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692B1 - Method of detecting paper - Google Patents

Method of detecting pa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692B1
KR100477692B1 KR10-2002-0081862A KR20020081862A KR100477692B1 KR 100477692 B1 KR100477692 B1 KR 100477692B1 KR 20020081862 A KR20020081862 A KR 20020081862A KR 100477692 B1 KR100477692 B1 KR 100477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detected
conveyed
counter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8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55229A (en
Inventor
전준배
양철주
정경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692B1/en
Publication of KR20040055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2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69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48Jam, error detection, e.g. double fee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용지검지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용지검지방법은 이송되는 용지가 용지검지장치에 검지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용지가 용지검지장치에 검지되었으면 계수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시키는 단계와, 반송되는 용지가 상기 용지검지장치에 검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용지가 용지검지장치에 검지되었으면 계수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paper detection method is disclosed. The disclosed paper detecting method includes determining whether the paper to be conveyed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ing device, adjusting the counter when the paper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ing device, and conveying the paper having an image formed on one surface by rotating the driving motor in reverse. Conveying along the path, determining whether the conveyed sheet is detected by the sheet detecting device, and adjusting the counter when the sheet is detected by the sheet detecting device.

Description

용지검지방법{Method of detecting paper}Method of detecting paper

본 발명은 용지검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을 용지의 양면에 형성시키는 경우에도 발생되는 잼을 검지 할 수 있는 용지검지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dete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per detection method capable of detecting a jam generated even when an imag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per.

일반적으로 레이저 빔 프린터 등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신호를 받아 용지에 가시화상의 형태로 전사시키는 장치이다. 화상형성과정에서 현상장치는 디지털 화상신호를 받아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부착하여 토너화상을 만든다. 이러한 토너화상이 용지에 전사되어 융착되면 화상신호는 원하는 소정의 토너화상으로 용지에 융착된다.In general,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laser beam printer is an apparatus for receiving an image signal and transferring the image to a sheet in the form of a visible image. In the image forming process, the developing apparatus receives a digital image signal and attaches toner to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dium to form a toner image. When such a toner image is transferred onto a sheet and fused, the image signal is fused to the sheet with a desired toner image.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용지는 습도 및 온도에 의하여 용지가 말리는 현상인 컬(curl)이 발생되어, 이송 또는 배송과정에서 장치사이에 끼게되는 잼(jam)이 발생된다. 잼은 화상형성장치의 원활한 동작을 방해하고 작업을 지연시킨다. 따라서 이송되는 용지에 의한 잼이 발생된 경우에 이송과정 중 어느 위치에서 잼이 발생되었는가를 체크할 수 있는 잼 검지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활하게 잼 발생 위치를 파악하고 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the paper used in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curl is generated, which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paper is curled due to humidity and temperature, and jams are caught between the devices during the transfer or delivery process. The jam interferes with the smooth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lays the work. Therefore, if a jam occurs due to the paper being transported, a jam detection device can be installed to check where the jam occurred in the transfer process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jam location and remove the jam smoothly. have.

도 1은 용지검지장치가 설치된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측면도이다.1 is a partial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sheet detecting device.

도 1을 참조하면, 현상장치로부터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P)는 A 경로를 따라 이송되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정착롤러(110)의 정착닙을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는다. 이때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용지(P)에 정착된다. 토너화상이 정착된 용지(P)는 이송경로에 설치된 이송가이드(120)에 의하여 배지가이드(140)와 하우징(160)의 사이로 이송되고 한 쌍의 배지롤러(150)의 사이를 통과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송가이드(120)에는 이송되는 용지에 접촉되어 용지의 잼을 검지 할 수 있는 용지검지장치(130)가 설치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aper P on which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from the developing apparatus is transferred along the A path and subjected to heat and pressure while passing through the fixing nip of the pair of fixing rollers 110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the toner image is fixed to the paper P by heat and pressure. The paper P on which the toner image is fixed is transferred between the discharge guide 140 and the housing 160 by a transfer guide 120 installed in the transfer path, and passes between the pair of discharge rollers 150 to the outside. Discharged. The transfer guide 120 is provided with a paper detection device 13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paper to be transported to detect the jam of the paper.

