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217B1 - 인성이 우수한 Mn-Mo-Ni계 압력용기용 강 - Google Patents

인성이 우수한 Mn-Mo-Ni계 압력용기용 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217B1
KR100482217B1 KR10-2000-0049105A KR20000049105A KR100482217B1 KR 100482217 B1 KR100482217 B1 KR 100482217B1 KR 20000049105 A KR20000049105 A KR 20000049105A KR 100482217 B1 KR100482217 B1 KR 10048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less
toughness
cont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021A (ko
Inventor
윤병현
장웅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4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2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의 보일러, 압력용기 등의 소재에 적용되는 Mn-Mo-Ni계 탄소강에 관한 것으로서, Mn-Mo-Ni계에 미량의 B, Ti 등을 첨가하여 탄화물과 질화물을 미세하게 석출시킴으로써 인장강도를 높이고, B을 모재에 고용시킴에 의해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력용기용 강을 제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C:0.10~0.14%, Si:0.1~0.4%, Mn:1.0~1.5%, Mo:0.4~0.6%, Ni:0.4~0.7%, B:0.0005~0.003%, Ti:0.005~0.02%, Al:0.01~0.03%, P:0.010%이하, S:0.003% 이하, N:0.00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인성이 우수한 Mn-Mo-Ni계 압력용기용 강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인성이 우수한 Mn-Mo-Ni계 압력용기용 강{A Mn-Mo-Ni BASED STEEL FOR PRESSURE VESSEL HAVING SUPERIOR TOUGHNESS}
본 발명은 발전소의 보일러, 압력용기 등의 소재에 적용되는 Mn-Mo-Ni계 탄소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Mn-Mo-Ni계 강에 적절한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향상된 인장강도 및 인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압력용기용 강에 관한 것이다.
종래 Mn-Mo-Ni계 강인 A302C(ASTM규격)는 Fe의 5대 원소 이외에 Mo과 Ni이 첨가되고 Cr-Mo계 합금강과는 달리 소준열처리를 거쳐 제조된 것으로서, 고온에서의 기계적 특성을 확보하여 중·고온용 압력용기의 소재로 사용된다.
그러나, 현재의 발전설비들은 그 사용환경이 더욱 더 가혹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상기 A302C강(ASTM 규격)을 소준열처리만 한 경우에는 소재의 물성이 발전설비의 설계요구치에 못미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소재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실험을 거듭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 본 발명은 Mn-Mo-Ni계에 미량의 B, Ti 등을 첨가하여 탄화물과 질화물을 미세하게 석출시킴으로써 인장강도를 높이고, B을 모재에 고용시킴에 의해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력용기용 강을 제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량%로, C:0.10~0.14%, Si:0.1~0.4%, Mn:1.0~1.5%, Mo:0.4~0.6%, Ni:0.4~0.7%, B:0.0005~0.003%, Ti:0.005~0.02%, Al:0.01~0.03%, P:0.010%이하, S:0.003% 이하, N:0.00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인성이 우수한 Mn-Mo-Ni계 압력용기용 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압력용기용 강의 성분은, Mn-Mo-Ni계에 미량의 B, Ti 등을 첨가하여 탄화물과 질화물을 미세하게 석출시킴으로써 인장강도를 높이고, B을 모재에 고용시킴으로써 인성을 향상시키도록 조성된 것으로, 각 성분들의 수치 설정이유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C는 소재의 강도와 경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원소로서, 그 함량이 0.1% 미만이면 강도 및 경도가 저하하고, 0.14% 보다 많으면 용접성이 나빠져 압력용기 제작이 어렵기 때문에, 0.10~0.14%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는 제강중 산소를 제거하는 탈산제로서, 그 함량이 0.1% 미만이면 탈산효과가 불안정하고, 0.4% 보다 많으면 강도는 향상되나 인성이 나빠지므로, 그 함량을 0.1~0.4%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은 강도유지 및 열처리특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1.0% 미만이면 강도가 저하하고, 1.5% 보다 많으면 용접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탄소당량값이 높아져 용접성이 나빠지므로, 1.0~1.5%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은 소재를 열처리하는 과정과 고온에서 사용하는 소재의 뜨임취성을 일으키기 때문에, 가능한 낮은 함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P의 함량은 0.010%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은 