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664B1 - 섬도 차이를 갖는 원사를 이용한 청량성 하절기 원단 - Google Patents

섬도 차이를 갖는 원사를 이용한 청량성 하절기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664B1
KR100475664B1 KR10-2002-0080932A KR20020080932A KR100475664B1 KR 100475664 B1 KR100475664 B1 KR 100475664B1 KR 20020080932 A KR20020080932 A KR 20020080932A KR 100475664 B1 KR100475664 B1 KR 100475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layer
back layer
fine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703A (ko
Inventor
고경찬
Original Assignee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6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 D04B9/0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for interlock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직 조직을 갖는 환편지에 있어 열전도율이 8 이하의 이형단면 형태의 폴리에스테르와 이보다 태섬도인 폴리올레핀 섬유를 교대로 배열시켜 이면층에 요철을 만들어 피부에 닿는 원단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하절기 청량감을 부여하는 원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절기에 더운 외기가 인체로 전이되는 섬유면적을 최소화하고 또한 열전도율이 8이하인 섬유를 사용하므로써 인체에 청량감을 제공하여 준다.

Description

섬도 차이를 갖는 원사를 이용한 청량성 하절기 원단 {A cooling touch summer fabric using the difference of denier}
본 발명은 이중직 조직을 갖는 환편지에 있어 섬도(Denier) 차이가 나는 원사를 사용하여 이면층(1)에 자연 요철감을 만들어 피부에 닿는 원단의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청량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열전도율이 섬유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이형단면 형태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올레핀 섬유를 이면층에 배열시켜 뜨거운 외기가 피부로 전이되는 것을 적게 하여 시원한 느낌을 주기 위한 것이다.
통상의 이중직을 제편할 수 있는 양면편기에서 디자인을 고려하여 표면층을 요철, Hole, Twill 등의 모양을 조성하는 경우 그 이면층은 평면조직으로만 조성된다.
이경우 피부에 접촉되는 원단의 면적이 커지면서 운동시 눅눅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뜨거운 날씨에 외기를 인체로 전이시키는 열 매체원이 넓어지면서 결과적으로 체온 상승의 원인이 된다.
통상적으로 면 섬유의 열전도율은 17.5, 레이온은 11, 나이론은 10인데 비해 폴리에스테르는 8, 폴리올레핀은 6 으로서 상대적으로 열전도율이 낮아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한 보온기능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이중직을 제편할 때 표면층(2)에 다양한 디자인을 재현시키며 동시에 이면층(1)에도 표면층과 같은 요철 형태를 만들어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동시에 이면층(1)을 구성하는 섬유의 열전도율을 낮게 하여 외기의 온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므로써 청량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8 이하인 이형단면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와 이보다 태섬도로 이루워진 열전도율이 6 인 폴리올레핀 섬유를 이면층(1)에 교대로 배열시켜 피부에 접촉시 폴리올레핀 섬유만 닿도록 이면층에 요철조직을 만들어 더운 날씨에 쾌적한 착용감과 함께 폴리올레핀 섬유가 갖는 드라이한 느낌 및 이형단면사가 갖는 흡수성을 이용하여 하절기에 유용한 소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단의 이면층(1)은 세삼사층(4)인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와 이보다 섬도가 굵은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로 구성된 태섬사층(3)이 교대로 배열되어 자연스런 요철조직을 갖게 되는데 피부에는 소수성 원사인 폴리올레핀 섬유만 닿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등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수성 원사인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의 섬도는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 섬도보다 1.3 배 이상 7 배 미만이 되도록 태섬도를 갖도록 한다.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의 섬도가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 보다 1.3 배 미만이 되면 피부에는 두 원사가 동시에 닿게 되어 드라이한 착용감이 저하된다.
한편 소수성 원사의 섬도가 이형단면사의 섬도보다 7 배 이상이 되면 이형단면사의 비율이 줄어 들어 이형단면사가 갖는 흡수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운동시 땀이 효과적으로 배출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원단은 상기 섬도 차이가 나는 원사를 이용하여 표면층(2)에 충분한 디자인을 재현하면서 동시에 이면층(1)에도 요철조직을 형성시킬 수 있어 종전 양면 편기에서 제조되는 편지의 이면층(1)이 평면조직으로만 구성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닿는 섬유를 공정수분율이 0.05% 이하인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로 구성하여 피부에는 항상 드라이한 느낌을 준다.
특히 폴리올레핀 섬유는 열전도율이 섬유에서 가장 낮은 6 으로서 여름철에 더운 열기가 인체로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체온의 상승을 억제한다.
한편 이면층(1)에 존재하는 이형단면사는 열전도율이 10 인 폴리아미드 보다 열전도율이 8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는 소수성 원사인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보다 세섬도를 사용하여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형단면사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운동시 발생되는 땀을 빠르게 표면층(2)으로 배출시켜 주는 배수로의 기능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원단은 통상적인 이중직을 제편할 수 있는 양면편기에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위사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일반직기에서도 직물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단의 물성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 흡수속도(mm/10분)
KSK0815, 1, 27 B 법으로 측정하였다. 가로 15cm 세로 10cm 길이로 시료를 채취한 후 이를 반으로 접은 다음 그 말단부를 45°각도로 뾰쪽하게 절단하여 수중에 침지시킨 후 물이 시료를 따라 올라간 길이를 측정하였다. 평가결과는 <표 1>과 같다.
· 건조속도(분)
시각판별법으로 측정한다. 표준상태에서 직편물 시료를 15cm, 세로 15cm를 만들고 시료의 이면에 10g의 물을 부은 후 이면층이 완전 건조될 때까지 그 시간을 측정하였다. 평가결과는 <표 1>과 같다.
· 운동 중 체온 변화 측정
온도조절이 가능한 인공기상실에서 실내온도 34℃, 상대습도 65%RH로 조정한후 동일 피험자를 대상으로 운동 중 체온의 상승 여부를 객관화시킬 수 있는 발한 량(cc)의 변화로 측정하였다. 평가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1)
양면편기에서 원단의 이면층(1)에 200데니어의 폴리올레핀 원사와 75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를 2:1로 배열하여 제편한 후 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물성치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양면편기에서 원단의 이면층(1)에 300데니어의 폴리올레핀 원사와 75 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를 1:1로 배열하여 제편한 후 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물성치는 <표 1>과 같다.
(비교 실시예 1)
양면편기에서 원단의 이면층(1)에 300데니어의 폴리올레핀 원사만 공급하여 제편한 후 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물성치는 <표 1>과 같다.
(비교 실시예 2)
양면편기에서 원단의 이면층(1)에 300데니어의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만 공급하여 제편한 후 물성을 평가하였다. 평가한 물성치는 <표 1>과 같다.
상기 실시예 1, 2가 비교 실시예에 비해 발한량이 현저히 적음을 알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외부의 온도가 전이되는 이면층의 면적이 작아서 체온 상승 인자가 줄어 들기 때문에 체온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흡수성과 건조성에도 비교 실시예에 비해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원단은 피부에 닿는 면적이 작아 온도가 높은 날씨에 체온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하며 흡수성과 건조기능도 동시에 발현되어 각종 스포츠 의류 및 침구류, 양말 등에도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단은 원사와 구조에 그 기능성이 부여되어 있어 영구적인 기능을 유지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형단면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이면층
2. 표면층
3. 태섬사층
4. 세섬사층

