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249B1 -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249B1
KR100469249B1 KR10-2002-0013599A KR20020013599A KR100469249B1 KR 100469249 B1 KR100469249 B1 KR 100469249B1 KR 20020013599 A KR20020013599 A KR 20020013599A KR 100469249 B1 KR100469249 B1 KR 100469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alance chamber
washing machine
guide tube
drum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3847A (ko
Inventor
홍경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3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2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37/22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6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a fluid or pasty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조 회전시 불균형 질량에 의해 발생되는 외조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前方)에 개방부를 갖는 내조가 포함된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내조의 개방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이를 감싸며, 그 내부가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분리 구획된 고리형 발란스 챔버와; 상기 케이스에 일측에 구비되어 불균형 질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외조의 요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작동시, 상기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발란스 챔버의 입구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Device for decreasing vibration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에 묻은 때나 더러운 물질을 화학적인 분해작용과 기계적인 충격작용에 의해 제거하는 기기이다. 이 중 드럼세탁기는, 세탁조인 내조가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세탁기에 비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용량을 더 늘릴 수 있고, 포꼬임 등의 문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으므로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드럼세탁기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前面)에 도어부(1a)를 갖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 내에 댐퍼(5) 및 스프링(6)에 의해 지지되는 외조(2)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前方)에 개방부(3a)를 갖는 내조(3)와, 상기 내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로 이루어져, 세탁행정-헹굼행정-탈수행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드럼세탁기에는, 상기 내조(3)의 회전에 따른 외조(2)의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진동저감장치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종래의 진동저감장치는, 상기 외조(2)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외조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시멘트 또는 주철 재질의 웨이트(7. weight)와, 상기 내조의 개방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발란서액이 저장되어 탈수시 내조(3)의 일측에 달라붙는 세탁물(이하 '불균형질량'이라 칭함)로 인해 발생되는 편심현상을 상쇄시키는 유체발란서(8, balancer)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진동을 저감하기 위하여 주철이나 콘크리트 재질의 웨이트(7)를 사용했기 때문에 원가 상승 요인이 되었고, 그에 따라 제품의 무게가 증가되므로 운반 상의 문제가 야기되었다. 그리고 상기 무게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부품에 대한 보강 설계가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었다.
둘째, 편심 현상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유체발란서(8)를 사용하였지만 동작중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조 정지시, 발란서액이 유체발란서(8)의 하부에 몰려 있다가, 탈수 초기, 내조(3)의 세탁물을 고르게 하는 과정에서 내조 내에 불균형 질량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 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균형질량이 위치한 방향으로 진동이 커지면서 유체발란서(8) 내부의 발란서액도 불균형질량이 있는 곳으로 이동하게 되어 오히려 발란서액에 의해 더 큰 진동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 중 내조(3)의 회전속도가 임계속도를 통과할 때, 발란서액이 유체발란서(8) 내부에서 이동하여 불균형 질량과 위상이 바뀌면서 최대 과도진동을 유발하게 되었다.
다시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조(3)가 회전을 시작하여 임계속도에 이르는 중 발란서액과 불균형질량과의 위상차가 0도에서 90도로 변화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발란서(8)가 없을 때보다 더 큰 진동을 유발시켰다.
물론, 이후, 임계속도를 통과하여 본 탈수 회전속도에 이르게 되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란서액과 불균형질량과의 위상차가 180도가 되어, 불균형 질량이 상쇄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탈수초기에서 임계속도를 통과할 때까지의 과도진동은 저감시킬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조 회전시 불균형 질량에 의해 발생되는 외조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서 진동저감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를 나타낸 전면측 요부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를 나타낸 측면측 요부도.
