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951B1 - 중장비의어태치먼트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의어태치먼트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951B1
KR100479951B1 KR1019970009957A KR19970009957A KR100479951B1 KR 100479951 B1 KR100479951 B1 KR 100479951B1 KR 1019970009957 A KR1019970009957 A KR 1019970009957A KR 19970009957 A KR19970009957 A KR 19970009957A KR 100479951 B1 KR100479951 B1 KR 100479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bucket
circular member
attachment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4236A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19970009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951B1/ko
Publication of KR19980074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7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ngitudinal lock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버킷링크에 고정되어 버킷배면 상측에 형성된 후크부에 착탈되는 제 1 원형부재와, 상기 제 1 원형부재 양측 하방으로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양측 부움 플레이트 내측으로 장착되는 제 2 원형부재와, 상기 제 2 원형부재에 내설되는 유압실린더 로드에 연결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 구동시 상기 버킷에 대해 착탈되는 고정핀과, 상기 유압실린더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손실시 상기 고정핀의 결합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버킷의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본 발명은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물을 굴삭, 적재 및 상차작업하는 기능을 갖는 장비의 작업장치에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를 작업조건에 따라 신속하게 착탈시킬 수 있으며, 작업시 어태치먼트로부터 발생되는 고하중 및 충격이 어태치먼트(이하에서는 버킷을 예를들어 설명함)를 착탈시키는 유압실린더에 직접 전달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작업대상물에 따라 버킷 등을 교체시 이용되는 착탈장치(QUICK COUPLER)에 대해 많은 관련기술이 공개된 바 있으며, 미국 특허 제 3883015호, 제 3876091호는, 트랙터와 같은 장비의 본체에 어태치먼트를 연결하는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는 어태치먼트와 3개 지점에서 연결되어 작업시 어태치먼트에 작용하는 높은 반복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3개소의 지지점에 부하응력이 집중되는 문제점을 수반하며, 이로인해 구조물과 구성부품의 마모와 변형을 초래하여 반복되는 작업시 착탈장치로부터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가 이탈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그리고, 미국 특허 제 3243066호는, 유압실린더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버킷과 같은 어태치먼트를 착탈시키는 것으로, 버킷과 연결되는 핀부위가 작업시 받는 힘과 진동이 유압실린더에 곧바로 전달되어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전단하중이 작용하며, 이로인해 반복적인 작업시 유압실린더의 파손으로 인해 누유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또한, 미국 특허 제 4963071호는, 어태치먼트의 후방부 상측에 가이드를 설치하여 착탈장치와 장착성을 향상시킨 것이나, 어태치먼트 하부에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어태치먼트를 장착하는 부위가 2개의 실린더 구성으로 인해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며, 유압실린더에 연결된 어태치먼트 장착용 핀이 수직방향으로의 홀에 삽입되므로, 작업시 핀에 전단하중이 작용하여 취약성을 갖게된다.
한편, 어태치먼트를 인력을 이용하여 착탈하는 경우 운전자가 운전석을 이탈하게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며, 어태치먼트 착탈시 운전자이외에 보조인원 및 힘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이와는 반대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어태치먼트를 착탈시키는 경우, 작업시 어태치먼트와 착탈장치의 연결되는 부위에 작용하는 고하중이 유압실린더에 직접 전달되어 내구성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석에서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의 탈장착이 용이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태치먼트를 착탈시키는 유압실린더에 작업시 어태치먼트로부터 발생되는 고하중 및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됨을 차단하여 유압실린더의 누유방지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장비의 유압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의 파손시 어태치먼트의 낙하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장비의 안전성을 높이며, 착탈장치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한 원가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버킷링크에 고정되어 버킷배면 상측에 형성된 후크부에 착탈되는 제 1 원형부재와, 상기 제 1 원형부재 양측 하방으로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양측 부움 플레이트 내측으로 장착되는 제 2 원형부재와, 상기 제 2 원형부재에 내설되는 유압실린더 로드에 연결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 구동시 상기 버킷에 대해 착탈되는 고정핀과, 상기 유압실린더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손실시 상기 고정핀의 