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877B1 - 목공용 다축보링기 - Google Patents

목공용 다축보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877B1
KR100475877B1 KR10-2002-0071802A KR20020071802A KR100475877B1 KR 100475877 B1 KR100475877 B1 KR 100475877B1 KR 20020071802 A KR20020071802 A KR 20020071802A KR 100475877 B1 KR100475877 B1 KR 100475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ing
vertical
unit
boring unit
wood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3514A (ko
Inventor
권영로
이창순
Original Assignee
이창순
권영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순, 권영로 filed Critical 이창순
Priority to KR10-2002-007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877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8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3/00Drilling machines or drilling devices; Equipment therefor
    • B27C3/04Stationary 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 spi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치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으며, 작업요건에 맞도록 보링유닛을 배치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용 다축보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방에 한쌍의 가이드레일(12)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슬라이드블록(22)과, 이 슬라이드블록(22)에 각각 고정결합되며 그 상단에는 전후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보링비트(4)가 결합되는 회전축(52)이 기어열(54)에 의해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수직보링유닛(20)과, 상기 기어열(5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56)와, 상기 수직보링유닛(20)의 상부에 수직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투입된 목재패널(2)을 하향가압하는 가압실린더(30)를 포함하는 목공용 다축보링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수직보링유닛(20)의 양단 외측의 적어도 일측에는 슬라이드블록(22)에 그 상단부가 힌지결합된 회동보링유닛(60)이 구비되고, 이 회동보링유닛(60)에는 이 회동보링유닛(60)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회동시키는 회동수단(70)에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용 다축보링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목공용 다축보링기{multIple boring machine for woodworking}
본 발명은 목공용 다축보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으며, 작업요건에 맞도록 보링유닛을 배치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용 다축보링기에 관한 것이다.
장롱이나 장식장 등의 가구는 목재패널을 연결시켜 제작하는 것으로써, 목재패널의 상호 맞대어지는 부위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 구멍에 나무못과 접착제를 함께 삽입하여 목재패널을 연결하게 된다. 한편, 목재패널에 구멍을 천공하는 보링기는 보링비트가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직 다축보링기와 수평으로 장착되는 수평 다축보링기 또는 수직 및 수평으로 장착되는 혼합형 다축보링기로 대별된다.
그러나, 상기 수직 다축보링기 및 수평 다축보링기는 정해진 방향으로만 구멍을 천공하게 되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작업할 수 없어 작업이 번거로움은 물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보링공구가 수직 및 수평으로 설치된 혼합형 다축보링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혼합형 다축보링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저면에 한쌍의 가이드레일(12)이 평행하게 설치된 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수평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결합되며 목재패널(2)에 수직방향으로 구멍을 천공하는 다수개의 수직보링유닛(2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며 투입되는 목재패널(2)을 하향가압하여 상기 수직보링유닛(20)의 상단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가압실린더(30)와,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 설치되며 목재패널(2)의 수평방향으로 구멍을 천공하는 수평보링유닛(4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수직 및 수평보링유닛(20,40)에는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후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회전축(52)이 다수개 장착되며 내측에는 상기 회전축(52)을 회전시키는 기어열(54)이 내장된 보링헤드(50)가 구비되고, 이 보링헤드(50)의 일측에는 상기 기어열(54)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보링유닛(20,40) 보링헤드(50)의 회전축(52)에 원하는 위치에 보링비트(4)를 착탈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수직보링유닛(20)의 상단에 목재패널(2)을 투입한 후, 상기 가압실린더(30)에 의해 수직보링유닛(20)의 상단에 밀착고정하고, 도시하지않은 보링헤드(50) 상승수단에 의해 보링헤드(50)를 상승시켜 이 보링헤드(50)의 보링비트(4)에 의해 목재패널(2)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구멍을 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혼합형 다축보링기는 수평보링유닛(40)을 별도로 구비되므로써, 그만큼 구성부품수가 많아져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장치가 커져, 장치의 코스트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직방향은 물론 수평방향으로도 구멍을 천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작업할 수 있으나, 보링유닛이 수직보링유닛과 수평보링유닛으로 구별되어 사용함에 따라 다품종 소량생산인 경우와 같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만 구멍을 천공하는 경우에는 다른 방향으로 설치된 보링유닛은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같은 용량의 장치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만 구멍을 천공하는 