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685B1 -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 및 그 페트용기 - Google Patents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 및 그 페트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685B1
KR100479685B1 KR10-2002-0061318A KR20020061318A KR100479685B1 KR 100479685 B1 KR100479685 B1 KR 100479685B1 KR 20020061318 A KR20020061318 A KR 20020061318A KR 100479685 B1 KR100479685 B1 KR 100479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container
handle
pet
contain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2008A (ko
Inventor
김홍열
Original Assignee
동아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동아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10-2002-0061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68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2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0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 B29C49/4812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and welding opposite wall parts of the parisons or preforms to each other
    • B29C49/4815Moulds with means for locally compressing part(s) of the parison in the main blowing cavity and welding opposite wall parts of the parisons or preforms to each other by means of movable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23Mould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2Gripping means formed in the walls, e.g. roughening, cavities,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49/4823Mould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2049/4838Moulds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for heating moulds or moul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트 용기(P.E.T) 양측면에 손잡이를 형성시켜 페트 용기를 보다 더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성형 장치 및 페트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페트 용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리 이동되고 중앙부에 가이드 공이 형성되며 저부에 공간부를 갖는 좌우금형과, 상기 좌우금형 저부 공간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하부금형과, 상기 좌우금형과 결합되고 가이드 공과 일치되도록 내부에 채널이 형성된 슬리브 가이드와,
상기 슬리브 가이드에 유압 실린더가 결합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 로드에 의해 이동되면서 페트용기 양측면에 손잡이를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코아를 포함하는 페트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를 제공하여 몸체에 함몰되는 손잡이를 성형함으로써,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페트용기를 들거나 이동시킬 때 보다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손잡이를 형성하여 부착 또는 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 없게 되므로 생산 공정이 간단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 페트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 및 그 페트용기{The receptacle P.E.T and equipment formation of handle receptacle P.E.T}
본 발명은 페트 용기에(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양측면에 손잡이를 형성시켜 페트 용기를 보다 더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10ℓ이상의 대형 페트 용기 성형시 성형틀 양측에 손잡이 성형장치를 설치하여 페트 용기를 성형하는 동시에 연속적으로 양측면 손잡이를 성형함으로서, 제작공정을 간단 용이하도록 하고 대형 페트용기 취급시 손잡이를 잡고 간단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 및 그 페트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페트용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크기가 1.5ℓ 또는 1.8ℓ, 2.2ℓ등의 크기로 비교적 작은 페트용기를 사용함으로서 사용시 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였으나, 현대에는 산업사회가 발달함과 동시에 가정과 산업현장에서 사용하는 페트용기 역시 다양한 크기와 품목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가정이나 회사에서 사용하는 생수통의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크기가 18.9ℓ의 용량이다. 따라서 우리가 사용하는 냉온수기 또는 정수기 등에 생수통을 올려놓기 위해서는 반드시 성인남자가 해야할 정도로 무거울 뿐만 아니라 성인 남자라 하더라도 생수통 외면에 아무런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취급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출원 특허 제2002-6058호(이하"선출원특허"라함)" 일체형 손잡이 구비 페트 용기 및 그 제조용 블로우 금형"을 개발하였다.
