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148B1 -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148B1
KR100483148B1 KR10-2001-0077953A KR20010077953A KR100483148B1 KR 100483148 B1 KR100483148 B1 KR 100483148B1 KR 20010077953 A KR20010077953 A KR 20010077953A KR 100483148 B1 KR100483148 B1 KR 100483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art
game
work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459A (ko
Inventor
임경선
Original Assignee
임경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선 filed Critical 임경선
Priority to KR10-2001-0077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14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7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대 및 작가별로 구분된 미술작품을 퍼즐게임 형태로 즐기면서 미술작품과 동시대의 음악을 들을 수 있고, 동시에 제공되는 시대 및 작가설명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미술, 음악, 역사의 연계학습이 가능한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도록 부호화시켜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미술작품을 미리 지정된 개수의 조각으로 분할한 퍼즐게임을 제공하는 미술게임 프로세스와, 미술작품에 해당하는 음악을 제공하는 음악 프로세스와, 미술작품과 음악에 해당하는 시대상황 및 작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역사설명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술작품을 게임으로 제공하면서 동시대의 음악을 들려주고, 역사적인 상황이나 배경 및 작가에 대한 설명을 한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미술, 음악, 역사를 연계하여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Description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STORAGE MEDIA HAVING PROGRAM SOURCE FOR STUDYING ART AND MUSIC}
본 발명은 시대 및 작가별로 구분된 미술작품을 퍼즐게임 형태로 즐기면서 미술작품과 동시대의 음악을 들을 수 있고, 동시에 제공되는 시대 및 작가설명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미술, 음악, 역사의 연계학습이 가능한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보급과 컴퓨터의 대중화에 힘입어 학교뿐만이 아니라 가정에서도 이전에 불가능했던 멀티미디어 학습을 다양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멀티미디어 학습은 종래의 단편적인 암기식 학습에서 벗어나, 직접 보고 듣는 학습을 통하여 이해력을 증진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학습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인터넷망과의 연결이 필수적이며, 인터넷 사용자가 많은 시간대에는 전송속도에 한계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저학년 초등학생과 같은 아동의 경우, 인터넷의 사용이 서툴러 그 이용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며, 항상 보호자가 유해사이트 접속을 감시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학습용 CD가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교과과정을 각 과목별로 분류하였기 때문에 연계성을 가지고 공부해 나가기가 힘들다. 특히, 미술이나 음악과 같은 예능분야는 내용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CD의 내용이 단편적인 사실만을 보여주는 암기식 학습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시대 및 작가별로 구분된 미술작품을 퍼즐게임 형태로 즐기면서 상기 미술작품과 동시대의 음악을 들을 수 있고, 동시에 제공되는 시대 및 작가설명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미술, 음악, 역사의 연계학습이 가능한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대 및 작가가 서로 다른 미술작품을 찾는 게임을 즐기면서 상기 미술작품과 동시대의 음악을 들을 수 있고, 동시에 제공되는 시대 및 작가설명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미술, 음악, 역사의 연계학습이 가능한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술작품과 음악에 대한 시대 및 작가설명을 영어로 제공하여 미술, 음악, 역사 및 영어를 동시에 연계하여 학습이 가능한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도록 부호화시켜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미술작품을 미리 지정된 개수의 조각으로 분할한 퍼즐게임을 제공하는 미술게임 프로세스; 상기 미술작품에 해당하는 음악을 제공하는 음악 프로세스; 상기 미술작품과 상기 음악에 해당하는 시대상황 및 작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역사설명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에 있어서, 상기 미술게임 프로세스와 음악 프로세스는 시대 및 작가별로 구분된 미술작품과 음악을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1 또는 제 2에 있어서, 상기 퍼즐게임과 상기 설명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음악과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3에 있어서, 상기 미술게임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가 음악을 선택하고 상기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경우, 상기 음악에 해당하는 시대의 미술작품 중 하나를 무작위 추출하여 퍼즐게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3에 있어서, 상기 음악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가 미술작품을 선택하고 상기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경우, 상기 미술작품에 해당하는 시대의 음악을 무작위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3에 있어서, 상기 역사설명 프로세스는 한글 또는 영어로 미리 번역된 시대상황과 작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4에 있어서, 상기 미술게임 프로 세스는 상기 미술작품 중에서 시대가 다른 미술작품을 찾는 제 1 게임을 제공하는 제 1 게임 프로세스; 및 상기 미술작품 중에서 작가가 다른 미술작품을 찾는 제 2 게임을 제공하는 제 2 게임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7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임 프로세스와 상기 제 2 게임 프로세스는 미리 지정된 개수의 미술작품 중 하나를 나머지 미술작품과 다른 시대와 작가의 미술작품으로 각각 무작위 추출하여 게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또,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 7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스는 상기 미술작품에 미리 설정된 게임설정에 따라서 퍼즐게임이나 상기 제 1 게임 또는 상기 제 2 게임을 구성하도록 상기 미술게임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미술작품을 미리 지정된 개수의 조각으로 분할한 퍼즐게임 또는 서로 다른 시대나 작가를 찾는 게임으로 구성하고, 미술작품에 해당하는 시대 음악 및 설명을 함께 제공하는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에 상주하며, 이들 명령어 세트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필요로 할 때까지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와 같은 메모리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미술작품을 미리 지정된 개수의 조각으로 분할한 퍼즐게임을 제공하는 미술게임 프로세스(110)와, 미술작품에 해당하는 음악을 제공하는 음악 프로세스(120)와, 미술작품과 음악에 해당하는 시대상황 및 작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역사설명 프로세스(130)와, 퍼즐게임과 설명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고 음악과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140)를 포함한다.
