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562B1 -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과 방법 및 그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과 방법 및 그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562B1
KR100472562B1 KR10-2002-0043925A KR20020043925A KR100472562B1 KR 100472562 B1 KR100472562 B1 KR 100472562B1 KR 20020043925 A KR20020043925 A KR 20020043925A KR 100472562 B1 KR100472562 B1 KR 100472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vessel
finger
vessel pattern
orig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0892A (ko
Inventor
조승호
Original Assignee
신성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복 filed Critical 신성복
Priority to KR10-2002-0043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562B1/ko
Publication of KR20040010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0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가락의 혈관 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개인의 손가락에 고유하게 분포된 정맥의 혈관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손가락의 손톱주위에 각 개인마다 고유하게 분포하는 손가락 정맥의 혈관패턴을 고배율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다수 클래스의 원본으로 저장하고,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비교시, 입력된 확인요청본이 해당하는 클래스의 원본을 찾아내어 일대 일 비교하며, 그 일치정도에 따라 해당 사용자를 본인으로 인증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지문과는 달리 외부 노출이 안되고 지문보다 위조가 힘든 독특한 손가락의 정맥 혈관패턴에 의해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신원확인시스템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지문과 그외 생체인식에 문제가 있는 사용자의 신원을 정확하게 확인해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FINGERPRINT AND FINGER BLOOD VESSEL AND MEDIA THAT CAN RECORD COMPUTER PROGRAM SOURCES THEREOF}
본 발명은 손가락의 혈관 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가락의 손등쪽으로 손톱 주위에 각 개인마다 고유하게 분포하는 미세한 정맥의 혈관패턴을 채취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손가락 혈관 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 및 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 인식에 의하여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시스템은, 개인의 신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지문이나 음성, 홍채 등의 각 개인마다 고유한 신체적 특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생체 인식에 의한 신원 확인 시스템들은 여러 종류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지문 인식에 의한 신원 확인 시스템은 손바닥에 나타나는 개인 고유의 특징인 지문을 채취하여 등록정보로 저장하여 두고, 기 저장된 지문들과 채취한 지문들과의 비교한 결과로 어느 한 개인을 특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문패턴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개인의 신원을 확인해내는 시스템에서는 지문이 지워져 있거나 또는 기타의 다른 이유로 인해 인식 불가능한 지문 패턴이 채취된 경우,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지문은 손의 바닥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건을 만지거나 혹은 물건에 접촉될 때마다 흔적을 남기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사람의 지문은 각 개인이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개인이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불특정 다수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지문 소유자인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노출된 지문이 불법 사용자에 의해 복사 또는 위조되어 상기 지문 인식에 의한 신원 확인 시스템에 정당하지 못한 방법으로 도용될 수 있는 우려가 있었다.
한편, 손가락의 손등쪽으로 손톱 주위에는 미세한 정맥혈관이 분포되어 있는데, 이러한 정맥혈관은 사람이 태어날때부터 각 개인마다 고유한 패턴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어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곳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선 위쪽 피부는 살갗이 얇게 형성되어 있어서 손가락의 다른 부분에 비해 이곳의 정맥혈관을 쉽게 채취할 수 있으며, 식별 또한 용이하다.
만약, 이러한 정맥혈관의 패턴들을 채취하여 각 개인별 등록정보로 저장하여 두고, 이후 각 개인의 고유한 정맥혈관 패턴을 이용하여 신원 확인이 요구되는 개인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한다면, 상기와 같이 지문 인식에 의한 신원 확인 시스템에서 지문이 지워졌거나 또는 기타의 다른 이유로 인식이 어려운 지문이 촬영되었을 경우에도 개인의 신원을 확인해낼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신원 확인 시스템의 정확성 효율을 더욱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대에 부응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신원확인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다수개 촬영하여 복수의 원본으로 등록하여 두고, 이후 확인 요청본으로 입력되는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기 등록된 복수의 원본과 각각 일대일 비교하는 동작으로 각 개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문 인식에 의한 신원확인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지문 인식에 의한 신원확인 시스템에 있어서도, 신원확인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다수개 촬영하여 복수의 원본으로 등록하여 두고, 이후 확인 요청본으로 입력되는 지문 영상이 인식 불가능한 형태이거나 신원확인 불가능한 것일 경우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촬영 및 취득하여 상기 복수의 원본과 각각 일대일 비교하는 동작으로 각 개인의 신원을 2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지문과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 시스템과 방법, 및 그 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지정된 구동신호에 의해 각각 작동되는 복수의 광원 및 고배율 줌기능을 가진 카메라를 구비하여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촬영하는 화상입력수단과, 상기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촬영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원본으로 등록할 것인지 또는 확인 요청본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설정키를 포함하는 기능설정수단과, 한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손가락 혈관 패턴의 원본을 복수개 저장하는 원본 저장수단과, 상기 화상입력수단에 지정된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취득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상기 원본 저장수단에 등록하거나 또는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혈관패턴 확인수단을 포함하는,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의 실시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원본등록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촬영각도가 다른 복수의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취득하여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복수개의 원본으로 등록하는 과정과,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혈관패턴 확인수단에서 처리되는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방법의 실시예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정된 구동신호에 의해 각각 작동되는 복수의 광원 및 고배율 줌기능을 가진 카메라를 구비하여 지문패턴영상과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촬영하는 화상입력수단과, 상기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촬영되는 지문패턴영상과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원본으로 등록할 것인지 또는 확인 요청본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설정키를 포함하는 기능설정수단과, 한 개인을 특정하는 지문패턴 원본과 손가락 혈관패턴의 원본을 각각 복수개씩 저장하는 원본 저장수단과, 상기 화상입력수단에 지정된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취득되는 