상기 선출원특허의 구성은 " 일체형 손잡이 성형 수단은 금형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페트 용기 측부를 내측으로 밀어 연신/함몰시키는 슬라이딩 코아, 상기 슬라이딩 코아를 전진 또는 복귀시키는 슬라이딩 코아 구동 수단, 상기 슬라이딩 코아와 상기 슬라이딩 코아 구동 수단을 연결하는 로드 및 상기 슬라이딩 코아와 로드를 수용하여 그 전진 또는 복귀를 가이드로 하고, 금형 캐비티(cavity)에 슬라이딩 코아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 코아 채널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선출원특허는 페트용기에 손잡이를 성형시 페트 용기 제조용 블로우 금형이 캐비티에 고압(高壓) 연신(延伸)되고, 냉각전 상태에 있는 페트 용기 측부의 일부를 내측 또는 내측 상향으로 연신/함몰시켜 손잡이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손잡이 성형 방법은 약간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즉, 페트 용기 양측면에 손잡이를 성형하기 위해 슬라이드 코아를 고압으로 연신되도록 밀면 페트 용기와 금형이 대응된 주변부분까지 함께 밀려들어가게 되므로 손잡이 형상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페트용기를 성형시 페트용기 몸체에 열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슬라이드 코아를 내측으로 밀면 슬라이드 코아와 대응된 정점부분 보다 외주면이 밀리고 당겨지는 과정에서 얇게 형성된 후 냉각되므로 용량이 큰 페트용기의 경우 사용시 중량에 의해 손잡이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페트 용기(P.E.T) 양측면에 손잡이를 형성시켜 페트 용기를 들거나 이동시킬 때 보다 더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페트 용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리 이동되고 중앙부에 가이드 공이 형성되며 저부에 공간부를 갖는 좌우금형과,상기 좌우금형 저부 공간부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하부금형과, 상기 좌우금형과 결합되고 가이드 공과 일치되도록 내부에 채널이 형성된 슬리브 가이드와,
상기 슬리브 가이드에 유압 실린더가 결합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 로드에 의해 이동되면서 페트용기 양측면에 손잡이를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코아를 포함하는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를 제공하여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페트용기를 보다 편리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페트 용기(1) 측면을 금형으로 가압 함몰시켜 손잡이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된 페트 용기 손잡이 금형장치에 있어서,
페트 용기(1)를 성형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리 이동되고 중앙부에 가이드 공(3)이 형성되며 저부에 공간부(4)를 갖는 좌우금형(2a)(2b)과;
상기 좌우금형(2a)(2b) 저부 공간부(4)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하부금형(5)과;
상기 좌우금형(2a)(2b)과 결합되고 가이드 공(3)과 일치되도록 내부에 채널(7)이 형성된 슬리브 가이드(6)와;
상기 슬리브 가이드(6)에 유압 실린더(8)가 결합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8) 로드(9)에 의해 이동되면서 페트용기(1) 양측면에 홈(11')을 갖는 손잡이(11)를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코아(10)를 포함하는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압 실린더(8)로드(9) 말단부에 설치된 코아(10)는 내부에 히터가 설치되어 페트 용기 몸체 측부를 함몰시켜 1개 이상의 손잡이(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금형(2a)(2b) 저부 공간부(4)에 위치한 하부금형(5)은 내부에 히터(12)가 설치되어 페트용기 저부를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금형(2a)(2b) 및 하부금형(5)에 의해 성형된 폐트 용기(1)는 몸체 외면에 다수의 손잡이(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먼저 페트 용기(1)를 성형하기 위해 페트용기 1개 분량의 수지를 불어 작은 공과 같은 형상으로 만들어 좌우금형(2a)(2b) 사이의 상부에 위치시킨다.
상기 좌우금형(2a)(2b) 사이에 페트용기의 수지가 위치되면 벌어진 좌우금형을 밀어 결합시키고 저부에 위치한 하부금형(5)을 상승시켜 공간부(4)내로 인입 밀착시킨다.
상부에 좌우금형(2a)(2b)과 하부금형(5)을 결합한 후 상부에 위치한 페트용기(1)의 원료인 수지에 공기를 주입시키면 수지가 팽창하면서 좌우금형과 하부금형에 형성돤 형상 모양에 따라서 용기가 성형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형상으로 용기가 형성된 후에는 금형이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 실린더(8)가 작동하여 로드(9) 말단에 구비된 코아(10)가 페트(PET) 용기(1)의 양측면을 함몰시켜 홈(11')을 갖는 손잡이(11)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유압 실린더(8)의 압력에 의하여 신장되는 로드(9)에 의하여 코아(10)가 슬리스 가이드(6) 채널(7)에서 가이드 공(3)을 통하여 페트 용기(1) 양측면을 함몰기켜 손잡이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페트 용기(1) 양측면을 함몰시키는 코아(10)는 내부에 히터(12)가 설치되어 코아(10)를 가열하게 되므로 코아가 페트용기 몸체와 대응되는 순간 뜨거운열에 의하여 페트용기(1)의 몸체가 코아(10)의 형상에 따라서 변형이 이루어져 홈(11')부로 이루어진 손잡이(11)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코아(10)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12)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발열선 또는 발열관, 발열봉, 발열판 등으로 이루어지며 히터(12) 말단부에는 열원을 공급하는 수단과 연결되도록 전원이 코아의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연결되어 히터를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페트 용기에 형성되는 손잡이의 위치는 상기 좌우금형(2a)(2b)에 형성되는 가이드공(3)과 상기 가이드공(3)에 대응 결합되는 슬리브 가이드(6)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 손잡이(11)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트 용기 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 개수는 용기의 용량에 따라서 1개 또는 2개, 3개, 