이송되는 용지(P)가 소정시간 내에 용지검지장치(130)를 통과하지 않거나, 정착롤러(110)를 통과한 용지(P)가 소정시간 내에 용지검지장치(130)에 도달하지 않으면 이송경로 상에 잼이 발생된 것으로 파악되므로 사용자는 용지의 잼 발생 위치를 알 수 있다.If the paper P to be conveyed does not pass through the paper detection device 13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or the paper 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xing roller 110 does not reach the paper detection device 13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jam is detected in the user, so the user can know where the jam occurred on the paper.

한편, 용지(P)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한 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P)는 A 경로를 따라 이동되었다가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하여 피드(feed)되어 화살표 B 경로를 따라 반송된다. B 경로에는 피드가이드(170)가 설치되어 반송되는 용지(P)를 현상장치 쪽으로 안내한다. 현상장치에서 다시 토너화상이 배면에 전사된 용지(P)는 정착롤러(110)를 통과하면서 토너화상은 용지(P)에 정착된다. 그런 다음 용지(P)는 A 경로를 따라 이송되어 배지된다.Meanwhile, in order to form an image on both sides of the paper P, the paper P having an image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is moved along the A path and then fed by a driving device not shown in the drawing to follow the arrow B path. Will be conveyed accordingly. The feed guide 170 is installed in the path B to guide the paper P to be conveyed toward the developing apparatus. The paper P, to which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to the rear surface again in the developing apparatus, passes through the fixing roller 110, and the toner image is fixed to the paper P. FIG. The paper P is then transported along the A path and discharged.

그런데, 용지검지장치(130)는 A 경로 상에만 존재하기 때문에 정착장치(110)를 지나 발생되는 용지의 잼을 검지 할 수 있을 뿐이며 용지의 배면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다시 B 경로를 따라 현상장치까지 피드되면서 발생되는 잼을 검지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B 경로 상 어느 곳에서 잼이 발생되었는가를 사용자가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B 경로 상에 용지검지장치를 별도로 설치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추가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ince the paper detection device 130 exists only on the A path, the paper detection device 130 can only detect the jam of the paper generated through the fixing device 110, and again develop the device along the B path to form an image on the back of the paper.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detect the jam caused by the feed. Therefore,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know where the jam occurred on the B path.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paper detection apparatus may be separately installed on the B path,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of additional cost.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하나의 용지검지장치를 사용하여 용지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시키는 경우에도 잼 발생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용지검지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aper detection method which can grasp a jam occurrence position even when an image is formed on both sides of a paper using one paper detection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용지검지방법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ors of the paper detection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a) 이송되는 용지가 용지검지장치에 검지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b) 상기 용지가 상기 용지검지장치에 검지되었으면 계수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c)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시키는 단계와, d) 반송되는 용지가 상기 용지검지장치에 검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e) 용지가 상기 용지검지장치에 검지되었으면 상기 계수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용지의 일면 뿐만 아니라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 경우에도 용지를 검지할 수 있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determining whether the paper to be conveyed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ion device, b) adjusting the counter if the paper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ion device, c) driving motor Conveying the paper having an image formed on one surface along the conveyance path by rotating the sheet; d) determining whether the conveyed paper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ing device; and e) if the paper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ing device. The paper can be detected even when imag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per as well as the counter, including adjusting the counter.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삭제delet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검지장치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지의 배지동작과 반송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paper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operation and a conveying operation of the paper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200)는 픽업롤러(220), 이송롤러(230), 현상장치(240), 전사장치(250), 정착장치(260) 및 배지롤러(280)를 구비한다.2,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200 includes a pickup roller 220, a transfer roller 230, a developing apparatus 240, a transfer apparatus 250, a fixing apparatus 260, and a discharge roller 280. ).

