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368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368B1
KR100472368B1 KR10-2002-0031711A KR20020031711A KR100472368B1 KR 100472368 B1 KR100472368 B1 KR 100472368B1 KR 20020031711 A KR20020031711 A KR 20020031711A KR 100472368 B1 KR100472368 B1 KR 100472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noise
noise preventing
conductive material
ac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834A (ko
Inventor
정해영
이병호
오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368B1/ko
Publication of KR20030093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3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5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the bristles or the tufts being arranged in an angled position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패널의 중심 영역에 위치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부와,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되는 비표시부와, 비표시부 영역에 설치되는 노이즈 방지물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널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이하 "PDP"라 함)은 가스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공 자외선이 형광체를 여기시킬 때 형광체로부터 가시광선이 발생되는 것을 이용한 표시장치이다. PDP는 지금까지 표시수단의 주종을 이루어왔던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에 비해 두께가 얇고 가벼우며, 고선명 대형화면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등의 장점이 있다. PDP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방전셀들로 구성되며, 하나의 방전셀은 화면의 한 화소를 이루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3 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의 방전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3 전극 교류 면방전형 PDP의 방전셀은 상부기판(10) 상에 형성되어진 제 1전극(12Y) 및 제 2전극(12Z)과, 하부기판(18) 상에 형성되어진 어드레스 전극(20X)을 구비한다.
제 1전극(12Y)과 제 2전극(12Z)이 나란하게 형성된 상부기판(10)에는 상부 유전체층(14)과 보호막(16)이 적층된다. 상부 유전체층(14)에는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벽전하가 축적된다. 보호막(16)은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스퍼터링에 의한 상부 유전체층(14)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2차 전자의 방출 효율을 높이게 된다. 보호막(16)으로는 통상 산화마그네슘(MgO)이 이용된다.
어드레스전극(20X)이 형성된 하부기판(18) 상에는 하부 유전체층(22), 격벽(24)이 형성되며, 하부 유전체층(22)과 격벽(24) 표면에는 형광체층(26)이 도포된다. 어드레스전극(20X)은 제 1전극(12Y) 및 제 2전극(12Z)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격벽(24)은 어드레스전극(20X)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방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 및 가시광이 인접한 방전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형광체층(26)은 플라즈마 방전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여기되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가시광선을 발생하게 된다. 상부기판(10), 하부기판(18)과 격벽(24) 사이에 마련된 방전공간에는 가스방전을 위한 불활성 가스가 주입된다.
이와 같은 방전셀들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패널(100)의 유효표시부(28) 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게 된다. 방전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유효표시부(28)에서는 어드레스전극(20X)에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소정의 영상이 표시된다. 패널(100)의 비표시부(30)에는 유효표시부(28)에 설치된 전극들(12Y,12Z,20X)에 소정의 구동신호가 공급될 수 있도록 패드들이 설치된다.
유효표시부(28)와 비표시부(30)의 사이에는 실 베리어 리브(Seal Barrier Rib)(32)가 설치된다. 실 베이러 리브(32)는 격벽(24)과 동일 재질로 형성되어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8)을 지지함과 아울러 유효표시부(28)와 비표시부(30) 영역을 구분한다.
한편,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8)의 가장자리 끝단에는 실제(34)가 도포된 다. 실제(34)는 경화성 수지로서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8)을 접착시킨다. 다시 말하여, 하부기판(18)(또는 상부기판(10)) 상에 실제(34)를 도포한 후 외부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서 실제(34)를 경화하여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8)을 접착한다.
여기서, 실제(34)와 실 베리어 리브(32)는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8)의 높이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그 높이가 동일해야 한다. 하지만, 공정상의 차이에 의하여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실제(34)와 실 베리어 리브(32)간에 약간의 높이의 차가 발생된다.
