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641B1 - 좌훈 및 안면훈증기 - Google Patents

좌훈 및 안면훈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641B1
KR100474641B1 KR10-2002-0068809A KR20020068809A KR100474641B1 KR 100474641 B1 KR100474641 B1 KR 100474641B1 KR 20020068809 A KR20020068809 A KR 20020068809A KR 100474641 B1 KR100474641 B1 KR 100474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fumigation
steamer
faci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630A (ko
Inventor
서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정밀
Priority to KR10-2002-006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641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2Steam baths for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8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약쑥이나 허브 식물류 등을 수중 가열시켜 스팀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스팀을 이용하여 좌훈 또는 안면훈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좌훈 및 안면훈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는 약쑥이 투입된 물을 비등점까지 전기가열하는 스티머(300)와, 상기 스티머에서 생성된 고온의 스팀을 강제 배출시키며 배출되는 스팀온도를 강하시키기 위해 외기를 혼합 송풍시키는 송풍팬(500)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온도강하되어 강제 송풍될 스팀의 패스를 결정하는 스팀절체기(420)와, 상기 스팀절체기에 의해 선택될 제1스팀배관에 결합되어 안면훈증용 스팀을 분출하는 안면훈증부(100)에 마련된 안면훈증노즐(140)과, 상기 스팀절체기에 의해 선택될 제2스팀배관에 결합되어 좌훈용 스팀을 분출하는 좌훈시트부(200)에 마련된 좌훈노즐(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훈 및 안면훈증기{A sitz bathing and facial fumigating apparatus using steam}
본 발명은 좌훈 및 안면훈증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불쾌감 및 위생을 고려하여 좌훈부와 안면훈증부를 독립적으로 설계한 후 스팀발생장치에서 발생된 고온의 스팀을 송풍팬으로 외기와 혼합하여 좌훈시트부 또는 안면훈증부를 통해 강력하게 토출되도록 한 좌훈 및 안면훈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훈은 치질이나 여성병 예방을 위한 살균소독, 통증완화, 치료 등을 목적으로 실행되는 것으로, 가열장치가 마련된 좌훈기에 물을 넣고 가열시켜 수증기를 생성시킨 다음 이 수증기가 약쑥 등과 같은 살균훈증재료를 통과하여 항문 등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살균-치료 효과를 얻는 수증기 요법의 일종이다.
또한 이러한 좌훈기는 이 좌훈기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는 스팀이 얼굴에 접하도록 함으로서 안면 피부의 혈액순환을 활성화시켜 피부노화를 억제하고 피부 노폐물을 배출시켜 아름답고 깨끗한 얼굴을 유지시킬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좌훈기 또는 안면훈증기는 물을 가열시켜 수증기를 생성시키기 위한 가열장치와, 이 가열장치에 의해 발생된 수증기에 살균, 치료, 통증완화 효소를 포함시켜주기 위해 수증기 배출통로 상에 배치되는 약재통과, 살균이나 치료 등의 효소를 포함한 수증기를 안면이나 좌훈부분으로 모아주기 위한 안면노즐 또는 좌대를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좌훈기들 중에는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물을 끓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 같은 경우 좌훈도중 증기의 온도에 상승하여 항문이나 둔부에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좌훈중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회피하기 위해서는 를 좌훈기의 증기발생부로부터 인체의 항문이나 둔부까지의 거리를 충분한 안전거리까지 이격시켜주어야 하나, 그 이격거리에는 좌욕훈증 자세에서 나오는 기본적인 이격거리 이내로 제한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기존의 좌식 훈증기에서는 물을 끓여 사용하는 좌욕 훈증방식을 도입할 수가 없었다.
더구나 기존의 좌욕훈증기에서는 물을 끓이지 않고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좌욕자세상 화상을 입을 우려가 매우 높았다.
이와 같은 전통적인 좌훈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88237호(2002.5.30 출원 :좌욕훈증기)이 선행기술로 제안된바 있다.
이 선행기술로서의 좌훈기는 가열판의 하부에 구비된 냉각세라믹칩과, 세라믹파우더가 적층된 1차 열복사부와 세라믹으로 된 2차 열복사부를 갖도록 가열판의 상부에 구비된 열복사부와, 2차 열복사부의 상부로 상하부에 패드와 철망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된 된 1회용 분비물 처리구와, 훈증컵에서 발생된 약재의 수증기를 치유부위로 상승시키도록 훈증기의 내측에 구비된 송풍팬과, 좌대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된 뚜껑과, 전원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ON/OFF 스위치에 램프가 연동되어 점소등이 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약재가 충진된 훈증컵에 충분한 열을 전달하여 약제를 효율적으로 증기화시켜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훈증컵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과 약재가 가열판으로 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간접방식으로 가열됨에 따라 이 또한 스팀 발생량이 충분치 못하여 치료, 소독, 혈액순환 등의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좌훈 도중 훈증컵의 물이 전부 소모(증발)되었을 경우 계속적인 가열로 인하여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이를 인식하여 훈증컵에 물을 충입시키는 절차도 번거롭고 위험스러워 사용자 부주위로 인한 화상의 위험 및 감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특히, 선행기술에 의한 좌훈기의 구조가 안정적이지 못하여 사용중 좌훈기가 넘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경우 여러가지 안전사고의 피해가 나타날 수있다.
