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531B1 -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531B1
KR100481531B1 KR10-2002-0060944A KR20020060944A KR100481531B1 KR 100481531 B1 KR100481531 B1 KR 100481531B1 KR 20020060944 A KR20020060944 A KR 20020060944A KR 100481531 B1 KR100481531 B1 KR 100481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ixing
pallet
lev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486A (ko
Inventor
김대한
장성용
이재은
이하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531B1/ko
Publication of KR2004003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05K13/0069Holde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기종이 변경되어 이형부품을 공급하는 트레이 파래트의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도, 트레이 고정장치를 이동하여 설치하지 않고 트레이 파래트를 트레이에 고정할 수 있는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규격의 트레이에 트레이보다 크기가 작으며 담기는 부품의 종류에 따라 그 규격이 다른 트레이 파래트를 고정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에 있어서, 트레이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선회 가능하도록 피봇 설치되며 일단은 트레이 파래트에 접촉하는 레버와, 레버의 타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베이스에 돌설된 복수개의 고정핀, 및 일단은 레버의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복수개의 고정핀 중의 하나에 조립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며, 트레이 파래트의 규격에 따라 인장스프링을 복수개의 고정핀 중의 하나에 조립함으로써 레버의 일단이 트레이 파래트를 트레이의 기준면으로 밀어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Tray locker for SMD}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SMD; Surface Mounting Device)에 이형부품을 공급하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형부품이 수납되는 트레이 파래트를 트레이에 고정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실장기는 다양한 종류의 극소형화된 정밀 전자부품과 QFP(Quad Flat Package)부품 등의 표면실장부품을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하는 장비이다. 표면실장기는 다양한 종류의 표면실장부품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장치인 부품공급기(Feeder)를 구비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표면실장부품을 연속적으로 신속하게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한다.
이형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규격의 트레이를 사용하여 이형부품을 표면실장기의 실장 위치로 공급한다. 이때, 트레이에는 이형부품이 일정한 간격으로 수납된 트레이 파래트가 고정된 상태로 표면실장기로 공급된다. 따라서, 트레이에는 트레이 파래트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할 트레이 고정장치가 필요하다.
도 1에는 트레이 파래트를 고정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이 트레이 고정장치에 의해 트레이 파래트가 고정된 모습이 도시되어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트레이 고정장치(50)는 고정블록(40),베이스(10), 레버(20), 인장스프링(30)을 포함한다.
고정블록(40)은 트레이(70)의 바닥에 형성된 구멍(73)에 2개의 볼트(41)로 설치되며, 상면에는 베이스(10)가 조립되는 탭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0)는 고정블록(40)의 상면에 조립되며, 일단에는 레버(20)가 조립되는 레버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0)의 일측에는 인장스프링의 일단(31)이 조립되는 스프링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인장스프링(30)이 조립되는 베이스(10)의 일측은 인장스프링(30)이 간섭되지 않도록 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0)를 고정블록(40)에 조립하는 고정구멍(14)은 장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레버(20)는 회전중심이 볼트(25)와 칼라(26)로 베이스(10)의 레버구멍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일단에는 인장스프링(30)이 결합되는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20)의 타단에는 레버(20)와 트레이 파래트(60)의 접촉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롤러(21)가 조립되어 있다.