경우에는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으면서, 작업요건에 맞도록 보링유닛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배치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목공용 다축보링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후방에 한쌍의 가이드레일(12)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슬라이드블록(22)과, 이 슬라이드블록(22)에 각각 고정결합되며 그 상단에는 전후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보링비트(4)가 결합되는 회전축(52)이 기어열(54)에 의해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수직보링유닛(20)과, 상기 기어열(5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56)와, 상기 수직보링유닛(20)의 상부에 수직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투입된 목재패널(2)을 하향가압하는 가압실린더(30)를 포함하는 목공용 다축보링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수직보링유닛(20)의 양단 외측의 적어도 일측에는 슬라이드블록(22)에 그 상단부가 힌지결합된 회동보링유닛(60)이 구비되고, 이 회동보링유닛(60)에는 이 회동보링유닛(60)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회동시키는 회동수단(70)에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용 다축보링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동수단(70)은 상기 슬라이드블록(22)으로부터 연장된 고정브라켓(23)에 그 일측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보링유닛(60)에 연결되는 회동실린더(72)로 이루어지며, 이 회동실린더(72)를 신축시킴에 따라 회동보링유닛(60)이 목재패널(2)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용 다축링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다축보링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목공용 다축보링기는 중앙부 전후방에 한쌍의 가이드레일(12)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슬라이더블록(22)과, 이 슬라이드블록(22)에 각각 고정결합되며 그 상단에는 전후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보링비트(4)가 결합되는 회전축(52)이 기어열(54)에 의해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수직보링유닛(20)과, 상기 기어열(5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56)와, 상기 수직보링유닛(20)의 상부 프레임(10)에 수평방향으로 이송가능하게 수직설치되며 투입된 목재패널(2)을 하향가압하는 가압실린더(30)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양단부 수직보링유닛(20)의 양측에는 회동보링유닛(60)이 구비된다. 이 회동보링유닛(60)은 힌지축(61)에 의해 슬라이드블록(22)에 그 상단부가 힌지결합된 회동브라켓(63)과, 이 회동브라켓(63)의 외측 중앙부에 고정결합된 가이드블록(65)과, 이 가이드블록(65)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상측에는 보링비트(4)가 결합되는 회전축(52)이 기어열(54)에 의해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보링헤드(50)와, 이 보링헤드(50)의 저면에 구비되어 기어열(5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56)와, 상기 가이드블록(65)의 저면에 고정되며 보링헤드(50)를 승강시키는 신축실린더(58)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동보링유닛(60)의 전후방 슬라이드블록(22)에는 하향연장된 고정브라켓(23)이 각각 구비되고, 이 고정브라켓(23)은 그 하측에 연결바(2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전후방 슬라이드블록(22)이 가이드레일(12)을 따라 동시에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동보링유닛(60)에는 이 회동보링유닛(60)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70)이 연결설치된다. 이 회동수단(70)은 그 일측단이 슬라이드블록(22)의 고정브라켓(23)에 연결된 연결바(24)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보링유닛(60)에 연결되는 회동실린더(7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동실린더(72)를 신축시킴에 따라 상기 회동보링유닛(60)이 회동되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목재패널(2)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동보링유닛(60)을 회동시키는 수단을 회동실린더(72)로 구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회동보링유닛(60)을 모터에 연결하여 상하로 회동시키는 등 다양한 기계적 구성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수직보링유닛(20)의 양단 외측에 회동보링유닛(60)을 구비하여 목재패널(2)에 수직의 구멍만을 천공할때에는 상기 회동실린더(72)를 회동시켜 회동보링유닛(60)을 수직으로 세워 이 회동보링유닛(60)과 수직보링유닛(20)으로 여러개의 수직구멍을 천공한다. 또한, 목재패널(2)에 수직의 구멍은 물론 그 단부면에 수평의 구멍도 천공하여야 할 경우 상기 회동실린더(72)를 신장시켜 회동보링유닛(60)을 수평으로 위치시킨 후 수직보링유닛(20)으로는 목재패널(2)에 수직의 구멍을 천공하게 되고 회동보링유닛(60)으로는 목재패널(2)의 단부에 수평의 구멍을 천공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수직보링유닛(20)의 양단 외측에 별도의 수평보링유닛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가 간단해 장치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보링유닛의 양단 외측에 회동보링유닛을 구비하여, 이 회동보링유닛을 회동실린더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회동시켜 목재패널에 수직 또는 수평으로 구멍을 천공할 수 있으므로, 작업요구에 맞도록 다양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구멍을 천공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수직보링유닛의 양단에 별도의 수평보링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비해 장치의 구조가 간단해 장치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 목공용 다축보링기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수직보링유닛의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다축보링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공용 다축보링기의 측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목재패널 4. 보링비트
10. 프레임 12. 가이드레일
20. 수직보링유닛 22. 슬라이드블록
30. 가압실린더 40. 수평보링유닛
50. 보링헤드 58. 신축실린더
60. 회동보링유닛 70. 회동부재