이 때, 미술게임 프로세스(110)와 음악 프로세스(120)는 시대 및 작가별로 구분된 미술작품과 음악을 각각 제공한다.
미술게임 프로세스(110)는 미술작품 중에서 시대가 다른 미술작품을 찾는 제 1 게임을 제공하는 제 1 게임 프로세스(112)와, 미술작품 중에서 작가가 다른 미술작품을 찾는 제 2 게임을 제공하는 제 2 게임 프로세스(1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게임 프로세스(112)와 제 2 게임 프로세스(114)는 미리 지정된 개수의 미술작품 중 하나를 나머지 미술작품과 다른 시대와 작가의 미술작품으로 각각 무작위 추출하여 게임을 구성한다.
미술게임 프로세스(110)는 사용자가 음악을 선택하고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경우, 음악에 해당하는 시대의 미술작품 중 하나를 무작위 추출하여 퍼즐게임을 제공한다.
음악 프로세스(120)는 사용자가 미술작품을 선택하고 상기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경우, 상기 미술작품에 해당하는 시대의 음악을 무작위 추출하여 제공한다.
역사설명 프로세스(130)는 한글 또는 영어로 미리 번역된 시대상황과 작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제어 프로세스(140)는 미술작품에 미리 설정된 게임설정에 따라서 퍼즐게임이나 제 1 게임 또는 제 2 게임을 구성하도록 미술게임 프로세스(11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교과서 중심의 내용으로 구성하되, 학년별로 분류하여 학습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이 게임과 음악 및 해당 설명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 프로세스(140)는 도 2와 같이 화면의 왼쪽 상단에 그림(PAINT)(200), 음악(MUSIC)(210), 역사(HISTORY)(220), 메인(MAIN)(230) 아이콘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화면의 일실시예이다.
사용자가 그림 아이콘(200)을 선택하면, 미술게임 프로세스(110)가 무작위 추출한 미술작품과 음악 프로세스(120)와 역사설명 프로세스(130)가 각각 무작위로 추출한 해당 시대의 음악 및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악 아이콘(210)을 선택하면 음악 프로세스(120)가 무작위 추출한 음악과 미술게임 프로세스(110)와 역사설명 프로세스(130)가 각각 무작위로 추출한 해당 시대의 그림 및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역사 아이콘(220)을 선택하면 무작위 추출된 시대 또는 작가에 대한 설명과 해당 시대의 그림과 음악을 제공받을 수 있다.
메인 아이콘(230)을 선택하면 현재까지의 모든 설정을 초기화시키고, 사용자가 처음부터 진행할 수 있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미술작품, 음악, 설명을 각각 선택하고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화면중앙 하단에는 미술작품과 음악 및 설명을 각각 선택하기 위한 창(240,250,260)이 제공된다. 창 아래에는 각각의 프로세스가 제공하는 미술작품과 음악 및 설명 리스트가 출력되며, 미술게임 프로세스(110)와 음악 프로세스(120)는 시대 및 작가별로 구분된 미술작품과 음악을 각각 제공한다.
먼저, 사용자가 도 2와 같이 미술작품 선택창(240)에 제공되는 리스트(다빈치, 미켈란젤로, 코레조) 중에서 "다빈치"를 선택하면, 음악 프로세스(120)는 다빈치와 동일한 시대에 해당하는 음악 리스트(부르고뉴 악파, 플랑드르 악파)를 음악 선택창(250)에 제공한다.
만약, 위에 설명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음악 선택창(250)에 제공되는 리스트 중 "부르고뉴 악파"를 먼저 선택하면, 미술게임 프로세스(110)는 부르고뉴 악파와 동일한 시대에 해당하는 미술작가 리스트(다빈치, 미켈란젤로, 코레조)를 미술작품 선택창(240)에 제공한다.
