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6168B1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168B1
KR100476168B1 KR10-2002-0069564A KR20020069564A KR100476168B1 KR 100476168 B1 KR100476168 B1 KR 100476168B1 KR 20020069564 A KR20020069564 A KR 20020069564A KR 100476168 B1 KR100476168 B1 KR 100476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tic
electrolyzed water
electrolyzed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1472A (ko
Inventor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A00241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CA2418864C/en
Priority to US10/368,752 priority patent/US20030159231A1/en
Priority to GB0304100A priority patent/GB2385779B/en
Publication of KR2003007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1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5Machines using UV-lamps, IR-lamps, ultrasound or plasma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 A61L2/035Electr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세제가 필요없는 전해수를 세척액으로 사용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찌든 때 및 카펫 등의 오염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기 위한 세척액으로서의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를 생성하고 이 전해수를 흡입브러쉬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 분사하는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를 포함한다.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는, 청소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공급된 원수로부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부; 전해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흡입브러쉬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 분사하기 위한 전해수 분사부; 및 전해수 분사부에 의해 피청소면으로 분사되어 피청소면의 찌든 때 및 오염물질을 세척하고 난 폐전해수와 오염물질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폐수 수거부;를 포함한다. 전해수 생성부는, 청소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원수탱크; 원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전기분해하도록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해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조에서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전해수를 임시 저장하는 전해수 저수탱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UPRIGHT-TYP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피청소면에 대하여 세척액을 분사하면서 청소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액으로서 세제가 필요없는 전해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전해수를 생성하고 분사하는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를 구비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는 흡입브러쉬의 상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된 청소기 본체가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에는 필터링수단과 오물수거부 등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입브러쉬를 통하여 흡입되는 오물은 상기 필터링수단에 의해 필터링 되어 상기 오물수거부에 수거된다.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부에는 온/오프 스위치가 마련된 손잡이가 구비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를 잡고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피청소면의 먼지 및 오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피청소면의 단순한 먼지 및 오물들의 제거에는 효과적이나,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찌든 때나 카펫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흡입브러쉬에 회전브러쉬를 설치하여 바닥이나 카펫 등을 털면서 청소하는 청소기가 제안되었으나, 이 역시 피청소면의 찌든 때나 카펫 등의 오염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카펫이 일반화 되어 있는 미주 및 유럽 등에서는 피청소면에 세제가 첨가된 세척액을 분사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청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 세척액을 보관하는 통을 설치하고 이 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을 흡입브러쉬에서 피청소면에 대하여 분사하면서 청소를 수행한다. 따라서, 피청소면의 찌든 때나 카펫 등의 오염물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세척액을 분사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세척액으로서 세제가 소정 비율로 첨가된 물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이 번거롭고 또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세제찌꺼기 등에 의해 세척액 이동경로 등이 오염되거나 막혀서 고장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세척액으로서 세제가 필요없는 전해수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세제찌꺼기 등에 의해 세척액 이동경로가 오염되거나 막히지 않아 고장의 염려가 없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부를 갖춘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각종 오물을 흡입해내는 흡입브러쉬; 및 피청소면의 찌든 때 및 카펫 등의 오염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기 위한 세척액으로서의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를 생성하고 이 전해수를 상기 흡입브러쉬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 분사하는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는,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공급된 원수로부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부; 상기 전해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상기 흡입브러쉬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 분사하기 위한 전해수 분사부; 및 상기 전해수 분사부에 의해 피청소면으로 분사되어 피청소면의 찌든 때 및 오염물질을 세척하고 난 폐전해수와 오염물질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폐수 수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해수 생성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원수탱크; 상기 원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전기분해하도록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해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조에서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전해수를 임시 저장하는 전해수 저수탱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해수 생성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원수탱크; 상기 원수탱크의 하부에 설치된 첨가제탱크; 상기 원수탱크의 원수와 상기 첨가제탱크의 첨가제를 혼합, 희석시키기 위한 혼합조; 상기 혼합조로부터 공급되는 첨가제가 희석된 원수를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전기분해하도록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해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조에서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전해수를 임시 저장하는 전해수 저수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조는, 적어도 한 쌍의 이상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격막이 있는 유격막 전해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유격막 전해조 사이에는 전해수를 저수하는 저수조가 개재된다.
