 단계는 팽이형 파일(P)간의 연속적으로 밀착시켜 설치하고, 상기 팽이형 파일(P)의 팽이부(10)들에 관통공(92)이 형성된 연결부 보강철물을(90) 덮어씌우고, 상기 관통공(92)간을 체결부재를 삽입시켜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 보강철물(90)은 전체적으로 삼면이 막힌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각각 관통공(9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92)간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는 볼트(94)와 철근(96) 및 케이블타이(9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체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박스암거의 기초, 철탑과 광고탑의 지주구조물의 기초, 옹벽의 기초, 도로의 노반과 노상기초, 상하수도와 관로의 맨홀기초, 각종 수로구조물의 기초, 교량의 교대와 교각기초, 도로와 성토부의 기초, 매립장 및 환경관련 구조물 기초, 공사용 도로의 기초(가설도로), 호안 해안의 보호공(쇄파방지용 블록, 하천 세굴방지용 기초, 해안침식 방지용 사면보호공), 공황활주로 기초, 진동기계 기초, 정밀기계의 방진과 흡진기초 등의 토목구조물의 기초에 널리 사용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구조물의 상재하중이 지반의 허용지내력보다 작을지라도 부등침하와 전체침하 및 측방유동을 가능한 억제하고자 할 경우와, 구조물의 상재하중이 지반의 허용지지력 보다 과다할 때에도 시공의 간편성, 공기의 단축성, 저렴한 경제성, 공법의 공학적인 안전성, 환경 친화성, 유지관리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공장 및 플랜트의 기초, 각종 대형건물의 독립 및 전면기초(연립주택, 창고, 중ㆍ대 건축물, 병원, 호텔 등), 정화조와 저수조의 탱크기초, 아파트, 오피스텔, 주상복합건물의 독립 및 전면기초, 단독주택의 기초, 매립지반의 기초(가설구조물, 창고), 응력집중부 보강기초, 고층부 및 저층부 경계구간 편심 보강기초 등의 건축구조물의 기초에 널리 사용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기타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기초지반의 개량이 필요한 각종 응용기초분야(플랜트, 원전, 환경분야 등)에 시공의 간편성, 공기의 단축성, 저렴한 경제성, 공법의 공학적인 안전성, 환경 친화성, 유지관리 편리성을 도모할 경우에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은 현장 타설 및 조립을 위해 팽이형 파일의 팽이부(10)와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를 분리 또는 일체형으로 제작하여(표준형 500mm의 경우 한 개당 무게가 2kg 내외) 운반 및 현장설치 및 조립이 용이하고, 기초지반, 지하수, 하중조건, 기초구조의 형식, 시공 및 영구조건 등의 변수를 고려할 때 종래의 팽이형 파일보다 현장설치 시공의 간편성, 공기의 단축성, 저렴한 경제성, 연약지반 보강의 확실성(안전성), 환경 친화성, 유지관리 편리성, 공학적인 응용탁월성 등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기초하부의 지반보강을 극대화하기 위한 파일본체부(2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고, 채움재의 공학적인 특성에 따라 현장 타설 또는 조립이 가능하며, 토목섬유(D)의 내부에 양면배수용 수평배수재가 설치된 배수재를 추가로 배치하여 영구배수시설로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1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1이며,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2이며,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2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은 상광하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팽이부(10)와; 상기 팽이부(10)의 내측면 하부에 삽입 결합됨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파일본체부(20)와; 상기 파일본체부(20)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파일본체부(20)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단면이 축소 형성되는 파일선단부(30)로 구성된 팽이형 파일(P)이 일체로 조립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P)은 팽이부(10)와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가 분리형으로 구성됨을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재질이 폴리에틸렌수지(PE : polyethylene), 폴리스티렌수지(PS : polystyrene), ABS수지(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able Poly-Styrene)y-Styrene), 함석류, 알루미늄, 철판, 철선, 및 목재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내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60), 나선으로 권회 형성되는 나선부(62) 및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부(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외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60), 나선으로 권회 형성되는 나선부(62) 및 층이지게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부(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내측에 채움재가 채워지되, 상기 채움재는 중량자재, 재활용자재, 자연산자재 및 경량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량자재는 레미콘, 몰탈, 쇄석 그라우트재 및 혼화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재활용자재는 슬래그, 재사용골재 및 톱밥 그라우트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연산자재는 토사, 자갈, 모래 및 소일시멘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량자재는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able Poly-Styrene)블록,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able Poly-Styrene) 경량골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포폴리스티렌(EPS : Expandable Poly-Styrene)은 무게 비율로 볼 때 PS Polymer가 92~98 wt%,pentane등의 무해한 발포제가 3~8 wt%,기타 난연제 및 성형에 필요한 첨가제로 이루어진 0.3~2.5mm의 구슬의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발포폴리스티렌블록은 발포폴리스티렌의 구슬 형태를 블록화 한 제품이다.