한편, 선행기술에 나타나 있는 훈증기 송풍팬은 훈증용 스팀을 배출시킬 때 비교적 넓은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훈증기 내부공간에서 스팀을 확산시킨 다음 배출시키게 되므로 효율적인 훈증효과를 얻을 수 업게 하며, 훈증컵에서 발생된 증기가 좌대부의 내측 공간부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좌대부의 내부벽면에서의 결로 현상으로 인한 수분 생성 및 누수와 이로 인한 좌대부 내부에서의 미생물이 번식의 우려를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좌훈기는 훈증을 위한 수증기 배출구와 좌훈을 위한 스증기 배출구가 단일화되어 있어 하나의 훈증 배출구에 안면수증기 맛사지와 좌훈을 혼용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위생적으로 불안정하고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수도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약쑥이나 허브 식물류 등을 수중에서 비등점까지 가열시켜 스팀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스팀을 송풍팬으로 강제송풍시켜 좌훈 또는 안면훈증 효과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좌훈 및 안면훈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훈부와 안면훈증부를 하나의 몸체에 폴딩형식으로 구성하되 스팀분출 패스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계하여 사용자 모드가 좌훈모드와 안면훈증모드로 완전 분리되게 하고 이러한 사용자 모드마다 분배기를 통한 스팀이 선택적으로 각각의 노즐을 통하여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인 측면을 고려한 좌훈 및 안면훈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컴 제어를 통하여 좌훈 및 안면훈증시간을 최적화하고 사용후 일정시간동안의 건조모드 자동실행을 통하여 결로현상 등에 기인하는 미생물번식 및 악취생성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배제시키게 되는 좌훈 및 안면훈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허브 식물이나 인진쑥 등을 이용한 실내살균, 소독 및 허브향 효과와 더불어 실내가습 효과를 얻을 수있는 좌훈 및 안면훈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상의 위험 없이도 사용자가 좌훈기에 양반자세로 낮게 착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좌훈기의 높이를 낮게 설계하여 사용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에서 좌훈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좌훈 및 안면훈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는 약쑥이 투입된 물을 비등점까지 전기가열하는 스티머와, 상기 스티머에서 생성된 고온의 스팀을 강제 배출시키며 배출되는 스팀온도를 강하시키기 위해 외기를 혼합 송풍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온도강하되어 강제 송풍될 스팀의 패스를 결정하는 스팀절체기와, 상기 스팀절체기에 의해 선택될 제1스팀배관에 결합되어 안면훈증용 스팀을 분출하는 안면훈증부에 마련된 안면훈증노즐과, 상기 스팀절체기에 의해 선택될 제2스팀배관에 결합되어 좌훈용 스팀을 분출하는 좌훈시트부에 마련된 좌훈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를 안면훈증모드로 사용하기 위해 좌훈시트부가 폴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좌훈 및 안면훈증기를 펼친(스프레드)상태인 좌훈모드시의 사시도이고, 도3 내지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측면도, 평면도, 배면도이다.
여기에서 개념적으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는 크게 안면훈증부(100)와, 좌훈시트부(200)와, 스티머(300)와, 분배기(400)와, 송풍팬(500)과, 제어부(600)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안면훈증부(100)는 전면에 안면훈증용 안면훈증노즐(140)을 마련하며 상시 스탠딩(기립)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좌훈시트부(200)는 상기 안면훈증부의 후방쪽 하단부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됨으로써 쉽게 접고 펼칠 수 있게 설계하며, 송풍팬에 의한 스티머의 스팀을 방출하는 좌훈노즐(212)이 마련된다. 또한 이 좌훈시트부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로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일정 높이로 설계 제작한다.
스티머(300)는 상기 안면훈증부에 착탈되는 구조로서 물과 약쑥이나 허브 식물류 등을 물과 혼합하여 비등점까지 가열하는 것으로 스팀을 생성한다.
분배기(400)는 상기 스티머에 의해 가열생성된 스팀을 상기 좌훈시트부의 폴딩-스프레드 여부에 따른 스팀절체기를 동작에 따라, 좌훈시트부의 폴딩시에는 덕트를 통한 스팀이 안면훈증부의 노즐을 통하여 배출되고 좌훈시트부의 스프레드시에는 덕트를 통한 스팀이 좌훈시트부의 스팀배출구로 배출되는 자동절체장치를 가진다.
송풍팬(500)은 상기 스티머에서 생성된 스팀을 외기와 혼합하여 비등점에서 생성된 고온의 스팀온도를 낮춘 후 상기 분배기를 통해 안면훈증부의 노즐 또는 좌훈시트부의 좌훈노즐로 강제 송풍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제어부(600)는 상기 스티머 내부의 히터제어 및 스팀온도 표시와 송풍팬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에 내장되는 스티머와 송풍기에 결합된 분배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좌훈 및 안면훈증기의 스티머에 연결된 분배기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에 내장된 스티머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에 내장된 스티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안면훈증부(100)에는 스티머(300)가 장착될 스티머홀더(130)와 이 스티머홀더를 받아들이기 위한 슬라이딩 구조가 안면훈증부커버의 바깥쪽에 만들어지며, 또한 상기 스티머(300)의 가열로 발생되는 스팀을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분사하는 안면훈증부(100)의 전면에 안면훈증노즐(140)을 마련한다.
상기 안면훈증부커버의 스티머홀더(130)의 슬라이딩 가이드 구조는 그 내부에 스티머홀더를 정확히 안착시키기에 적합한 소정의 공간부(111)를 가지며 그 바닦면에 슬라이딩 안내가이드(122)를 마련하여 이 안내가이드를 따라 스티머(300)를 장착한 스티머홀더(130)가 안면훈증부의 전면에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게 구성한다.
