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886B1 - 가공지선의 영상분 전류를 이용한 과전류 계전기 - Google Patents

가공지선의 영상분 전류를 이용한 과전류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886B1
KR100477886B1 KR10-2002-0029166A KR20020029166A KR100477886B1 KR 100477886 B1 KR100477886 B1 KR 100477886B1 KR 20020029166 A KR20020029166 A KR 20020029166A KR 100477886 B1 KR100477886 B1 KR 100477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ignal
current signal
ban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1267A (ko
Inventor
하체웅
김정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886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 H02H3/3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of a three-phase system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송전선로의 가공지선을 흐르는 영상분 전류(Zero-sequence current)의 분석에 의거하여 과전류의 발생시 자동적으로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과전류 계전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공지선을 흐르는 영상분 전류가 변류기에 입력되고 입력된 영상분 전류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일정하게 증폭하고 증폭된 영상분 전류 신호를 설정된 대역으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영상분 전류 신호를 일정하게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다수의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영상분 전류 대역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분 전류 신호의 실효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실효치가 설정된 영상분 전류치보다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차단기로 작동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과전류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공지선의 영상분 전류를 이용한 과전류 계전기{Over current relay using zero-sequence current of ground wire}
본 발명은 가공지선을 흐르는 1차 전류를 측정하여 영상분 전류 신호로 변환하는 변류기와, 상기 영상분 전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입력된 영상분 전류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일정하게 증폭하는 이득 조정부와, 증폭된 영상분 전류 신호를 설정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부와, 필터링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샘플링하고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는 샘플/홀드부와, 샘플링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출력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와, 변환된 디지털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의 실효치를 계산하고 상기 실효치에 의거하여 작동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로 구성되어 계산된 영상분 전류 신호의 실효치가 설정된 영상분 전류 기준치보다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차단기로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차단기를 작동시켜서 과전류를 차단하여 가공 송전선로를 보호하는 가공 송전선로용 과전류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가공 송전 계통에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하면 가공 송전선로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러한 과전류를 순간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면 가공 송전 계통의 큰 고장으로 연결되어 가공 송전 계통의 수리 복구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 송전선로의 가공지선의 변류기 설치점의 영상분 전류의 실효치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계산하고, 과전류로 인하여 가공지선의 영상분 전류의 실효치가 설정된 영상분 전류 기준치보다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차단기로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가공 송전선로를 흐르는 과전류를 즉시 차단하는 가공 송전선로용 과전류 계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가공 송전선로용 과전류 계전기는 가공 송전선로의 가공지선(11)을 흐르는 1차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영상분 전류(Zero-sequence current) 신호로 변환하는 변류기(1)와, 상기 변류기(1)에서 변환된 영상분 전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2)와, 상기 입력부(2)에서 입력된 영상분 전류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일정하게 증폭하는 이득 조정부(3)와, 상기 이득 조정부(3)에서 증폭된 영상분 전류 신호를 설정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부(4)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부(4)에서 필터링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샘플링하고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는 샘플/홀드부(5)와, 상기 샘플/홀드부(5)에서 샘플링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6)와, 상기 멀티플렉서(6)에서 선택 출력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에서 변환된 디지털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의 실효치를 계산하고 상기 실효치가 설정된 영상분 전류 기준치보다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차단기로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8)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도면과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과전류 계전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과전류 계전기의 알고리즘 회로를 도시한 것이다.
가공 송전선로의 철탑(9)을 연결하는 각 상의 도체(10)에 가공지선(11)이 형성되고 상기 가공지선(11)에 1차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변류기(1)가 형성된다. 변류기(1)는 설치 및 유지가 용이하도록 변전소(12)의 내부를 통과하는 가공지선(1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류기(1)는 가공지선(11)의 변류기 설치점을 흐르는 1차 전류를 측정하여 영상분 전류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영상분 전류 신호는 입력부(2)로 전송된다.
입력부(2)는 변류기(1)에 연결되어 상기 변류기(1)로부터 전송된 영상분 전류 신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영상분 전류 신호를 이득 조정부(3)로 전송한다.
이득 조정부(3)는 상기 입력부(2)에서 입력되어 전송된 영상분 전류 신호의 이득을 일정하게 조정하고, 상기 이득에 의거하여 상기 영상분 전류 신호를 일정하게 증폭하며, 증폭된 영상분 전류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부(4)로 전송한다.
저역 통과 필터부(4)는 상기 이득 조정부(3)로부터 전송된 영상분 전류 신호를 설정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하며, 필터링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샘플/홀드부(5)로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득 조정부(3)에서 증폭되고 저역 통과 필터부(4)에서 필터링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은 광대역이므로 변환 시간이 짧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의 연속 파형을 다수의 불연속 파형으로 변환시키는 샘플링을 실시하고 샘플링된 불연속 파형을 일정한 시간동안 유지(Hold)해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에서 상기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샘플/홀드부(5)는 저역 통과 필터부(4)에서 필터링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연속 파형을 다수의 불연속 파형으로 변환시키는 샘플링을 실시하고, 샘플링된 상기 불연속 파형을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며, 샘플링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멀티플렉서(6)으로 전송한다.
멀티플렉서(6)는 상기 샘플/홀드부(5)에서 샘플링되어 전송된 다수의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의 불연속 파형을 일정하게 선택하여 출력하며, 선택 및 출력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로 전송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는 상기 멀티플렉서(6)에서 전송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디지털 신호 처리부(8)로 전송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8)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에서 전송된 디지털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의 실효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실효치와 설정된 영상분 전류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실효치가 상기 영상분 전류 기준치보다 높아지면 즉, 가공 송전 계통에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하여 가공 송전선로에서 과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나타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8)가 자동적으로 차단기로 작동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8)가 차단기로 작동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차단기가 상기 가공 송전선로를 흐르는 과전류를 즉시 차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공지선에 설치된 변류기(1)에 영상분 전류가 실시간으로 입력되고 입력된 영상분 전류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일정하게 증폭하고 증폭된 영상분 전류 신호를 설정된 대역으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영상분 전류 신호를 일정하게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다수의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출력된 영상분 전류 대역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영상분 전류 신호의 실효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실효치가 설정된 영상분 전류치보다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차단기로 작동 신호를 전송하므로 가공 송전선로에서 흐르는 과전류를 즉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공 송전선로용 과전류 계전기는 가공 송전선로의 가공지선에 변류기를 설치하여 변류기 설치점의 영상분 전류의 실효치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계산하고, 과전류로 인하여 가공지선의 영상분 전류의 실효치가 설정된 영상분 전류 기준치보다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차단기로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가공 송전선로를 흐르는 과전류를 즉시 차단하므로서 가공 송전 계통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과전류 계전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과전류 계전기의 알고리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류기
2 : 입력부
3 : 이득 조정부
4 : 저역 통과 필터부
5 : 샘플/홀드부
6 : 멀티플렉서
7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8 : 디지털 신호 처리부
9 : 철탑
10 : 가공 송전선 도체
11 : 가공지선
12 : 변전소

