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0096B1 -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0096B1
KR100480096B1 KR10-2001-0076694A KR20010076694A KR100480096B1 KR 100480096 B1 KR100480096 B1 KR 100480096B1 KR 20010076694 A KR20010076694 A KR 20010076694A KR 100480096 B1 KR100480096 B1 KR 100480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pport shaft
rotation
main body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6222A (ko
Inventor
윤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0096B1/ko
Publication of KR2003004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0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00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도어중 어느 하나에 상기 도어의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본체 및 도어중 다른 하나에 상기 지지축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상기 지지축에 대해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과 접촉 시 상기 도어의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을 따른 회동을 모두 억제시키고 이격시 상기 도어의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억제부재와; 상기 회동억제부재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축과 접촉되는 대향측에 배치되어 최초 가압시 상기 회동억제부재가 상기 지지축과 접촉되는 접촉위치에 위치시키고 후속 가압시 상기 회동억제부재가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푸쉬버튼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도어의 개방 후 도어가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불시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하는 위치에 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DOOR REVOLUTION RESTRAINT APPARATUS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 회전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방 후 도어가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불시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하는 위치에 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도어 회전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냉각실의 전면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에는 도어의 상하측으로 돌출된 힌지브래킷이 결합되어 있으며, 각 힌지브래킷에는 도어의 상면 및 저부면에 삽입되어 도어를 회동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축이 형성되어 있다. 각 도어의 상면 및 저부면에는 지지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축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의 전면 일측에는 도어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본체의 저부 후방영역에는 본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저부 전방 양측영역에는 본체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장치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한편, 냉각실의 내부에 음식물을 수납하거나, 또는 냉각실의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을 외부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도어의 손잡이를 잡고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수납 또는 인출 동작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장고의 도어가 불충분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본체가 후방측으로 약간 기울어지도록 높이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물건을 수납 또는 인출할 경우, 도어가 스스로 닫히게 되어 인출 또는 수납중인 음식물과 부딛히게 되는 등 사용에 불편이 따른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개방 후 도어가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불시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하는 위치에 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도어중 어느 하나에 상기 도어의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본체 및 도어중 다른 하나에 상기 지지축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상기 지지축에 대해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과 접촉 시 상기 도어의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을 따른 회동을 모두 억제시키고 이격시 상기 도어의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억제부재와; 상기 회동억제부재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축과 접촉되는 대향측에 배치되어 최초 가압시 상기 회동억제부재가 상기 지지축과 접촉되는 접촉위치에 위치시키고 후속 가압시 상기 회동억제부재가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푸쉬버튼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본체에 일체로 고정된 힌지브래킷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억제부재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회동억제부재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푸쉬버튼기구와 상기 회동억제부재사이에 신축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푸쉬버튼기구와 상기 회동억제부재가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스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지지축 및 상기 회동억제부의 상호 접촉면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고무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축의 외경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복수의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억제부의 선단부는 상기 치형부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축소된 폭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확대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수평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을 상호 이격배치된 냉동실 및 냉장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본체(11)와, 냉동실 및 냉장실의 각 전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냉동실도어(21) 및 냉장실도어(25)를 구비하고 있다.