Claims (3)

  1. 이중조직을 갖는 편지에 있어 이면층(1)에 섬도 차이가 있는 원사가 교대로 배열되어 자연 요철층을 갖는 청량성 하절기 원단
  2. 1 항에 있어서,
    이면층(1)의 태섬사층(3)은 소수성 원사인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세섬사층(4)은 폴리에스테르 이형단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섬사층(3)의 섬도가 세섬사층(4)의 섬도에 비해 1.3이상 7배 미만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성 하절기 원단
  3. 1 항에 있어서,
    이면층(1)을 구성하는 원사가 열전도율이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성 하절기 원단
KR10-2002-0080932A 2002-12-17 2002-12-17 섬도 차이를 갖는 원사를 이용한 청량성 하절기 원단 KR100475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932A KR100475664B1 (ko) 2002-12-17 2002-12-17 섬도 차이를 갖는 원사를 이용한 청량성 하절기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932A KR100475664B1 (ko) 2002-12-17 2002-12-17 섬도 차이를 갖는 원사를 이용한 청량성 하절기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703A KR20040053703A (ko) 2004-06-24
KR100475664B1 true KR100475664B1 (ko) 2005-03-10

Family

ID=3734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932A KR100475664B1 (ko) 2002-12-17 2002-12-17 섬도 차이를 갖는 원사를 이용한 청량성 하절기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6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720B1 (ko) 2004-11-10 2006-11-10 벤텍스 주식회사 열전도도를 이용한 보냉 직편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1266B (zh) * 2014-11-29 2019-04-30 宁波侨泰兴纺织有限公司 一种荧光防晒面料
CN106283365B (zh) * 2016-08-25 2018-05-01 江苏新凯盛企业发展有限公司 一种保健针织面料结构及其染整工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720B1 (ko) 2004-11-10 2006-11-10 벤텍스 주식회사 열전도도를 이용한 보냉 직편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703A (ko)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36748A1 (en) Composite textile fabrics
KR100821281B1 (ko) 보온성 섬유구조체
CN205741454U (zh) 一种防汗渍织物结构
KR100475664B1 (ko) 섬도 차이를 갖는 원사를 이용한 청량성 하절기 원단
KR100896796B1 (ko) 자기제어형 보온원단
KR100566043B1 (ko) 다기능 보온원단
KR20040061417A (ko)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인공지능형 초발수 흡수속건성 원단
KR100486881B1 (ko) 밀도 차이를 이용한 방수 흡습속건성 원단
CN208812644U (zh) 一种抑菌保暖网布
US6524349B2 (en) Maintaining the hydrophobicity of a polyolefin textile
JPS6127990Y2 (ko)
CN215704784U (zh) 一种冷感面料
JP5089251B2 (ja) メッシュ生地及びこれを用いた衣類
KR100444542B1 (ko) 다기능 보온원단
KR20030015099A (ko) 흡한속건성을 갖는 보온원단
KR100717816B1 (ko) 배수구를 갖는 3 층구조의 온도조절형 초속건 원단
JP4529291B2 (ja) 肌着
CN220146905U (zh) 一种棉感冲锋衣面料
CN218804511U (zh) 一种吸湿排汗针织面料
CN219256712U (zh) 一种发热纤维面料
JP7120008B2 (ja) 繊維構造物
CN217039012U (zh) 一种涤纶中空纤维陶瓷印花打底衫面料
KR101916629B1 (ko) 수분 이동형 기능성 건조양말
CN215360307U (zh) 一种快速干燥的纺织面料
CN213648948U (zh) 一种防水涤纶经编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