결합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버킷의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고정핀을 상기 유압실린더 로드부에 연결하는 연결핀의 외경에 대해 상기 연결핀과 대응되게 상기 로드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경차에 대한 틈새는, 상기 연결핀의 외경에 대해 상기 고정핀에 상기 연결핀에 대응되게 형성된 관통공의 내경차에 대한 틈새보다 크게 형성되어, 작업시 상기 고정핀에 작용하는 고하중 및 충격이 상기 유압실린더 및 연결핀에 직접적으로 전달됨을 차단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핀의 외경에 대해 상기 연결핀과 대응되게 상기 로드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경차에 대한 틈새는, 상기 로드부의 단부와 상기 로드와 대응되게 상기 고정핀에 형성된 결합공의 내측면 사이에서의 틈새보다 작게 형성되어, 작업시 상기 고정핀에 작용하는 고하중 및 충격이 상기 유압실린더 및 연결핀에 직접적으로 전달됨을 차단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입 출구포트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시 유압실린더 및 상기 고정핀의 회전됨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 2 원형부재 소정위치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제 2 원형부재의 양단부는 좌우측 부움플레이트의 관통공과 동일중심선상으로 위치하여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부움 내측에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고정핀이 장착되는 부움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공 일측으로 부움플레이트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을 버킷플레이트의 결합공에 대해 결합이 용이하게 가이드역할을 하게되는 스토펴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일단이 상기 버킷링크에 고정지지되는 제 1 회전부재가 상기 제 2 원형부재와 부움플레이트사이에 장착되는 서포트부재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상기 고정수단은, 일단이 상기 버킷링크 내측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부움 플레이트 내측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의 요부발췌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의 장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어태치먼트의 장착됨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어태치먼트의 분리됨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어태치먼트의 장착됨을 설명하기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착탈장치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버킷(B)의 배면 상측에 형성된 후크부(1)에 착탈되는 제 1 원형부재(2)의 양단부는 버킷링크(3) 하단부에 형성된 관통공(4)에 결합고정되며, 전술한 제 1 원형부재(2) 하방으로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제 2 원형부재(5)는 부움플레이트(6)(7) 하측으로 고정지지되며, 이때 제 2 원형부재(5)의 양단부는 전술한 부움플레이트(6)(7)에 체결부재(8)로서 고정되는 플레이트(9)에 의해 부움플레이트(6)(7)내측에서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고정수단으로 일단이 버킷링크(3)내측으로 형성된 돌출편(10)에 대해 체결부재(11)로서 고정되는 플레이트(1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되며, 타단이 전술한 부움플레이트(6)(7)내측으로 형성된 돌출편(13)에 대해 체결부재(8)로서 고정되는 플레이트(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되는 연결부재(14)가 사용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2 원형부재(5)내측에 입출구포트(15)(16)를 통해 유입되는 작동유에 따라 구동시 버킷(B)에 대해 착탈장치를 착탈시키는 유압실린더(17)를 내장하되, 유압실린더(17)의 로드부(18)에 축방향의 직각방향으로 관통공(19)이 형성되며, 전술한 로드부(18)에 전술한 버킷플레이트(30)에 형성된 결합공(20)에 착탈시 버킷(B)에 대해 착탈장치를 착탈시키는 고정핀(21)이 연결핀(22)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전술한 로드부(18)는 고정핀(21)에 형성된 제 1 직경부(23)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24)에 삽입된 다음, 결합공(24)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공(25)에 삽입되는 전술한 연결핀(22)이 삽입되어 연결된다.
한편, 작업중 전술한 고정핀(21)에 작용하는 고하중 및 충격이 전술한 연결핀(22) 및 유압실린더(17)에 직적적으로 전달됨을 차단할 수 있도록 고정핀(21)은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전술한 연결핀(22)의 외경에 대한 로드부(18)에 형성된 관통공(19)의 내경차이에 대한 틈새는, 연결핀(22)의 외경에 대한 고정핀(21)의 제 1 직경부(23)에 형성된 관통공(25)의 내경차이에 대한 틈새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연결핀(22)의 외경에 대한 로드부(18)의 관통공(19)의 내경차이에 대한 틈새는, 전술한 고정핀(21)과 유압실린더(17)연결시 로드부(18) 단부(26)와 제 1 직경부(23)에 형성된 결합공(24)의 내측면(27)사이에서의 틈새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고정핀(21)이 장착되는 부움플레이트(6)(7)에 형성된 결합공 일측으로 부움플레이트(6)(7) 내측면 소정위치에 전술한 고정핀(21)을 버킷플레이트(30)의 결합공(20)에 대해 결합시, 결합이 용이하게 가이드역할을 하게되는 스토펴부재(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유압실린더(17)와 고정핀(21)의 제 1 직경부(23)일측면에 밀착지지되는 원형부재(28)사이에, 전술한 고정핀(21)이 버킷플레이트(30)에 형성된 결합공(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전술한 유압실린더(17)의 압력손실시 고정핀(21)의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고정핀(21)이 결합공(20)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탄성부재(29)가 설치된다.