냉동실도어(21) 및 냉장실도어(25)의 각 전면에는 냉동실도어(21) 및 냉장실도어(25)의 개방시 소정 위치에 각 도어가 고정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동실도어(21)에 국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는, 본체(11)의 상부 전방영역에 냉동실도어(21)의 상측을 향해 돌출된 힌지브래킷(31)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축(33)과, 지지축(33)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유동가능하고 끝단이 지지축(33)과 접촉되어 냉동실도어(21)의 회동을 억제시키는 회동억제부재(37)와, 회동억제부재(37)의 유동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회동억제부재(37)가 지지축(33)과 상호 접촉되는 접촉위치 및 이격되는 이격위치간을 구동시키는 푸쉬버튼기구(3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힌지브래킷(31)의 돌출측 단부의 저부영역에는 냉동실도어(21)의 상단에 형성된 축공(22)에 삽입되어 냉동실도어(2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축(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축(33)의 하부영역에는 고무부재(35)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푸쉬버튼기구(39)는, 냉동실도어(21)의 내부에 매입되는 본체(41)와, 최초 가압시 본체(41)에 대해 가압되는 면이 내측으로 철회되고 후속 가압시 가압되는 면이 본체(41)로부터 돌출되는 누름버튼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누름버튼부(42)의 일측은 냉동실도어(21)의 전면에 관통형성된 버튼공(24)을 통과하여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본체(41)를 관통하여 지지축(33)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냉동실도어(21)의 내부에 배치되는 누름버튼부(42)의 끝단에는 연결스프링(43)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됨과 아울러 일체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연결스프링(43)의 끝단에는 회동억제부재(37)가 일체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회동억제부재(37)는 고무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동억제부재(37)의 둘레에는 회동억제부재(37)가 지지축(33)에 대해 직각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회동억제부재(37)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45)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냉동실도어(21)를 개방하여 소정 위치에 개방된 상태로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냉동실도어(21)의 전면에 돌출된 누름버튼부(42)를 냉동실도어(21)의 두께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누름버튼부(42)의 노출측 단부는 본체(41)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대향측 단부는 반대로 본체(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누름버튼부(42)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누름버튼부(42)와 연결스프링(43)에 의해 연결된 회동억제부재(37)의 끝단부는 먼저 지지축(33)과 탄성적으로 접촉되고, 연결스프링(43)은 지지축(33)과 회동억제부재(37)가 상호 접촉됨에 따라 압축된다. 누름버튼부(42)는 본체(41)의 내부에 구비된 도시 않은 스프링에 의해 노출측 단부가 본체(41)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소정 이동한 후, 도시 않은 고정핀에 의해 고정된다. 이 때, 회동억제부재(37)는 연결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축(33)의 둘레에 결합된 고무부재(35)와 탄성적으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냉동실도어(21)가 지지축(33)을 중심으로 열림방향 및 고정방향으로 각각 회동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한편, 냉동실도어(21)를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누름버튼부(42)를 두께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가압한다. 가압된 누름버튼부(42)는 내측으로 소정 이동된 후 본체(41)의 내부의 고정핀에 의한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 도시 않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냉동실도어(21)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이동되고, 연결스프링(43)에 의해 누름버튼부(42)와 일체로 연결된 회동억제부재(37)는 지지축(33)으로부터 이격되게 누름버튼부(4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냉동실도어(21)는 지지축(33)을 중심으로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회동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의 도 5에 대응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는, 본체(11)에 일체로 고정되어 냉동실도어(21)의 내부에 소정 삽입되며 둘레에 치형부(55)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축(53)과, 지지축(53)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유동가능하게 냉동실도어(21)의 내부에 배치되고 끝단이 치형부(55)와 회전방향에 대해 맞물림되어 냉동실도어(21)의 회동을 억제시키는 회동억제부재(57)와, 일단은 냉동실도어(21)의 표면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타단은 회동억제부재(57)와 일체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회동억제부재(57)가 지지축(53)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도록 하는 푸쉬버튼기구(3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동억제부재(57)와 푸쉬버튼기구(39)의 누름버튼부(42)사이에는 회동억제부재(57)의 유동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한 연결스프링(43)이 일체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회동억제부재(57)의 둘레에는 회동억제부재(57)가 지지축(53)의 축선방향과 직각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45)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누름버튼부(42)를 가압하면 회동억제부재(57)의 끝단부는 지지축(53)의 치형부(55)와 상호 맞물림되어 냉동실도어(21)가 지지축(5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억제하게 되고, 누름버튼부(42)를 추가로 가압하면 회동억제부재(57)의 끝단부는 치형부(55)로부터 이격되어 냉동실도어(21)가 회동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 예에서는 지지축이 본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지지축을 도어에 형성하고 회동억제부재 및 푸쉬버튼기구를 본체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및 도어중 어느 하나에 도어의 회동축선을 따라 배치되는 지지축과, 본체 및 도어중 다른 하나에 지지축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유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지지축과 접촉 및 이격됨으로써 도어의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을 따른 회동을 모두 억제시키는 회동억제부재와, 회동억제부재를 지지축에 접촉 및 이격되도록 구동시키는 푸쉬버튼기구를 마련함으로써 도어의 개방 후 도어가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으로 불시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하는 위치에 도어를 고정시킬 수 있는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평면도,