그리고, 역사설명 프로세스(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미술작품과 음악에 해당하는 시대상황 및 작가에 대한 설명 리스트(작가, 시대적 배경)를 역사설명 선택창(260)에 출력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역사설명 리스트 중에서 하나(작가)를 선택하고 엔터(Enter)키를 누르면, 제어 프로세스(140)는 미술작품에 미리 설정된 게임설정에 따라서 퍼즐게임이나 제 1 게임 또는 제 2 게임을 구성하도록 미술게임 프로세스(1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다빈치"가 제 1 게임 또는 제 2 게임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제 1 게임 프로세스(112) 또는 제 2 게임 프로세스(114)가 각각 시대 또는 작가가 다른 미술작품을 찾는 게임을 구성한다.
이 때, 제 1 게임 프로세스(112)와 제 2 게임 프로세스(114)는 미리 지정된 개수의 미술작품 중 하나를 나머지 미술작품과 다른 시대와 작가의 미술작품으로 각각 무작위 추출하여 게임을 구성한다.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다빈치"가 퍼즐게임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미술게임 프로세스(110)는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작품 중 대표작품 하나를 추출하여 도 3과 같이 미리 지정된 개수의 조각으로 분할한 퍼즐게임을 구성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모나리자 그림을 퍼즐게임으로 구성한 일실시예이다.
도 3에서는 모나리자 그림을 퍼즐게임으로 구성하였지만, 나머지 미술작품도 사용자가 선택하면 퍼즐게임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미술게임 프로세스(110)가 게임을 구성하면, 제어 프로세스(140)는 게임과 음악을 함께 출력한다. 이 때, 제어 프로세스(140)는 미술작품과 설명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여 출력한다.
시대가 다른 미술작품을 찾는 제 1 게임이나 작가가 다른 미술작품을 찾는 제 2게임에서 사용자가 틀린 그림을 찾아내면 칭찬 메시지(예를 들면, "Good!!" 또는 "Great!!" 등)가 화면에 출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틀린 그림을 지정된 시간 이내에 찾아내지 못하면, 재시도 메시지(예를 들면, "Try Again!!" 등)가 화면에 출력된다.
만약, 사용자가 미술작품을 선택하지 않고 음악을 선택한 다음, 엔터키를 눌러서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경우, 미술게임 프로세스(110)는 음악에 해당하는 시대의 미술작품 중 하나를 무작위 추출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게임과 음악 및 설명을 제공하게 된다.
또, 사용자가 음악을 선택하지 않고 미술작품만을 선택한 다음, 엔터키를 눌러서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경우, 음악 프로세스(120)는 미술작품에 해당하는 시대의 음악을 무작위 추출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동일한 과정을 거쳐서 게임과 음악 및 설명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역사설명 프로세스(130)는 한글 또는 영어로 미리 번역된 시대상황과 작가에 대한 설명을 화면 중앙의 해설창(270)에 제공한다.
기본적으로는 한글로 이루어진 설명이 제공되지만,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우측 하단의 영어 아이콘(E)(290)을 선택하면 영어로 미리 번역된 설명이 제공된 다.
도 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어로 미리 번역된 설명을 출력한 화면의 일실시예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다시 한글 아이콘(K)(280)을 선택하여 도 2와 같이 한글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게임전이나 게임 도중에라도 스킵 아이콘(S)(300)을 선택하면, 게임을 하지 않고 음악과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술작품을 게임으로 제공하면서 동시대의 음악을 들려주고, 역사적인 상황이나 배경 및 작가에 대한 설명을 한 화면에 제공함으로써, 미술, 음악, 역사를 연계하여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특히, 시대별로 분류된 미술작품과 동시대의 음악을 들려줌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학습이 가능하며, 게임 도중에 무의식적으로 동시대의 음악을 학습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시대적인 상황이나 작품 및 작가에 대한 설명을 한국어나 영어로 선택하여 볼 수 있으므로, 외국어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나 유학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학습도구가 될 수 있다.