이와 같이 실제(34)와 실 베리어 리브(32) 간에 높이 차가 발생되면 패널(100)의 구동시에 소정의 노이즈가 발생되게 된다. 즉, 실제(34)와 실 베리어 리브(32) 간의 높이 차에 의하여 소정의 공간(36,38)이 형성되고, 이 공간(36,38)에 의하여 패널(100)의 구동시에 노이즈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실제(34)와 실 베리어 리브(32)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위치에 따라서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8)의 높이가 상이해진다. 이와 같이 상부기판(10)과 하부기판(18)의 높이가 위치에 따라서 상이해지면 패널(100)의 구동시에 노이즈가 발생된다. 다시 말하여, 서스테인 기간에 제 1전극(12Y) 및 제 2전극(12Z)에는 고주파 펄스에 의하여 패널(100)이 진동되고, 이 진동에 의하여 소정의 노이즈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이즈 없이 패널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패널의 중심 영역에 위치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부와,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되는 비표시부와, 비표시부 영역에 설치되는 노이즈 방지물질을 구비한다.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전도성 물질 및 비전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비전도성 물질로 형성된다.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전도성물질과 비전도성 물질의 이중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테이핑(taping)화 될 수 있는 재료이다.
상기 전도성물질은 금, 은, 동, 금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비전성물질은 고무재료이다.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검은색이다.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상기 유효표시부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비표시부에 유효표시부와 비표시부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실 베리어 리브와, 패널의 가장자리에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이 합착될 수 있도록 접착력 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실제를 구비한다.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실 베리어 리브 및 실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실 베리어 리브 및 실제와 중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실 베리어 리브와 유효표시부 사이의 영역에 설치된다.
상기 전도성물질은 실 베리어 리브와 실제 사이의 영역에 설치된다.
상기 패널에 일면에 부착되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판과, 방열판에 부착되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회로기판과, 패널의 측면, 방열판 및 구동회로기판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그를 구비한다.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이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경우 노이즈 방지물질은 방열판 및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4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패널(102)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을 구비한다. 상부기판(44)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 1 및 제 2전극이 나란하게 설치된다. 하부기판(48)에는 도 시되지 않은 어드레스전극이 제 1 및 제 2전극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패널(102)은 제 1전극, 제 2전극 및 어드레스전극에 의하여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부(40)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제 1전극, 제 2전극 및 어드레스전극에 공급하기 위한 패드들이 설치된 비표시부(42)를 구비한다. 유효표시부(40)에는 어드레스전극에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소정의 화상이 표시된다. 비표시부(42)는 화상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으로서 패드들이 설치된다.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의 사이에는 실 베리어 리브(5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실 베리어 리브(52)는 비표시부(42)에 설치되어 유효표시부(40)와 비표시부(42) 영역을 구분한다. 또한,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의 사면 가장자리 끝단에는 실제(50)가 도포된다.
실제(50)는 경화성 수지로서 상부기판(44)과 하부기판(48)을 접착시킨다. 다시 말하여, 하부기판(48)(또는 상부기판(44)) 상에 실제(50)를 도포한 후 외부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서 실제(50)를 경화하여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을 접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상부기판(44) 상에는 노이즈 방지물질(46)이 접착된다. 노이즈 방지물질(46)은 전도성물질 또는 비전도성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상이 형성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노이즈는 전기적 노이즈와 물리적 노이즈로 나눌 수 있다. 전기적 노이즈는 서스테인 기간에 인가되는 서스테인 펄스등 패널(102)에 인가되는 고압 구동파형에 의해 생성된다. 물리적 노이즈는 기판들(44,48)의 떨림에 의하여 생성된다.
전도성물질은 전기적 노이즈 및 물리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즉, 전도성 물질은 테이핑화 되어 유효표시부(4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전도성 물질로는 구리, 은, 동, 금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아울러, 유효표시부(40)가 확실히 구분될 수 있도록 전도성 물질은 검은색으로 형성된다.
비전도성물질은 물리적 노이즈를 제거한다. 즉, 비전도성 물질은 테이핑화 되어 유효표시부(4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비전도성 물질로는 고무재료가 이용된다. 아울러, 유효표시부(40)가 확실히 구분될 수 있도록 비전도성 물질은 검은색으로 형성된다.