도 3은 도 2의 확대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의 도 5에 대응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본체 21 : 냉동실도어
22 : 축공 25 : 냉동실도어
31 : 힌지브래킷 33 : 지지축
37 : 회동억제부재 39 : 푸쉬버튼기구
42 : 누름버튼부 43 : 연결스프링
45 : 가이드부재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냉각실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냉각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를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도어중 어느 하나에 상기 도어의 회동축선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도어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축과;
    상기 본체 및 도어중 다른 하나에 상기 지지축의 축선방향에 가로로 상기 지지축에 대해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과 접촉 시 상기 도어의 열림방향 및 닫힘방향을 따른 회동을 모두 억제시키고 이격시 상기 도어의 회동을 허용하는 회동억제부재와;
    상기 회동억제부재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축과 접촉되는 대향측에 배치되어 최초 가압시 상기 회동억제부재가 상기 지지축과 접촉되는 접촉위치에 위치시키고 후속 가압시 상기 회동억제부재가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이격되는 이격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푸쉬버튼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기 본체에 일체로 고정된 힌지브래킷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억제부재는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억제부재의 유동방향을 따라 상기 푸쉬버튼기구와 상기 회동억제부재사이에 신축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푸쉬버튼기구와 상기 회동억제부재가 상호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 및 상기 회동억제부의 상호 접촉면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고무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외경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복수의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억제부의 선단부는 상기 치형부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축소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KR10-2001-0076694A 2001-12-05 2001-12-05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KR100480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94A KR100480096B1 (ko) 2001-12-05 2001-12-05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694A KR100480096B1 (ko) 2001-12-05 2001-12-05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222A KR20030046222A (ko) 2003-06-12
KR100480096B1 true KR100480096B1 (ko) 2005-04-06

Family

ID=2957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694A KR100480096B1 (ko) 2001-12-05 2001-12-05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00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732B1 (ko) * 2004-07-09 2006-07-25 주식회사 대창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각도 정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233A (ko) * 1995-07-21 1997-02-21 배순훈 냉장고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233A (ko) * 1995-07-21 1997-02-21 배순훈 냉장고 도어의 자동닫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222A (ko)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888B2 (en) Refrigerator
KR101275568B1 (ko) 자동홈바
US20060226750A1 (en) Refrigerator having home bar
US20060097611A1 (en) Refrigerator
KR100726320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 폐쇄 장치
KR100480096B1 (ko)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KR101659957B1 (ko)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0781601B1 (ko) 냉장고 도어의 자동닫힘 장치
KR100442390B1 (ko) 냉장고의 도어 회동억제장치
KR19990039442U (ko) 냉장고의 홈 바 록킹장치
KR100479006B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EP1466130B1 (en) Refrigerator
KR101065521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KR100187204B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 장치
KR20110006604U (ko) 냉장고
KR100607678B1 (ko) 냉장고
KR100603732B1 (ko)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각도 정지 장치
US20230375251A1 (en) Refrigerator
KR100728381B1 (ko) 냉장고용 홈바
JP3748072B2 (ja) 扉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冷蔵庫
KR200390088Y1 (ko) 힌지 움직임 방지 리브를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힌지조립체
KR101143677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지지장치
KR20090005752U (ko) 힌지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227549Y1 (ko) 김치냉장고 도어 개폐장치
KR200350174Y1 (ko) 김치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