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212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212B1
KR100470212B1 KR10-2002-0004411A KR20020004411A KR100470212B1 KR 100470212 B1 KR100470212 B1 KR 100470212B1 KR 20020004411 A KR20020004411 A KR 20020004411A KR 100470212 B1 KR100470212 B1 KR 100470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boilerplat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4013A (ko
Inventor
김창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4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212B1/ko
Publication of KR20030064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4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상용구를 등록하고,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키 버튼과 상용어 등록번호 및 전화번호 저장번지로 조합된 메시지 코드를 이용해 등록된 상용구로 이루어진 단문 메시지를 자동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특정 상용구를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에 등록하는 상용구 등록단계와; 상기 상용구가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이해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을 위한 메시지 코드가 입력되면,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로 모드전환하는 모드 전환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에 따라 입력된 메시지 코드로 검출되는 상용구 및 전화번호로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상용구를 등록해 단문 메시지 전송 시마다 일일이 메시지 내용 및 전송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등록된 상용구에 해당되는 등록번호 및 상대방 전화번호 저장번지로 조합되는 메시지 코드로도 용이하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Transmission method of short message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를 설정하여,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상용구를 등록하고,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키 버튼과 상용어 등록번호 및 전화번호 저장번지로 조합된 메시지 코드를 이용해 등록된 상용구로 이루어진 단문 메시지를 자동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부가 서비스로 사용자가단말기를 통해 한정된 길이의 문장을 입력하거나 작성된 문장을 선택해 상대측으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인 단문 메시지 서비스 (Short Message Service:이하, SMS라 칭함)가 제공된다.
이러한 SMS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작성 및 편집된 문장을 전송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자원을 통해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능이다.
이와 같은 SMS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들은 필요한 문장을 작성하고 작성된 문장을 원하는 상대측으로 바로 전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문장 작성 시에 단말기 사용자는 SMS 전송 시마다 일일이 새로운 문장을 작성하거나 저장된 문장을 선택하고,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측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직접 입력하거나 선택하여 입력해야하기 때문에 간단한 내용의 문장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용구를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에 등록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을 위한 메시지 코드를 입력하면 입력된 메시지 코드를 통해 검출되는 상용구와 상대방 전화번호로 단문 메시지를 작성해 상대방 단말기로 자동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주 이용되는 상용구를 일일이 작성할 필요없이 등록된 상용구만으로도 용이하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번호가 저장된 상대방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상용구로 이루어진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와 상기 특정 상용구를 설정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모드, 전송할 상용구 및 상대방 전화 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조합한 메시지 코드를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 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 전송할 상용구 및 상대방 전화 번호에 대한 코드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전송할 상용구를 선택하여 상기 상대방 전화 번호의 단말기로 자동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상기에서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모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에 구성된 특수기호 '*' 또는 '#'에 해당되는 버튼이나, 기능버튼으로 지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일 실시 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은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 운용 알고리즘에 따라 통화 및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상용구의 등록번호를 포함하는 메시지 코드로 단문 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부와,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해 제어부로 전송하는 키 입력부와,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데이터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신호 및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제어부의 동작 제어에 따른 무선 주파신호의 송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무선 주파부와, 제어부를 통한 통화 및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기 운용 알고리즘 및 제어부의 동작 제어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는 특정 키 버튼으로 지정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메시지 코드를 통해 검출되면 모드 전환하고, 메시지 코드에 포함된 상용구등록번호 및 전화번호 저장번지에 해당되는 상용구 및 전화번호로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설정된다.
상기 메시지 코드는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키 버튼과, 상용구 등록번호 및 전화번호 각각의 저장목록의 저장번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는 단말기의 키 패드에 구성된 특수기호 '*' 또는 '#'에 해당되는 버튼이나, 기능버튼으로 지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구현되는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번호가 저장된 상대방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상용구를 입력받아 등록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회신을 받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저장한다(S1).
사용자에 의해 등록되는 상용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에 의해 순차적으로 부여되거나 사용자 선택에 의해 지정되는 등록번호와 함께 저장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사용자는 등록된 상용구를 이용해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모드, 전송할 상용구 및 상대방 전화 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조합해 입력하고(S2), 전송(send) 버튼을 선택한다(S3). 상기에서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모드, 전송할 상용구 및 상대방 전화 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는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입력되는 것에 의해 조합된다. 또한,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모드는 단말기의 키 패드에 구성된 특수기호 '*' 또는 '#'에 해당되는 버튼이나, 기능버튼을 눌러 선택하고, 전송할 상용구 및 상대방 전화번호는 각각의 저장번지를 눌러 선택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조합된 메시지 코드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입력된 메시지 코드를 분석(parsing)하는 과정을 실행한다(S4).
실행된 메시지 코드 분석(parsing)과정에서 단말기의 제어부는 설정된 메시지 구조에 따라 입력된 메시지 코드를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키 버튼, 상용구 등록번호,전화번호 저장번지에 해당되는 필드별로 분리하고, 첫 번째 필드의 키 데이터를 검출하여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키 버튼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일치되면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로 모드전환한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에 따라 입력된 메시지 코드의 두 번째 필드에서 키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등록번호의 상용구가 단말기의 메모리부에서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5).
판별결과 해당되는 상용구가 검색되지 않으면 단말기의 표시부에 해당되는 상용구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가 표시되고(S6), 해당되는 상용구가 검색되면 검색된 상용구를 메모리부에서 페치(fetch)한다(S7).
또한,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에 따라 입력된 메시지 코드의 세 번째 필드에서 키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세 번째 필드의 키 데이터에 해당되는 저장번호의 전화번호가 단말기의 메모리부로 부터 검색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8).