지문영상을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상기 원본 저장수단에 등록하거나 또는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지문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지문 확인수단과, 상기 화상입력수단에 지정된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취득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상기 원본 저장수단에 등록하거나 또는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혈관패턴 확인수단을 포함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의 실시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원본등록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촬영각도가 다른 복수의 손가락 혈관패턴영상과 지문영상을 각각 취득하여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복수개의 원본으로 각각 등록하는 과정과,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 자로부터 취득된 지문영상을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1차 확인하는 과정과,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2차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지문 확인수단과 혈관패턴 확인수단과의 유기적인 결합에 의한 연동 및 그 각각에서 처리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방법의 실시예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 시스템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혈관패턴 확인수단이, 원본등록을 위해 촬영되는 복수개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으로부터 손가락 촬영각도가 각각 다른 영상만을 선별 취득하여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클래스로 각각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각 클래스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클래스별 원본으로 각각 등록 및 저장하는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과, 신원 확인을 위해 촬영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기등록된 각 클래스별 원본과 일대일 비교 및 분석하고, 그 비교 분석결과에 따른 해당 사용자의 신원 확인정보를 생성하는 혈관패턴 비교 분석수단과, 복수의 광원 및 고배율 줌기능 카메라를 지정된 동작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동로직을 탑재하며, 상기 구동로직에 따라 상기 각 광원의 점멸제어 및 상기 고배율 줌기능 카메라의 배율조절을 위한 구동신호를 상기 화상입력수단으로 공급하는 광원 및 배율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여러 목적들이 더욱 더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 방법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 등록 과정이, 등록을 원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으로부터 각기 서로 다른 촬영각도를 가진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만을 선별하여 복수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선별 취득된 복수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클래스로 구분하는 단계와, 상기 구분된 각 클래스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해당 블록의 우선순위와 함께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원본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여러 목적들이 더욱 더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 방법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혈관패턴 비교에 의한 신원 확인과정이, 신원 확인을 원하는 개인으로부터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취득된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속하는 클래스 및 해당 클래스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검색하여 그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존재하는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대해서,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 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여러 목적들이 더욱 더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한 각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의 본 발명은 원본 저장수단에 복수개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과 지문영상이 한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원본으로 각각 저장되고, 지문 확인수단과 혈관패턴 확인수단이 모두 구비된 경우의 신원 확인시스템과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방법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 세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메모리에 상주하며, 이들 명령어 세트는 CD-ROM 등과 같은 기록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신원확인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은 지문패턴 및 손가락 혈관패턴의 영상을 취득하는 화상입력수단(10)과, 기능설정을 위한 기능설정수단(20)과,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주처리수 단(30)과, 각 개인에 대한 지문패턴 및 손가락 혈관패턴의 원본을 저장하는 원본 저장수단(40)과, 지문 비교에 의해 한 개인을 특정하는 지문 확인수단(50)과, 손가락 혈관패턴 비교에 의해 한 개인을 특정하는 혈관패턴 확인수단(60)을 포함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2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는, 지문 확인수단(50)에서는 1차적인 신원확인을, 혈관패턴 확인수단(60)에서는 2차적인 신원확인을 실시하도록 구성가능하다. 또한, 상기 혈관패턴 확인수단(60)이 상기 지문 확인수단(50)에 의한 1차 신원확인과정에서의 1차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신원확인을 실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혈관패턴 확인수단(60)이 상기 지문확인수단(50)에 의한 1차 신원확인결과에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신원확인을 실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도 1에서 예시된 블록도의 구성요소중에서 그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 1목적을 선택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 1목적은, 상기 화상입력수단(10)과, 기능설정수단(20)과, 주처리수단(30)과, 원본 저장수단(40)과, 혈관패턴 확인수단(60)을 포함하는,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의 실시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혈관패턴 확인수단(60)은 상기 원본 저장수단(40)에 한 개인을 특정하기 위해 저장되어 있는 원본의 지문패턴과 손가락 혈관패턴 중에서, 지문 패 턴 비교여부 또는 그 비교결과에 관계없이, 단지 손가락 혈관패턴만을 검색 및 비교하여 한 개인을 특정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 시스템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화상입력수단(10)은 미세한 손가락 혈관패턴 및 지문패턴의 영상신호를 촬영하기 위한 고배율 줌기능을 가진 카메라(11)와, 상기 카메라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캡쳐하여 화상처리하는 영상 캡쳐수단(12)과, 상기 카메라 주변의 광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주변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광원(13), 및 상기 카메라의 줌배율을 조정하기 위한 줌 구동수단(14)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설정수단(20)은 상기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지문영상이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원본으로 등록할 것인지 또는 확인 요청본으로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설정키 및 그 밖의 다른 다수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처리수단(30)은 지문 확인수단(50)과 원본 저장수단(40), 또는 혈관패턴 확인수단(60) 및 원본 저장수단(40)을 선택적으로 엑세스하여, 상기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취득되는 지문패턴영상 또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원본으로 등록 및 저장하거나 또는 기등록된 원본과 비교하여 각 개인의 신원 확인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원본 저장수단(40)은 한 개인을 특정하는 지문패턴 원본을 복수개 저장하는 지문패턴 저장수단(41)과,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클래스로 분류된 다수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한 개인을 특정하는 클래스별 원본 손가락 혈 관 패턴영상으로 등록 및 저장하는 손가락 혈관패턴 저장수단(42)을 포함한다.