상기 픽업롤러(220)는 급지플레이트(210)에 적재된 용지(P)를 낱장씩 픽업한다. 상기 급지플레이트(210)는 스프링(211)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어, 상기 용지(P)를 상기 픽업롤러(220)쪽으로 밀어 부치므로 상기 픽업롤러(220)는 용이하게 용지(P)를 픽업할 수 있게 된다. The pickup roller 220 picks up the sheet of paper P loaded on the sheet feeding plate 210 sheet by sheet. The paper feeding plate 210 is elastically biased upward by a spring 211, so that the paper P is pushed toward the pickup roller 220, so that the pickup roller 220 easily picks up the paper P. You will be able to pick up.

상기 이송롤러(230)는 상기 용지(P)의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픽업롤러(220)에 의하여 픽업된 용지(P)를 이송한다. 상기 이송롤러(230)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The conveying roller 230 is installed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paper P to convey the paper P picked up by the pick-up roller 220. A plurality of feed rollers 230 may be installed.

상기 현상장치(240)는 화상신호를 받아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243)에 의하여 감광매체(242)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감광매체(242)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잉크카트리지(241)로부터 토너가 공급되어 상기 정전잠상에 토너화상이 형성되게 한다.The developing device 240 receives an image signal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photosensitive medium 242 by the laser scanning unit 243, and from the plurality of ink cartridges 241 installed adjacent to the photosensitive medium 242. Toner is supplied to form a toner image on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상기 전사장치(250)는 복수개의 지지롤러(254) 및 전사백업롤러(252)에 지지되어 폐곡선 형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감광매체(242)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상기 용지(P)에 전사하는 중간전사벨트(253)와, 상기 용지(P)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사백업롤러(252)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중간전사벨트(253)에 전사된 토너화상이 상기 용지(P)에 전사되도록 상기 중간전사벨트(253)를 상기 전사백업롤러(252)쪽으로 밀착시키는 전사롤러(251)를 구비한다.The transfer device 250 is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rollers 254 and the transfer backup roller 252 and rotated in the shape of a closed curve while transferring the toner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medium 242 onto the paper P. The intermediate part is installed to face the transfer backup roller 252 with the belt 253 and the paper P therebetween so that the toner image transferred to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253 is transferred to the paper P. The transfer belt 253 is provided with a transfer roller 251 to closely adhere toward the transfer backup roller 252.

상기 정착장치(260)는 이송되는 용지(P)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용지(P)에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을 가함과 동시에 압력을 가하여 토너화상을 용지(P)에 융착시키는 복수개의 정착롤러(261)(262)를 구비한다. The fixing device 260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paper P to be conveyed therebetween to heat the toner image transferred to the paper P and simultaneously pressurize the toner image to fuse the toner image to the paper P. A plurality of fixing rollers 261 and 262 are provided.

상기 배지롤러(280)는 상기 정착장치(260)를 거쳐 나온 용지(P)를 배지대(281)로 배출시킨다. 상기 배지롤러(280)에 인접하여 용지(P)를 상기 배지롤러(280)쪽으로 안내하는 배지가이드(272)가 설치되어 있다.The discharge roller 280 discharges the paper P,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fixing device 260, to the discharge table 281. A discharge guide 272 is provided adjacent to the discharge roller 280 to guide the paper P toward the discharge roller 280.

상기 정착장치(260)와 배지롤러(280)의 사이의 용지(P) 이송경로에는 상기 정착장치(260)로부터 나온 용지(P)를 상기 배지롤러(280)쪽으로 안내하는 이송가이드(271)가 상기 정착장치(260)의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정착장치(260)를 지난 용지(P)는 상기 배지가이드(270)를 지나 상기 배지롤러(280)를 거쳐 배출되어 상기 배지대(281)에 쌓이게 된다. In the paper P conveyance path between the fixing device 260 and the discharge roller 280, a conveyance guide 271 for guiding the paper P from the fixing device 260 toward the discharge roller 280 is provided. It is provid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fixing device 260. Accordingly, the paper P passing through the fixing device 26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roller 280 afte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guide 270 and accumulated in the discharge tray 281.

