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733B1 -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 - Google Patents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733B1
KR100478733B1 KR10-2002-0034308A KR20020034308A KR100478733B1 KR 100478733 B1 KR100478733 B1 KR 100478733B1 KR 20020034308 A KR20020034308 A KR 20020034308A KR 100478733 B1 KR100478733 B1 KR 10047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pole
particles
measuring
size
electr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7138A (ko
Inventor
윤병준
김재영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to KR10-2002-0034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73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07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electric dipolar mo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영동현상과 선형전기장을 이용하여 쌍극입자(dipolar particle)가 갖는 쌍극자(dipole moment)의 크기를 계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형전기장을 이용하여 입자의 제타전위(zeta potential) 또는 전하분포의 비균일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값인 쌍극자의 크기를 계측할 수 있는 것으로, 전기영동에서 비균일 전기장을 능동적으로 이용한 첫 번째 결과이다. 따라서, 선형전기장 이외의 비균일 전기장을 전기영동에 이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며, 미세입자가 갖는 제타전위 또는 전하분포의 비균일성을 계측함으로써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시스템의 효과적인 설계와 예측이 가능하다. 비균일 전기장을 전기영동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비균일 전기장을 이용하여 쌍극자 뿐만 아니라 사중극자(quadrupole moment) 등 다중극자들(multipole moments)을 계측할 수 있는 다양한 전기영동장치를 개발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Description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METHOD FOR MEASURING DIPOLE MOMENT SIZE OF DIPOLAR PARTICLE}
본 발명은 쌍극입자(dipolar particle)의 쌍극자(dipole moment) 크기 계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영동현상과 선형전기장을 이용하여 쌍극입자가 갖는 쌍극자의 크기를 계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쌍극입자란 입자의 제타전위(zeta potential) 또는 전하분포의 쌍극자만을 갖는 미세입자이다. 현재 전기영동은 균일한 전기장만을 이용하고 있으며, 제타전위의 평균값 또는 전체 전하량(net charge)을 계측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전기영동은 전해질용액에 분산되어 있는 미세입자들이 전기장의 영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이다. 균일한 전기장 내에서 전기영동에 의한 입자의 병진운동 속도 U 를 측정하여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입자의 평균제타전위 를 계측할 수 있다.
여기서 는 각각 전해질 용액의 전기유전율 및 점도이고, H 는 헨리(Henry) 함수, 은 드바이거리(Debye length), 는 입자의 반지름이다. 균일한 전기장에서 쌍극자의 크기를 계측하기 위해서는 입자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미세 입자의 회전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은 쉽지않다.
현재까지의 기술로는 제타전위의 비균일성을 쉽게 계측할 수 없었기 때문에, 평균값만을 이용하여 미세입자가 분산된 시스템의 안정성 등을 예측하여왔다.
상기한 바에 의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쌍극입자의 전기영동에 선형전기장을 이용하여 입자의 병진운동 속력을 측정함으로써 입자가 갖는 제타전위 또는 전하분포의 쌍극자 크기를 계측하는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현탁액(suspension)이 포함된 두 평판 사이에 기 설정 개수의 전극이 일정 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시스템에서의 쌍극자 크기를 계측하는 방법으로서, 전극에 전압을 공급하여 전기장을 형성하는 단계와, 전기장 내에서 쌍극입자의 병진운동 속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병진운동 속력을 이용하여 제타전위의 쌍극자 크기(η)를 계측하되, 제타전위의 쌍극자 크기 계측은 수학식 에 의해 구현되는 단계와, 측정된 병진운동 속력 및 계측된 제타전위의 쌍극자 크기를 이용하여 입자전하의 쌍극자 크기를 계측하되, 입자전하의 쌍극자 크기는 수학식 에 의해 구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에 필요한 선형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극의 배치도로, 특정 간격을 유지하는 두 평판(2)사이에 전극(1)이 교대로 배열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두 평판(2)사이에 2V 볼트(volt)의 직류 전원이 연결된 전극(1)을 교대로 배열하되, 두 평판(2)사이에는 쌍극입자의 현탁액이 들어있다. 상기 전극(1)에 의해서 발생되는 전기장은 전극(1)의 중심부근에서 도 2와 같은 전위분포(electrical potential)를 만든다. 도 2와 같은 전위분포에서 쌍극입자의 운동을 살펴보면, 쌍극자의 방향이 정렬한 후에는 도 3과 같이 일정한 직선운동을 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전극(1)간 거리(3)가 2L 이고 전극(1)에 2V 볼트의 직류 전압이 걸려있을 때, 입자의 속력 U 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2와 같이 유도된다.
이고,
이고,
이다.
수학식 2에서 는 제타전위의 쌍극자 크기이다. 따라서, 입자의 속력 U 를 측정하면, 수학식 2에 의해서 쌍극자 크기 를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입자 전하의 쌍극자 크기 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3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수학식 3에서 은 입자의 전기유전률이다. 따라서 선형전기장 내에서 쌍극입자의 병진운동 속력을 측정함으로써 쌍극자의 크기를 계측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형전기장을 이용하여 입자의 제타전위 또는 전하분포의 비균일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값인 쌍극자의 크기를 계측할 수 있는 것으로, 전기영동에서 비균일 전기장을 능동적으로 이용한 첫 번째 결과이다. 따라서, 선형전기장 이외의 비균일 전기장을 전기영동에 이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며, 미세입자가 갖는 제타전위 또는 전하분포의 비균일성을 계측함으로써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시스템의 효과적인 설계와 예측이 가능하다. 비균일 전기장을 전기영동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비균일 전기장을 이용하여 쌍극자 뿐만 아니라 사중극자(quadrupole moment) 등 다중극자들(multipole moments)을 계측할 수 있는 다양한 전기영동장치를 개발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에 필요한 선형전기장을 발생시키는 전극의 배치도,
도 2는 도 1에서 발생되는 전하분포를 중심부분에서 나타낸 도면,
도 3은 입자의 초기 위치에 따른 궤적들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극 2 : 평판
3 : 전극간 거리