도 10에서 참고되는 것처럼, 스티머(300)의 내부에 설치된 히터(312)는 마그네틱 전원접속단자(312a)와 히터열선의 전기접속단자를 연결하는 구조를 가지며, 이 히터가열용 마그네틱 전원접속단자(312a)는 스티머홀더(130)에 스티머(300)를 장착한 다음 안면훈증부커버(110)에 마련된 공간부(111)에 진입시켰을 때 공간부 내측에 마련된 마그네틱 콘넥터인 다른 마그네틱 전원접속단자(312b)에 접속되어 자체의 자력에 의해 그 접속상태가 유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안면훈증부(100)의 내부에는 분배기(400), 송풍팬(500), 제어부(600), 제1,2스팀배관(416a,418a)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안면훈증부(100)는 그 몸체자제가 좌훈모드시 등받이 역할의 수행을 위해 좌훈시트부(200)에 대해 대략 90도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안면훈증부(100)의 후방쪽 하부에는 이 안면훈증부에 결합될 좌훈시트부(200)를 접고 펼수있도록 돌출결합부(112)를 만들고 이 돌출결합부에 마련된 회동축(112a)을 따라 폴딩을 위한 좌훈시트부(200)의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결합시키되. 그 회전축내부에는 분배기에 결합된 배관을 관통시켜 좌훈모드시 스티머(300)에 의한 스팀이 좌훈노즐(2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한다.
상기 안면훈증노즐(140)은 볼조인트 형식으로 고정되어져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로 부터 이물체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구에 망사필터를 삽입장착할 수 있다.
상기 안면훈증부(100)의 일측면에는 스티머(300)에 의한 스팀의 온도조절을 위한 히터온도조절기(614)와 여러 각도에서 자유스럽게 훈증용 스팀온도를 표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630)및 좌훈/훈증기 스타트버튼(612a)를 마련한다
상기 히터의 가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온도조절기(614)는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온도표시용 디스플레이(630)와 스타트버튼(612a)을 하나의 몸체에 일체로 설치한다.
상기 스타트버튼(620), 온도조절놉(640), 디스플레이(630)은 안면훈증부(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제어부(600)의 회로기판과 연결한다.
이 제어부(600)에 의해 좌훈 및 훈증을 위한 스티머의 히팅은 일정시간(예 : 30분)동안만 이루어지고, 작동완료후에는 미리 설정시켜놓은 시간동안 자동으로 솔레노이드(440)와 송풍팬(500)을 구동시켜 스팀 배관상의 잔여 수분을 건조시키도록 설계한다.
상기 좌훈시트부(200)는 좌훈시트케이스(240)에 의해 일정높이(예를 들면, 12~18Cm)가 확보되도록 하고, 좌훈시트케이스(240)의 중앙부는 스티머로부터 생성된 스팀을 토출시켜 좌훈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좌훈노즐(212)을 마련한다.
이 좌훈노즐(212)에는 스팀이 대기와 만나면서 생겨나게 되는 응결수를 수집하기 위해 좌훈노즐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응결수수집통(230)을 삽입 장착하고, 또한 이 좌훈홈의 바닦면에는 제어부(600)에 의해 작동하는 적외선발생부(220)를 설치하여 훈증좌훈과 동시에 적외선 치료를 겸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좌훈시트부(200)의 좌훈시트케이스(210)위에는 우레탄과 같은 쿠션재질의 좌훈시트커버(250)를 마련한다.
상기 스티머(300)는 제어부(60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내부의 물과 혼합된 쑥, 허브식물 등을 비등점까지 고온가열하여 수증기를 생성하도록 하기 위해 가열통(310)과 가열통덮개(340) 및 히터(312)를 장착하고 있다.
특히, 상기 히터(312)에는 물이 없거나 또는 과열상태에서 히터에 투입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안전 접점신호를 발생하는 바이메탈접점을 마련한다.
상기 가열통(310)은 내부에 소정의 저장공간을 가지는 직사각형 유형의 함체형상으로 제작하고, 그 양측면부에는 각각 고정클립을 마련하여 그 위에 씌워질 가열통덮개(340)를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가열통(310)의 내부에는 히터(312)가 장착되고 있으며, 이 히터는 스티머의 전면에 형성된 전원접속단자(312a)에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통덮개(340)와 가열통(310)사이에는 실링부재(320)을 개재하여 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가열통덮개(340)에는 상부 일측에 손잡이부를 마련하고, 이 손잡이부의 일측에 장공형태의 스팀 토출을 위한 스티머 오프닝(344)을 일체로 형성하여 스티머 내부에서 생성된 수증기(스팀)의 배출통로를 형성시켜 준다. 이 스티머오프닝에는 분배기(400)가 장착되며, 분배기와 스티머의 기밀 결합을 안정한 상태로 일정시간 동안 유지시키기 위해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티머에 마련된 접속단자(312a)는 마그네틱의 자력으로 안면훈증부(100)의 전면 공간부(111) 내부에 마련된 전원접속단자(312b)에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두 전원접속단자의 접속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파워접속유무검출스위치가 상기 공간부 내부에 마련되며, 여기에서 검출되는 파워유무검출신호는 마이컴(650)측에 제공되도록 연결한다.