여기서, 상기 발포폴리스티렌의 단위체적중량은 흙의 약 1/100 정도이므로, 발포폴리스티렌블록을 연약지반 상의 성토재로 적용하는 경우, 성토하중을 크게 절감시켜 연약지반의 침하 및 지지력 부족 등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폴리스티렌블록의 압축강도는 일반적으로 탄성범위 내의 허용압축강도가 0.3~1.4㎏/㎠정도이기 때문에 성토재료로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발포폴리스티렌은 흙과 달리 소성영역에 있어서도 명확한 전단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특징도 갖고 있다.
한편, 상기 팽이부(10)는 그 단면형상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구각형, 십각형, 십이각형, 십오각형 및 십팔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팽이부(10)에는 그 상단부에 내외부가 차단되도록 팽이부(1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의 뚜껑이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뚜껑은 그 재질이 합성수지, 철판 및 목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내,외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철물(86, 88, 89)이 설치되는 바, 상기 보강철물(86, 88, 89)은 팽이부(10),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각각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에서는 상기 파일본체부(20)에는 그 내측에 주입관(70)이 설치되되, 상기 주입관(70)은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수개의 주입공(72)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팽이형 파일(P)에는 소정의 위치에 내외가 관통되도록 다수개의 통공(66)이 형성되는 바, 상기 통공(66)은 팽이부(10),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분에 형성된 구조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내 바닥면에 토목섬유(D)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목섬유(D)상에 기초철근(FS)을 설치하는 단계; 팽이형 파일(P)을 일체로 다수개 조립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기초철근(FS)위에 팽이형 파일(P)을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간을 연결부 보강철물(90)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내에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채움재상에 뚜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의 사이의 공극에 채움쇄석(F)을 채우는 단계; 상기 뚜껑상에 버림콘크리트(W)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W)상에 바닥슬래브(BS)를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한 각 단계는 앞서 설명한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에서 언급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팽이형 파일(P)을 일체로 다수개 조립하는 단계는 각각 팽이부(10)와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로 별개로 나눠어진 부재를 하나로 조립하여 팽이형 파일(P)을 완성하는 것인 바, 필요에 따라 공장에서 조립된 완제품을 현장에 운반한 후 설치하거나, 또는 현장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한 팽이형 파일은 팽이부(10)와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가 분리구조로 이루어진 팽이형 파일(P)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일체형의 팽이형 파일(P)을 이용할 때 보다 개개의 부재는 경량으로 되어, 작업 효율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한편, 상기 파일본체부(20)의 길이는 토질조건에 대응되는 일정한 길이로 해야 할 것이지만, 팽이형 파일(P)을 분리구조로 채택하면, 파일본체부(20)를 다단으로 연결시켜 사용하면, 용이하게 파일본체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6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을 도시한 사시도1이며,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을 도시한 단면도1이며,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을 도시한 사시도2이며,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을 도시한 단면도2이며, 도 30은 도 26의 EPS블록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1이며, 도 31은 도 27의 EPS블록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1이며, 도 32는 도 28의 EPS블록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2이며, 도 33는 도 28의 EPS블록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2이며, 도 34은 도 26의 파일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의 팽이부 보호철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의 파일본체부 보호철물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시공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8은 도 37의 팽이형 파일의 연결부 보강철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9는 도 37의 팽이형 파일의 케이블 타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0는 도 37의 팽이형 파일의 연결부를 볼트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1은 도 37의 팽이형 파일의 연결부를 철근으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2는 도 37의 팽이형 파일의 연결부를 케이블타이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은 상광하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팽이부(10)와; 상기 팽이부(10)의 하부로 소정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파일본체부(20)와; 상기 파일본체부(2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단면이 축소 형성되는 파일선단부(30)로 구성된 팽이형 파일(P)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내의 소정의 위치에 채워짐과 동시에 가운데가 상하로 관통공을 갖는 EPS블록과; 상기 EPS블록내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철근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P)은 팽이부(10)와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로 이루어진 일체형 팽이형 