상기 지문 확인수단(50)은 지문등록 제어수단(51)과 지문비교 분석수단(52)과 광원 제어수단(53)을 포함하여, 상기 화상입력수단에 지정된 구동신호를 공급 및 그를 통해 취득되는 지문영상을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상기 원본 저장수단에 등록하거나 또는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지문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지문등록 제어수단(51)은 원본 등록을 위한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다수개의 지문패턴영상을 각 개인에 대한 원본 지문패턴영상으로 등록 및 저장한다.
상기 지문비교 분석수단(52)은 신원 확인을 위한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지문패턴영상을 상기 지문패턴 저장수단에 기등록된 원본 지문패턴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분석하여 해당 개인의 신원 확인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광원 제어수단(53)은 지문 촬영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화상입력신호로부터 선명한 지문패턴영상을 취득할 수 있도록, 상기 화상입력수단의 카메라 주변의 다수의 광원에 구동신호를 제공하여 광원의 점멸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혈관패턴 확인수단(60)은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61)과 혈관패턴 비교 분석수단(62)과 광원 및 배율 제어수단(63)을 포함하여, 상기 화상입력수단에 지정된 구동신호를 공급 및 그를 통해 취득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상기 원본 저장수단에 등록하거나 또는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61)은 하나의 손가락으로부터, 손가락 촬영각도가 각기 서로 다른 복수개의 영상을 선별하여 취득한다. 그리고 선별 취득된 다수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의 촬영각도에 따라 각각 분류하고, 손가락 촬영각도별로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클래스로 지정하여 복수개의 클래스별 영상을 상기 원본 저장수단의 손가락 혈관패턴 저장수단(42)에 해당 개인을 특정하는 원본으로 등록 및 저장한다. 이때, 상기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61)은 상기 선별 취득된 각각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다시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해당 블록의 순위값과 함께 상기 원본 저장수단에 저장한다. 도 2a 내지 도 2c와, 도 3a와 도 3b, 및 도 4a와 도 4b에는 이러한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61)에 의해 이루어지는 클래스 설정, 대역 분할, 블록 설정, 및 혈관패턴(15)이 존재하는 블록의 우선순위값 추출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손가락 혈관패턴 영상이 예시되어 있다.
즉, 도 2a 내지 도 2c에는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각 클래스(도면에서는 3개의 클래스로 구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음)로 구분된 다수의 영상들-정면 촬영된 제 1클래스의 원본 영상(도 2a)과, 오른쪽으로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져 촬영된 제 2클래스의 원본 영상(도 2b)과, 왼쪽으로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져 촬영된 제 3클래스의 원본 영상(도 2c)-이 각각 예시되어 있다. 이들 원본 영상은 손가락의 중심을 지나면서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직선을 y축으로 하고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직선을 x축으로 하여, 상기 x축에 나란하게 또는 상기 y축에 나란하게 소정 개수의 분할대역(16)으로 구분된 상태로 상기 손가락 혈관패턴 저장수단(42)에 등록 및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문 패턴의 경우는 손가락 혈관패턴의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단지 손등쪽을 촬영한 경우는 손가락 혈관패턴이, 손바닥쪽으로 촬영한 경우는 지문 패턴이 각각 촬영되므로 지문패턴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이나 도면을 통한 예시는 생략한다.
도 3a는 상기 도 2a의 정면 촬영된 원본영상을 x축에 나란한 소정개수(도면에서는 9개를 예시하고 있음)의 직선에 의해 일정간격씩 다수의 대역(B1-B9)으로 나누고, 상기 분할된 각 대역에 지정되는 우선 순위(B1>B2>...>B8>B9)를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정면 촬영된 원본영상은 y축에 나란한 소정 개수(도면에서는 16개를 예시하고 있음)의 직선에 의해 일정간격씩 다수의 대역(A1-A16;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으로 나눌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y축에 의해 분할된 각 대역에 지정되는 우선 순위는 A1>A2>...>A15>A16이다.
도 3b는 상기 도 3a의 각 분할 대역을 다시 또 다른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개수씩 영역 분할(x축에 나란하게 분할된 9개의 각 대역을 다시 y축에 나란한 16개의 직선으로 영역 분할하거나, 또는 y축에 나란하게 분할된 16개의 각 대역을 다시 x축에 나란한 9개의 직선으로 영역 분할)하여 다수의 블록(17; 빗금친 부분)을 설정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의 확대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61)은 카메라의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분류된 각 클래스의 영상을, 임의의 축을 기준하여 그 상하 또는 좌우로 일정간격을 갖는 다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각 분할대역에 미 리 정해진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A1>A2>A3...A10>A11>A12 또는 B1>B2>...B8>B9)를 각각 부여한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순위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손가락 중심 y축을 기준으로 하여 y축에 접하는 대역에서부터 차례로 그 좌측에는 A1, A3, A4, A7, A8, A11, A12, A15를, 그 우측에는 A2, A5, A6, A9, A10, A13, A14, A16을 각각 부여하고,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을 지나는 x축의 바로 위에 접하는 대역에서부터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의 소정 부분(예를 들어, 혈관패턴이 나타날 수 있는 부분)까지 차례로 B1, B2, B3, B4, B5, B6, B7, B8, B9의 순위를 부여한 경우를 예로 든다.