또, 교과서 중심의 학년별 내용으로 분류하여 학습내용을 구성함으로써, 학교 교재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화면의 일실시예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모나리자 그림을 퍼즐게임으로 구성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영어로 미리 번역된 설명을 출력한 화면의 일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
110 : 미술게임 프로세스 112 : 제 1 게임 프로세스
114 : 제 2 게임 프로세스 120 : 음악 프로세스
130 : 역사설명 프로세스 140 : 제어 프로세스

Claims (9)

  1.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도록 부호화시켜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시대 및 작가별로 구분된 미술작품을 미리 지정된 개수의 조각으로 분할한 퍼즐게임을 제공하는 미술게임 프로세스;
    상기 미술작품에 해당하는 음악을 제공하는 음악 프로세스;
    상기 미술작품과 상기 음악에 해당하는 시대상황 및 작가에 대한 한글 또는 영어로 미리 번역된 설명을 제공하는 역사설명 프로세스; 및
    상기 퍼즐게임과 상기 설명을 하나의 화면으로 구성하고 상기 음악과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게임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가 음악을 선택하고 상기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경우, 상기 음악에 해당하는 시대의 미술작품 중 하나를 무작위 추출하여 퍼즐게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가 미술작품을 선택하고 상기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경우, 상기 미술작품에 해당하는 시대의 음악을 무작위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게임 프로세스는
    미리 지정된 개수의 미술작품 중 시대가 다른 미술작품을 찾는 제 1 게임을 제공하는 제 1 게임 프로세스; 및
    미리 지정된 개수의 미술작품 중 작가가 다른 미술작품을 찾는 제 2 게임을 제공하는 제 2 게임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세스는
    상기 미술작품에 미리 설정된 게임설정에 따라서 퍼즐게임이나 상기 제 1 게임 또는 상기 제 2 게임을 구성하도록 상기 미술게임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1-0077953A 2001-12-10 2001-12-10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0483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953A KR100483148B1 (ko) 2001-12-10 2001-12-10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953A KR100483148B1 (ko) 2001-12-10 2001-12-10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459A KR20030047459A (ko) 2003-06-18
KR100483148B1 true KR100483148B1 (ko) 2005-04-14

Family

ID=2957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953A KR100483148B1 (ko) 2001-12-10 2001-12-10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1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680A1 (en) * 2007-12-03 2009-06-11 Brandup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lor education of toddler
KR102566625B1 (ko) * 2021-12-24 2023-08-11 김지은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995A (ko) * 1999-11-17 2000-02-07 손석원 인터넷 퍼즐게임을 이용한 상품 및 서비스의 광고 제공 방법
KR20000054155A (ko) * 2000-05-24 2000-09-05 전연택 3차원 가상공간내에서 목적물 선택시 동영상을 구현하는시스템
KR20000059183A (ko) * 2000-07-20 2000-10-05 나용환 인터넷 퍼즐게임을 이용한 학습법
KR20010088646A (ko) * 2001-08-16 2001-09-28 김은영 퍼즐 출제 프로그램을 포함한 퍼즐게임을 이용한 토론학습시스템과 교내 커뮤니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995A (ko) * 1999-11-17 2000-02-07 손석원 인터넷 퍼즐게임을 이용한 상품 및 서비스의 광고 제공 방법
KR20000054155A (ko) * 2000-05-24 2000-09-05 전연택 3차원 가상공간내에서 목적물 선택시 동영상을 구현하는시스템
KR20000059183A (ko) * 2000-07-20 2000-10-05 나용환 인터넷 퍼즐게임을 이용한 학습법
KR20010088646A (ko) * 2001-08-16 2001-09-28 김은영 퍼즐 출제 프로그램을 포함한 퍼즐게임을 이용한 토론학습시스템과 교내 커뮤니티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다로그(경향신문2001.07.24)2001.07.2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459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ruga et al. Inclusive AI literacy for kids around the world
Facer et al. What's the point of using computers? The development of young people's computer expertise in the home
Aldrich et al. Getting to grips with “interactivity”: helping teachers assess the educational value of CD‐ROMs
Fiske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tudies
Luke What next? Toddler netizens, playstation thumb, techno-literacies
Wohlwend A is for avatar: Young children in literacy 2.0 worlds and literacy 1.0 schools
Labbo et al. Fresh perspectives on new literacies and technology integration
Thoman et al. Media literacy education: Lessons from the center for media literacy
Oosterholt et al. Interaction design and human factors support in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 communicator for children
Zagal et al. Novices, gamers, and scholars: Exploring the challenges of teaching about games
Arduini Cyborg gamers: Exploring the effects of digital gaming on multimodal composition
Blythe et al. The writing community: A new model for the creative writing classroom
Nixon et al. Books, toys, and tablets: Playing and learning in the age of digital media
Buckingham Schooling the digital generation
Lotherington Emergent metaliteracies: What the Xbox has to offer the EQAO
KR100483148B1 (ko) 미술작품 및 음악 학습용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Bell Demystifying coding for schools—what are we actually trying to teach?
Buckingham Digital culture, Media education and the Place of Schooling
Buckingham Media Education in the age of digital technology
Buckingham et al. A digitally driven curriculum?
Olesen Balancing media environments: Design principles for digital learning in Danish upper secondary schools
Brasó Exhibiting Parafictional Artists: Curatorial Approaches to Fiction and Authorship
Ng et al. Multimedia textbook for virtual education environment
Robson et al. Classics online at the Open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with interactive resources
Robinson What is (n't) this subject called Engli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