파일(P)에 EPS블록이 설치된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재질이 폴리에틸렌수지(PE : polyethylene), 폴리리스티렌수지(PS : polystyrene), ABS수지(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EPS(발포폴리스티렌 : Expandable Poly-Styrene), 함석류, 알루미늄, 철판, 철선, 금속류, 비금속류 및 목재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팽이부(10)는 그 단면형상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구각형, 십각형, 십이각형, 십오각형 및 십팔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팽이부(10)에는 그 상단부에 팽이부(1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의 뚜껑이 설치되는 바, 상기 뚜껑은 그 재질이 합성수지, 철판, 목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외측면 소정의 위치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철물(86, 88, 89)이 설치되는 바, 상기 보강철물(86, 88, 89)은 팽이부(10),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각각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이 내장된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이 내장된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내 바닥면에 토목섬유(D)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목섬유(D)상에 기초철근(FS)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기초철근(FS)위에 팽이형 파일(P)을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간을 연결부 보강철물(90)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상에 뚜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의 사이의 공극에 채움쇄석(F)을 채우는 단계; 상기 뚜껑상에 버림콘크리트(W)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W)상에 바닥슬래브(BS)를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섬유(D)는 그 내부에 양면배수용 수평배수재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팽이형 파일(P)간을 연결부 보강철물(90)로 연결하는 단계는 팽이형 파일(P)간의 연속적으로 밀착시켜 설치하고, 상기 팽이형 파일(P)의 팽이부(10)들에 관통공(92)이 형성된 연결부 보강철물(90)을 덮어씌우고, 상기 관통공(92)간을 체결부재를 삽입시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 보강철물(90)은 전체적으로 삼면이 막힌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각각 관통공(9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94)와 철근(96) 및 케이블타이(9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체결한다.
[실시예3]
도 30 내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은 상광하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팽이부(10)와; 상기 팽이부(10)의 내측면 하부에 삽입 결합됨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파일본체부(20)와; 상기 파일본체부(20)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파일본체부(20)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단면이 축소 형성되는 파일선단부(30)로 구성된 팽이형 파일(P)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내의 소정의 위치에 채워짐과 동시에 가운데가 상하로 관통공을 갖는 EPS블록과; 상기 EPS블록내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철근으로 구성되어, 현장에서 조립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P)은 팽이부(10)와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로 이루어진 분리형 팽이형 파일(P)에 EPS블록이 설치된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재질이 폴리에틸렌수지(PE : polyethylene), 폴리리스티렌수지(PS : polystyrene), ABS수지(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EPS(발포폴리스티렌 : Expandable Poly-Styrene), 함석류, 알루미늄, 철판, 철선, 금속류, 비금속류 및 목재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팽이부(10)는 그 단면형상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구각형, 십각형, 십이각형, 십오각형 및 십팔각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팽이부(10)에는 그 상단부에 팽이부(1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의 뚜껑이 설치되는 바, 상기 뚜껑은 그 재질이 합성수지, 철판, 목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외측면 소정의 위치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철물(86, 88, 89)이 설치되는 바, 상기 보강철물(86, 88, 89)은 팽이부(10),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각각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EPS블록이 내장된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분리형 EPS블록이 내장된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내 바닥면에 토목섬유(D)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목섬유(D)상에 기초철근(FS)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기초철근(FS)위에 팽이형 파일(P)을 일체로 다수개 조립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간을 연결부 보강철물(90)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상에 뚜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의 사이의 공극에 채움쇄석(F)을 채우는 단계; 상기 뚜껑상에 버림콘크리트(W)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W)상에 바닥슬래브(BS)를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현장조립식 분리형 EPS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분리형 팽이형 파일 복합기초공법과 대동소이하며, 단지 팽이부와 파일본체부내에 채움재로 EPS블록이 내장된 것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함에 공법상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토목섬유(D)는 그 내부에 양면배수용 수평배수재를 설치한다.