Claims (2)

  1. 전후방에 한쌍의 가이드레일(12)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프레임(10)과, 상기 가이드레일(12)에 이송가능하게 결합된 다수개의 슬라이드블록(22)과, 이 슬라이드블록(22)에 각각 고정결합되며 그 상단에는 전후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보링비트(4)가 결합되는 회전축(52)이 기어열(54)에 의해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수직보링유닛(20)과, 상기 기어열(54)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56)와, 상기 수직보링유닛(20)의 상부에 수직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투입된 목재패널(2)을 하향가압하는 가압실린더(30)를 포함하는 목공용 다축보링기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수직보링유닛(20)의 양단 외측의 적어도 일측에는 슬라이드블록(22)에 그 상단부가 힌지결합된 회동보링유닛(60)이 구비되고, 이 회동보링유닛(60)에는 이 회동보링유닛(60)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회동시키는 회동수단(70)에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용 다축보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70)은 상기 슬라이드블록(22)으로부터 연장된 고정브라켓(23)에 그 일측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회동보링유닛(60)에 연결되는 회동실린더(72)로 이루어지며, 이 회동실린더(72)를 신축시킴에 따라 회동보링유닛(60)이 목재패널(2)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구멍을 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용 다축링기.
KR10-2002-0071802A 2002-11-19 2002-11-19 목공용 다축보링기 KR100475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802A KR100475877B1 (ko) 2002-11-19 2002-11-19 목공용 다축보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802A KR100475877B1 (ko) 2002-11-19 2002-11-19 목공용 다축보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514A KR20040043514A (ko) 2004-05-24
KR100475877B1 true KR100475877B1 (ko) 2005-03-11

Family

ID=37339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802A KR100475877B1 (ko) 2002-11-19 2002-11-19 목공용 다축보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369B1 (ko) 2017-06-05 2018-01-18 (주)누리세움 복합식 보링장치
KR20210157072A (ko) 2020-06-19 2021-12-28 권영로 보링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859Y1 (ko) * 2009-05-04 2011-05-31 유공열 위치고정이 용이한 가구용 선반고정공 천공기
KR102408060B1 (ko) * 2020-11-25 2022-06-10 박지혜 판재 홈 가공 자동 보링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8196U (ko) * 1975-10-03 1977-04-06
JPS56142904U (ko) * 1980-03-26 1981-10-28
JPS57149129A (en) * 1981-11-06 1982-09-14 Heian Tekkosho:Kk Plate material retaining device of wood boring machine
KR970002705U (ko) * 1995-06-19 1997-01-24 진행파관의 입력레벨 자동조절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8196U (ko) * 1975-10-03 1977-04-06
JPS56142904U (ko) * 1980-03-26 1981-10-28
JPS57149129A (en) * 1981-11-06 1982-09-14 Heian Tekkosho:Kk Plate material retaining device of wood boring machine
KR970002705U (ko) * 1995-06-19 1997-01-24 진행파관의 입력레벨 자동조절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0369B1 (ko) 2017-06-05 2018-01-18 (주)누리세움 복합식 보링장치
KR20210157072A (ko) 2020-06-19 2021-12-28 권영로 보링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514A (ko) 200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161332U (zh) 一种木条加工用等距钻孔装置
CN201313188Y (zh) 头盔钻孔设备
CN206048404U (zh) 一种连续木板打孔机
CN108638233A (zh) 一种多方向可调节榫槽机
KR100475877B1 (ko) 목공용 다축보링기
CN209035506U (zh) 一种具有多钻头安装结构的龙门钻床
CN207239748U (zh) 一种高效节能的型材开槽机构
CN206748596U (zh) 一种折弯塑料件打孔加工装置
CN2535199Y (zh) 多轴木工排钻机床
CN108127739A (zh) 一种装饰装修用多功能工作台
KR20220161095A (ko) 작업요건에 맞게 보링유닛을 배치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목공용 다축보링기
CN110014495B (zh) 一种多功能门业一体机
CN205927193U (zh) 一种旋转打孔的五金零件打孔机
CN108032376A (zh) 一种用于家具板材的高效钻孔设备
CN114054811A (zh) 一种可按照导轨路径移动式正反向钻机
CN107116618A (zh) 一种木板连续打孔装置
CN214419077U (zh) 实木部件开榫机
CN108406931B (zh) 一种碳纤异型板的加工装置的工作方法
CN207103886U (zh) 一种新型钻孔设备
KR200461291Y1 (ko) 목재 천공장치
CN219855058U (zh) 一种木料开榫机构
CN212793105U (zh) 一种箱梁模板加工用钻孔装置
CN210361703U (zh) 数控六面钻的下钻刀包结构
CN201058918Y (zh) 单头电脑绣机绣框驱动机构
CN106625901A (zh) 钢琴上门附木打孔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