도 4a는 상기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61)이 상기 도 2a의 정면 촬영된 원본영상으로부터 혈관패턴(15)이 존재하는 부분의 블록을 추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4b는 혈관패턴이 나타난 부분만을 발췌한 확대도이고, 도 4c는 실제 손가락 혈관 패턴을 촬영한 영상이다.
이들 도면에 의하면, 상기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61)은 상기 도 2a와 같은 영상으로부터 상기 도 3a 및 도 3b와 같은 각 분할 대역 및 블록설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x축 및 y축이 만나는 점을 중심점(0,0)으로 하여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해당 블록의 순위값과 함께 상기 원본 저장수단에 저장한다. 즉,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점(0,0)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세번째이면서 위쪽으로 두번째되는 블록에 혈관패턴(15)이 나타난 경우에는 해당 블록의 우선순위값(A6,B2)이 혈관패턴 영상과 함께 손가락 혈관패턴 저장수단(42)에 저장됨을 알 수 있으며, 만약, 중심점(0,0) 으로부터 왼쪽으로 두번째이면서 위쪽으로 세번째되는 블록에 혈관패턴이 나타난 경우에는 해당 블록의 우선순위값(A3, B3)이 혈관패턴 영상과 함께 손가락 혈관패턴 저장수단(42)에 저장됨을 알 수 있다.
상기 혈관패턴 비교 분석수단(62)은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손가락 혈관패턴이 촬영되면, 상기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61)에 의해 손가락 혈관패턴 저장수단(42)에 기등록된 각 클래스별 원본과 일대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분석하고, 그 비교 분석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알 수 있는 신원 확인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광원 및 배율 제어수단(63)은 복수의 광원 및 고배율 줌기능 카메라를 지정된 동작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동로직을 탑재한다. 따라서 상기 광원 및 배율 제어수단(63)은 손가락 혈관패턴 촬영시 상기 구동로직에 따라 상기 각 광원의 점멸제어 및 상기 고배율 줌기능 카메라의 배율조절을 위한 구동신호를 상기 화상입력수단의 다수의 광원(13) 및 줌 구동수단(14)으로 각각 공급한다. 이로써, 상기 광원 및 배율 제어수단(63)은 상기 화상입력수단(10)의 고배율 줌기능 카메카(11)를 통해 등록 또는 비교를 원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할 때, 손가락의 미세한 혈관패턴을 고배율로 확대하여 정확한 혈관패턴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c에 의하면, 상기 광원 및 배율 제어수단(63)은 손가락 혈관패턴 촬영시, 먼저 손가락의 정면 촬영을 위한 구동신호를 상기 화상입력수단의 복수의 광원 및 고배율 줌기능 카메라로 전송하고, 다음으로 오른쪽으로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전송하고, 마지막으로 왼 쪽으로 일정각도만큼 기울어진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화상입력수단의 복수의 광원 및 고배율 줌기능 카메라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된 구동로직을 탑재함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61)은 정면에서 촬영된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취득한 후 고배율의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보다 정확하게 확대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게 되며, 상기 확대된 영상으로부터 대역 분할 및 블록 설정하여 혈관패턴이 존재하는 영역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다시 오른쪽과 왼쪽으로 기울어진 손가락 혈관패턴 영상을 차례로 취득할 수 있게 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해당 영상에서의 블록을 추출 및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신원확인시스템에서의 원본 등록 및 신원 확인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는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원본영상 등록 및 신원 확인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도면에서는 지문 등록과정(S503) 및 등록된 지문비교에 의한 신원 확인과정(S520)은 그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단지 본 발명에서 주된 요지로 하는 혈관패턴 등록과정(S504-S511) 및 등록된 혈관패턴에 의한 신원 확인과정(S522-S533)만을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신원확인방법은 혈관패턴 확인수단이 주처리수단을 통해 지문 확인수단과 상호 연계하에 처리하는 상태를 예로 들어,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며,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 있는, 지문영상 비교에 의한 1차 신원확인과정과, 상기 1차 신원확인과정에서 지문 영상에 의한 신원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 한정적으로 실시되도록 프로그램된 혈관패턴 영상 비교에 의한 2차 신원확인과정을 포함하는 신원확인방법을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신원확인방법은 주처리수단이 수행하는, 기능 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를 체크하여, 원본 등록요청이 있는지 또는 신원확인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1)와, 원본 등록 요청인 경우 지문을 등록할 것인지 혈관패턴을 등록할 것인지를 다시 판단하는 단계(S502)를 포함하고, 지문에 의한 원본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에 지문 확인수단이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원본등록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복수개의 지문영상을 각각 취득하여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지문 원본으로 등록하는 과정(S503)와, 손가락 혈관패턴에 의한 원본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에 혈관패턴 확인수단이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촬영각도가 다른 복수의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각각 취득하여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복수개의 원본 혈관패턴으로 각각 등록하는 과정(S504-S511)과,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경우에 지문 확인수단이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지문영상을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1차 확인하는 과정(S520)과, 상기 지문비교에 의한 1차 신원확인결과 지문인식 또는 신원확인이 불가능할 경우에 혈관패턴 확인수단이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2차 확인하는 과정(S521-S5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 등록과정(S504-S511)은, 등록을 원 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는 단계(S504)와, 상기 취득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클래스를 설정하는 단계(S505)와, 상기 구분된 해당 클래스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6)와, 해당 클래스의 원본이 이미 등록되어 있으면 다른 클래스의 원본 취득을 위해서 모든 클래스 원본 등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10)로 진행하고, 해당 클래스의 원본이 