Claims (1)

  1. 가공 송전선로의 가공지선(11)을 흐르는 1차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영상분 전류(Zero-sequence current) 신호로 변환하는 변류기(1)와, 상기 변류기(1)에서 변환된 영상분 전류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2)와, 상기 입력부(2)에서 입력된 영상분 전류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일정하게 증폭하는 이득 조정부(3)와, 상기 이득 조정부(3)에서 증폭된 영상분 전류 신호를 설정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부(4)와, 상기 저역 통과 필터부(4)에서 필터링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샘플링하고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는 샘플/홀드부(5)와, 상기 샘플/홀드부(5)에서 샘플링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6)와, 상기 멀티플렉서(6)에서 선택 출력된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7)에서 변환된 디지털 영상분 전류 신호 대역의 실효치를 계산하고 상기 실효치가 설정된 영상분 전류 기준치보다 높아지면 자동적으로 차단기로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지선의 영상분 전류를 이용한 과전류 계전기.
KR10-2002-0029166A 2002-05-27 2002-05-27 가공지선의 영상분 전류를 이용한 과전류 계전기 KR100477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166A KR100477886B1 (ko) 2002-05-27 2002-05-27 가공지선의 영상분 전류를 이용한 과전류 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166A KR100477886B1 (ko) 2002-05-27 2002-05-27 가공지선의 영상분 전류를 이용한 과전류 계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267A KR20030091267A (ko) 2003-12-03
KR100477886B1 true KR100477886B1 (ko) 2005-03-17