4개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의 손잡이(11) 개수에 비례하여 코아를 갖는 유압 실린더 개수 역시 대응되도록 설치하게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페트 용기 금형 및 손잡이 금형장치 구성도로서, 페트 용기(1)(일점쇄선으로 표기)를 성형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리 이동되는 좌우금형(2a)(2b)이 결합되고, 상기 좌우금형(2a)(2b) 중앙부에는 가이드 공(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좌우금형(2a)(2b)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공(3)은 그 위치가 금형제작시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페트용기(1)에 형성되는 손잡이(11) 역시 가이드공(3) 위치에 따라서 변화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금형(2a)(2b) 저부 공간부(4)에는 하부금형(5)이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페트용기(1) 저부를 내측으로 오목하게 성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하부금형(5)에는 내부에 히터(12)가 설치되어 페트용기 저면을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시 하부금형(5)을 가열하여 하부금형의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2a와 도2b, 도2c는 본발명의 페트용기와 손잡이를 성형시 동작되는 구성도 나타낸 것으로서, 도2a는 본 발명의 페트 용기를 성형하기전 금형을 벌린 상태의 구성도 로서, 먼저 완전하게 성형된 페트용기를 위치시킨 후 좌우금형(2a)(2b)과 하부금형(5)을 결합시킨 다음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켜 코아(10)로 손잡이(11)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페트용기 성형공정과 손잡이 성형공정으로 각각 실시해야 함으로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금형장치 또한 이중으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페트용기 성형공정과 손잡이 공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부에 페트 용기(1)를 성형할 원재료(PET)를 가열된 상태로 하나의 페트용기 분량 만큼의 수지를 위치시킨 다음 좌우금형과 하부금형을 결합하게 된다.
도2b는 본 발명의 좌우금형 및 하부금형을 결합시켜 페트용기를 성형하는 상태의 단면 구성도로서, 상기에서 페트 용기(1)를 성형할 원재료(PET)를 상부에 위치시키고, 좌우금형(2a)과 하부금형(2b)을 결합시킨 후 상부에서 고압의 에어를 순식간에 불어주면 수지가 팽창되면서 금형에 형성된 모양의 용기가 성형된다.
도2c는 본 발명의 페트용기 몸체 외면에 손잡이를 성형하는 상태의 단면 구성도 로서, 상기에서 페트용기(1)가 성형된 후에는 좌우금형(2a)(2b) 슬리브 가이드(6)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8)를 작동시켜 유압을 가압하면 로드(9)가 신장되면서 로드(9) 말단에 설치된 코아(10)가 슬리브 가이드(6)의 채널(7)과 가이드공(3)을 통과하면서 대응된 페트용기(1) 몸체 외면서 내면으로 가압시키게 되므로 몸체는 함몰되어 손잡이를 형성하게된다.
이때 상기 코아(10)는 내부에 히터(12)가 설치되어 코아(10)를 가열한 상태이므로 페트 용기(1) 몸체를 외면에서 내부로 함몰시 가열된 코아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몸체가 밀려들어가고 코아와 대응되지 않은 외주변은 밀려들러가지 않게 되므로 손잡이(11)를 형성하는 홈부는 형상이 정확하게 성형된다.도3a와 도3b는 본 발명의 금형에 의해 성형된 페트 용기 사시도와 페트용기 단면구성도로서, 상기 도2a 내지 도2c의 공정을 거쳐 성형된 페트용기(1)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발명에서는 페트용기의 형상·모양과 손잡이의 형상·모양을 어느 일정한 형상·모양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페트용기 몸체 외면 어느 한 곳에 히터가 내장된 코아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형성하는 청구범위의 기술사상은 균등한 사례에 있는 모든 실시예에 권리범위가 미친다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페트용기 손잡이 성형 코아 단면구성도 로서, 코아(10)와 유압 실린더(8)의 로드(9)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공 전방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금속판 또는 금속봉으로 이루어진 히터(12)를 내장하고 상기 히터(12)는 일측에 형성된 전선통로를 통하여 히터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를 연결하는 전선과 연결되고, 상기 전선은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구동되는 코아의 이동에 방해를 받지 않도록 일측에 설치되고 코아의 이동거리를 충분히 수용하고 남을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페트용기의 손잡이을 양측에서 형성한 상태의 예시도로서, 좌우금형(2a)(2b)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상하 양측에 설치하여 손잡이(11) 성형시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코아를 동시에 구동시켜 페트용기 몸체의 외면이 동시에 함몰되도록 하여 손잡이를 형성하는 홈부가 상하부에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를 더욱 간편하고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페트용기의 용량이 1.8ℓ, 2ℓ, 2.5ℓ,3ℓ와 같이 작을 경우에는 손잡이를 몸체의 일측에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페트용기가 생수통과 같이 중량이 무거울 경우에는 몸체 양측에 성형되는 손잡이의 위치를 서로 달리하여 사용자가 생수통을 들어올리기 편리하게 할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8)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싱글 유압 실린더 보다는 복식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유압을 발생시키는 압력을 배가 시킬 수 있으므로 복식 유압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은 대용량의 폐트용기에 일체로된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서 폐트용기를 들러거나 이송시킬 때 취급이 간편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손잡이 형태를 형성하여 부착 또는 부설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 없게 되므로 생산 공정이 간단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페트 용기 금형 및 손잡이 금형장치 구성도.