한편, 상기 팽이형 파일(P)간을 연결부 보강철물(90)로 연결하는 단계는 팽이형 파일(P)간의 연속적으로 밀착시켜 설치하고, 상기 팽이형 파일(P)의 팽이부(10)들에 관통공(92)이 형성된 연결부 보강철물(90)을 덮어씌우고, 상기 관통공(92)간을 체결부재를 삽입시켜 연결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 보강철물(90)은 전체적으로 삼면이 막힌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각각 관통공(9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94)와 철근(96) 및 케이블타이(9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체결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EPS가 내장된 팽이형 파일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함에 그 기술적 의의가 크다.
한편, 상기한 각 단계는 앞서 설명한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 및 분리형에서 언급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현장조립형인 EPS(발포폴리스티렌 : Expandable Poly-Styrene)블록을 기초공학적인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 현장에 적용하여 시공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 번째,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다양한 형태 및 규격의 팽이형 파일의 외관만을 공장에서 제작하고, 팽이형 파일내를 채움재로 현장에서 시공하여 팽이형 파일(P)을 일체식 과 분리형 및 현장조립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대규모로 팽이형 파일(P)을 제작하기 위한 부지(생산 및 야적) 및 플랜트 시설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두 번째,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표준형 팽이형 파일(P) 500mm의 경우에는 팽이형 파일(P)의 한 개당 무게가 2Kg내외이므로 팽이형 파일(P)의 운반 및 야적이 용이하고 현장설치가 간편한 이점이 있다.
세 번째,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팽이형 파일의 설치시 수평을 맞추는데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또한 일일 설치량이 종래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보다 3-5배 더 많고, 작업시간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팽이형 파일이 EPS(발포폴리스티렌 : Expandable Poly-Styrene) 블록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팽이형 파일의 설치 및 시공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네 번째,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팽이형 파일을 부분 또는 일체 및 조립의 형상으로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하며, 기초의 하중형태에 따라 기초지내력을 부담하는 다양한 재료를 기초 공학적인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채움 가능한 재료는 크게 현장타설형인 레미콘, 모르타르, 쇄석채움과 그라우트재 및 첨가제 주입형 등의 중량자재류, 슬러그, 재사용골재, 톱밥과 그라우팅제의 환경폐기 및 재사용자재류, 모래 및 토사와 시멘트, 그라우트 첨가 등의 자연산자재류, 경량골재류 등이 있으며, 현장조립형인 EPS(발포폴리스티렌 : Expandable Poly-Styrene) 블록 등으로 다양하게 채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섯 번째,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영구기초 뿐만 아니라 가설용 기초에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섯 번째,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팽이형 기초파일내에 적절한 채움 및 응력재를 넣어 현장에서 시공하므로 팽이부(10)와 파일본체부(20)의 접속부 밑동부에 큰 응력이 걸려서 균열이 생기거나 심할 때는 축각이 절손될 수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시키는 효과가 있다.
일곱 번째,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팽이부와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가 일체와 분리 및 현장조립형이므로 지반 및 기초구조의 형식조건(편심 및 응력집중부 보강)에 따라 팽이형 파일본체부(20)의 길이를 적절하게 연장하여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덟 번째,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팽이부와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에 하부지반의 보강을 위한 그라우트재 주입구가 설치되어, 팽이형 파일 접속 및 하부의 연약지반 개량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파일본체부(20)의 길이는 표준형 팽이형 파일에 쉽게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연장시킬 수 있어 편심기초 또는 응력집중부 기초보강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홉 번째,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현장타설 팽이형 파일의 상호연결은 연결철근, 볼트접합, 홈접합, 철물접합, 케이블타이접합 등 다양하게 연결시켜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열 번째,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팽이형 파일의 주변에 채워지는 채움쇄석층의 용도를 기초응력 분산효과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팽이형 파일의 주변에 채워지는 채움쇄석층을 이용하여 포켓형 토목섬유(D)로 보호된 양면수평배수재를 설치하면 기초구조물에 작용하는 상향수압을 원천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어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은 물론 기초구조로서의 탁월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열한 번째, 본 발명에 따른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은 종래의 콘크리트 팽이형 파일 또는 여타의 연약지반 개량공법 보다 시공의 간편성, 공기의 단축성, 저렴한 경제성, 공법의 공학적인 안전성, 환경 친화성, 유지관리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을 도시한 사시도1,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을 도시한 단면도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을 도시한 사시도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을 도시한 단면도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일체형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을 도시한 사시도1,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을 도시한 단면도1,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을 도시한 사시도2,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을 도시한 단면도2,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 제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 제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 제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개방형 제6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1,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1,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2,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2,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분리형 제3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을 도시한 예시도,