인장스프링(30)은 베이스(10)의 스프링 구멍(13)과 레버(20)의 구멍(23) 사이에 설치되며, 레버(20)를 항상 시계방향으로 당기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에 의해 트레이 파래트가 고정되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레이 기준면(72)에 트레이 파래트(60)의 일면이 밀착되도록 한 상태로 트레이 파래트(60)를 트레이(50) 상에 정치시킨다. 이어서, 트레이 파래트(60) 옆의 트레이(70) 바닥의 구멍(73)에 2개의 볼트(41)를 이용하여 고정블록(40)을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레버의 롤러(21)가 트레이 파래트(60)의 측면을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도록 베이스(10)를 고정블록(40)에 고정한다. 이때, 베이스(10)의 측면이 트레이 파래트(60)의 측면으로부터 약 7mm 정도 떨어지도록 고정한다. 그러면, 트레이 파래트(60)는 인장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트레이 기준면(7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트레이 파래트(60)를 교체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레버(20)를 누른 상태에서 고정된 트레이 파래트(60)를 빼내고 새로운 트레이 파래트를 넣은 후 다시 레버(20)를 놓으면 새로운 트레이 파래트가 트레이(70)에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이형부품을 표면실장기에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표면실장기에 의해 표면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기종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표면실장되는 이형부품의 종류도 변경된다. 이때, 이형부품이 수납되는 트레이 파래트(60)는 이형부품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가 변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트레이(70)에 조립되어 있는 트레이 고정장치(50)를 분해한 후,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시 새로운 트레이 파래트에 맞추어 새로 트레이 고정장치(50)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표면실장기에 의해 표면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변경될 때 마다 트레이 고정장치를 풀었다가 다시 설치해야 하는 것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일예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트레이 고정장치를 풀고 다시 고정하는데는 약 40~50초 정도가 소요된다. 만일 인쇄회로기판의 변경시 변경되는 트레이 파래트가 10개라면 기종변경을 위해 6~8분의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여러 종류의 인쇄회로기판에 다양한 표면실장부품을 표면실장하는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의한 트레이 고정장치는 생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표면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기종이 변경되어 트레이에 의해 공급되는 트레이 파래트의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도,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를 풀었다가 다시 설치할 필요가 없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규격의 트레이에 트레이보다 크기가 작으며 담기는 부품의 종류에 따라 그 규격이 다른 트레이 파래트를 고정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에 있어서, 트레이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선회 가능하도록 피봇 설치되며 일단은 트레이 파래트에 접촉하는 레버와, 레버의 타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베이스에 돌설된 복수개의 고정핀, 및 일단은 레버의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복수개의 고정핀 중의 하나에 조립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며, 트레이 파래트의 규격에 따라 인장스프링을 복수개의 고정핀 중의 하나에 조립함으로써 레버의 일단이 트레이 파래트를 트레이의 기준면으로 밀어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고정핀은 인접하는 2개의 고정핀이 피봇을 꼭지점으로 하는 부채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며, 고정핀은 최소 2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버의 일단에는 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레버의 피봇에서 일단까지의 길이는 트레이에 고정되는 최대 트레이 파래트와 최소 트레이 파래트를 모두 고정할 수 있는 길이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레버의 피봇에서 일단까지의 길이는 7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의 하측에는 베이스를 트레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블록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100)는 베이스(110), 레버(120), 인장스프링(130), 고정핀(151,152)을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트레이(70)에 고정되며, 인장스프링(130)에 의해 레버(120)가 트레이 파래트(60)를 트레이(70)에 고정하는 것을 지지한다. 베이스(110)의 일단에는 베이스(110)를 트레이(70) 바닥에 고정하는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의 구멍(111)과 트레이 바닥의 구멍(73)을 일치시킨 후 볼트(113)를 삽입하고 너트로 죄면 베이스(110)를 트레이(7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베이스의 구멍(111)을 장공으로 하면 레버(120)가 트레이 파래트(60)를 미는 힘을 조정할 수 있다.
베이스(110)의 일측에는 레버(120)가 조립되는 피벗(115)이 설치되어 있다. 피벗(115)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2개의 고정핀(151,152)이 베이스(110)로부터 돌설되어 있다. 2개의 고정핀(151,152)은 피벗(115)을 꼭지점으로 하는 부채꼴을 이루는 위치에 돌설되어 있다. 2개의 고정핀(151,152)의 사잇각(β)은 특정의 표면실장기에 사용되는 트레이 파래트 중에서 최대 크기의 트레이 파래트와 최소 크기의 트레이 파래트를 레버(120)가 일정한 힘으로 트레이 기준면(72)으로 밀 수 있도록 정해진다. 즉, 제1고정핀(151)은 최대 크기의 트레이 파래트(60a)를 기준으로 일정범위의 트레이 파래트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돌설되고(도 6참조), 제2고정핀(152)은 최소 크기의 트레이 파래트(60b)를 기준으로 일정범위의 트레이 파래트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돌설된다(도 5 참조). 이때, 중간 크기의 트레이 파래트는 2개의 고정핀(151,152)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만일, 고정할 수 없는 크기의 트레이 파래트가 있는 경우에는 중간에 제3고정핀을 더 설치하면 된다. 즉, 고정핀의 갯수는 트레이 파래트의 종류에 따라 2개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벗(115)과 고정핀(151,152) 사이의 거리는 사용되는 인장스프링(130)의 길이 및 강도에 따라 결정된다.