상기 저수조는 상기 제 1 유격막 전해조에서 생성된 양극전해수와 음극전해수를 분리하여 저수하며, 상기 양극전해수는 상기 제 2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셀로 인입되며, 상기 음극전해수는 상기 제 2 유격막 전해조의 음극셀로 인입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양극전해수가 제 2 유격막 전해조의 음극셀로, 그리고, 음극전해수가 제 2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셀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는 전해수에 포함된 기체를 제거하는 기체제거장치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해수 분사부는, 상기 전해수 생성부로부터 상기 흡입브러쉬 선단에 이르도록 형성된 전해수 이송경로; 상기 전해수 이송경로 도중에 설치된 분사펌프; 및 상기 전해수 이송경로 단부에 마련되어 전해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폐수 수거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배기경로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조 및 그 배관 예를 보인 블록도로서,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청소기 본체, 20은 흡입브러쉬, 그리고, 30은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0)와 흡입브러쉬(20)가 소정각도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30)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된 손잡이(11)를 잡고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며, 이 때,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각종 먼지 및 오믈들은 상기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는 흡입브러쉬(20)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10)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흡입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오물수거부 등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흡입브러쉬(20)를 통하여 흡입되는 먼지 및 오물들은 상기 오물수거부에 수거되고, 정화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30)는 피청소면의 찌든 때나 카펫 등의 오염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기 위한 세척액으로서의 전해수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흡입브러쉬(20)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 분사한다. 이에 의해 피청소면의 찌든 때나 카펫 등의 오염물질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원수를 전기분해하여 얻어지는 전해수를 세척액으로 사용한다. 즉, 종래와 같은 세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세제를 사용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청소기 사용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유지관리 비용이 적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세제에 의해 세척액 이동경로 등이 막히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도 2 및 도 3에 의하면, 상기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3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 내에 설치되며, 공급된 원수로부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부(310)와, 상기 전해수 생성부(310)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상기 흡입브러쉬(20)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 분사하기 위한 전해수 분사부(330)와, 상기 전해수 분사부(330)에 의해 피청소면으로 분사되어 피청소면의 찌든 때 및 오염물질을 세척하고 난 폐전해수와 오염물질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폐수 수거부(340)를 구비한다.
상기 전해수 생성부(31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원수탱크(311)와, 상기 원수탱크(311)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전기분해하도록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해조(312)(313)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조(312)(313)에서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전해수를 임시 저장하는 전해수 저수탱크(314)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해수 생성부(310)는, 상기 원수탱크(311)의 하부에 설치되는 첨가제탱크(315)와, 상기 원수탱크(311)의 원수와 상기 첨가제탱크(315)의 첨가제를 혼합, 희석시키기 위한 혼합조(316)를 더 구비한다.
상기 원수탱크(311)는 전해하려는 물(원수)을 저장하는 탱크이다. 상기 원수는 수돗물, 담수, 해수, 지하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원수탱크(311)의 원수는 원수펌프(321)에 의해 필터(322)를 경유하여 상기 혼합조(316)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원수펌프(321)는 정량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필터(322)는 원수에 포함된 각종 이온이나 불순물들을 여과한다.