Mn과 MnS를 형성하여 충격인성을 저해하고 고온강도를 해치는 유해한 원소로서, 가능한 낮은 함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S의 함량은 0.003% 이하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은 고온강도를 높이고, 뜨임취성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원소로, 이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4% 이상 첨가해야 하지만, 그 함량이 0.6%보다 많으면 용접성이 나빠지므로, 그 상한은 0.6%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i은 고온강도를 높이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원소로서, 0.4%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0.7% 보다 많이 첨가되면 용접성을 해치기 때문에, 그 함량을 0.4~0.7%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은 탈산제로서 저온인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원소로, 0.01% 미만 첨가되는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0.03% 보다 많이 첨가되면 고온강도를 해치기 때문에, 그 함량을 0.01~0.03%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은 보론화합물을 형성하거나 모재에 고용되어 강도와 인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원소로서, 그 함량이 0.0005% 미만인 경우에는 소준열처리시 그 효과가 미미하고 0.003% 보다 많이 첨가되는 경우에는 강도가 지나치게 높아 인성을 해치므로, 0.0005~0.003%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i과 N는 용강중에서 반응해 TiN을 형성하여 B에 의한 소재의 담금질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원소들이다. 상기 Ti의 함량이 0.005%보다 많고 N의 함량이 0.005%보다 많으면, N가 B과 반응해 BN을 형성하여 열처리특성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Ti의 함량이 0.02%미만이고 N의 함량이 0.005%보다 많으면 용접성을 해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Ti의 함량은 0.005~0.02%로, 상기 N의 함량은 0.005%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Al과 Ti을 첨가하여 용강중 O, N와 반응시키거나 TiN을 생성시키면, B첨가에 의한 소재의 기계적 특성 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저합금 탄소강은 통상의 제강-연속주조-압연-소준열처리 등의 공정을 거쳐 압력용기 등의 소재로 제조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1과 같이 조성된 발명강 및 종래강의 기계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두께 25mm인 소재들을 모두 900℃에서 1시간 유지한 후 공냉하는 방식으로 열처리하여 인장시험 시편, 충격시험 시편 및 미세조직 관찰을 위한 시편으로 하였다. 그후, 인장시험, 충격시험을 실시하고 미세조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2와 도1(a),(b)에 나타내었다. 이 때, 도1(a)는 종래재의 미세조직사진이고, 도1(b)는 발명재(2)의 미세조직사진이다.
구분 성분(wt%)
C Si P S Mn Mo Ni B Al Ti N
종래강 0.17 0.273 0.009 0.003 1.41 0.504 0.584 ­ 0.03 ­ ­
발명강1 0.142 0.251 0.010 0.003 1.40 0.482 0.545 0.0009 0.021 0.005 0.0038
발명강2 0.146 0.253 0.009 0.003 1.38 0.483 0.550 0.0014 0.021 0.01 0.0037
발명강3 0.110 0.253 0.009 0.003 1.39 0.503 0.548 0.0018 0.02 0.011 0.0034
구분 사용강종 항복강도(kg/㎟) 인장강도(kg/㎟) 연신율(%) 충격에너지(J)
상온(℃) 0(℃) -20(℃)
종래재 종래강 52 67 20 15.4 9.1 7.1
발명재1 발명강1 53 75 22 43.4 27.3 14.1
발명재2 발명강2 54 74 21 45.1 31.2 21.5
발명재3 발명강3 55 70 20 41.0 28.1 25.2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명재(1)~(3)은 인장강도, 항복강도, 및 연신율에 있어서 종래재 대비 동등 이상의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충격인성은 종래재 대비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1(a),(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1(a)의 종래재는 도1(b)의 발명재(2)에 비해 입도가 크고, 페라이트 조직보다는 베이나이트 조직이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발명재(2)는 페라이트+베이나이트 조직에 있어서, 페라이트가 종래재 대비 보다 많이 분포되어 있어서, 우수한 충격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강중에 B, Ti,N를 첨가함으로써 용접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탄소의 함량을 줄이면서도 종래강 대비 우수한 강도 및 충격인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 a는 종래재의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미세조직사진
도1 b는 발명재(2)의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미세조직사진

Claims (1)