한편, 노이즈 방지물질(46)은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효표시부(40)와 실 베리어 리브(52)와 중첩되지 않도록 유효표시부(40)와 실 베리어 리브(52) 영역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노이즈 방지물질(46)은 상부기판(44)의 진동을 흡수하여 패널(102)의 구동시에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노이즈 방지물질(46)은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간의 높이차 및/또는 고주파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패널(102)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한편, 패널(102)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클 경우 노이즈 방지물질(46)은 도 4c와 같이 전도성물질(45) 및 비전도성물질(49)이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도성물질(45)은 패널(102)의 전기적 및 물리적노이즈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전도성물질(45) 상에 형성되는 비전도성물질(49)은 패널(102)의 물리적노이즈를 제거한다. 이와 같이, 노이즈 방지물질(46)이 전도성물질(45) 및 비전도성물질(49)로 동시에 형성되면 패널(102)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노이즈 방지물질(46)은 전도성물질(45) 및 비전도성물질(49)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선택되어 패널(102)에서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46)은 도 5a와 같이 실 베리어 리브(52)와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60)은 상부기판(44) 상에 실 베리어 리브(52)와 중첩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노이즈 방지물질(60)은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간의 높이차 및/또는 고주파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패널(102)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46)은 도 5b와 같이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와 중첩되지 않도록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 영역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62)은 상부기판(44) 상에 형성됨과 아울러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 영역과 중첩되지 않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노이즈 방지물질(62)은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 간의 높이차 및/또는 고주파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패널(102)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46)은 도 5c와 같이 실제(50)와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64)은 상부기판(44) 상에 실제(50)와 중첩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노이즈 방지물질(64)은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 간의 높이차 및/또는 고주파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패널(102)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46)은 유효표시부(40)이외의 영역에 설치됨과 아울러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46)은 도 5d와 같이 실제(50) 및 실 베리어 리브(52)와 중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이즈 방지물질(66)은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 간의 높이차 및/또는 고주파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패널(102)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를 설명할 때 도 4a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할당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의한 패널(104)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을 구비한다. 상부기판(44)은 소정의 영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부(40)와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비표시부(42)를 구비한다. 상부기판(44)과 하부기판(48) 사이에는 실 베리어 리브(52)가 형성된다. 이 실 베리어 리브(52)는 비표시부(42)에 설치되어 유효표시부(40)와 비표시부(42) 영역을 구분한다. 또한,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의 사면 가장자리 끝단에는 실제(50)가 도포된다.
실제(50)는 경화성 수지로서 상부기판(44)과 하부기판(48)을 접착시킨다. 다시 말하여, 하부기판(48)(또는 상부기판(44)) 상에 실제(50)를 도포한 후 외부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서 실제(50)를 경화하여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을 접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의한 상부기판(44)의 배면에는 노이즈 방지물질(68)이 접착된다. 노이즈 방지물질(68)은 상부기판(44)의 배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유효표시부(40)와 실 베리어 리브(52)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노이즈 방지물질(68)은 상부기판(44)의 진동을 흡수하여 패널(104)의 구동시에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노이즈 방지물질(68)은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간의 높이차 및/또는 고주파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패널(104)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한편, 노이즈 방지물질(68)은 테이핑(Taping)화 되어 유효표시부(4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노이즈 방지물질(68)은 전도성물질과 비전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전도성 물질로는 구리, 은, 동, 금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비전도성 물질로는 고무재료가 선택된다. 아울러, 전도성 물질 및 비전도성 물질은 유효표시부(40)가 확실히 구분될 수 있도록 검은색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68)은 도 6b와 같이 실 베리어 리브(52)와 실제(5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70)은 상부기판(44)과 하부기판(48)의 대 향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실 베리어 리브(52)와 실제(50) 사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노이즈 방지물질(70)은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간의 높이차 및/또는 고주파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패널(104)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한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설명할 때 도 4a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할당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한 패널(106)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을 구비한다. 상부기판(44)은 소정의 영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부(40)와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비표시부(42)를 구비한다. 상부기판(44)과 하부기판(48) 사이에는 실 베리어 리브(52)가 형성된다. 이 실 베리어 리브(52)는 비표시부(42) 영역에 설치되어 유효표시부(40)와 비표시부(42) 영역을 구분한다. 또한,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의 사면 가장자리 끝단에는 실제(50)가 도포된다.