상기 첨가제탱크(315)에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등 물을 전기분해하기 위하여 첨가되어야 하는 첨가제가 저장된다. 이 첨가제탱크(315)와 상기 혼합조(316)는 배관으로 연결되며, 중간에 첨가제펌프(323)가 개재된다. 상기 첨가제탱크(315)로부터 상기 혼합조(316)로 연결되는 배관은 상기 필터(322)에서 상기 혼합조(316)로 연결되는 배관에 직결되거나, 근접한 곳에 연결되는 것이 상기 원수와 상기 첨가제의 혼합에 유리하다. 한편, 상기 첨가제탱크(315)와 첨가제펌프(323)는 상기 원수를 첨가제없이 전해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혼합조(316)의 상부에서 인출된 배관이 제 1 전해조(312)의 하부로 연결된다. 여기서, 전기분해는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격막을 개재시켜 양극셀과 음극셀에서 전해를 하는 유격막식 전해이다. 따라서, 상기 혼합조(316)에서 제 1 전해조(312)로 인입되는 배관은 양극과 음극이 분리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혼합조(316)에서 제 1 전해조(312)로 인입되는 배관이 2개로 분리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하나의 배관으로 제 1 전해조(312)의 내부에서 양극셀과 음극셀로 분리되어 원수가 인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전해조(312)는 인입된 원수를 전기분해하며, 전기분해된 1차 전해수는 상기 제 1 전해조(312)의 상부로 인출된다. 상기 1차 전해수는 원수가 인입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2개의 라인으로 인출된다. 상기 1차 전해수 중 음극쉘에서 생성된 음극수에는 상기 제 1 전해조(312)의 내부에서 발생한 기체(주로 수소가스)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기체가 제 1 전해조(312)에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1차 전해수는 상기 제 1 전해조(312)의 상부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전해조(312)에서 인출된 1차 전해수인 양극수와 음극수는 각각 제 1 전해조(312)와 제 2 전해조(313) 사이에 위치된 양극수저수조(324)와 음극수저수조(325)로 인입된다. 상기 저수조들(324)(325)은 상기 제 1 전해조(312)와 제 2 전해조(313)의 사이에서 1차 전해수의 흐름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특히 상기 제 1 전해조(312)로부터의 1차 전해수 중 음극수와 함께 이송된 기체가 상기 음극수저수조(325)의 상부에 포집되므로 상기 음극수저수소(325)의 상부에 기체제거장치(326)를 설치하여 상기 기체를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해조(312)의 양극과 음극은 수시로 전극에 부착되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역전압이 인가되는데, 이에 따라 양극수저수조(324)로도 일정한 역전압이 인가되면 음극수가 인입되므로 양극수저수조(324)의 상부에 기체제거장치(327)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기체제거장치(326)(327)는 기체만을 통과시키고 물은 통과시키기 않는 공지된 부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저수조들(324)(325)에 포집된 기체의 양을 체크하여 기체의 양이 일정한도를 초과하면 열리는 다양한 기체제거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양극수저수조(324)와 음극수저수조(325)가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양극수저수조(324)와 음극수저수조(325)는 하나로 형성되고 그 내부가 격벽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저수조들(324)(325)에서 인출된 1차 전해수는 상기 제 2 전해조(313)의 하부로 인입된다. 여기서, 상기 양극수저수조(324)에서 인출된 양극수는 제 2 전해조(313)의 양극셀로, 음극수저수조(325)에서 인출된 음극수는 제 2 전해조(313)의 음극셀로 인입된다. 상기 제 2 전해조(313)로 인입된 1차 전해수는 제 1 전해조(312)에서와 마찬가지로 전기분해된다. 상기 제 2 전해조(313)에서는 상기 제 1 전해조(312)에서 미처 전기분해되지 못한 것들이 추가로 전기분해된다. 그리고, 제 1 전해조(312)에서와 마찬가지로 제 2 전해조(313)의 음극쉘에서도 기체가 발생하므로 전해된 2차 전해수는 제 2 전해조(313)의 상부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전해조(313)에서 인출된 2차 전해수는 전해수저수탱크(314)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상기 전해수저장탱크(314)는 양극수와 음극수를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양극수저수탱크와 음극수저수탱크로 분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전해조(313)와 전해수저수탱크(314) 사이에는 배수밸브가 개재되어, 최초에 생성되는 전해수를 배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2개의 전해조(312)(313)와 각각 하나씩의 양극수저수조(324) 및 음극수저수조(325)을 갖춘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전해조 및 저수조들은 다수개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전해조 및 저수조들의 셋트를 다수개 병렬로 연결하여 전해수의 생성량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전해조(312)(313)는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400)과 양극판(402)과 음극판(404)과 상기 양극판(402)과 음극판(404) 사이에 개재되는 2장의 스페이서(406)와 상기 2장의 스페이서(406) 사이에 개재되는 격막(408)과 상기 전해조(312)(313)로 물을 인입하거나 인출하는 도관(41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양극판(402)과 음극판(404)과 스페이서(406)와 격막(408)과 상기 도관(410)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극판(402)(404)은 티타늄판에 이리듐 코팅되어 있는 판이다. 