  1. 중량%로, C:0.10~0.14%, Si:0.1~0.4%, Mn:1.0~1.5%, Mo:0.4~0.6%, Ni:0.4~0.7%, B:0.0005~0.003%, Ti:0.005~0.02%, Al:0.01~0.03%, P:0.010%이하, S:0.003% 이하, N:0.005% 이하, 잔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는 인성이 우수한 Mn-Mo-Ni계 압력용기용 강
KR10-2000-0049105A 2000-08-24 2000-08-24 인성이 우수한 Mn-Mo-Ni계 압력용기용 강 KR10048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105A KR100482217B1 (ko) 2000-08-24 2000-08-24 인성이 우수한 Mn-Mo-Ni계 압력용기용 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105A KR100482217B1 (ko) 2000-08-24 2000-08-24 인성이 우수한 Mn-Mo-Ni계 압력용기용 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021A KR20020016021A (ko) 2002-03-04
KR100482217B1 true KR100482217B1 (ko) 2005-04-13

Family

ID=1968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105A KR100482217B1 (ko) 2000-08-24 2000-08-24 인성이 우수한 Mn-Mo-Ni계 압력용기용 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796B1 (ko) * 2002-09-02 2009-11-25 주식회사 포스코 인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600MPa급 압력용기용 강의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867A (ja) * 1983-02-18 1984-09-01 Nippon Kokan Kk <Nkk> 溶接性に優れた高靭性圧力容器用鋼
JPS60162758A (ja) * 1984-02-01 1985-08-24 Kawasaki Steel Corp 極厚溶接構造用高靭性鋼
KR19980046781A (ko) * 1996-12-13 1998-09-15 김종진 인성이 우수한 80 kgf/㎟급 직접소입형 고장력강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867A (ja) * 1983-02-18 1984-09-01 Nippon Kokan Kk <Nkk> 溶接性に優れた高靭性圧力容器用鋼
JPS60162758A (ja) * 1984-02-01 1985-08-24 Kawasaki Steel Corp 極厚溶接構造用高靭性鋼
KR19980046781A (ko) * 1996-12-13 1998-09-15 김종진 인성이 우수한 80 kgf/㎟급 직접소입형 고장력강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021A (ko)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6177B1 (en) Austenitic heat-resistant cast steel
AU2013222054B2 (en) Abrasion resistant steel plate with high strength and high toughness, and processing for preparing the same
JP2020504240A (ja) 高硬度耐摩耗鋼及びその製造方法
MX2009009769A (es) Acero para formacion en caliente o enfriamiento en una herramienta, que tiene ductilidad mejorada.
KR102175570B1 (ko)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US7935303B2 (en) Low alloy steel
KR101654684B1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무어링 체인강 및 그 제조방법
CN104878316A (zh) 一种高强韧高氮奥氏体不锈钢
CN111511952B (zh) 具有优异的硬度和冲击韧性的耐磨钢及其制造方法
US3463677A (en) Weldable high strength steel
JP3539250B2 (ja) 高耐応力腐食割れ性を有する655Nmm−2級低C高Cr合金油井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3834897A (en) Low-carbon,high-strength structural steel with good weldability
KR100482217B1 (ko) 인성이 우수한 Mn-Mo-Ni계 압력용기용 강
KR100831823B1 (ko) 플라스틱 몰딩 장비용 홀더 및 홀더 디테일스, 및 이들 용도용 강
KR101918408B1 (ko) 고온강도가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강
KR100928796B1 (ko) 인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600MPa급 압력용기용 강의제조방법
EP3666910B1 (en) Low phosphorus, zirconium micro-alloyed, fracture resistant steel alloys
CA1130617A (en) Silicon alloyed steel
US3494765A (en) Weldable high strength structural steel not embrittled by stress-relieving annealings
KR102359299B1 (ko) 극초고강도 고함량 Co-Ni계 이차경화형 마르텐사이트 합금 및 이의 제조방법
JP3662151B2 (ja) 耐熱鋳鋼及びその熱処理方法
CN102978533B (zh) 一种高强度高韧性合金钢
KR20040057332A (ko) 고강도 망간-몰리브덴-니켈계 압력용기용 강
KR100544657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레일용 베이나이트강
KR930003643B1 (ko) 개재물형상이 제어된 고인성 비조질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