분배기(400)는 스티머(300)에서 생성된 스팀을 안면훈증부(100)의 안면훈증노즐(140)이나 좌훈시트부의 좌훈노즐(212)을 통해 토출시키도록 구비된 것으로, 이는 분배기몸체(410)와, 스팀절체기(420), 배관회동장치(430)로 구성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분배기는 내부에 스팀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있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서, 일측에는 송풍배관접속부(412)와 제1,2스팀배관접속구(416,418)이 마련되고, 장공형태의 스티머오프닝(344)에는 이 스티머오프닝 영역을 커버하는 풍로전환밸브(452,454)를 설치하여 상기 스티머오프닝(344)영역을 2분할하여 송풍입구와 스팀출구로 양분하거나 또는 상기 스티머오프닝을 완전히 덮어 송풍팬에 의한 외기만을 제1스팀배관 또는 제2스팀배관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스팀절체기(420)는 배관회동장치(430)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좌훈시트부(200)를 펼치거나 접을 때 작동하는 좌훈스팀 공급용 제2스팀배관(418a,418b)사이의 배관회동장치(430)에 의해 와이어(432)가 당겨지거나 밀려나면서 작동레버(422)의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하고, 이러한 작동레버(422)의 위치변경에 따라 그의 절곡선단부에 고정된 스팀절체기(420)가 풍로를 변경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스팀절체기(420)는 분배기(400)의 스팀출력통로 또는 건조용 외기출력통로를 제1스팀배관으로 정할것인지 제2스팀배관으로 정할것인지를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한다.
분배기(400)에 설치된 체크밸브(450)는 외기 유입구인 송풍배관접속구(41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스티머(300)의 상부에 마련된 스티머오프닝(344)을 가로로 2분할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스티머오프닝 2분할 작동모드(외기와 스팀을 혼합시켜 송풍시키기 위해 풍로전환밸브(452,454)날개를 모아 스티머를 통로로 하는 모드)에서는 스티머(300)의 스티머오프닝(344)의 분할입구영역으로 송풍팬에 의한 외기를 받아들여 스티머오프닝의 남은 불할출구영역을 통해 고온의 스팀과 외기가 혼합된 많은 량의 수증기를 제1,2스팀배관(416a,418b)으로 강제 송풍시키도록 하고, 스티머오프닝(344)차단모드이서는 이 체크밸브(450)의 풍로전환밸브(452,454), 즉 밸브날개가 펼쳐져 송풍팬(500)에 의한 외기가 스티머(30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제1,2스팀밸브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체크밸브(450)는 분배기(40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된 솔레노이드(440)와 이 솔레노이드(440)의 작동축(442)에 구비된 양단 링크(444)와 이 양단 링크(444)에 절곡된 힌지축(446)으로 구성된 솔레노이드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힌지축(446)에 체크밸브의 풍로전환밸브(452,454)를 고정 결합시켜 구성한다.
즉, 솔레노이드(440)의 작동에 의해 힌지축(446)이 회동하여 풍로전환밸브(452,454)가 작동하여, 이것이 분배기(400)의 내부 공간에 세워진 상태로 있게 되면 송풍배관접속구(41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스티머(300)의 스티머오프닝(344)의 일측부분으로 유입되고, 그의 다른 부분에서는 유입외기에 의해 혼합되어 온도가 강하된 많은 량의 스팀이 토출되게 된다.
상기 스티머(300)의 스티머오프닝(344)과 분배기(400)의 체크밸브 오프닝영역의 결합시 일정한 범위내에서의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스티머오프닝(344)에는 실링부재(346)를 개재시켜 충격흡수와 스티머내 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기밀상태가 유지되게 구성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어부(600)의 회로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마이컴(650)의 온도감시입력단에는 스팀 배풍온도의 이상고온을 검출하는 온도센서부(652)의 설정온도초과신호, 즉 고온검출신호가 입력되게 연결하고, 마이컴의 히터감시입력단에는 히터검출부(656)에 의한 히터접속 유무검출신호가 입력되게 연결한다.
상기 온도센서부(652)는 OP앰프(U1A)와 저항(R4,R7,R10)과 콘덴서(C2,C4)와 콘넥터(CON1)에 접속될 온도센서(모델명 LM35CZ)로 구성한다.
상기 히터검출부(656)는 포토커플러(PO1)와 상기 포토커플러의 포토다이오드에 단자간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D2)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센서부(652)에서 출력되는 고온검출신호는 과열보호부(654)에 입력되어 처리되어 로직신호로 출력되게 연결한다.
이 과열보호부(654)는 OP앰프(U1B)와 저항(R3,R5,R8)을 포함한다.
상기 과열보호부(654)의 로직출력은 마이컴(650)의 110V/220V 선택로직신호와 송풍팬(500)구동제어로직신호와 솔레노이드(440)구동제어로직신호와 함께 각 오어게이트(OR1)에서 오어링되어 각각 히터구동부(658), 송풍팬구동부(662), 솔레노이드구동부(664)에 인가되게 연결한다.
상기 히터구동부(658)는 각각 입출력분리를 위한 110V/220V회로용의 제2,3포토 트라이액(PO2,PO3)과 이 포토 트라이액의 영전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로크로싱회로부와 상기 포토 트라이액의 출력으로 콘넥터(CON5)에 접속된 히터(312)의 구동전력을 위상제어하는 다이액(DA1) 및 트라이액(TA2)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구동부(662)는 입출력분리를 위한 제4포토 트라이액(PO4)과 이 포토 트라이액의 영전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로크로싱회로부와 상기 포토 트라이액의 출력으로 콘넥터(CON9)에 접속된 송풍팬(5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트라이액(TA3)을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구동부(664)는 입출력분리를 위한 제5포토 트라이액(PO5)과 이 포토 트라이액의 영전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로크로싱회로부와 상기 포토 트라이액의 출력으로 콘넥터(CON13)에 접속된 솔레노이드(440)의 구동을 제어하는 트라이액(TA4) 및 다이오드(D3-D7)에 의한 브릿지정류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컴(650)의 히터 및 건조 모드표시신호출력단에는 각각 히터 가열모드 표시용 LED(LED1)와 건조모드 표시용 LED(LED2)를 가지는 동작모드표시부(666)에 연결하여, 마이컴의 동작모드가 상기 LED1,2를 통하여 표시되게 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650)의 적외선 LED제어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적외선 LED 어레이 구동신호는 적외선발생부(220)내의 트랜지스터(Q1)를 통하여 적외선 LED어레이(LED3-LED6)에 제어신호로 인가되게 연결한다.