또한 상기 극판(402)(404)은 티타늄판에 백금코팅된 판을 사용하기도 하며, 통상의 철판이나 탄소판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티타늄판에 이리듐 코팅되어 있는 판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페이서(406)는 상기 극판(402)(404)을 절연시키며, 인입되는 물의 유로를 형성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406)는 물의 유로가 상기 스페이서(406)의 측면에 부착된 극판(402)(404)에 최대로 접촉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406)는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격막(408)은 상기 스페이서(406)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충만한 물이 전기분해될 때 양쪽의 물이 물리적으로 섞이지 않으면서 이온 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극판과 스페이서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극판과 스페이서의 수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전해수 분사부(330)는 상기 전해수 생성부(31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전해수저수탱크(314)로부터 상기 흡입브러쉬(20)의 선단에 이르도록 형성된 전해수 이송경로(331)과, 이 전해수 이송경로(331)의 도중에 설치된 분사펌프(332)와, 상기 전해수 이송경로(331)의 단부에 설치된 분사노즐(333)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진공청소기는 상기 흡입브러쉬(20) 뿐만 아니라 보조브러쉬(200)도 구비한다. 이 보조브러쉬(200)는 청소기 본체(10)의 구동부에 연결되도록 청소기 본체(10)에 연결, 설치되며, 이 보조브러쉬(200)에도 상기한 전해수 생성부(310)에서 생성된 전해수가 공급되면서 피청소면으로 분사된다. 도 3에서 부호 231은 보조브러쉬(200)에 전해수를 공급하기 위한 전해수 이송경로 이고, 232는 분사펌프 이며, 233은 분사노즐이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조브러쉬(200)의 호스에는 피청소면으로 분사된 전해수와 오염물질을 상기한 폐수 수거부(340)로 이송시키기 위한 회수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폐수 수거부(340)는 청소기 본체(10)의 배기경로상에 배치되는 오물수거통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피청소면으로 분사된 전해수 및 이에 의해 제거된 피청소면의 오염물질은 공기 및 기타 다른 오물들과 함께 흡입브러쉬(20)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10)로 유입되는데, 이 때, 폐전해수 및 습기를 함유한 오염물질들은 상기 폐수 수거부(340)에 수거되며, 기타 오물들은 청소기 본체(10)의 오물수거부에 수거되고, 정화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를 구비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카펫이나 바닥의 찌든 때를 청소할 경우 전해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흡입브러쉬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 분사한다. 그러면 분사된 전해수에 의해 찌든 때 및 카펫의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세척된다. 여기서, 상기 전해수는 통상 폐수처리용, 면직물의 표백제, 상수도의 소독제 및 살균제로도 사용되는 것으로, 별도의 세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찌든 때 및 카펫 등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원수에 세제를 용해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들고, 또한 세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비용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해수 생성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세제를 이용하지 않고도 찌든 때 및 카펫 등의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원수에 포함된 모든 이온들을 전기분해할 수 있어 세척력이 우수한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하기에도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해수 생성장치를 구비한 진공청소기는 세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 세제를 사용함으로써 야기되는 세척액 경로 막힘 등으로 인한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조 및 그 배관 예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요부인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보인 블록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의 전해조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청소기 본체 20;흡입브러쉬
30;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 200;보조브러쉬
310;전해수 생성부 311;원수탱크
312,313;제 1 및 제 2 전해조 314;전해수저수탱크
315;첨가제탱크 316;혼합조
321;원수펌프 322;필터
323;첨가제펌프 324,325;양/음극수저수조
330;전해수 분사부 331;전해수 이송경로
332;분사펌프 333;분사노즐
340;폐수 수거부 400;전해조 하우징
402,404;극판 406;스페이서
408;격막 410;도관

Claims (11)

  1.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수거부를 갖춘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부에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의 흡입력에 의해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각종 오물을 흡입해내는 흡입브러쉬; 및
    피청소면의 찌든 때 및 카펫 등의 오염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기 위한 세척액으로서의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를 생성하고 이 전해수를 상기 흡입브러쉬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 분사하는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유격막 전해수 생성장치는,
    상기 청소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공급된 원수로부터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부;
    상기 전해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해수를 상기 흡입브러쉬를 통하여 피청소면으로 분사하기 위한 전해수 분사부; 및
    상기 전해수 분사부에 의해 피청소면으로 분사되어 피청소면의 찌든 때 및 오염물질을 세척하고 난 폐전해수와 오염물질을 회수하여 저장하는 폐수 수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생성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원수탱크;