상기 이송가이드(27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용지(P)의 배면에도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전면에 토너화상이 형성된 용지(P)를 다시 상기 현상장치(240)로 안내하는 반송가이드(290)가 마련되어 있다. It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transfer guide 271 and guides the paper P, which has a toner image formed on its front surface, to the developing device 240 by a separate driving device in order to form a toner image on the back surface of the paper P. The conveyance guide 290 is provided.

도 3을 참조하면, 용지(P)의 한쪽 면에만 인쇄하는 경우에는 용지(P)는 C 경로를 따라 이동되어 배출된다. 반면에 용지(P)의 배면에도 인쇄되는 경우에는 C 경로를 따라 이송된 용지(P)는 구동장치에 의하여 다시 D 경로를 따라 반송되어 상기 현상장치(240)를 거치면서 토너화상이 형성되어 다시 C 경로를 따라 이송되어 배출된다.Referring to FIG. 3, when printing only on one side of the paper P, the paper P is moved along the C path and discharged. On the other hand, when printed on the back side of the paper P, the paper P conveyed along the C path is conveyed along the D path by the driving device again and passes through the developing device 240 to form a toner image. It is transported along the C path and discharged.

용지(P)의 이송경로인 C 경로와 D 경로가 상호 겹치는 위치에는 용지(P)와 접촉되어 용지(P)를 감지할 수 있는 용지감지장치(300)가 상기 화상형성장치(200)의 상부하우징(291)에 설치되어 있다.At the position where the C path and the D path, which are transfer paths of the paper P, overlap with each other, a paper detecting device 300 which contacts the paper P and detects the paper P, is located abov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200. It is provided in the housing 291.

상기 용지감지장치(300)는 C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P)에 접촉되어 용지(P)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D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P)에 접촉되어 용지(P)를 감지할 수 있다. 참조부호 350은 피드센서를 나타낸다. 상기 피드센서(350)는 이송되는 용지(P)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용지이송경로 상에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The paper detection device 300 not only detects the paper P by contacting the paper P conveyed along the C path, but also detects the paper P by contacting the paper P conveyed along the D path. can do. Reference numeral 350 denotes a feed sensor. The feed sensor 350 is for detecting the paper P to be transferred, and a plurality of feed sensors 350 may be installed on the paper transfer path as necessary.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감지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aper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용지검지장치(300)는 지지대(310)와 상기 지지대(3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부에 이송되는 용지(P)에 접촉되는 센서부(321) 및 그 타측부에 접점부(322)가 마련된 회동부(320)를 구비한다. 상기 접점부(322)에 인접되어, 상기 접점부(322)에 접촉되어 온 또는 오프되는 제1스위치(331)와 제2스위치(332)로 구성된 스위치부(330)가 설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aper detection device 3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310 and the support 310, and the sensor unit 321 contacting the paper P transferred to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The rotating part 320 provided with the contact part 322 in the side part is provided. Adjacent to the contact portion 322, a switch portion 330 composed of a first switch 331 and a second switch 332 that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322 on or off is provided.

이송되는 용지(P)가 상기 센서부(321)에 접촉되면서 이동되면, 상기 회동부(320)는 용지(P)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대(310)에 지지되어 회동된다. When the paper P to be conveyed is mov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321, the pivoting unit 32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3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P is conveyed and is rotated.