실제(50)는 경화성 수지로서 상부기판(44)과 하부기판(48)을 접착시킨다. 다시 말하여, 하부기판(48)(또는 상부기판(44)) 상에 실제(50)를 도포한 후 외부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서 실제(50)를 경화하여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을 접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한 하부기판(48)의 배면(상부기판(44)과 대향하지 않는 면)에는 노이즈 방지물질(72)이 설치된다. 노이즈 방지물질(72) 은 하부기판(48)의 배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유효표시부(40)와 실 베리어 리브(52) 사이의 영역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노이즈 방지물질(72)은 하부기판(48)의 진동을 흡수하여 패널(106)의 구동시에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하여, 노이즈 방지물질(72)은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간의 높이차 및/또는 고주파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패널(106)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72)은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노이즈 방지물질(72)은 실 베리어 리브(52) 및 전도성 물질(72) 영역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실시예와 동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의한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설명할 때 도 4a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할당함과 아울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의한 패널(108)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을 구비한다. 상부기판(44)은 소정의 영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부(40)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부(42)를 구비한다. 상부기판(44)과 하부기판(48) 사이에는 실 베리어 리브(52)가 형성된다. 이 실 베리어 리브(52)는 비표시부(42) 영역에 설치되어 유효표시부(40)와 비표시부(42) 영역을 구분한다. 또한,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의 사면 가장 자리 끝단에는 실제(50)가 도포된다.
실제(50)는 경화성 수지로서 상부기판(44)과 하부기판(48)을 접착시킨다. 다시 말하여, 하부기판(48)(또는 상부기판(44)) 상에 실제(50)를 도포한 후 외부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서 실제(50)를 경화하여 상부기판(44) 및 하부기판(48)을 접착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의한 하부기판(48)의 상면(상부기판(44)과 대향하는 면)에는 노이즈 방지물질(74)이 설치된다. 노이즈 방지물질(74)은 하부기판(48) 상에 설치됨과 아울러 유효표시부(40)와 실 베리어 리브(52)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노이즈 방지물질(74)은 하부기판(48)의 진동을 흡수하여 패널(108)의 구동시에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하여, 노이즈 방지물질(74)은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간의 높이차 및/또는 고주파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흡수하여 패널(108)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74)은 실 베리어 리브(52) 및 실제(50) 사이에 설치될 수 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PDP는 패널(102,104,106,108), 방열판(76), 구동회로기판(78) 및 지그(80)를 구비한다. 구동회로기판(78)은 방열판(76)에 부착되어 도시되지 않은 플렉시블 케이블(Flexible Printed Circuit)에 의해 패널(102,104,106,108)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지그(80)는 패널(102,104,106,108)의 측면, 방열판(76) 및 구동회로기판(78)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구동회로기판(78)을 보호한다. 방열판(76)은 양면 접착 테이프(82)의 패널(102,104,106,108)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방열판(76)은 패널(102,104,106,108)을 지지함과 아울러 패널(102,104,106,108)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킨다. 아울러, 패널(102,104,106,108)과 구동회로기판(78)은 스크류(84)에 의해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노이즈 방지물질(46,60,62,64,66,68,70,72,74)들은 방열판(76) 또는 지그(8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이때, 노이즈 방지물질로 전도성 물질 또는 전도성물질과 비전도성 물질의 이중 구조로 이용되었다고 가정한다.) 다시 말하여, 노이즈 방지물질(46,60,62,64,66,68,70,72,74)들은 방열판(76) 또는 지그(80)에 접지된다. 이와 같이 노이즈 방지물질(46,60,62,64,66,68,70,72,74)이 방열판(76) 또는 지그(80)에 접지되면 노이즈 방지물질(46,60,62,64,66,68,70,72,74)로 공급된 노이즈를 방열판(76) 또는 지그(80)에 공급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패널(102,104,106,108)을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하면 패널의 비표시부에 노이즈 방지물질을 형성함으로써 실제와 실 베리어 리브의 높이 차 및/또는 고주파 구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 여, 패널로부터 발생되는 노이즈를 흡수할 수 있도록 노이즈 방지물질을 형성함으로써 패널의 구동시에 발생되는 노이즈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3전극 교류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방전셀들이 매티릭스로 형성된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패널에 설치되는 실 베리어 리브와 실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c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노이즈 방지물질의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의한 패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44 : 상부기판 12Y : 제 1전극
12Z : 제 2전극 14,22 : 유전체층
16 : 보호막 18,48 : 하부기판
20X : 어드레스전극 24 : 격벽
26 : 형광체층 28,40 : 유효표시부
30,42 : 비표시부 32,52 : 실 베리어 리브
34,50 : 실제 36,38 : 공간
45 : 전도성 물질 49 : 비전도성 물질
46,60,62,64,66,68,70,72,74 : 노이즈 방지물질
76 : 방열판 78 : 구동회로기판
80 : 지그 82 : 양면 테이프
84 : 스크류 100,102,104,106,108 : 패널

Claims (17)

  1.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이 합착되어 형성되는 패널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중심 영역에 위치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부와,
    상기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되는 비표시부와,