    상기 원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전기분해하도록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해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조에서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전해수를 임시 저장하는 전해수 저수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생성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원수탱크;
    상기 원수탱크의 하부에 설치된 첨가제탱크;
    상기 원수탱크의 원수와 상기 첨가제탱크의 첨가제를 혼합, 희석시키기 위한 혼합조;
    상기 혼합조로부터 공급되는 첨가제가 희석된 원수를 적어도 2단계 이상으로 전기분해하도록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전해조;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조에서 전기분해되어 배출되는 전해수를 임시 저장하는 전해수 저수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해조는, 적어도 한 쌍의 이상의 양극판과 음극판을 구비하며,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격막이 있는 유격막 전해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유격막 전해조 사이에는 전해수를 저수하는 저수조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제 1 유격막 전해조에서 생성된 양극전해수와 음극전해수를 분리하여 저수하며,
    상기 양극전해수는 상기 제 2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셀로 인입되며, 상기 음극전해수는 상기 제 2 유격막 전해조의 음극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제 1 유격막 전해조에서 생성된 양극전해수와 음극전해수를 분리하여 저수하며,
    상기 양극전해수는 상기 제 2 유격막 전해조의 음극셀로 인입되며, 상기 음극전해수는 상기 제 2 유격막 전해조의 양극셀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는 전해수에 포함된 기체를 제거하는 기체제거장치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분사부는,
    상기 전해수 생성부로부터 상기 흡입브러쉬 선단에 이르도록 형성된 전해수 이송경로;
    상기 전해수 이송경로 도중에 설치된 분사펌프; 및
    상기 전해수 이송경로 단부에 마련되어 전해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수거부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배기경로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2002-0069564A 2002-02-28 2002-11-11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476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002418864A CA2418864C (en) 2002-02-28 2003-02-12 Upright type vacuum cleaner
US10/368,752 US20030159231A1 (en) 2002-02-28 2003-02-18 Upright type vacuum cleaner
GB0304100A GB2385779B (en) 2002-02-28 2003-02-24 Vacuum cleaner with electrolysed fluid clean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0797 2002-02-28
KR1020020010797 2002-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1472A KR20030071472A (ko) 2003-09-03
KR100476168B1 true KR100476168B1 (ko) 2005-03-16

Family

ID=1971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564A KR100476168B1 (ko) 2002-02-28 2002-11-11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59230A1 (ko)
KR (1) KR100476168B1 (ko)
AU (1) AU2002300465A1 (ko)
CA (1) CA2397512A1 (ko)
GB (1) GB238578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029B1 (ko) 2008-10-09 201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2869B1 (en) * 2002-10-11 2007-09-25 Kaivac, Inc. Ergonomic multi-functional cleaning machine
JP4037740B2 (ja) * 2002-11-18 2008-01-23 不可止 浦上 物体表面に沿って移動する装置
KR101538905B1 (ko) * 2006-02-10 2015-07-23 텐난트 컴파니 살포되는, 전기화학적으로 활성화된 액체의 생성 방법 및 장치
US8007654B2 (en) * 2006-02-10 2011-08-30 Tennant Company Electrochemically activated anolyte and catholyte liquid
US7836543B2 (en) * 2006-02-10 2010-11-23 Tenna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humanly-perceptable indicator of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n output cleaning liquid
US8046867B2 (en) 2006-02-10 2011-11-01 Tennant Company Mobile surface cleaner having a sparging device
US7891046B2 (en) * 2006-02-10 2011-02-22 Tennant Company Apparatus for generating sparged, electrochemically activated liquid
US8156608B2 (en) * 2006-02-10 2012-04-17 Tennant Company Clean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al generator for producing electrochemically activated cleaning liquid
WO2007095072A1 (en) * 2006-02-10 2007-08-23 Tennant Company Clean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al gene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ochemically activated cleaning liquid
US8025786B2 (en) * 2006-02-10 2011-09-27 Tennant Company Method of generating sparged, electrochemically activated liquid
US8025787B2 (en) * 2006-02-10 2011-09-27 Tenna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pplying and neutralizing an electrochemically activated liquid