마이컴(650)의 경보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경보부(670)내의 트랜지스터(Q2)를 통하여 부저(BZ)에 부저 구동신호로 제공되게 연결한다.
마이컴(650)에서 출력되는 온도표시신호 출력단 및 디스플레이 디지트 제어출력단에서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4-Q6)를 거친 디스플레이 디지트 선택신호는 세그먼트 디스플레이(630)에 인가되게 연결한다.
마이컴(650)의 스타트입력단에는 스타트버튼(612a)의 접점(SW1)을 통한 그라운드전위가 스위치 온신호로 제공되게 연결한다.
상기 마이컴 및 각 회로부에 동작전압으로 인가되는 회로동작전압(Vcc)은 트랜스(T1), 다이오드(D8-D11), 콘덴서(C13-C16) 및 정전압IC(RO1)을 포함하는 Vcc전원부(672)에 의해 생성되게 구성한다.
상기 히터검출부(654), 히터구동부(658), 송풍팬구동부(660) 및 솔레노이드구동부(662)에는 필터트랜스(T2), 콘덴서(C18-C20), 퓨즈(F1,F2)로 구성된 AC전원부(660)를 통하여 인가되게 구성한다.
상기 히터(312)에는 히터전원투입후 스터머본체, 즉 히터의 온도가 일정값 이상으로 올라가면 자동으로 오프접점신호를 발생하는 바이메탈접접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얼굴부위를 마사지 하거나 훈증하기 위해서는 안면훈증부(100)의 전면에 형성된 서랍형태의 스티머홀더(130)를 열고, 그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스티머(300)를 꺼낸다음, 스티머(300)의 상부에 구비된 고정클립를 해체하여 가열통(310)에 결합된 스티머덮개(340)를 열고 혼탕가열을 위해 가열통(310) 내부에 약재(쑥, 허브 등)와 적당량의 물을 채워 넣은 후 실링부재(320)를 사이에 두고 스티머 덮개(340)를 덮는다.
이렇게 가열준비가 완료된 스티머(300)를 스티머홀더(130)에 장착한 다음, 스티머홀더(130)를 안면훈증부(110)의 전면부 하단에 마련된 공간부(111)에 밀어넣는다. 이것에 의해 스티머홀더(130)는 공간부의 하부에 마련된 가이드레일(122)을 따라 전진되어 공간부에 정확히 안착 삽입된다.
스티머를 내장한 스티머홀더(130)가 공간부(111)에 완전히 삽입 장착되면 스티머의 가열통(310)에 마련된 마그네틱 전원접속단자(312a)가 상기 공간부(111)내에 마련된 전원접속단자(312b)에 접속되어 스티머(300)내의 히터구동을 위한 전원회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스티머(300)의 상부에 형성된 스티머오프닝(344)에는 분배기(400)의 체크밸브(450)통로와의 사이에 실링부재(346)를 통하여 밀착 결합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한다. 이것은 안면훈증기가 넘어지더라도 스티머(300)내의 물이 바로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본 발명 기기를 안면훈증모드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안면훈증부(100)에 좌훈시트부(200)를 접어올려 폴딩된 상태로 만든다.
이때는 좌훈시트부(200)의 좌훈노즐(212)에 결합되어 있는 배관회동장치(430)가 안쪽으로 일정각도(90도)회전하게 되므로 이 배관회동장치(430)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432)가 스프링(436)을 탄력을 이기고 작동레버(422)를 작동시켜 이 작동레버에 결합된 스팀절체기(420)에 의한 제2스팀배관(418a)으로의 송풍로는 차단되고 제1스팀배관(416a)을 통한 송풍로는 열리게 된다.
만일, 사용자가 본 발명 기기로 좌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와는 반대로 안면훈증부(100)로부터 좌훈시트부(200)를 일정각도(90도정도)펼쳐 좌훈노즐로 토출되는 스팀을 이용하는 좌훈모드로 세트한다.
이때는 좌훈시트부(200)의 좌훈노즐(212)에 결합되어 있는 배관회동장치(430)가 바깥쪽으로 일정각도(90도)회전하면서 이 배관회동장치(430)에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432)를 당기게 되므로 작동레버(422)는 스프링의 탄성이 지지되는 상태로 이동하여 이 작동레버(422)에 결합된 스팀절체기(420)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스팀절체기의 이동으로 제1스팀배관(416a)으로의 송풍로는 차단되고 제2스팀배관(418a)을 통한 송풍로가 열려져 본 발명 기기는 좌훈모드로 세트된다.
이와 같이 안면훈증부(100)에 스티머(300)를 장착하고 또한 본 발명 기기의 동작모드를 결정한 상태에서 안면훈증부케이스의 측면에 마련된 스타트버튼(612a)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600)의 실행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가 스타트된다.
그 스타트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스타트버튼(612a)을 누르면 마이컴(650)은 그의 전원투입 출력단을 통하여 사전에 설정된 시간동안(예로서 30분) AC110V/220V 제어신호를 히터구동부(658)에 내보내 AC전원부(660)의 전원전압이 마그네틱 전원접속단자(312a,312b)를 통해 스티머(300)내에 장착된 히터(312)로 인가되게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히터(312)가 가열되어 스티머(300)의 가열통(310)에 장입된 물과 약제(약쑥, 허브식물 등)는 비등점까지 급속가열된다.