베이스(110)는 피벗(115)과 고정핀(151,152) 사이에 조립되는 인장스프링(130)의 동작이 간섭되지 않도록 베이스(110)의 해당 부위(117)를 파내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잘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110)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110)와 트레이(70)의 사이에 고정블록(140)을 설치할 수 있다. 고정블록(140)은 트레이(70) 바닥 구멍(73) 2개에 볼트(141)로 조립되기 때문에 트레이(7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고정블록(140)의 상면에는 베이스(110)를 조립할 수 있는 탭구멍(142)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120)의 회전중심은 베이스의 피벗(115)에 조립되며, 제1팔(121)의 끝은 트레이 파래트(60)에 접촉되고, 제2팔(123)의 끝은 인장스프링(130)과 결합되어 있다. 제1팔(121)은 여러 종류의 트레이 파래트(6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팔길이(L)를 길게 한다. 제1팔(121)의 길이(L), 즉 피봇(115)으로부터 제1팔(121)의 끝까지의 길이는 약 75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팔(121)의 끝에는 트레이 파래트(60)와의 접촉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안내롤러(126)를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스프링(130)은 레버의 제2팔(123)의 끝과 2개의 고정핀(151,152) 중 하나의 고정핀 사이에 조립된다. 인장스프링(130)의 길이 및 강도는 트레이 파래트(60)를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기준으로 결정한다. 고정핀(151,152)에 조립되는 인장스프링의 단(132)은 고정핀(151,152)에의 조립과 분해가 편리하도록 고리형 등으로 끝단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최대 크기의 트레이 파래트(60a)를 트레이 기준면(72)에 밀착시킨 상태로 트레이(70) 위에 정치한다. 이어서 레버의 제1팔(121)이 트레이 파래트(60a)를 일정한 힘으로 밀 수 있는 위치에 베이스(110)를 트레이(70) 바닥에 고정한다. 이때, 고정블록(140)을 사용하여 베이스(110)를 트레이(70)에 고정하면, 2개의 볼트(141)로 트레이(70)에 고정되므로 고정이 더욱 견고해지고, 베이스 고정볼트(113)를 풀고 죄는 것만으로 베이스(110)의 고정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레버(120)가 트레이 파래트(60a)를 미는 힘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최대 크기의 트레이 파래트(60a)를 빼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크기의 트레이 파래트(60b)를 정치한다. 그리고, 인장스프링의 단(132)을 제1고정핀(151)으로부터 제2고정핀(152)으로 옮겨 고정한다. 그리고, 레버(120)가 최소 크기의 트레이 파래트(60b)를 트레이 기준면(72)으로 밀어 고정시키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베이스 장공(111)과 베이스 고정볼트(113)로 베이스(110)의 고정위치를 일정 범위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그러면, 트레이 고정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스프링의 단(132)이 제1고정핀(151)에 고정된 경우는 "A"영역에 해당하는 크기를 갖는 트레이 파래트를 고정할 수 있고, 인장스프링의 단(132)이 제2고정핀(152)에 고정된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영역에 해당되는 크기를 갖는 트레이 파래트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표면실장기로 공급되는 이형부품이 "A"영역의 트레이 파래트에 의해 공급될 때는 인장스프링의 단(132)을 제1고정핀(151)에 고정시키면, 트레이 고정장치(100)로 트레이 파래트를 트레이(70)에 고정한 상태로 표면실장기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실장기에서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의 기종이 변경되어 이형부품이 "B"영역의 트레이 파래트에 의해 공급될 때는 인장스프링의 단(132)을 제2고정핀(152)에 고정시키면, 트레이 고정장치(100)가 트레이 파래트를 트레이(7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인쇄회로기판의 기종 변경시 트레이 고정장치의 고정볼트를 풀어 위치를 이동한 후 다시 설치하여야만 새로운 트레이 파래트를 고정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고정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의 기종 변경시 인장스프링의 조립위치만을 변경함으로써 새로운 트레이 파래트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인장스프링의 고정위치를 변경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대략 4초 이내이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의 기종 변경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기종 변경시 변경되는 트레이 파래트가 10개라면 종래의 트레이 고정장치의 경우는 6~8분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 고정장치의 경우는 약 40초 정도가 소요된다. 따라서, 종래의 트레이 고정장치에 비해 인쇄회로기판의 기종변경시 5~7분 정도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의 기종이 변경되어 트레이 파래트의 크기가 변경될 때, 트레이 고정장치를 풀었다가 다시 설치할 필요 없이 인장스프링의 고정위치만을 변경하여 트레이 파래트를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종변경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품종 소량생산을 하는 표면실장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로 트레이 파래트를 트레이에 고정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로 트레이 파래트를 트레이에 고정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의 인장스프링이 제2고정핀에 고정되었을 때 트레이에 고정될 수 있는 트레이 파래트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인장스프링이 제1고정핀에 고정되었을 때 트레이에 고정될 수 있는 트레이 파래트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트레이 파래트 70; 트레이
72; 트레이 기준면 73; 트레이 바닥 구멍
100; 트레이 고정장치 110; 베이스
111; 고정구멍 113; 고정볼트
115; 피벗 120; 레버