US8012340B2 (en) * 2006-02-10 2011-09-06 Tennant Company Method for generating electrochemically activated cleaning liquid
BRPI0707585B1 (pt) * 2006-02-10 2020-09-15 Tennant Company Dispositivo de limpeza de superfície móvel, e, método de limpeza de superfície
US8016996B2 (en) * 2006-02-10 2011-09-13 Tennant Company Method of producing a sparged cleaning liquid onboard a mobile surface cleaner
US20080308427A1 (en) * 2007-06-18 2008-12-18 Tennant Company System and process for producing alcohol
EP2207631A2 (en) 2007-10-04 2010-07-21 Tennan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neutralizing electrochemically activated liquids
CN101909503A (zh) * 2007-11-09 2010-12-08 坦南特公司 使用电化学活化水的软地板预喷射装置和软地板清洁方法
US8062499B2 (en) * 2008-05-05 2011-11-22 Tennant Compnay Charge movement detector for electrochemically activated liquids
US8485140B2 (en) 2008-06-05 2013-07-16 Global Patent Investment Group, LLC Fuel combustion method and system
JP5670889B2 (ja) 2008-06-19 2015-02-18 テナント カンパニー 同心電極を含む管状電解セルおよび対応する方法
WO2009155528A1 (en) * 2008-06-19 2009-12-23 Tennant Company Electrolysis de-scaling method with constant output
BRPI0922164A2 (pt) * 2008-12-17 2019-09-24 Tennant Co aparelho e método para aplicar carga elétrica através de um líquido
US8371315B2 (en) 2008-12-17 2013-02-12 Tennant Company Washing systems incorporating charged activated liquids
US20110048959A1 (en) * 2009-08-31 2011-03-03 Tennant Company Electrochemically-Activated Liquids Containing Fragrant Compounds
AU2014100540A4 (en) 2013-06-11 2014-06-26 Bissell Homecare,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hydrogen peroxide generator
US11426038B2 (en) 2017-09-11 2022-08-30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KR102409247B1 (ko) 2017-09-11 2022-06-14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청소 장치
US10638907B2 (en) 2017-09-15 2020-05-05 Omachrom Intellectual Property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1357379B2 (en) * 2018-05-09 2022-06-14 Nilfisk A/S Fluid manifolds for floor cleaning machine
AU2019370468A1 (en) 2018-11-01 2021-05-20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CN215605351U (zh) 2018-12-18 2022-01-25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清洁装置替换头
US11426044B1 (en) 2018-12-18 2022-08-30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US11452414B2 (en) 2019-10-31 2022-09-27 Sharkninja Operating Llc Replacement head for a vacuum
US10959584B1 (en) 2019-10-31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Replacement head for a vacuum
US11219345B2 (en) 2019-10-31 2022-01-11 Sharkninja Operating Llc Replacement head for a vacuum
US11266283B2 (en) 2019-10-31 2022-03-08 Sharkninja Operating Llc Replacement head for a vacuum
USD946843S1 (en) 2020-02-14 2022-03-22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USD946842S1 (en) 2020-02-14 2022-03-22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USD946223S1 (en) 2020-02-14 2022-03-15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USD946226S1 (en) 2020-02-14 2022-03-15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US11471019B2 (en) 2020-02-14 2022-10-18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with lights
US11179014B2 (en) 2020-02-19 2021-11-23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use
US10952580B1 (en) 2020-02-19 2021-03-23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with rotatable head
CN111956834B (zh) * 2020-08-17 2022-06-10 徐州市康农消毒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电梯用按钮消毒设备
CN114917652A (zh) * 2022-06-10 2022-08-19 袁芳 一种多级回流防堵塞的水环式真空泵及净水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7459A (en) * 1980-04-14 1982-05-04 Metropolitan Vacuum Cleaner Co., Inc. Combined steam and vacuum cleaner
JPH1057282A (ja) * 1996-08-27 1998-03-03 Sharp Corp 電気掃除機
KR20000072158A (ko) * 2000-04-29 2000-12-05 고정순 증기소독 청소기
KR20010069567A (ko) * 2001-04-17 2001-07-25 김성규 다단식 무격막 전해수 생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65790A (en) * 1915-02-17 1918-05-14 James B Kirby Agitating device for vacuum-cleaner nozzles.