도2a는 본 발명의 페트 용기를 성형하기 전 금형을 벌린 상태의 구성도.
도2b는 본 발명의 좌우금형 및 하부금형을 결합시켜 페트용기를 성형하는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2c는 본 발명의 페트용기 몸체 외면에 손잡이를 성형하는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3a는 본 발명의 금형에 의해 성형된 페트 용기 사시도.
도3b는 상기 도3a의 페트용기 단면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페트용기 손잡이 성형 코아 단면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페트용기의 손잡이을 상하에서 가압 형성한 상태의 손잡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페트용기 2a,2b:좌우금형
3:가이드공 4:공간부
5:하부금형 6:슬리브가이드
7:채널 8:유압 실린더,
9:로드 10:코아
11:손잡이 11':홈
12:히터

Claims (6)

  1. 페트 용기(1) 측면을 금형으로 가압 함몰시켜 손잡이를 형성시킬 수 있도록된 페트 용기 손잡이 금형장치에 있어서,
    페트 용기(1)를 성형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리 이동되고 중앙부에 가이드 공(3)이 형성되며 저부에 공간부(4)를 갖는 좌우금형(2a)(2b)과;
    상기 좌우금형(2a)(2b) 저부 공간부(4)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하부금형(5)과;
    상기 좌우금형(2a)(2b)과 결합되고 가이드 공(3)과 일치되도록 내부에 채널(7)이 형성된 슬리브 가이드(6)와;
    상기 슬리브 가이드(6)에 유압 실린더(8)가 결합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8) 로드(9)에 의해 이동되면서 페트용기(1) 양측면에 홈(11')을 갖는 손잡이(11)를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코아(10)를 포함하는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실린더(8)로드(9) 말단부에 설치된 코아(10)는, 내부에 히터(12)가 설치되어 페트 용기(1) 몸체 외면을 내측으로 함몰시켜 1개 이상의 손잡이(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금형(2a)(2b) 저부 공간부(4)에 위치한 하부금형(5)은, 내부에 히터(12)가 설치되어 페트용기 저부를 오목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
  4. 페트용기에 있어서,
    유압 실린더(8)로드(9) 말단부에 설치된 코아(10)를 설치하고, 상기 코아(10)내부에 히터(12)가 설치되어 페트 용기(1) 몸체 외면을 내측으로 함몰시켜 양측에 손잡이(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폐트 용기(1) 손잡이(11)는, 몸체 외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손잡이(11) 상하부에 홈(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용기.
  6.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페트용기(1)의 손잡이(11)는, 몸체 외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 손잡이(11)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용기.