전술한 유압실린더(17)의 입출구포트(15)(16)는 유압실린더(17)구동시 전술한 고정핀(21) 및 유압실린더(17)의 회전됨을 구속하도록 전술한 제 2 원형부재(5) 소정위치에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31은 버킷구동용 유압실린더이며, 32는 부움구동용 유압실린더이다.
위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중장비의 작업장치에 버킷(B)등의 어태치먼트를 장착하는 경우, 지면 소정위치에 놓여진 버킷(B)후방으로 어태치먼트 착탈장치가 장착된 장비를 이동시켜 근접한 다음, 착탈장치의 상측에 형성된 제 1 원형부재(2)를 버킷(B)의 후방상측에 형성된 후크부(1)에 버킷구동용 실린더(31)를 구동시켜 안착시킨다.
다음, 버킷실린더(31)를 구동시켜 버킷(B)을 장비측으로 틸트시켜 들어올리면 버킷(B)의 후방저면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며, 이때 버킷플레이트(30)의 결합공(20)과 동일높이를 갖는 돌출부(33)가 부움플레이트(6)(7)하단부에 형성된 스토퍼(34)에 접촉됨에 따라, 유압실린더(17)와 고정핀(21)의 동일중심선과 버킷(B)에 형성된 결합공(20)의 중심선이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2 원형부재(5)에 형성된 입구포트(15)를 통해 유압실린더(17)에 작동유가 유입됨에 따라 유압실린더(17)는 이의 양측 로드부(18)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신장되는 것이며(이때 탄성부재(29)는 신장상태임), 이로인해 로드부(18)의 단부(26)가 고정핀(21)의 제 1 직경부(23)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25)의 내측면(27)과 먼저 접촉하게 된 다음, 고정핀(21)을 버킷(B)의 버킷플레이트(30)에 형성된 결합공(20)측으로 이동하여 결합되므로, 작업장치와 버킷(B)의 장착은 완료된다(도 2 및 도 3에 도시됨).
이때, 전술한 바와같이 버킷(B)에 대해 고정핀(21)이 결합되어 작업도중에 유압실린더(17)의 누유 및 장비의 유압회로상에 압력손실이 발생되는 경우, 고정핀(21)과 유압실린더(17)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29)에 의해 고정핀(21)의 결합상태가 지속되므로, 버킷(B)으로부터 고정핀(21)의 이탈됨을 방지하여 작업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된다.
한편, 장비의 구동중 버킷(B)에 발생되어 고정핀(21)에 작용하는 고하중 및 충격은 고정핀(21)이 유압실린더(17)의 로드부(18)에 대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유압실린더(17)에 직접적으로 전달됨이 방지된다.
이는 전술한 고정핀(21)의 제 2 직경부(35)의 외경에 대해 이와 결합하는 버킷플레이트(30)에 형성된 결합공(20)의 내경차이에 대한 틈새보다, 전술한 로드부(18)의 외경에 대한 고정핀(21)의 제 1 직경부(23)에 형성된 결합공(24)의 내경차이에 대한 틈새와, 연결핀(22)의 외경에 대한 로드부(18)에 형성된 관통공(19)의 내경차이에 대한 틈새가 크게 형성됨에 따라 가능한 것이다.
한편, 전술한 버킷(B)을 작업장치로부터 탈리시킬때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 원형부재(5)에 형성된 출구포트(16)를 통해 작동유가 유압실린더(17)에 유입됨에 따라 유압실린더(17)의 수축으로 로드부(18)에 형성된 관통공(19)과 연결핀(22)의 접촉이 발생되며, 이로인해 고정핀(21)이 전술한 버킷플레이트(30)에 형성된 관통공(20)으로부터 복귀(이때 탄성부재(29)는 압축상태이며)되며, 이때 버킷구동용 실린더(31)구동으로 제 1 원형부재(2)를 버킷(B)의 후크부(1)로부터 이탈시킴에 따라, 착탈장치로부터 버킷(B)의 분리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는,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를 착탈시키는 작업이 용이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이점과, 작업시 어태치먼트에 착탈되는 고정핀에 발생되는 고하중 및 충격이 버킷을 착탈시키는 유압실린더에 직접적으로 전달됨을 차단하여 유압실린더로부터의 누유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이점과, 이로인해 제품의 경쟁력을 높여 구매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게된다.