용지(P)가 C 방향으로 이송되면 상기 접점부(322)는 상기 제1스위치(331)에 접촉되어 상기 제1스위치(331)를 온 시킨다. 반대로, 용지(P)가 D 방향으로 반송되면 상기 접점부(322)는 상기 제2스위치(332)에 접촉되어 상기 제2스위치(332)를 온 시킨다. 따라서, 용지(P)가 이송 또는 반송되는 경우에 모두 용지(P)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320)는 용지(P)가 상기 센서부(321)를 지나간 후 상기 용지(P)와 접촉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자중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aper P is conveyed in the C direction, the contact part 322 contacts the first switch 331 to turn on the first switch 331. On the contrary, when the paper P is conveyed in the D direction, the contact portion 32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witch 332 to turn on the second switch 332. Therefore, when the paper P is conveyed or conveyed, the paper P can be detected. At this time, the rotating part 3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own weight when the paper P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paper P after passing through the sensor part 32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검지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aper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용지검지장치(400)는 지지대(410)와 상기 지지대(4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일측부에 이송되는 용지(P)에 접촉되는 센서부(421)및 그 타측부에 차단부(422)가 마련된 회동부(42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the paper detecting device 4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410 and the support 410, and the sensor unit 421 contacting the paper P transferred to one side thereof and the other. The rotating part 420 provided with the blocking part 422 in the side part is provided.

상기 회동부(420)에 대하여 양쪽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대(410)에는 광을 조사하는 제1조사부(431)와 제2조사부(432)로 구성된 조사부(430)와 상기 조사부(430)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조사부(431)와 제2조사부(432)로부터 조사된 광을 각각 수광하는 제1수광부(441)와 제2수광부(442)로 구성된 수광부(440)가 마련되어 있다. The support 41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pivoting part 420 is opposed to the irradiation part 430 and the irradiation part 430 including a first irradiation part 431 and a second irradiation part 432 for irradiating light. The light receiving unit 440 includes a first light receiving unit 441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unit 442 that are installed to receiv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irradiation units 431 and 432, respectively.

상기 차단부(422)는 상기 조사부(430)로부터 조사된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사부(430)는 상기 용지검지장치(400)가 작동 시 광을 상기 수광부(440)에 지속적으로 조사한다.The blocking unit 422 serves to block light emitted from the irradiating unit 430. The irradiation unit 430 continuously radiates the light to the light receiving unit 440 when the paper detection device 400 is operated.

이송되는 용지(P)가 상기 센서부(421)에 접촉되면, 상기 회동부(420)는 용지(P)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대(410)에 지지되어 회동된다. When the paper P to be conveyed is in contact with the sensor unit 421, the pivoting part 42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4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per P is conveyed and is rotated.

용지(P)가 C 방향으로 이송되면 상기 차단부(422)는 상기 제1조사부(431)로부터 조사된 광을 차단시킨다. 반대로, 용지(P)가 D 방향으로 이송되면 상기 차단부(422)는 상기 제2조사부(432)로부터 조사된 광을 차단시킨다. 따라서, 용지(P)가 이송 또는 반송되는 경우에 모두 용지(P)를 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420)는 용지(P)가 상기 센서부(421)를 지나가면 그 자중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aper P is transferred in the C direction, the blocking unit 422 blocks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irradiation unit 431. On the contrary, when the paper P is conveyed in the D direction, the blocking unit 422 blocks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irradiating unit 432. Therefore, when the paper P is conveyed or conveyed, the paper P can be detected. At this time, the rotation unit 4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own weight when the paper P passes the sensor unit 421.

도 6A 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검지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6A and 6B are flowcharts showing a paper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급지플레이트(210)에 적재된 용지(P)를 상기 픽업롤러(220)가 픽업하여 상기 이송롤러(230)에 의하여 이송되면, 상기 감광매체(242)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상기 중간전사벨트(253)에 전사된 후 다시 상기 전사롤러(251)에 의하여 상기 용지(P)에 전사된다. 상기 토너화상이 전사된 상기 용지(P)는 상기 정착장치(260)를 지나면서 토너화상은 상기 용지(P)에 융착된다.2, 6A and 6B, when the pickup roller 220 picks up the paper P loaded on the paper feed plate 210 and is transported by the feed roller 230, the photosensitive medium ( The toner image formed on 242 is transferred to the intermediate transfer belt 253 and then transferred to the paper P by the transfer roller 251. The paper P on which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is passed through the fixing device 260, and the toner image is fused to the paper P.