도 26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을 도시한 사시도1,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을 도시한 단면도1,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을 도시한 사시도2,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을 도시한 단면도2,
도 30은 도 26의 EPS블록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1,
도 31은 도 27의 EPS블록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1,
도 32는 도 28의 EPS블록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2,
도 33는 도 28의 EPS블록을 도시한 분리 단면도2,
도 34은 도 26의 파일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의 팽이부 보호철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EPS블록의 파일본체부 보호철물을 도시한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팽이형 파일의 시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8은 도 37의 팽이형 파일의 연결부 보강철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9는 도 37의 팽이형 파일의 케이블 타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0는 도 37의 팽이형 파일의 연결부를 볼트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1은 도 37의 팽이형 파일의 연결부를 철근으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2는 도 37의 팽이형 파일의 연결부를 케이블타이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팽이부 12 : 중공
20 : 파일본체부 22 : 중공
30 : 파일선단부 60 : 돌기부
62 : 나선부 64 : 계단부
66 : 통공 70 : 주입관
72 : 주입공 80 : EPS블록
80a : EPS블록 뚜껑 80b : EPS블록 팽이부
80c : EPS블록 파일부 80d : EPS블록 관통공
82 : 철근 86 : 팽이부 보강철물
88 : 파일본체부 보강철물 89 : 파일선단부 보강철물
90 : 연결부 보강철물 92 : 관통공
94 : 볼트 96 : 철근
98 : 케이블타이 BS : 바닥슬래브
D : 토목섬유 F : 채움쇄석
FS : 기초철근 P : 팽이형 파일
W : 버림콘크리트

Claims (47)

  1. 상광하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팽이부(10)와;
    상기 팽이부(10)의 하부로 소정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파일본체부(20)와;
    상기 파일본체부(2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단면이 축소 형성되는 파일선단부(30)로 구성된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은 팽이부(10)의 내측면 하부에 파일본체부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파일본체부의 하단부에 파일선단부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어, 현장에서 팽이형파일을 일체로 조립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재질이 폴리에틸렌수지(PE : polyethylene), 폴리리스티렌수지(PS : polystyrene), ABS수지(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EPS(발포폴리스티렌 : Expandable Poly-Styrene), 함석류, 알루미늄, 철판, 철선, 금속류, 비금속류 및 목재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내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60), 나선으로 권회 형성되는 나선부(62) 및 층이지게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부(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외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60), 나선으로 권회 형성되는 나선부(62) 및 계단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계단부(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내측에 채움재가 채워지되,
    상기 채움재는 레미콘, 몰탈, 쇄석 그라우트재 및 혼화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중량자재와;
    슬래그, 재사용골재 및 톱밥 그라우트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재활용자재와;
    토사, 자갈, 모래 및 소일시멘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자연산자재 및
    EPS(발포폴리스티렌 : Expandable Poly-Styrene) 블록 및 EPS(발포폴리스티렌 : Expandable Poly-Styrene) 경량골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경량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내, 외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철물(86, 88, 89)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본체부(20)에는 그 내측에 주입관(70)이 설치되되, 상기 주입관(70)은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다수개의 주입공(7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19. 상광하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팽이부(10)와; 상기 팽이부(10)의 하부로 소정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파일본체부(20)와; 상기 파일본체부(2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단면이 축소 형성되는 파일선단부(30)로 구성된 팽이형 파일(P)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내의 소정의 위치에 채워짐과 동시에 가운데가 상하로 관통공을 갖는 EPS블록과; 상기 EPS블록내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철근이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내의 소정의 위치에 채워짐과 동시에 가운데가 상하로 관통공을 갖는 EPS블록과; 상기 EPS블록내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철근을 현장에서 조립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21.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재질이 폴리에틸렌수지(PE : polyethylene), 폴리리스티렌수지(PS : polystyrene), ABS수지(ABS :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EPS(발포폴리스티렌 : Expandable Poly-Styrene), 함석류, 알루미늄, 철판, 철선, 금속류, 비금속류 및 목재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22. 삭제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부(10)에는 그 상단부에 팽이부(1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의 뚜껑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그 재질이 합성수지, 철판, 목재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25. 제 19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그 외측면 소정의 위치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보강철물(86, 88, 89)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물(86, 88, 89)은 팽이부(10),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각각 대응되는 단면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27.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내 바닥면에 토목섬유(D)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목섬유(D)상에 기초철근(FS)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기초철근(FS)위에 팽이형 파일(P)을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간(P)을 연결부 보강철물(90)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내에 채움재를 채우는 단계;