장비의 유압회로를 구성하는 부품파손시 어태치먼트의 낙하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장비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어태치먼트의 간단한 구성으로 인한 원가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수 있는 이점과, 작업장치와 어태치먼트를 연결하는 고정핀이 최대한 작업장치에 밀착되는 구조에 의해 착탈장치 이용시 작업력손실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갖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의 요부발췌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의 장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어태치먼트의 장착됨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어태치먼트의 분리됨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해 어태치먼트의 장착됨을 설명하기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착탈장치에 연결되는 어태치먼트의 배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후크부
2: 제 1 원형부재
3: 버킷링크
4: 결합공
5: 제 2 원형부재
6, 7: 부움플레이트
8, 11: 체결부재
9: 원형부재
10, 13: 돌출부
12: 플레이트
14: 연결부재
15: 입구포트
16: 출구포트
17: 유압실린더
18: 로드부
19, 25: 관통부
20: 결합공
21: 고정핀
22: 연결핀
23: 제 1 직경부
24: 결합공
28: 원형부재
29: 탄성부재

Claims (5)

  1.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버킷링크에 고정되어 버킷배면 상측에 형성된 후크부에 착탈되는 제 1 원형부재와,
    상기 제 1 원형부재 양측 하방으로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양측 부움 플레이트 내측으로 장착되는 제 2 원형부재와,
    상기 제 2 원형부재에 내설되는 유압실린더 로드에 연결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 구동시 상기 버킷에 대해 착탈되는 고정핀과,
    상기 유압실린더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손실시 상기 고정핀의 결합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버킷의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고정핀을 상기 유압실린더 로드부에 연결하는 연결핀의 외경에 대해 상기 연결핀과 대응되게 상기 로드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경차에 대한 틈새는, 상기 연결핀의 외경에 대해 상기 고정핀에 상기 연결핀에 대응되게 형성된 관통공의 내경차에 대한 틈새보다 크게 형성되어, 작업시 상기 고정핀에 작용하는 고하중 및 충격이 상기 유압실린더 및 연결핀에 직접적으로 전달됨을 차단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2.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버킷링크에 고정되어 버킷배면 상측에 형성된 후크부에 착탈되는 제 1 원형부재와,
    상기 제 1원형부재 양측 하방으로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양측 부움 플레이트 내측으로 장착되는 제 2 원형부재와,
    상기 제 2원형부재에 내설되는 유압실린더 로드에 연결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 구동시 상기 버킷에 대해 착탈되는 고정핀과,
    상기 유압실린더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손실시 상기 고정핀의 결합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버킷의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핀의 외경에 대해 상기 연결핀과 대응되게 상기 로드부에 형성된 관통공의 내경차에 대한 틈새는,상기 로드부의 단부와 상기 로드와 대응되게 상기 고정핀에 형성된 결합공의 내측면 사이에서의 틈새보다 작게 형성되어, 작업시 상기 고정핀에 작용하는고하중 및 충격이 상기 유압실린더 및 연결핀에 직접적으로 전달됨을 차단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3.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버킷링크에 고정되어 버킷배면 상측에 형성된 후크부에 착탈되는 제 1 원형부재와,
    상기 제 1원형부재 양측 하방으로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양측부움 플레이트 내측으로 장착되는 제 2 원형부재와,
    상기 제 2원형부재에 내설되는 유압실린더 로드에 연결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 구동시 상기 버킷에 대해 착탈되는 고정핀과,
    상기 유압실린더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손실시 상기 고정핀의 결합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버킷의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로드부의 단부와 상기 로드와 대응되게 상기 고정핀에 형성된 결합공의 내측면 사이에서의 틈새는, 상기 고정핀의 외경에 대해 이와 결합하는 버킷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공의 내경차이에 대한 틈새보다 크게 형성되어, 작업시 상기 고정핀에 작용하는 고하중 및 충격이 상기 유압실린더 및 연결핀에 직접적으로 전달됨을 차단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4.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에 있어서,
    버킷링크에 고정되어 버킷배면 상측에 형성된 후크부에 착탈되는 제 1 원형부재와,
    상기 제 1원형부재 양측 하방으로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양측 부움 플레이트 내측으로 장착되는 제 2 원형부재와,
    상기 제 2원형부재에 내설되는 유압실린더 로드에 연결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 구동시 상기 버킷에 대해 착탈되는 고정핀과,