상기 용지(P)가 상기 정착장치(260)를 통과하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이를 검지하여 진입계수기를 동작(S601)시켜 카운터 시작한다. 상기 용지검지장치(300)에 이송되는 용지(P)가 검지 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2). 상기 용지검지장치(300)에 용지(P)가 검지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진입계수기를 초기화한다. 즉, 상기 진입계수기를 레셋(RESET)하여 이때까지 측정한 계수 값을 0으로 한다. 동시에, 배출계수기를 동작시켜 카운트를 시작한다(S603). When the paper P passes through the fixing device 260, the control unit (not shown) detects the paper P and starts the counter by operating the entry counter (S60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per P conveyed to the paper detection apparatus 300 is detected (S60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per P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or 300, the entry counter is initialized. That is, the entry counter is reset to zero. At the same time, counting is started by operating the discharge counter (S603).

한편, 상기 용지검지장치(300)에 용지(P)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상기 진입계수기를 동작시켜 계수 값을 측정한다. 측정된 계수 값과 미리 설정되어있던 설정 값을 비교(S606)하여 측정된 계수 값이 상기 설정 값을 초과하면 잼 발생 메시지를 출력한다(S607). 상기 설정값은 상기 용지(P)가 상기 정착장치(260)를 지나 상기 용지검지장치(300)에 도달하는 시간을 미리 측정하여 설정하여 놓은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설정 값보다 상기 진입계수기가 측정된 값이 크다는 것은 상기 용지(P)가 상기 정착장치(260)와 상기 용지검지장치(300)의 경로에서 걸려있다는 것을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aper P is not detected by the paper detection apparatus 300, the entry counter is continuously operated to measure the count value. The measured count value is compared with the preset value set in operation S606, and when the measured count value exceeds the set value, a jam occurrence message is output (S607). The set value is set in advance by measuring the time that the paper P reaches the paper detection device 300 through the fixing device 260. Therefore, the value measured by the entry counter larger than the set value indicates that the paper P is jammed in the path between the fixing device 260 and the paper detecting device 300.

상기 S603단계이후 상기 용지(P)가 상기 용지검지장치(300)를 통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S604). 상기 용지(P)가 상기 용지검지장치(300)를 통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배출계수기를 계속하여 동작시켜 계수 값을 측정한다. 측정된 계수 값과 미리 설정되어 있던 설정 값을 비교(S608)하여 측정된 계수 값이 상기 설정 값을 초과하면 잼 발생 메시지를 출력한다(S607). 상기 용지(P)가 상기 용지검지장치(300)를 통과하였으면, 상기 용지(P)의 양면이 인쇄되었는가를 판단한다(S605). 상기 용지(P)의 양면이 인쇄되었으면 용지검지동작을 종료하고 상기 배지롤러(280)에 의하여 배지대(281)로 배지된다.After the step S60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per P has passed the paper detecting apparatus 300 (S604). If the paper P does not pass through the paper detecting apparatus 300, the discharge counter is continuously operated to measure the count value. The measured count value is compared with the preset value set in operation S608, and when the measured count value exceeds the set value, a jam occurrence message is output (S607). If the paper P has passed through the paper detection device 300, it is determined whether both sides of the paper P are printed (S605). If both sides of the paper P have been printed, the paper detecting operation is terminated and discharged to the discharge table 281 by the discharge roller 280.

상기 용지(P)의 양면이 인쇄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배출계수기를 초기화한다(S609). 즉, 상기 배출계수기를 레셋하여 지금까지 측정한 계수 값을 0으로 한다. 상기 용지(P)를 다시 상기 전사장치(250)로 반송시켜 그 배면에도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역회전시킨다(S610). 상기 배출계수기를 동작시켜 반송되는 용지(P)를 이송되는 시간을 계수한다(S611).If both sides of the paper P are not printed, the discharge counter is initialized (S609). In other words, the emission counter is reset to zero. In order to convey the paper P back to the transfer device 250 and to form an image on the rear surface thereof, the driving motor is rotated in reverse (S610). The discharge counter is counted to count the time for transporting the conveyed paper P (S611).