KR10-2002-0061318A 2002-10-08 2002-10-08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 및 그 페트용기 KR100479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318A KR100479685B1 (ko) 2002-10-08 2002-10-08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 및 그 페트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1318A KR100479685B1 (ko) 2002-10-08 2002-10-08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 및 그 페트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008A KR20040032008A (ko) 2004-04-14
KR100479685B1 true KR100479685B1 (ko) 2005-03-31

Family

ID=3733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318A KR100479685B1 (ko) 2002-10-08 2002-10-08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 및 그 페트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6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056A1 (ko) * 2017-03-28 2018-10-04 김홍렬 대광구용 페트용기 성형장치 및 페트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606B1 (ko) * 2006-08-23 2008-02-05 주식회사 온지구 차량용 스포일러의 금형구조 및 스포일러 제조방법
KR101406300B1 (ko) * 2012-02-29 2014-06-12 김두연 페트 용기의 손잡이 성형장치
US9132582B2 (en) 2013-09-18 2015-09-15 Sung Kyu Park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synthetic resin vessel with integrated handl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2927A (ja) * 1988-09-09 1990-03-13 Toagosei Chem Ind Co Ltd 把手付き延伸ブローボトルの製造方法
KR910004328A (ko) * 1989-08-24 1991-03-28 김동수 인잭션 블로우(injection blow)식 성형 용기의 손잡이 동시 성형장치
JPH0392326A (ja) * 1989-09-05 1991-04-17 Toagosei Chem Ind Co Ltd 把手付き延伸ブローボトルの製造方法
JPH09277359A (ja) * 1996-04-19 1997-10-2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把手付ボトルの成形方法
JPH11314268A (ja) * 1998-05-07 1999-11-16 Pioneer Kogyo Kk 把手付き二軸延伸ボトルのブロー金型
KR20020028938A (ko) * 2002-02-02 2002-04-17 김홍렬 일체형 손잡이 구비 페트 용기 및 그 제조용 블로우 금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2927A (ja) * 1988-09-09 1990-03-13 Toagosei Chem Ind Co Ltd 把手付き延伸ブローボトルの製造方法
KR910004328A (ko) * 1989-08-24 1991-03-28 김동수 인잭션 블로우(injection blow)식 성형 용기의 손잡이 동시 성형장치
JPH0392326A (ja) * 1989-09-05 1991-04-17 Toagosei Chem Ind Co Ltd 把手付き延伸ブローボトルの製造方法
JPH09277359A (ja) * 1996-04-19 1997-10-2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把手付ボトルの成形方法
JPH11314268A (ja) * 1998-05-07 1999-11-16 Pioneer Kogyo Kk 把手付き二軸延伸ボトルのブロー金型
KR20020028938A (ko) * 2002-02-02 2002-04-17 김홍렬 일체형 손잡이 구비 페트 용기 및 그 제조용 블로우 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2056A1 (ko) * 2017-03-28 2018-10-04 김홍렬 대광구용 페트용기 성형장치 및 페트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2008A (ko) 2004-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31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 molding hollow plastic containers
CA2509181A1 (en) A mold split insert
EP1180424A1 (en) Method of producing laminated bottles having peelable inner layer
WO2005012091A3 (en) Container handling system
CA1040822A (en) Reinforced plastic container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TW200618887A (en) Process for producing bottle can
MXPA03001350A (es) Proceso para fabricar recipientes etiquetados usando un proceso de moldeo por soplado y estiramiento.
KR100479685B1 (ko) 페트 용기 손잡이 성형 장치 및 그 페트용기
ITMO20060089A1 (it) Apparati e metodi
JP2007153366A (ja) 耐熱容器、内容物入りの耐熱容器及び耐熱容器の製造方法
US20220134629A1 (en) Off-center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and temperature adjustment mold
US6797349B2 (en) Handled container and method of molding the same
US2021003929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container part, mold unit, and blow molding machine including the mold unit
WO2016017059A1 (ja) ブロー成形容器
EP3124202B1 (en) Molding die unit and manufacturing device for container with handle
KR101406300B1 (ko) 페트 용기의 손잡이 성형장치
GB103805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pparatus for manufacturing hollow articles of thermoplastic material
DE502006006065D1 (de) E herstellungsverfahren, und daraus hergestellte tube aus kunststoff
US10493685B2 (en) Mould for a clippable bottle
JP3074616U (ja) 延伸ブロー成形金型装置
KR20020028938A (ko) 일체형 손잡이 구비 페트 용기 및 그 제조용 블로우 금형
JP2002254502A (ja) 大型容器の延伸吹込成形用金型装置
BR0017166A (pt) Método para moldar um tubo de distribuição, aparelho para moldar uma cabeça de um material moldável, cabeça moldada, e, recipiente de distribuição tubular
US20200180205A1 (en) Blow mold
ATE266590T1 (de) Rolle, insbesondere kunststoffrol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