등록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면 상기 취득된 영상을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S507)와,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는 단계(S508)와, 상기 추출된 블록 영상을 해당 블록의 우선순위와 함께 해당 클래스의 원본으로 등록 및 저장하는 단계(S509)와, 기설정된 모든 클래스의 원본이 모두 등록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S510)와, 상기 판단 결과 모든 클래스의 원본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카메라 촬영각도를 바꿔서 손가락 혈관패턴 영상을 다시 취득하여 상기 클래스 설정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S5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2차 신원 확인과정은, 상기 지문비교에 의한 1차 신원확인결과를 판단하는 단계(S521)와, 상기 판단 결과, 지문인식 또는 신원확인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신원 확인을 원하는 개인으로부터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는 단계(S522)와, 상기 취득된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의 카메라 촬영각도에 따라 해당 클래스를 설정하는 단계(S523)와, 상기 취득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속하는 클래스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검색하는 단계(S524)와, 상기 취득된 손가락 혈관패턴 영상에 해당하는 클래스의 원본영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25)와, 상기 판단 결과,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존재하는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대해서,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S526)와,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는 단계(S527)와, 상기 추출된 블록영상과 상기 검색된 클래스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비교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28, S529)와, 상기 판단결과 취득된 영상이 원본과 일치되지 않는 경우 해당 클래스의 모든 원본에 비교되었는지를 다시 판단하여, 모든 원본에 비교되었으면 해당 사용자의 미등록여부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고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S532)와, 모든 원본에 비교되지 않았으면 다음 번째의 원본 비교를 위해 상기 원본 영상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복귀하는 단계(S531, S533)와, 상기 판단결과 취득된 영상이 원본과 일치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등록여부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하고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S5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신원확인방법에서의 전체적인 처리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처리수단이 기능 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를 체크하여 원본 등록요청 이 있는지 또는 신원확인요청이 있는지를 판단(S501)하고, 상기 판단결과, 원본 등록 요청인 경우 지문을 등록할 것인지 혈관패턴을 등록할 것인지를 다시 판단(S502)한다.
상기 두 단계(S501, S502)에서의 판단결과, 지문에 의한 원본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S502의 "아니오" 분기)는, 원본등록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복수개의 지문영상을 각각 취득하여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지문 원본으로 등록(S503)하는 단계가 상기 지문확인수단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두 단계(S501, S502)에서의 판단결과, 손가락 혈관패턴에 의한 원본 등록 요청이 있는 경우(S502의 "예" 분기)는, 등록을 원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S504)하여 카메라의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클래스를 설정(S505)하고, 해당 클래스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원본으로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S506)한다. 만약, 해당 클래스의 원본이 이미 등록되어 있으면(S506의 "예" 분기), 다른 클래스의 원본 취득을 위해서 모든 클래스 원본 등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10)로 진행한다. 만약, 상기 단계(S506)에서의 판단결과, 해당 클래스의 원본이 등록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면(S506의 "아니오" 분기), 상기 취득된 영상을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S507)한 후,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S508)하여 해당 블록의 우선순위와 함께 해당 클래스의 원본으로 등록 및 저 장(S509)한다. 상기 취득된 영상을 해당 클래스의 원본으로 저장하고 나면, 기설정된 모든 클래스의 원본이 모두 등록되었는지를 판단(S510)하여, 모든 클래스의 원본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S510의 "아니오" 분기), 카메라 촬영각도를 바꿔서 손가락 혈관패턴 영상을 다시 취득(S511)하여 상기 클래스 설정하는 단계(S505)로 복귀하여 각 클래스에 대한 원본 등록단계들을 반복 실시하고, 모든 클래스의 원본이 등록되어 있으면, 모든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S501)에서의 판단결과, 신원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S501의 "아니오" 분기)는,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지문영상을 취득하여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지문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1차 확인하는 단계(S520)가 상기 지문 확인수단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지문비교에 의한 1차 신원확인단계(S520)가 처리되고 나면, 그 처리결과를 판단(S521)한다. 이때, 상기 판단결과, 지문인식 또는 신원확인이 가능할 경우(S521의 "아니오" 분기) 손가락 혈관패턴에 의한 신원확인을 실시하지 않고 동작을 종료한다. 만약, 상기 판단 결과, 지문인식 또는 신원확인이 불가능할 경우(S521의 "예" 분기)는, 신원 확인을 원하는 개인으로부터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S522)하여 카메라 촬영각도에 따라 클래스를 설정(S523)하고, 해당 클래스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검색(S524)하여, 상기 취득된 손가락 혈관패턴 영상에 해당하는 클래스의 원본영상이 존재하는지를 판단(S525)한다.
상기 단계(S525)에서의 판단 결과,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525의 "아니오" 분기)는 해당 사용자의 미등록여부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생성(S532)하고 동작을 종료하며,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존재하는 경우(S525의 "예" 분기)는, 상기 취득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S526)하고,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S527)하여, 상기 추출된 블록영상을 상기 검색된 클래스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S528)하여 그 비교결과로 두 영상의 일치여부를 판단(S529)한다.