    상기 채움재상에 뚜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의 사이의 공극에 채움쇄석(F)을 채우는 단계;
    상기 뚜껑상에 버림콘크리트(W)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W)상에 바닥슬래브(BS)를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에 있어서,
    상기 토목섬유(D)상에 기초철근(FS)을 설치한 후 팽이형 파일(P)을 일체로 다수개 조립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추가하며,
    상기 토목섬유(D)는 그 내부에 양면배수용 수평배수재가 설치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팽이형 파일은 상광하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팽이부(10)와; 상기 팽이부(10)의 하부로 소정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파일본체부(20)와; 상기 파일본체부(2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단면이 축소 형성되는 파일선단부(30)로 구성하며,
    상기 팽이형 파일은 팽이부(10)의 내측면 하부에 파일본체부가 삽입 결합되며, 상기 파일본체부의 하단부에 파일선단부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팽이형 파일(P)간을 연결부 보강철물(90)로 연결하는 단계는 팽이형 파일(P)간의 연속적으로 밀착시켜 설치하고, 상기 팽이형 파일(P)의 팽이부(10)들에 관통공(92)이 형성된 연결부 보강철물을(90) 덮어씌우고, 상기 관통공(92)간을 체결부재를 삽입시켜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 보강철물(90)은 전체적으로 삼면이 막힌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각각 관통공(92)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94)와 철근(96) 및 케이블타이(9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체결하며,
    상기 채움재는 레미콘, 몰탈, 쇄석 그라우트재 및 혼화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중량자재;
    슬래그, 재사용골재 및 톱밥 그라우트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재활용자재;
    토사, 자갈, 모래 및 소일시멘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자연산자재 및
    EPS(발포폴리스티렌 : Expandable Poly-Styrene) 블록, EPS(발포폴리스티렌 : Expandable Poly-Styrene) 경량골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경량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채우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지반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일정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간부내 바닥면에 토목섬유(D)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토목섬유(D)상에 기초철근(FS)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기초철근(FS)위에 팽이형 파일(P)을 다수개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간을 연결부 보강철물(90)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상에 뚜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이형 파일(P)의 사이의 공극에 채움쇄석(F)을 채우는 단계;
    상기 뚜껑상에 버림콘크리트(W)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버림콘크리트(W)상에 바닥슬래브(BS)를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섬유(D)는 그 내부에 양면배수용 수평배수재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
  42.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토목섬유(D)상에 기초철근(FS)을 설치한 후 팽이형 파일(P)을 일체로 다수개 조립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
  43.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상광하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팽이부(10)와; 상기 팽이부(10)의 하부로 소정의 길이가 연장됨과 동시에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파일본체부(20)와; 상기 파일본체부(20)의 하단부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단면이 축소 형성되는 파일선단부(30)와; 상기 팽이부(10)와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내의 소정의 위치에 채워짐과 동시에 가운데가 상하로 관통공을 갖는 EPS블록과; 상기 EPS블록내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철근을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
  44.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은 상광하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가운데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팽이부(10)와; 상기 팽이부(10)의 내측면 하부에 삽입 결합됨과 동시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속이 빈 중공으로 형성되는 파일본체부(20)와; 상기 파일본체부(20)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파일본체부(20)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단면이 축소 형성되는 파일선단부(30)와; 상기 팽이부(10)와 파일본체부(20) 및 파일선단부(30)내의 소정의 위치에 채워짐과 동시에 가운데가 상하로 관통공을 갖는 EPS블록과; 상기 EPS블록내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철근으로 구성하여, 현장에서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
  45.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팽이형 파일(P)간을 연결부 보강철물(90)로 연결하는 단계는 팽이형 파일(P)간의 연속적으로 밀착시켜 설치하고, 상기 팽이형 파일(P)의 팽이부(10)들에 관통공(92)이 형성된 연결부 보강철물(90)을 덮어씌우고, 상기 관통공(92)간을 체결부재를 삽입시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
  46. 제 40항 또는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보강철물(90)은 전체적으로 삼면이 막힌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측면에 각각 관통공(9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
  47.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94)와 철근(96) 및 케이블타이(9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을 이용한 복합기초공법.