판별결과 해당되는 전화번호가 검색되지 않으면 단말기의 표시부에 해당되는 전화번호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에러 메시지가 표시되고(S9), 해당되는 전화번호가 검색되면 검색된 전화번호를 메모리부에서 페치(fetch)한다(S10).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입력된 메시지 코드에 해당되는 상용구 및 상대 전화번호가 검출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상용구 및 전화번호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회신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각각의 데이터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포맷으로 패킹(packing)하고(S11),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무선 주파부를 통해 전송한다(S12).
전송된 단문 메시지는 기지국을 경유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되고, 단문 메시지 센터를 통해 수신지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어 상대측 단말기의 표시부에 전송한 단문 메시지의 상용구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일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면, '*'가 단문메시지 자동전송 키 버튼으로 설정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메뉴를 통해 자주 사용하는 상용구를 등록하고, 회신전화번호를 저장한다.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긴급호출'이라는 상용구를 01번으로, 그리고, 특정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02번으로 각각 등록한 경우에 특정 상대방의 빠른 연락이 요구되면, 단말기 사용자는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을 위한 메시지 코드로 '*0102'를 입력하고 전송버튼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0102'가 입력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입력된 메시지 코드의 키 데이터 분석(parsing)을 실행하고, 메시지 코드에서 '*'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의 검출에 따라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로 모드전환한다.
단말기의 제어부는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에 따라 각 키 데이터를 분리하고, 두 번째 필드의 '01'에 해당되는 상용구와 세 번째 필드의 '02'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검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01'에 해당되는 상용구인 '긴급호출'이 검출되고, '02'에 해당되는 전화번호인 '019-123-1234'가 검출되면, 단말기의 제어부는 패킹(packing) 과정을 통해 검출된 '긴급호출', '019-123-1234' 및 사용자에 의해입력된 회신 전화번호로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포맷을 형성해 무선 주파부를 통해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문 메시지가 전송되면, '019-123-1234'에 해당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단말기 표시부에 전송된 '긴급호출'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를 통해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상용구를 등록해 단문 메시지 전송 시마다 일일이 메시지 내용 및 전송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도 등록된 상용구에 해당되는 등록번호 및 상대방 전화번호 저장번지로 조합되는 메시지 코드로도 용이하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화 번호가 저장된 상대방에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특정 상용구로 이루어진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와 상기 특정 상용구를 설정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모드, 전송할 상용구 및 상대방 전화 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를 조합한 메시지 코드를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메시지 코드를 분석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 전송할 상용구 및 상대방 전화 번호에 대한 코드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코드를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상기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 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전송할 상용구를 선택하여 상기 상대방 전화 번호의 단말기로 자동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자동전송모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에 구성된 특수기호 '*' 또는 '#'에 해당되는 버튼이나, 기능버튼으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10-2002-0004411A 2002-01-25 2002-01-2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100470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411A KR100470212B1 (ko) 2002-01-25 2002-01-2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411A KR100470212B1 (ko) 2002-01-25 2002-01-2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013A KR20030064013A (ko) 2003-07-31
KR100470212B1 true KR100470212B1 (ko) 2005-02-04

Family

ID=32219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411A KR100470212B1 (ko) 2002-01-25 2002-01-25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660A (ko) * 2003-08-25 2005-03-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50646B1 (ko) * 2004-08-13 2006-1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룹 템플레이트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30802B1 (ko) * 2006-10-19 2008-05-2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방법
CN105101121B (zh) * 2015-05-29 2019-07-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信息发送的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253A (ko) * 1996-03-11 1997-10-13 구자홍 Gsm 단말기에서 sms 전송 방법
KR20010108973A (ko) * 2000-06-01 2001-12-08 서평원 이동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15831A (ko) * 2000-08-23 2002-03-02 홍경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상용구 설정 방법 및 그 상용구를이용한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38848A (ko) * 2000-11-18 2002-05-24 윤종용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입력 방법
KR20030045245A (ko) * 2001-12-01 2003-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시 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253A (ko) * 1996-03-11 1997-10-13 구자홍 Gsm 단말기에서 sms 전송 방법
KR20010108973A (ko) * 2000-06-01 2001-12-08 서평원 이동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15831A (ko) * 2000-08-23 2002-03-02 홍경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상용구 설정 방법 및 그 상용구를이용한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38848A (ko) * 2000-11-18 2002-05-24 윤종용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입력 방법
KR20030045245A (ko) * 2001-12-01 2003-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시 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4013A (ko)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8724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US6223059B1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editor application
JP2006060768A (ja) 携帯電話および携帯情報端末
US20060206816A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predictive text editing
JP2001111672A (ja) 移動体通信端末
US200602814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process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8725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n alphabet character in a terminal with a keypad
KR100342487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내용을 단문서비스로 송수신하기위한 방법
KR10053785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의 내용을 폰북에 저장하기위한 방법
KR10047021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100656639B1 (ko) 이동 단말기 발신자에 의한 수신자 폰북 메모리 제어방법
JP2001136556A (ja) メッセージ受信機
KR20010026672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JP2000242399A (ja) 通信端末装置
JPH1079966A (ja) 受信機
EP1452951A1 (en) A system for text input in reduced keyboard terminals
JP3272946B2 (ja) メッセージ通信端末
KR100217730B1 (ko) 전화번호부 기능 구현 무선 호출기 및 그 방법
JP2000188634A (ja) 携帯無線端末
KR2002004664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전송방법
JP2000148363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宛先メールアドレスの簡易入力システム
KR100606111B1 (ko) 지역번호 표시 및 지역명 표시방법
JPH1174960A (ja) 電話機におけるキャラクター選択方法
KR100504386B1 (ko) 다중 검색어를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