상기 단계(S529)에서의 판단결과, 취득된 영상이 원본과 일치되는 경우(S529의 "예" 분기)는, 해당 사용자의 등록여부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생성(S530)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단계(S529)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취득된 영상이 원본영상과 일치되지 않는 경우(S529의 "아니오" 분기)는, 해당 클래스의 모든 원본에 비교되었는지를 다시 판단(S531)하여, 모든 원본에 비교되었으면(S531의 "예" 분기) 해당 사용자의 미등록여부를 알 수 있는 정보를 생성(S532)하고 동작을 종료하며, 모든 원본에 비교되지 않았으면 다음 번째의 원본을 검색(S533)한 후, 상기 원본 영상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25)로 복귀하여, 해당 클래스의 마지막 원본과 비교될때까지 그들의 비교동작을 반복해서 실시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지문과는 달리 외부 노출이 안되고 지문보다 위조가 어려우면서도 각 개인의 손가락에 고유하게 분포된 정맥의 혈관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원확인시스템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지문과 그외 생체인식에 문제가 있는 사용자의 신원을 정확하게 확인해낼 수 있게 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문과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인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서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구분되는 각 클래스를 정의하는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손가락 촬영각도가 다른 복수의 원본 혈관패턴을 예시한 참고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영역에 설정되는 각 분할대역 및 각 분할대역에 지정되는 우선 순위를 도시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영상 예시도
도 4a는 상기 도 2a의 정면 촬영된 원본영상으로부터 혈관패턴이 존재하는 부분의 블록을 추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참고도
도 4b는 도 4a에서 혈관패턴이 나타난 부분만을 발췌한 확대도
도 4c는 실제 손가락 혈관 패턴을 촬영한 영상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 확인 방법에서 원본영상 등록과정 및 신원확인과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입력수단 11 : 카메라
12 : 영상 캡쳐수단 13 : 광원
14 : 줌구동수단 20 : 기능설정수단
30 : 주처리수단 40 : 원본 저장수단
41 : 지문패턴 저장수단 42 : 손가락 혈관패턴 저장수단
50 : 지문 확인수단 51 : 지문 등록 제어수단
52 : 지문비교 분석수단 53 : 광원 제어수단
60 : 혈관패턴 확인수단 61 :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
62 : 혈관패턴 비교 분석수단 53 : 광원 및 배율 제어수단

Claims (30)

  1. 삭제
  2. 지정된 구동신호에 의해 각각 작동되는 복수의 광원 및 고배율 줌기능을 가진 카메라를 구비하여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촬영하는 화상입력수단;
    상기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촬영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원본으로 등록할 것인지 또는 확인 요청본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설정키를 포함하는 기능설정수단;
    한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손가락 혈관 패턴의 원본을 복수개 저장하는 원본 저장수단;
    상기 화상입력수단에 지정된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취득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상기 원본 저장수단에 등록하거나 또는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혈관패턴 확인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혈관패턴 확인수단은,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원본등록을 위해 촬영되는 복수개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으로부터 손가락 촬영각도가 각각 다른 영상만을 선별 취득하여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클래스로 각각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각 클래스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클래스별 원본으로 각각 등록 및 저장하는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신원확인을 위해 취득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기등록된 각 클래스별 원본과 일대일 비교 및 분석하고, 그 비교 분석결과에 따른 해당 사용자의 신원 확인정보를 생성하는 혈관패턴 비교 분석수단;
    복수의 광원 및 고배율 줌기능 카메라를 지정된 동작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동로직을 탑재하며, 상기 구동로직에 따라 상기 각 광원의 점멸제어 및 상기 고배율 줌기능 카메라의 배율조절을 위한 구동신호를 상기 화상입력수단으로 공급하는 광원 및 배율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은,
    상기 선별 취득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해당 블록의 순위값과 함께 상기 원본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패턴 비교 분석수단은,
    상기 취득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의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해당 영상이 속하는 클래스를 우선 설정하고, 해당 클래스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검색하여 그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
  5. 삭제
  6.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정된 구동신호에 의해 각각 작동되는 복수의 광원 및 고배율 줌기능을 가진 카메라를 구비하여 지문패턴영상과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촬영하는 화상입력수단;
    상기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촬영되는 지문패턴영상과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원본으로 등록할 것인지 또는 확인 요청본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설정키를 포함하는 기능설정수단;
    한 개인을 특정하는 지문패턴 원본과 손가락 혈관패턴의 원본을 각각 복수개씩 저장하는 원본 저장수단;
    상기 화상입력수단에 지정된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취득되는 지문영상을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상기 원본 저장수단에 등록하거나 또는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지문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지문 확인수단;
    상기 화상입력수단에 지정된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화상입력수단을 통해 취득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상기 원본 저장수단에 등록하거나 또는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혈관패턴 확인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혈관패턴 확인수단은,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원본등록을 위해 촬영되는 복수개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으로부터 손가락 촬영각도가 각각 다른 영상만을 선별 취득하여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클래스로 각각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각 클래스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클래스별 원본으로 각각 등록 및 저장하는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
    상기 기능설정수단의 키입력상태에 따라, 신원 확인을 위해 촬영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기등록된 각 클래스별 원본과 일대일 비교 및 분석하고, 그 비교 분석결과에 따른 해당 사용자의 신원 확인정보를 생성하는 혈관패턴 비교 분석수단;
    복수의 광원 및 고배율 줌기능 카메라를 지정된 동작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하는 구동로직을 탑재하며, 상기 구동로직에 따라 상기 각 광원의 점멸제어 및 상기 고배율 줌기능 카메라의 배율조절을 위한 구동신호를 상기 화상입력수단으로 공급하는 광원 및 배율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패턴 등록 제어수단은,
    상기 선별 취득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복수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여,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해당 블록의 순위값과 함께 상기 원본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패턴 비교 분석수단은,
    상기 취득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의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해당 영상이 속하는 클래스를 우선 설정하고, 해당 클래스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검색하여 그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
  9. 삭제
  10. (a1) 원본등록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촬영각도가 다른 복수의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취득하여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복수개의 원본으로 등록하는 과정;
    (a2)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a1)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 등록과정은,
    (a11) 등록을 원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으로부터 각기 서로 다른 촬영각도를 가진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만을 선별하여 복수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a12) 상기 선별 취득된 복수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클래스로 구분하는 단계와;