BE366569A (ko) * 1928-12-31
US5815869A (en) * 1996-03-18 1998-10-06 Venturi Technology Enterpris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carpets and fabrics
US6195835B1 (en) * 1998-12-02 2001-03-06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Vacuum cleaner having a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US6638364B2 (en) * 2000-09-08 2003-10-28 Electric Aquagenics Unlimited System to clean and disinfect carpets, fabrics, and hard surfaces using electrolyzed alkaline water produced from a solution of NaC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7459A (en) * 1980-04-14 1982-05-04 Metropolitan Vacuum Cleaner Co., Inc. Combined steam and vacuum cleaner
JPH1057282A (ja) * 1996-08-27 1998-03-03 Sharp Corp 電気掃除機
KR20000072158A (ko) * 2000-04-29 2000-12-05 고정순 증기소독 청소기
KR20010069567A (ko) * 2001-04-17 2001-07-25 김성규 다단식 무격막 전해수 생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029B1 (ko) 2008-10-09 201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US8959706B2 (en) 2008-10-09 2015-02-24 Lg Electronics Inc.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85780B (en) 2004-10-27
AU2002300465A1 (en) 2003-09-11
US20030159230A1 (en) 2003-08-28
CA2397512A1 (en) 2003-08-28
GB2385780A (en) 2003-09-03
KR20030071472A (ko) 2003-09-03
GB0304682D0 (en) 200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6168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A2418864C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100466318B1 (ko) 캐니스터형 진공청소기
US10786134B2 (en) Floor cleaner and water channel
US10898048B2 (en) Floor cleaner, cleaning roller assembly, and sponge roller
US10136781B2 (en) Floor cleaner, and cleaning mechanism for clearing cleaning roller
WO2022095539A1 (zh) 拖地机基站及拖地机套件
JPH1057282A (ja) 電気掃除機
CN215626968U (zh) 一种净水箱及清洁设备
CN214856415U (zh) 地面清洗设备
KR102270813B1 (ko) 수분 흡입이 가능한 진공청소기
CN215874485U (zh) 可自制消毒水的洗地机
CN113229758A (zh) 清洗结构
CN212394781U (zh) 一种具有污水处理功能的中空玻璃清洗装置
CN211393957U (zh) 一种高回收率反渗透净水处理系统
KR102626887B1 (ko) 모듈화된 워터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실내 노면세척기
CN218852631U (zh) 清洁设备
CN214693594U (zh) 一种水处理设备用竖片式纤维布滤池
CN217471897U (zh) 一种布艺清洗机的污水系统及布艺清洗机
CN213865838U (zh) 一种一体化mbr污水处理设备
CN219538175U (zh) 表面清洁设备
CN211971930U (zh) 一种新型废水过滤装置
CN116019400A (zh) 便携式清洁附件和湿式清洁系统
CN114052595A (zh) 清洁设备及其机身
CN116530891A (zh) 清洁系统及其基站、清洁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