Family

ID=3238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166A KR100477886B1 (ko) 2002-05-27 2002-05-27 가공지선의 영상분 전류를 이용한 과전류 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3479A1 (ko) * 2013-10-10 2015-04-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연결 선로 결상 검출장치 및 그 결상 검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1627B1 (ko) * 2012-07-26 2016-06-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과전류 계전기 및 이를 포함한 차단기
CN111654008B (zh) * 2020-06-09 2022-05-13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变压器临时性零序过流保护工程整定方法及系统
CN111812452B (zh) * 2020-06-11 2023-02-21 国电南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小电流接地选线装置ct极性自校正方法及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647A (ja) * 1991-09-24 1993-04-09 Toshiba Corp 配電系統の地絡保護継電方式
JPH05260641A (ja) * 1992-03-09 1993-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地絡検出装置
JPH0919047A (ja) * 1995-06-29 1997-01-17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配電線の零相電流比較による地絡回線選択継電方式
KR0179744B1 (ko) * 1994-02-15 1999-05-15 이희종 선택지락 계전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30045249A (ko) * 2001-12-01 2003-06-11 엘지전선 주식회사 지중 송전 케이블용 디지털 과전류 계전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647A (ja) * 1991-09-24 1993-04-09 Toshiba Corp 配電系統の地絡保護継電方式
JPH05260641A (ja) * 1992-03-09 1993-10-08 Mitsubishi Electric Corp 地絡検出装置
KR0179744B1 (ko) * 1994-02-15 1999-05-15 이희종 선택지락 계전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H0919047A (ja) * 1995-06-29 1997-01-17 Tohoku Electric Power Co Inc 配電線の零相電流比較による地絡回線選択継電方式
KR20030045249A (ko) * 2001-12-01 2003-06-11 엘지전선 주식회사 지중 송전 케이블용 디지털 과전류 계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3479A1 (ko) * 2013-10-10 2015-04-16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 연결 선로 결상 검출장치 및 그 결상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267A (ko)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753B1 (ko) 변전소 자동화 시스템 및 변전소 감시 데이터 획득 방법
US84160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ver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CA2387811A1 (en) Improved restraint-type differential relay
KR101244877B1 (ko) 아크 펄스 타이밍을 이용한 아크 결함 검출 장치
KR100477886B1 (ko) 가공지선의 영상분 전류를 이용한 과전류 계전기
JP2002198756A (ja) 電力増幅装置
KR100477888B1 (ko) 지중 송전 케이블용 시스 순환전류 표정 장치
US9263881B2 (en) Digital amplitude modul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digital amplitude modulation apparatus
JP4827601B2 (ja) 単独運転検出保護継電装置および単独系統状態検出方法
KR100868892B1 (ko) 배전계통의 원격감시제어 및 자료취득 시스템
KR20030045249A (ko) 지중 송전 케이블용 디지털 과전류 계전기
JPH04317511A (ja) 送電線過負荷制御装置
Wheatley A microprocessor based current differential protection
US6975256B1 (en) Adjustable gain precision full wave rectifier with reduced error
SE0002632D0 (sv) Current compensation method and device for power system protection
KR20190022123A (ko) 온도와 압력 기반 사고예방 기능을 구비한 링메인유닛(rmu) 시스템
US20150062767A1 (en) Power device for preventing malfunction
KR0179874B1 (ko) 회로 차단기의 과전류 차단 제어 장치 및 방법
KR940003002B1 (ko) 디지탈 과전류 계전기
KR100196299B1 (ko) 전력 케이블의 절연열화 측정장치
KR0146125B1 (ko) 선택지락 계전기
JP7349374B2 (ja) 軌道回路用送信器
KR101702109B1 (ko) 분전반 판넬 전력 계측시스템
WO2004066577A3 (de) Wandlerschaltung für eine limiter-empfängerstruktur und verfahen zur signalwandlung in einer limiter-empfängerstruktur
KR0121115B1 (ko) 과부하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