Claims (1)

  1. 현탁액이 포함된 두 평판 사이에 기 설정 개수의 전극이 일정 간격으로 교대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 시스템에서의 쌍극자 크기를 계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극에 전압을 공급하여 전기장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장 내에서 쌍극입자의 병진운동 속력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병진운동 속력을 이용하여 제타전위의 쌍극자 크기(η)를 계측하되, 상기 제타전위의 쌍극자 크기 계측은 수학식 에 의해 구현되는 단계와,
    상기 측정된 병진운동 속력 및 상기 계측된 제타전위의 쌍극자 크기를 이용하여 입자전하의 쌍극자 크기를 계측하되, 상기 입자전하의 쌍극자 크기는 수학식 에 의해 구현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
KR10-2002-0034308A 2002-06-19 2002-06-19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 KR100478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308A KR100478733B1 (ko) 2002-06-19 2002-06-19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308A KR100478733B1 (ko) 2002-06-19 2002-06-19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138A KR20030097138A (ko) 2003-12-31
KR100478733B1 true KR100478733B1 (ko) 2005-03-24

Family

ID=3238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308A KR100478733B1 (ko) 2002-06-19 2002-06-19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7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6932A (ja) * 1988-04-08 1989-10-13 Toshimitsu Musha 生体内等価電流双極子の表示装置
US5239474A (en) * 1990-11-20 1993-08-24 Hughes Aircraft Company Dipole moment detection and localization
US5684396A (en) * 1996-03-05 1997-11-04 Hughes Aircraft Company Localizing magnetic dipoles using spatial and temporal processing of magnetometer data
KR0132758B1 (ko) * 1993-03-01 1998-04-24 완다 케이. 덴슨-로우 다이폴 검출 및 위치 측정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56932A (ja) * 1988-04-08 1989-10-13 Toshimitsu Musha 生体内等価電流双極子の表示装置
US5239474A (en) * 1990-11-20 1993-08-24 Hughes Aircraft Company Dipole moment detection and localization
KR0132758B1 (ko) * 1993-03-01 1998-04-24 완다 케이. 덴슨-로우 다이폴 검출 및 위치 측정 처리 방법
US5684396A (en) * 1996-03-05 1997-11-04 Hughes Aircraft Company Localizing magnetic dipoles using spatial and temporal processing of magnetometer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138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ujii et al. Vibration of a water droplet on a polymeric insulating material subjected to AC voltage stress
Hashemi et al. Asymmetric rectified electric fields generate flows that can dominate induced-charge electrokinetics
TW201243321A (en) Electric field generator and electric field generation method
JP4731157B2 (ja) 生体分子の分離、輸送、および集中のための進行波グリッド
CN101180547B (zh) 离子控制传感器
Kirkici et al. Nano/micro dielectric surface flashover in partial vacuum
KR100478733B1 (ko) 쌍극입자의 쌍극자 크기 계측 방법
Marquard et al. Characterization of unipolar electrical aerosol chargers—Part II:: Application of comparison criteria to various types of nanoaerosol charging devices
US20150125764A1 (en) Flow Battery Using Non-Newtonian Fluids
CN113472235B (zh) 基于摩擦电效应和空气击穿耦合的逆变摩擦发电机
KR20080085263A (ko) 정전도장을 이용한 토너형 전자종이 건식 표시장치의제조방법
Dumitran et al.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study of ionic space charge generated by combined corona–electrostatic electrode systems
Moronis et al. A model for determining the unipolar ionic saturation current in parallel wire-cylinder electrodes during corona discharge
Sundheim Molecular dynamics: conductivity of a fused salt
KR20190132135A (ko) 3차원 헤민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Alısoy et al. Transient analysis of double layer metal-gas-dielectric-metal DBD cell
US20150075987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separating nanoparticles
Nemoto et al. Electrostatic Neutralization Characteristics of an AC‐Corona‐Discharge‐Type Ionizer in Mixed N2‐O2, N2‐SF6 Atmosphere
Liang et al. Electrically induced linear locomotion of polymer gel in air
Mansur Filho et al. Electrocrystallization under magnetic fields: experiment and model
Russel et al. Electrical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 dielectric liquid under external flow in a microchannel with planar electrode configuration
Theoleyre et al. The role of the diffuse layer in the transient conduction of insulating polar liquids
Kiousis et al. Positive corona discharge current in a thin wire-cylinder electrode configuration
Nazemi et al. Investigations on Partial Discharges of Polymeric Insulators in the Presence of Oscillating Water Droplets on the Surface
Quast et al. Measuring and calculation of positive corona currents using comsol multiphys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