상기 용지(P)가 용지검지장치(300)에 검지 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2). 상기 용지검지장치(300)에 용지(P)가 검지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출계수기를 초기화한다. 즉, 상기 배출계수기를 레셋(RESET)하여 이때까지 측정한 계수 값을 0으로 한다. 그리고, 진입계수기를 동작시켜 카운트를 시작한다(S613). 한편, 상기 용지검지장치(300)에 용지(P)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하여 상기 배출계수기를 동작시켜 계수 값을 측정한다. 측정된 계수 값과 미리 설정되어있던 설정 값을 비교(S615)하여 측정된 계수 값이 상기 설정 값을 초과하면 잼 발생 메시지를 출력한다(S616).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per P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ing apparatus 300 (S612).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aper P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or 300, the discharge counter is initialized. In other words, the emission counter is reset and the coefficient value measured up to this point is zero. Then, the counting is started by operating the entry counter (S613).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per P is not detected by the paper detecting apparatus 300, the discharge counter is continuously operated to measure the count value. When the measured count value exceeds the set value by comparing the measured count value with a preset setting value (S615), a jam occurrence message is output (S616).

상기 S613단계이후 상기 용지(P)가 상기 용지검지장치(300)를 통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S614). 상기 용지(P)가 상기 용지검지장치(300)를 통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진입계수기를 계속하여 동작시켜 계수 값을 측정한다. 측정된 계수 값과 미리 설정되어 있던 설정 값을 비교(S617)하여 측정된 계수 값이 상기 설정 값을 초과하면 잼 발생 메시지를 출력한다(S616). 상기 용지(P)가 상기 용지검지장치(300)를 통과하였으면 용지검지동작을 종료한다.After the step S613,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aper P has passed the paper detecting apparatus 300 (S614). If the sheet P does not pass through the sheet detecting apparatus 300, the entry counter is continuously operated to measure the count value. When the measured count value exceeds the set value by comparing the measured count value with a preset setting value (S617), a jam occurrence message is output (S616). If the paper P has passed the paper detecting apparatus 300, the paper detecting operation is termina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지검지방법은 하나의 용지검지장치를 이용하여 한 면에만 화상이 인쇄되고 이송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배면에 화상이 인쇄되어 이송되는 경우에도 용지를 검지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잼 발생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per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paper not only when the image is printed and transported on only one side by using a single paper detection device but also when the image is printed and transported on the back side thereof. Quick and accurate location of jams can be identified and cost can be sa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용지검지장치가 설치된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sheet detect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검지장치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paper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지의 배지동작과 반송동작을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discharge operation and a conveying operation of the paper shown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감지장치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paper det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검지장치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aper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용지검지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6A and 6B are flowcharts showing a paper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00,400...용지검지장치 310,410...지지대300,400 ... paper detection device 310,410 ... support