이때, 본 발명 기기에 스티머(300)가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스티머(300)가 장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가열시킬 물이 장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티머 가열통(310)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히터온도를 감시하는 바이메탈이 작동한다.
바이메탈의 작동은 히터검출부(656)에 인가되는 AC전원부(660)의 출력전압을 차단하여 히터검출부(656)내의 포토커플러를 통해 마이컴(650)에 히터없음/물없음 신호(하이레벨 신호)를 제공한다.
한편 스티머(300)내 히터(312)의 가열로 인하여 가열통(310)내의 물이 끓어 수증기가 발생되면 이러한 수증기는 온도센서(도시생략)에 의해 감지되어 온도센서부(652)에서 처리되어 마이컴(650)의 온도센싱신호 입력단에 입력된다.
이러한 온도센서부(652)에 의한 온도센싱신호는 마이컴에서 처리되어 디스플레이조절기(612)에 마련된 디스플레이(630)를 통하여 현재의 온도값을 디지트로 표시하고, 또한 현재의 온도가 상한온도 값에 도달하게 되면 히터(312)제어를 위한 히터오프 제어신호가 마이컴에서 발생되어, 오어게이트를 통해 히터를 제어하는 히터구동부(658)의 포토 트라이액 제로크로싱회로에 히터 구동 오프신호로 제공됨과 동시에 경보부(670)내의 부저 구동용 제어신호를 내보내 경고용 부저를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온도센싱부(652)에 의해 이상 고온이 검출되면 이러한 신호는 과열보호부(654)에서 히터구동전압차단 신호가 발생되어 모든 오어게이트(U3A-U3D)의 출력을 하이레벨로 만들어 AC전력회로의 동작을 일시에 중단시킨다.
스티머(300)의 가열온도는 안면훈증부(100)의 케이스 측면에 마련될 수 있는 온도조절기(614)를 조절하는 것으로 히터(312)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한하여 가열통 내의 물의 가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마이컴(650)은 본 발명 기기의 스타트 온에 따른 스티머(300)제어와 함께 송풍팬(5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마이컴의 송풍팬 제어신호는 오어게이트(U3C)를 통하여 송풍팬구동부(662)에 인가되고 이것에 의해서 송풍팬구동부에 접속된 송풍팬(500)이 기동된다.
이때 분배기(400)는 체크밸브(450)의 날개, 즉 풍로전환밸브(452,454)의 기립으로, 스티머오프닝(344)이 2 분할되어 송풍팬(500)에 의한 외기가 스티머 내부의 스팀을 밀어내는 조건이 된다. 이 과정에서 고온의 스팀은 외기의 혼입으로 적정한 온도로 다운되어 스팀절체기(420) 및 각각의 스팀배관을 선택적으로 통하여 안면훈증노즐(140) 또는 좌훈노즐(212)로 배출되어 확산되게 된다.
또한 마이컴은 본 발명의 좌훈시트부(200)를 펼쳐 좌훈모드로 세트된 경우, 배관회동장치(430)와 스팀절체기(420)의 작동으로 스티머(300)에서 생성되어 송풍팬에 의해 블로잉되는 스팀은 좌훈노즐(212)을 통해 배출확산된다.
이러한 좌훈모드에서 적외선 발생부(220)의 적외선발생 스위치(SW2)를 온시키면 마이컴(650)에서는 좌훈시트부(200)의 좌훈노즐 하단부 바닦면에 장착되는 적외선LED 어레이(LED3-LED6)구동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약쑥, 허브 등의 스팀을 이용한 좌훈시 적외선 살균효과가 얻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 기기의 동작중 마이컴에서는 기기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동작신호를 동작모드표시부(666)에 내보내, 동작모드표시부(666)내의 LED(LED1)가 점등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 기기를 이용한 좌훈 또는 안면훈증은 마이컴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되는 제1의 설정시간(예를 들면 30분 정도)으로 제한되며, 그 설정된 시간이 종료되면 마이컴(650)은 히터구동부(658)에 히터구동 오프신호를 내보내고 솔레노이드구동부(664)에 솔레노이드구동신호를 내보낸다.
이때, 송풍팬구동부(662)는 구동상태 유지로 제어한다.
마이컴에서 상기 솔레노이드구동부(664)에 솔레노이드구동신호를 내보내면 솔레노이드(440)의 작동으로 분배기(400)의 체크밸브(450)의 날개부, 즉 풍로전환밸브(452,454)가 펼쳐져 스티머(300)의 스티머오프닝(344)이 덮어 지게 되므로, 분배기는 외기 송풍패스가 직선화되고 스티머(300)에 잔류하는 스팀은 그 배출통로가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송풍팬(500)에 의한 외기는 분배기를 거쳐 바로 제1스팀배관(416a) 또는 제2스팀배관(418a)를 통하여 해당 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 스팀 배관통로에 남아있던 수증기와 습기가 송풍팬에 의한 강제배풍에 의해 건조되게 된다.
이러한 배관 건조모드는 제2의 설정시간(예르 들면 10분정도)가 경과하고 나면 마이컴의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오프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의 마이컴 동작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드라이 모드 서브루틴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기기의 동작을 위해 스타트버튼을 눌러 전원을 온 시키면 가열통의 히터에 접속된 바이메탈로부터 일정시간 범위내에서 회로 오픈접점신호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바이메탈 오픈접점신호가 발생되면 스티머 또는 그 스티머에 물없음 상태이므로 경고와 함께 동작램프를 점멸하여 사용자에게 이상상태를 표시하고, 바이메탈 오픈접점신호가 없으면, 즉 정상가열조건이면 히터 전원투입에 의한 가열과 동시에 스팀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를 표시한다.