    상기 비표시부 영역에 설치됨과 아울러 전도성 물질 및 비전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노이즈 방지물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비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전도성물질과 비전도성 물질의 이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테이핑(taping)화 될 수 있는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물질은 금, 은, 동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물질은 고무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검은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상기 유효표시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부에 상기 유효표시부와 비표시부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실 베리어 리브와,
    상기 패널의 가장자리에 상기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이 합착될 수 있도록 접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실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상기 실 베리어 리브 및 실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상기 실 베리어 리브 및 실제와 중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상기 실 베리어 리브와 상기 유효표시부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물질은 상기 실 베리어 리브와 상기 실제 사이의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에 부착되어 상기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회로기판과,
    상기 패널의 측면, 상기 방열판 및 구동회로기판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지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이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경우 상기 노이즈 방지물질은 상기 방열판 및 지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2-0031711A 2002-06-05 2002-06-0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72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711A KR100472368B1 (ko) 2002-06-05 2002-06-0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711A KR100472368B1 (ko) 2002-06-05 2002-06-0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834A KR20030093834A (ko) 2003-12-11
KR100472368B1 true KR100472368B1 (ko) 2005-02-21

Family

ID=3238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711A KR100472368B1 (ko) 2002-06-05 2002-06-0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36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5661A1 (en) * 1998-01-02 1999-07-15 Optical Coating Labora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ear-ir emission suppressing/color enhancing accessory device for plasma display panels
JPH11327449A (ja) * 1998-05-13 1999-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10103337A (ko) * 2000-05-09 2001-11-23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105473A (ko) * 2000-05-09 2001-11-29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2008550A (ja) * 2000-04-19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93750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5661A1 (en) * 1998-01-02 1999-07-15 Optical Coating Laborator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ear-ir emission suppressing/color enhancing accessory device for plasma display panels
JPH11327449A (ja) * 1998-05-13 1999-11-2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2008550A (ja) * 2000-04-19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103337A (ko) * 2000-05-09 2001-11-23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10105473A (ko) * 2000-05-09 2001-11-29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30093750A (ko) * 2002-06-05 2003-12-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회로기판 및 이를 이용한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834A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9891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2230752B1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US20060158120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US20020195937A1 (en) Plasma display device
CN1622146A (zh) 等离子体显示装置
KR20070033366A (ko) 표시 장치
JP2005099734A (ja) 放熱シートを備えた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100008050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47236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1632976A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heat sink assembly apparatus
US20100164846A1 (en) Plasma display panel device
KR2004002412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049769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6900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068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터 접지구조
KR1002442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16514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2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6123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0064995A (ko) 냉각장치
KR2008001322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472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0080726A (ko) 집적 파워 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697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9656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