320,420...회동부 321,421...센서부320,420 ... Rotating part 321,421 ... Sensor part

322...접점부 422...차단부322 Contact point 422 Breaking point

330...스위치부 430...조사부330 ... switch section 430 ... irradiation section

440...수광부440 ... Receiver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a) 이송되는 용지가 용지검지장치에 검지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a) determining whether the paper to be conveyed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or; b) 상기 용지가 상기 용지검지장치에 검지되었으면 계수기를 조정하는 단계와,b) adjusting the counter when the paper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ing device; c)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시키는 단계와,c) rotating the driving motor to convey the paper having an image formed on one surface along the conveying path; d) 반송되는 용지가 상기 용지검지장치에 검지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d) determining whether the paper to be conveyed is detected by the paper detection device; e) 용지가 상기 용지검지장치에 검지되었으면 상기 계수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e) adjusting a counter if a sheet is detected by the sheet detecting device, 용지의 일면 뿐만 아니라 양면에 화상이 형성된 경우에도 용지를 검지할 수 있는 용지검지방법.A paper detection method that can detect paper even when images are formed on both sides as well as on one side of the paper.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b)단계는 이송되는 용지가 검지되면 진입계수기를 초기화하고, 배출계수기를 동작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검지방법. Step b) is a paper dete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nitializing the entry counter,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counter when the paper to be conveyed is detected.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b)단계에서 이송되는 용지가 검지되지 않았으면 If the paper conveyed in step b) is not detected 진입계수기를 계속 동작시켜 계수하는 단계와,Counting by continuously operating the entry counter, 상기 계수하는 단계에서 계수된 값을 이미 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검지방법.And comparing the counted value in the counting step with a value already se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계수된 값이 설정 값보다 큰 경우에는 잼 발생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검지방법.And displaying a jam occurrence message if the counted value is greater than a set value in the comparing step.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b)단계와 c)단계 사이에는 상기 용지의 배면에도 인쇄가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검지방법.And between step b) and step c),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printing is also per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paper.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d)단계는 반송되는 용지가 검지되면 배출계수기를 초기화하고, 진입계수기를 동작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검지방법.The step d) is a paper dete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initializing the discharge counter and operating the entry counter when the conveyed paper is detected.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d)단계에서 반송되는 용지가 검지되지 않았으면If the paper conveyed in step d) is not detected 배출계수기를 계속 동작시켜 계수하는 단계와,Counting by continuously operating the discharge counter, 상기 계수하는 단계에서 계수된 값을 이미 설정된 값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검지방법.And comparing the counted value in the counting step with a value already set.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비교하는 단계에서 계수된 값이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잼 발생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검지방법.And displaying a jam generation message when the counted value is larger than a set value in the comparing step.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용지검지장치는 용지의 한쪽 면에만 화상이 인쇄되어 이송되는 용지의 배지경로와 용지의 양면에 화상이 인쇄되기 위하여 반송되는 용지의 반송경로가 서로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검지방법.The paper det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per detection path is installed at a position where the image delivery path is printed on only one side of the paper and the conveyance path of the paper being conveyed so as to print the image on both sides of the paper. Way.
KR10-2002-0081862A 2002-12-20 2002-12-20 Method of detecting paper KR1004776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862A KR100477692B1 (en) 2002-12-20 2002-12-20 Method of detecting pa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862A KR100477692B1 (en) 2002-12-20 2002-12-20 Method of detecting pa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229A KR20040055229A (en) 2004-06-26
KR100477692B1 true KR100477692B1 (en) 2005-03-21

Family

ID=3734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862A KR100477692B1 (en) 2002-12-20 2002-12-20 Method of detecting pa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69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229A (en) 200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56851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determining type of recording sheet to prevent sheet jam
JP4137959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utomatic document conveying / rea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copying machine including automatic document conveying / reading apparatus
JPH1135226A (en) Discharged medium detector, medium carrier hav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0644703B1 (en) Apparatus detecting paper and printing method of printer using the same
KR10172509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672849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heating member to heat the recording medium
JP2018158792A (en) Sheet conveyance unit and image forming unit
US80475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8010669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77692B1 (en) Method of detecting paper
JP200912844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1451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heet detection unit which accurately detects sheet
JP2004238158A (en) Paper tray, automatic documen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307107A (en) Paper tray, and automatic paper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it
JP2008007277A (en) Paper convey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and document reader
JP36687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90112598A (en) Detecting Size of Print Medium Using Sensors Available Along Paper Path
JP200017720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580211B1 (en) Apparatus for arranging pap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JP7441406B2 (en) Ejec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104339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41585A (en) Sheet carr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JP2003252483A (en) Sheet trans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H11139621A (en) Paper thickness detecting device, paper feeding device, and paper processing device
JPH11343050A (en) Paper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