이어서, 솔레노이드의 동작으로 사용자모드별 스팀공급라인을 열어주고, 적외선발생부의 적외선LED 어레이를 구동시키고, 송풍팬을 구동시켜 좌훈 또는 안면훈증을 위한 스팀을 방출한다.
이러한 스팀온도는 온도센서부의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되어 상한 온도값에 이르게 되면 트라이액의 위상제어를 통해 히터에 투입되는 전력량을 1/4파장 정도로 줄여 가열을 지속한다.
이러한 저전력가열을 포함한 기기 동작시간이 제1설정시간(30분 정도)에 도달하게 되면 전원을 오프하고 이어서 드라이 서브루틴을 실행한다.
드라이 서브루틴은 다음과 같다.
기기의 스타트온 시점으로부터 제1의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마이컴은 히터전원을 오프하고, 적외선LED 어레이를 오프하고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시티머의 스팀공급라인을 차단하고 외기 송풍라인을 오픈하도록 한다.
이어 송풀팬의 연속적인 구동에 의해 직전의 사용자 훈증모드 또는 좌훈모드 실행에 따른 해당 배관 및 분배기 등의 잔류 습기나 물기를 건조시키게 된다.
이러한 건조모드의 실행이 제2의 설정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송풍팬을 오프하다음의 기기동작을 위한 스타트버튼의 눌림을 대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약쑥이나 허브 식물류 등을 가열통 속에 함께 투입하고 이를 비등점까지 가열시켜 스팀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스팀을 송풍팬으로 강제송풍시켜 좌훈 또는 안면훈증을 실행할 수있도록 함으로써, 확실한 살균효과와 강력한 스팀송풍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훈부와 안면훈증부를 하나의 몸체에 폴딩형식으로 구성하되 스팀분출 패스를 각각 독립적으로 설계하여 사용자 모드가 좌훈모드와 안면훈증모드로 완전 분리되게 하고 이러한 사용자 모드마다 분배기를 통한 스팀이 선택적으로 각각의 노즐을 통하여 분출되도록 함으로써 보관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사용할 수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좌훈기의 구조를 양반자세로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낮은 높이로 설계할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과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가져다 준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컴 제어를 통하여 좌훈 및 안면훈증시간을 최적화하고 사용후 일정시간동안의 건조모드 자동실행을 통하여 결로현상 등에 기인하는 미생물번식 및 악취생성 가능성을 근본적으로 배제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허브 식물이나 인지쑥 등을 이용한 실내살균, 소독 및 허브 향 효과와 더불어 실내가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를 이용한 훈증모드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를 이용한 좌훈모드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좌훈 및 안면훈증기의 좌훈모드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좌훈 및 안면훈증기의 좌훈모드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좌훈 및 안면훈증기의 좌훈모드시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좌훈 및 안면훈증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좌훈 및 안면훈증기에 내장되는 스티머와 송풍팬과 스팀배관들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좌훈 및 안면훈증기의 스티머에 연결된 분배기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에 내장된 스티머의 사시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좌훈 및 안면훈증기에 내장된 스티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좌훈 및 안면훈증기의 제어회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좌훈 및 안면훈증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는 제어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 좌훈 및 안면훈증기의 드라이 모드 서브루틴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면훈증부 111 : 공간부
112 : 돌출결합부 112a : 회동축
122 : 가이드레일 130 : 스티머홀더
140 : 안면훈증노즐 200 : 좌훈시트부
211 : 리세스부 211a : 축홈
212 : 좌훈노즐 220 : 적외선발생부
230 : 응결수수집통 240 : 좌훈시트케이스
250 : 좌훈시트커버 300 : 스티머
310 : 가열통 312 : 히터
312a,312b : 전원접속단자 320,346 : 실링부재
340 : 가열통덮개 340 : 스티머덮개
344 : 스티머오프닝 400 : 분배기
412 : 송풍배관접속구 412a : 송풍배관
416 : 제1스팀배관접속구 416a : 제1스팀배관
418 : 제2스팀배관접속구 418a,418b : 제2스팀배관
420 : 스팀절체기 422 : 작동레버
430 : 배관회동장치 432 : 와이어
436 : 스프링 440 : 솔레노이드
452,454 : 풍로전환밸브 500 : 송풍팬
600 : 제어부 612 : 디스플레이조절기
612a : 스타트버튼 614 : 온도조절기
630 : 디스플레이 650 : 마이컴
652 : 온도센서부 654 : 과열보호부
656 : 히터검출부 658 : 히터구동부
660 : AC전원부 662 : 송풍팬구동부
664 : 솔레노이드구동부 666 : 동작모드표시부
670 : 경보부 672 : Vcc전원부

Claims (3)

  1. 약쑥이 투입된 물을 비등점까지 전기가열하는 스티머(300)와, 상기 스티머에서 생성된 고온의 스팀을 강제 배출시키며 배출되는 스팀온도를 강하시키기 위해 외기를 혼합 송풍시키는 송풍팬(500)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온도강하되어 강제 송풍될 스팀의 패스를 결정하는 스팀절체기(420)와, 상기 스팀절체기에 의해 선택될 제1스팀배관에 결합되어 안면훈증용 스팀을 분출하는 안면훈증부(100)에 마련된 안면훈증노즐(140)과, 상기 스팀절체기에 의해 선택될 제2스팀배관에 결합되어 좌훈용 스팀을 분출하는 좌훈시트부(200)에 마련된 좌훈노즐(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훈 및 안면훈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훈시트부(200)는 스탠드 타입의 안면훈증부(100)에 대해 직각범위내에서 접고 펼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설계하되, 좌훈시트부(200)가 안면훈증부(100)에 접혀져 있을 경우에는 스팀절체기(420)의 절체동작으로 제1스팀배관에 결합된 안면훈증노즐(140)를 통하여 스팀이 분출되게 구성하고, 좌훈시트부(200)가 안면훈증부(100)에서 펼쳐지는 경우에는 스팀절체기(420)의 절체동작으로 제2스팀배관에 결합된 좌훈노즐(212)을 통하여 스팀이 분출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훈 및 안면훈증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머(300)와 송풍팬(500)은 시스템 동작전원 투입과 동시에 제1의 설정시간 동안 작동되고, 상기 제1의 설정시간 경과 후에는 스팀배관 및 노즐의 건조를 위해 상기 송풍팬(500)만 선택적으로 제2의 설정시간 동안 작동되도록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훈 및 안면훈증기.