KR10-2003-0067665A 2003-09-30 2003-09-30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복합기초공법 KR100483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665A KR100483350B1 (ko) 2003-09-30 2003-09-30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복합기초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665A KR100483350B1 (ko) 2003-09-30 2003-09-30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복합기초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779U Division KR200339984Y1 (ko) 2003-09-30 2003-09-30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506A KR20050031506A (ko) 2005-04-06
KR100483350B1 true KR100483350B1 (ko) 2005-04-15

Family

ID=3723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665A KR100483350B1 (ko) 2003-09-30 2003-09-30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복합기초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3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347B1 (ko) * 2007-08-13 2009-08-21 문형록 복수일체형 팽이말뚝을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100913346B1 (ko) * 2007-08-13 2009-08-21 문형록 지반보강용 말뚝과 팽이말뚝부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655B1 (ko) * 2009-07-23 2012-02-14 시지엔지니어링(주) 팽이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KR101370102B1 (ko) * 2013-03-18 2014-03-06 팽이파일산업 주식회사 현장타설형 팽이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1838244B1 (ko) * 2017-04-05 2018-03-13 (주)삼일이엔씨 현장 타설 보강 팽이말뚝 기초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75813B1 (ko) * 2019-12-18 2021-07-09 박인수 매트를 이용한 기초 보강 구조물
WO2023039618A1 (en) * 2021-09-10 2023-03-16 Duc Thang Do Hybrid foundation form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hybrid foundation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347B1 (ko) * 2007-08-13 2009-08-21 문형록 복수일체형 팽이말뚝을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KR100913346B1 (ko) * 2007-08-13 2009-08-21 문형록 지반보강용 말뚝과 팽이말뚝부를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506A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6264B2 (ja) 擁壁を構築するための方法
CN201245846Y (zh) 挖斗搅拌水泥围护墙
JP2006225926A (ja) 流動化処理土、山砂、現地発生土、砕石等の埋め戻し材を利用した盛土工法
US5746544A (en) Process and structure for reducing roadway construction period
KR100483350B1 (ko)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과 이를 이용한복합기초공법
KR102173079B1 (ko) 차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KR100603140B1 (ko) 지오그리드 보강 쇄석기둥과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US7067001B2 (en) Drainage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RU2651854C1 (ru)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активного давления грунта на вертикальные и наклонные поверхности элементов искусственных сооружений и конструкция монолитного геомассива, изготовленная с применением способа
Andromalos et al. The application of various deep mixing methods for excavation support systems
JP2001329545A (ja) 橋脚基礎工法及び橋脚用床版
KR200339984Y1 (ko) 현장타설 및 조립식 팽이형 파일
JPH0552366B2 (ko)
KR100627136B1 (ko) 공동주택내의 연약지반 보강 조립식 그라우팅구조
JP4680676B2 (ja) 流動化処理土の埋め戻し材及び施工材を使用した立体交差施工方法
JP2651893B2 (ja) 基礎杭構造
KR20130073336A (ko) 파일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기초와 지주 시공방법
KR100884391B1 (ko) 옹벽 상단의 배수기능을 보강한 보강토 옹벽 및 이 시공방법
KR100263733B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수지와 콘크리트 폐기물을 이용한 특수 세굴방지대의 제조방법
KR100493516B1 (ko) 현장 마이크로 파일과 조립식 브라켓을 이용한 교각용조립식 기초보강 구조체 및 그의 구축방법
KR200223114Y1 (ko)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KR102426192B1 (ko) 흙막이 벽체 파일 및 시공방법
Gumelar et al. SUGGESTED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SHORT—SPAN BRIDGE ABUTMENTS WITH REINFORCED EARTH SYSTEM
CN219410378U (zh) 岩质斜坡悬挑式道路结构
CN217204234U (zh) 一种临河浸水路基用重力式挡土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118

Effective date: 2011102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