    (a13) 상기 구분된 각 클래스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와;
    (a14)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해당 블록의 우선순위와 함께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원본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 확인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13) 단계에서 좌우로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분할된 각 분할대역은, 상기 분할축에 수직하는 또 다른 축에 의해 다시 두 개의 블록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 확인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14) 원본 데이터 저장단계는,
    상기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선 상에 위치하는 x-y축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여,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의 미리 정해진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 확인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2) 신원 확인과정은,
    (a21) 신원 확인을 원하는 개인으로부터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a22) 상기 취득된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속하는 클래스 및 해당 클래스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검색하여 그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a23) 상기 판단 결과,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존재하는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대해서,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와;
    (a24)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 확인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b1) 원본등록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촬영각도가 다른 복수의 손가락 혈관패턴영상과 지문영상을 각각 취득하여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복수개의 원본으로 각각 등록하는 과정;
    (b2)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지문영상을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1차 확인하는 과정;
    (b3)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2차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b3) 2차 신원확인과정은, 상기 지문에 의한 1차 신원확인과정에서의 1차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실시되고,
    상기 (b1)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 등록과정은,
    (b11) 등록을 원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으로부터 각기 서로 다른 촬영각도를 가진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만을 선별하여 복수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b12) 상기 선별 취득된 복수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클래스로 구분하는 단계와;
    (b13) 상기 구분된 각 클래스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와;
    (b14)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해당 블록의 우선순위와 함께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원본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 확인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b13) 단계에서 좌우로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분할된 각 분할대역은, 상기 분할축에 수직하는 또 다른 축에 의해 다시 두 개의 블록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 확인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b14) 원본 데이터 저장단계는,
    상기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선 상에 위치하는 x-y축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여,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의 미리 정해진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 확인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b3) 2차 신원 확인과정은,
    (b31) 신원 확인을 원하는 개인으로부터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b32) 상기 취득된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속하는 클래스 및 해당 클래스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검색하여 그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b33) 상기 판단 결과,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존재하는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대해서,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는 단계와;
    (b34)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 확인방법.
  20. 삭제
  21. (a1) 원본등록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촬영각도가 다른 복수의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취득하여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복수개의 원본으로 등록하는 원본등록 프로세스;
    (a2)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손가락 혈관패턴영상을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신원확인 프로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a1)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 등록프로세스는,
    (a11) 등록을 원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으로부터 각기 서로 다른 촬영각도를 가진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만을 선별하여 복수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는 프로세스와;
    (a12) 상기 선별 취득된 복수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클래스로 구분하는 프로세스와;
    (a13) 상기 구분된 각 클래스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는 프로세스와;
    (a14)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해당 블록의 우선순위와 함께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원본으로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 확인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a13) 프로세스에서 좌우로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분할된 각 분할대역은, 상기 분할축에 수직하는 또 다른 축에 의해 다시 두 개의 블록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 확인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a14) 원본 데이터 저장프로세스는,
    상기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선 상에 위치하는 x-y축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여,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의 미리 정해진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확인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a2) 신원 확인프로세스는,
    (a21) 신원 확인을 원하는 개인으로부터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는 프로세스와;
    (a22) 상기 취득된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속하는 클래스 및 해당 클래스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검색하여 그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와;
    (a23) 상기 판단 결과,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존재하는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대해서,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는 프로세스와;
    (a24)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확인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25. 삭제
  26. 삭제
  27. (b1) 원본등록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촬영각도가 다른 복수의 손가락 혈관패턴영상과 지문영상을 각각 취득하여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복수개의 원본으로 각각 등록하는 프로세스;
    (b2)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지문영상을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1차 확인하는 프로세스;
    (b3) 신원확인요청이 있는 사용자로부터 취득된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2차 확인하는 프로세스을 포함하며,
    상기 (b3) 2차 신원확인프로세스는, 상기 지문에 의한 1차 신원확인과정에서의 1차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실시되고,
    상기 (b1)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 등록프로세스는,
    (b11) 등록을 원하는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으로부터 각기 서로 다른 촬영각도를 가진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만을 선별하여 복수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는 프로세스와;