KR10-2002-0068809A 2002-11-07 2002-11-07 좌훈 및 안면훈증기 KR100474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809A KR100474641B1 (ko) 2002-11-07 2002-11-07 좌훈 및 안면훈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809A KR100474641B1 (ko) 2002-11-07 2002-11-07 좌훈 및 안면훈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630A KR20040040630A (ko) 2004-05-13
KR100474641B1 true KR100474641B1 (ko) 2005-03-11

Family

ID=3733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809A KR100474641B1 (ko) 2002-11-07 2002-11-07 좌훈 및 안면훈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285B1 (ko) * 2007-03-08 2008-09-11 주식회사 씨엔텍 훈증기
KR100974893B1 (ko) * 2007-12-11 2010-08-11 한경희 스킨 보습기
KR100946297B1 (ko) * 2007-12-11 2010-03-08 한경희 스킨 보습기
KR100946296B1 (ko) * 2007-12-11 2010-03-08 한경희 스킨 보습기
KR100974896B1 (ko) * 2007-12-11 2010-08-11 한경희 스킨 보습기
KR100864294B1 (ko) * 2008-02-25 2008-10-20 주식회사 씨엔텍 훈증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972U (ko) * 1997-04-23 1998-11-25 윤봉학 한방 사우나기
KR200255536Y1 (ko) * 2001-08-27 2001-12-13 이수현 질구(膣口) 및 항문(肛門)의 훈증장치
KR100318664B1 (ko) * 1999-10-08 2001-12-28 최용훈 치료용 좌욕기
KR200261213Y1 (ko) * 2001-09-17 2002-01-19 성진헬먼트전자 주식회사 원적외선 온열 및 훈증 좌욕기
KR200288237Y1 (ko) * 2002-05-30 2002-09-09 송규현 훈증 좌욕기
KR200295016Y1 (ko) * 2002-08-08 2002-11-16 윤봉학 한방 사우나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972U (ko) * 1997-04-23 1998-11-25 윤봉학 한방 사우나기
KR100318664B1 (ko) * 1999-10-08 2001-12-28 최용훈 치료용 좌욕기
KR200255536Y1 (ko) * 2001-08-27 2001-12-13 이수현 질구(膣口) 및 항문(肛門)의 훈증장치
KR200261213Y1 (ko) * 2001-09-17 2002-01-19 성진헬먼트전자 주식회사 원적외선 온열 및 훈증 좌욕기
KR200288237Y1 (ko) * 2002-05-30 2002-09-09 송규현 훈증 좌욕기
KR200295016Y1 (ko) * 2002-08-08 2002-11-16 윤봉학 한방 사우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630A (ko)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97454B (zh) 一种干脚机及干鞋和干脚联合装置
KR100951969B1 (ko) 착석식 스팀 족욕 겸용 좌훈 장치
US7367067B2 (en) Warm bath apparatus
WO2003079774A1 (es) Estacion para la limpieza, desinfeccion y desparasitacion e hidromasaje de animales
CN101803993A (zh) 坐式蒸汽足浴兼用坐熏装置
KR100474641B1 (ko) 좌훈 및 안면훈증기
KR0172673B1 (ko) 사우나실용 방향발생 및 가습장치와 이를 구비한 사우나목욕장치
CN203244580U (zh) 足膝熏蒸仪
KR20150012074A (ko) 열선 송풍기와 적외선 램프가 내장된 발 건조기
KR20200037035A (ko) 신발 위생처리장치
CN202950608U (zh) 带熏蒸功能的新型马桶盖
CN206239311U (zh) 烘脚器及烘脚设备
CN102908095A (zh) 带熏蒸功能的新型马桶盖
KR200388374Y1 (ko) 좌훈기
KR100336315B1 (ko) 의자를 이용한 쑥찜장치
KR101338919B1 (ko) 다기능 훈욕기
KR20120018432A (ko) 안면미용, 좌욕, 가습기능을 겸용으로 사용가능한 다기능 훈증기
KR100997414B1 (ko) 좌욕 겸용 각탕기
CN209092125U (zh) 一种带有热风循环装置的足浴器
CN208911015U (zh) 消毒柜
KR200487490Y1 (ko) 발 건조기
KR200184891Y1 (ko) 의자를 이용한 쑥찜장치
CN208892386U (zh) 一种恒温坐浴盆
CN106562709A (zh) 烘脚器及烘脚设备
CN212316496U (zh) 一种被褥烘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