    상기 유압실린더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손실시 상기 고정핀의 결합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버킷의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입 출구포트는,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시 유압실린더 및 상기 고정핀의 회전됨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 2원형부재 소정위치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5. 중장비의 어태치먼트착탈장치에 있어서,
    버킷링크에 고정되어 버킷배면 상측에 형성된 후크부에 착탈되는 제 1 원형부재와,
    상기 제 1원형부재 양측 하방으로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양측부움 플레이트 내측으로 장착되는 제 2 원형부재와,
    상기 제 2원형부재에 내설되는 유압실린더 로드에 연결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유압실린더 구동시 상기 버킷에 대해 착탈되는 고정핀과,
    상기 유압실린더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압력손실시 상기 고정핀의 결합상태를 유지시켜 상기 버킷의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핀이 장착되는 부움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공 일측으로 부움 플레이트 내측면에 형성되어,상기 고정핀을 버킷플레이트의 결합공에 대해 결합이 용이하게 가이드역할을 하게되는 스토펴부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KR1019970009957A 1997-03-22 1997-03-22 중장비의어태치먼트착탈장치 KR100479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957A KR100479951B1 (ko) 1997-03-22 1997-03-22 중장비의어태치먼트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957A KR100479951B1 (ko) 1997-03-22 1997-03-22 중장비의어태치먼트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236A KR19980074236A (ko) 1998-11-05
KR100479951B1 true KR100479951B1 (ko) 2005-07-18

Family

ID=4366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957A KR100479951B1 (ko) 1997-03-22 1997-03-22 중장비의어태치먼트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411B1 (ko) * 1998-10-09 2005-12-2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콘크리트펌프트럭의 붐 안착용 잠금장치
KR101236148B1 (ko) * 2010-10-25 2013-02-25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중장비용 어태치먼트의 착탈기구
CN109236844A (zh) * 2018-11-19 2019-01-18 阿尔法(江苏)重工科技有限公司 冶金夹具连接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246A (ja) * 1992-09-19 1994-04-12 Yutani Heavy Ind Ltd バケット脱着装置の制御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246A (ja) * 1992-09-19 1994-04-12 Yutani Heavy Ind Ltd バケット脱着装置の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236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087B1 (ko) 중장비의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US6332747B1 (en) Coupling apparatus for detachably attaching an excavating device to excavator
KR100367944B1 (ko) 푸쉬-풀조립체및푸쉬-풀조립체의푸쉬-풀자동접속을위한방법
KR101021926B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CA1329627C (en) Quick release hydraulic hitch f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excavators
US5350250A (en) Quick coupling of a front work attachment on excavators
JP5135328B2 (ja) クイックカプラ
US5732488A (en) Quick hitch assembly
KR200167954Y1 (ko) 굴삭기 어태치먼트 장착용 유압클램프
EP1939362B1 (en) Work tool comprising a releasable tooth mounted on a tooth support member
US5951192A (en) Quick connect system for excavator buckets
KR100479951B1 (ko) 중장비의어태치먼트착탈장치
US5621987A (en) Implement coupling assembly for excavator machines and the like
KR100310003B1 (ko) 굴삭기의 작업기구 교환장치
JPH09195303A (ja) 重装備の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KR100202088B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착탈장치
DK2378006T3 (en) Quick-change device with an active clamping support for attaching a tool to a working machine
KR101532777B1 (ko)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EP3040482A1 (en) Quick coupler for construction machine
ES2939846T3 (es) Cambiador rápido
AU2019283910A1 (en) Quick-change system, adapter and quick coupler
WO2002097201A1 (en) A coupling assembly
KR0140797Y1 (ko) 탈.장착이 용이한 중장비의 작업장치
KR980009672A (ko) 건설중장비용 퀵커플러
KR200160548Y1 (ko) 굴삭기의 부착기구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