    (b12) 상기 선별 취득된 복수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 촬영각도에 따라 각각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클래스로 구분하는 프로세스와;
    (b13) 상기 구분된 각 클래스의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는 프로세스와;
    (b14)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해당 블록의 우선순위와 함께 해당 사용자를 특정하는 원본으로 저장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확인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b13) 프로세스에서 좌우로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분할된 각 분할대역은, 상기 분할축에 수직하는 또 다른 축에 의해 다시 두 개의 블록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확인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b14) 원본 데이터 저장프로세스는,
    상기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선 상에 위치하는 x-y축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여,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의 미리 정해진 순위에 따라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확인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b3) 2차 신원 확인프로세스는,
    (b31) 신원 확인을 원하는 개인으로부터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취득하는 프로세스와;
    (b32) 상기 취득된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속하는 클래스 및 해당 클래스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검색하여 그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스와;
    (b33) 상기 판단 결과,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이 존재하는 확인 요청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대해서, 손가락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y축), 또는 상기 y축에 수직하면서 손톱과 피부와의 경계면에 접하는 축(x축)을 기준으로 하여, 그 축의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복수 대역으로 영역 분할하고 각 분할대역 내에 우선순위를 가진 복수의 블록을 설정하는 프로세스와;
    (b34) 상기 설정된 각 블록 중에서 혈관패턴이 분포하는 부분의 블록영상만을 추출하여, 상기 기등록된 복수의 원본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에 각각 일대일 비교하여 해당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과 손가락 혈관 패턴영상을 이용한 신원확인방법에 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2-0043925A 2002-07-25 2002-07-25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과 방법 및 그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0472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925A KR100472562B1 (ko) 2002-07-25 2002-07-25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과 방법 및 그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925A KR100472562B1 (ko) 2002-07-25 2002-07-25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과 방법 및 그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892A KR20040010892A (ko) 2004-02-05
KR100472562B1 true KR100472562B1 (ko) 2005-03-14

Family

ID=3731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925A KR100472562B1 (ko) 2002-07-25 2002-07-25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과 방법 및 그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5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884A (ko) 2017-10-24 2019-05-0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영상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9493A (ja) * 2004-09-30 2006-04-13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撮像装置又は個人認証装置
KR100904902B1 (ko) * 2007-11-06 2009-06-29 (주)니트젠앤컴퍼니 광학식 지문영상 취득 장치의 모조지문 식별방법 및 장치
KR101009620B1 (ko) * 2009-05-21 2011-01-2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손가락 이미지 정합 방법,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US8938101B2 (en) * 2011-04-26 2015-01-2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identification of finger impressions for multiple users
KR101880806B1 (ko) * 2016-08-24 2018-07-23 주식회사 엠지비엔도스코피 의료용 촬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674A (ja) * 1997-04-14 1998-11-10 Kanshu Sai 個人識別装置,個人識別方法,及び個人識別システム
JP2001184507A (ja) * 1999-12-24 2001-07-06 Hitachi Ltd 個人認証装置
JP2001273497A (ja) * 2000-03-27 2001-10-05 Sanyo Electric Co Ltd 個人識別装置
KR20020020184A (ko) * 2000-09-06 2002-03-14 가나이 쓰토무 개인 인증 장치 및 방법과, 보안 시스템
KR20030010977A (ko) * 2001-07-28 2003-02-06 김준현 생체인식 방법 및 그 보안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674A (ja) * 1997-04-14 1998-11-10 Kanshu Sai 個人識別装置,個人識別方法,及び個人識別システム
JP2001184507A (ja) * 1999-12-24 2001-07-06 Hitachi Ltd 個人認証装置
JP2001273497A (ja) * 2000-03-27 2001-10-05 Sanyo Electric Co Ltd 個人識別装置
KR20020020184A (ko) * 2000-09-06 2002-03-14 가나이 쓰토무 개인 인증 장치 및 방법과, 보안 시스템
KR20030010977A (ko) * 2001-07-28 2003-02-06 김준현 생체인식 방법 및 그 보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884A (ko) 2017-10-24 2019-05-0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 영상 판독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0892A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4553B2 (en) Personal authentication system using fingerprint information, registration-and-authentication method for the system, determination method for th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6795569B1 (en) Fingerprint image compositing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US7474769B1 (en) Bioindex mechanism for increasing the relative speed of biometric identification against large population samples
US8391566B2 (en) Method of identifying a person by his iris
US6370263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gistering and collating palm imprints
US5999637A (en) Individual identification apparatus for selectively recording a reference pattern based on a correlation with comparative patterns
EP0329166B1 (en) Fingerprint verification method employing plural correlation judgement levels and sequential judgement stages
US7933455B2 (en) Grouping items in video stream images into events
JP5228872B2 (ja) 生体認証装置、生体認証方法及び生体認証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DE60313105T2 (de) Fingerabdruck-basierte Authentifizierungsvorrichtung
US6341170B2 (en) Organism collation apparatus capable of randomly selecting type or organism information to be collated
US20040042645A1 (en)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and fingerprint control method and system
EP181406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ating biometric information
KR20010021850A (ko) 피험자 신원 자동 확인 시스템 및 방법
JP2008243093A (ja) 辞書データの登録装置及び辞書データの登録方法
JP2010049357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US7133542B2 (en) Fingerprint verification device and fingerprint verification method
KR100472562B1 (ko) 손가락 혈관패턴을 이용한 신원확인시스템과 방법 및 그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30034258A (ko) 홍채와 망막을 이용한 신원 확인시스템과 방법 및 그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JP2003233816A (ja) アクセス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6785408B1 (en) Fingerprint segment area processing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CN1313962C (zh) 基于选择性多本征空间集成的数字人脸图像识别方法
KR102215282B1 (ko) 인증속도를 높인 홍채 인증 시스템
JP2001338298A (ja) 指紋認証システム及びその認証処理方法
JP2004272501A (ja) 登録者絞り込み方法及びバイオメトリクス照合方法並びにバイオメトリクス認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