121; 레버 제1팔 123; 레버 제2팔
130; 인장스프링 132; 인장스프링의 단
140; 고정블록 141; 볼트
151; 제1고정핀 152; 제2고정핀

Claims (7)

  1. 일정한 규격의 트레이에, 상기 트레이보다 크기가 작으며 담기는 부품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의 트레이 파래트를 고정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선회 가능하도록 피봇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트레이 파래트에 접촉하는 레버;
    상기 레버의 타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일정 간격으로 상기 베이스에 돌설된 복수개의 고정핀;
    일단은 상기 레버의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 중의 하나에 조립되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 파래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단을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 중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조립함으로써 상기 레버의 일단이 상기 트레이 파래트를 상기 트레이의 기준면으로 밀어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고정핀은 인접하는 2개의 고정핀이 상기 피봇을 꼭지점으로 하는 부채꼴을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최소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일단에는 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피봇에서 일단까지의 소정 길이는 상기 트레이에 고정되는 최대 트레이 파래트와 최소 트레이 파래트를 모두 고정할 수 있는 길이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는 상기 베이스를 상기 트레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블록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KR10-2002-0060944A 2002-10-07 2002-10-07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KR100481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944A KR100481531B1 (ko) 2002-10-07 2002-10-07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944A KR100481531B1 (ko) 2002-10-07 2002-10-07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486A KR20040031486A (ko) 2004-04-13
KR100481531B1 true KR100481531B1 (ko) 2005-04-14

Family

ID=37331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944A KR100481531B1 (ko) 2002-10-07 2002-10-07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5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1080A (ja) * 1992-01-17 1993-07-30 Sony Corp トレイ供給装置
JPH09148787A (ja) * 1995-11-24 1997-06-06 Sony Corp 電子部品の載置パレット
KR0124848Y1 (ko) * 1995-10-17 1998-12-15 김광호 트레이 고정용 파렛트 장치
KR200168969Y1 (ko) * 1997-01-31 2000-02-01 윤종용 트레이위치고정장치
KR20000014087U (ko) * 1998-12-29 2000-07-25 전주범 아이씨 칩의 트레이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1080A (ja) * 1992-01-17 1993-07-30 Sony Corp トレイ供給装置
KR0124848Y1 (ko) * 1995-10-17 1998-12-15 김광호 트레이 고정용 파렛트 장치
JPH09148787A (ja) * 1995-11-24 1997-06-06 Sony Corp 電子部品の載置パレット
KR200168969Y1 (ko) * 1997-01-31 2000-02-01 윤종용 트레이위치고정장치
KR20000014087U (ko) * 1998-12-29 2000-07-25 전주범 아이씨 칩의 트레이 고정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486A (ko)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15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 electronic package to a circuit board
US6215667B1 (en) Mounting system and method
US8391022B2 (en) Multi-function mezzanine board alignment and mounting device, with integrated handle
US7083371B2 (en) Surface mount captive screw ferrule for PCB
US6261047B1 (en) Electronic component feeder
US8038451B2 (en) Multi-board printed circuit assembly having aligned connectors
JPH10290069A (ja) モジュール用基板を支持する支持台及びこれを用いたスクリーン印刷方法
EP1471779B1 (en) Ground terminal, printed board mounted with a ground terminal, and method for mounting a ground terminal to a printed board
US7048547B2 (en) Plug
KR100481531B1 (ko) 표면실장기용 트레이 고정장치
US5398165A (en) Electronic circuit component and mounting method therefor
US771773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seats for securing a load lever
EP0957665B1 (en) Electronic device
KR100345252B1 (ko) 인쇄회로보드 팔레트
JPH0210791A (ja) プリント板
KR20040017307A (ko) 평평한 제품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
KR100345251B1 (ko) 인쇄회로보드 팔레트
US6711031B1 (en) Wire management system
JP2003174295A (ja) バックアップピン位置決め治具
KR0183941B1 (ko) 인쇄회로기판 지지장치
KR200395957Y1 (ko) 표면실장용 부품테이프 연결용 리와인더
US6913229B2 (en) Wire management system
KR200256614Y1 (ko) 박판 pcb 지지용 지그의 클램프 장치
KR200354564Y1 (ko) 인쇄회로기판용 지그 조립체
JPH0516655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