도 2a 내지 도 2d는 종래기술에 의한 것으로서, 내조의 회전속도에 따른 유체발란서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도 3은 종래기술에 의한 것으로서, 내조의 회전에 따른 유체발란서의 발란서액과 불균형질량과의 위상차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종래기술에 의한 것으로서, 내조의 회전에 따른 외조의 진폭을 나타낸 것으로서, 유체발란서의 유무에 따라 그 진폭이 다름을 나타낸 그래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를 나타낸 전면측 요부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를 나타낸 측면측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서, 내조와 발란스 챔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서, 발란스 챔버의 물이 배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외조
3: 내조 3a: 개방부
10: 발란스 챔버 11: 격벽
20: 스위치 30: 공급수단
31: 급수원 32: 안내관
33: 밸브 34: 펌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前方)에 개방부를 갖는 내조가 포함된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내조의 개방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이를 감싸며, 그 내부가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분리 구획된 고리형 발란스 챔버와; 상기 케이스에 일측에 구비되어 불균형 질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외조의 요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작동시, 상기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발란스 챔버의 입구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작동유체로 물을 공급하는 외부 급수원과, 상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발란스 챔버의 입구까지 안내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상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선택적으로 안내관을 개폐시키는 밸브와, 상기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물의 유입시점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밸브의 개방시점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공급수단에는, 상기 발란스 챔버로 순간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안내관의 수압을 높이기 위한 펌프가 상기 안내관상에 더 구비됨이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세탁-헹굼-탈수를 수행시키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a) 내조의 세탁물을 고르게 하는 탈수 초기,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안내관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펌프의 동작으로 펌프와 밸브사이의 안내관에 수압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b) 탈수 중 불균형 질량에 의한 진동 초기, 상기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발란스 챔버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c) 탈수 중 공급된 물에 의해 불균형 질량이 상쇄되어 정상 회전시, 상기 물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와; (d) 탈수 종료시, 상기 발란스 챔버의 물에 미치는 힘 중 원심력보다 중력이 더 크게 작용하여 외조 바닥으로 발란스 챔버의 물이 배수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b) 단계는; 상기 불균형 질량으로부터 발생한 외조의 요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눌려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인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발란스 챔버로의 물 유입시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물 유입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밸브가 열려 상기 발란스 챔버에 물을 분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내조 회전시, 발생되는 불균형 질량에 의한 외조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탈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불균형 질량을 상쇄시켜 외조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를 나타낸 전면측 요부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를 나타낸 측면측 요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서, 내조와 발란스 챔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것으로서, 발란스 챔버의 물이 배수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면 설명에 앞서, 드럼세탁기는 종래기술에 언급된 바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을 형성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외조(2)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前方)에 개방부(3a)를 갖는 내조(3)가 포함된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내조(3)의 개방부(3a)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이를 감싸며, 그 내부가 다수개의 격벽(11)에 의해 분리 구획된 고리형 발란스 챔버(10)와; 상기 케이스에 일측에 구비되어 불균형 질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외조(2)의 요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20)와; 상기 스위치 작동시, 상기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발란스 챔버(10)의 입구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30)이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급수단은,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 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첫째,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급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급수단(30)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유체로 물을 공급하는 외부 급수원(31)과, 상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발란스 챔버(10)의 최상부에 위치한 입구까지 안내하는 안내관(32)과, 상기 안내관상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스위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선택적으로 안내관(32)을 개폐시키는 밸브(33)가 포함되고, 상기 외조(2)의 최하부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1)의 바닥면에 상기 스위치(20)를 구비시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공급수단(30)에는, 상기 발란스 챔버(10)로 순간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안내관(32)의 수압을 높이기 위한 펌프(34)가 안내관상에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34)는, 상기 급수원(31)과 상기 밸브(33) 사이에 위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공급수단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진동저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인 진동저감장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진동저감장치 제어방법은, 세탁-헹굼-탈수를 수행시키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내조(3)의 세탁물을 고르게 하는 탈수 초기, 상기 급수원(31)으로부터 상기 안내관(32)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펌프(34)의 동작으로 펌프와 밸브(33)사이의 안내관(32)에 수압을 증가시키는 단계(도 8a 참조)와; 탈수 중 불균형 질량에 의한 진동 초기, 상기 불균형 질량으로부터 발생한 외조(2)의 요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20)가 눌림과 동시에 상기 밸브(33)가 열려 상기 발란스 챔버(10)에 물을 분사시키는 단계(도 8b 참조)와; 탈수 중 공급된 물에 의해 불균형 질량이 상쇄되어 정상 회전시, 상기 물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도 8c 참조)와; 탈수 종료시, 상기 발란스 챔버(10)의 물에 미치는 힘 중 원심력보다 중력이 더 크게 작용하여 외조(2) 바닥으로 발란스 챔버(10)의 물이 배수되는 단계(도 7 참조)가 포함되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둘째,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급수단은,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급수단에서는 안내관(32)의 토출단의 위치와 스위치(20)의 위치와의 위상차가 180도를 갖지만,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급수단에서는, 안내관(32)의 토출단의 위치와 스위치(20) 위치와의 위상차는 고려대상이 아니고, 이를 보상하기 위한(즉, 불균형 질량과 물과의 위상차가 180도가 갖도록) 별도의 제어부를 갖도록 한 것으로서, 제어부는 미도시하고, 나머지 구성요소의 도면부호는 공급수단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부여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급수단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유체로 물을 공급하는 외부 급수원(31)과, 상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발란스 챔버(10)의 입구까지 안내하는 안내관(32)과, 상기 안내관상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스위치(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선택적으로 안내관(32)을 개폐시키는 밸브(33)와, 상기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물의 유입시점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밸브(33)의 개방시점을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공급수단에는, 상기 발란스 챔버(10)로 순간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안내관(32)의 수압을 높이기 위한 펌프(34)가 상기 안내관상에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펌프(34)는, 상기 급수원(31)과 상기 밸브(33) 사이에 위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2 실시예의 공급수단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진동저감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인 진동저감장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진동저감장치 제어방법은, 세탁-헹굼-탈수를 수행시키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내조(3)의 세탁물을 고르게 하는 탈수 초기, 상기 급수원(31)으로부터 상기 안내관(32)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펌프(34)의 동작으로 펌프와 밸브(33)사이의 안내관(32)에 수압을 증가시키는 단계(도 8a 참조)와; 탈수 중 불균형 질량에 의한 진동 초기, 상기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발란스 챔버(1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단계(도 8b 참조)와; 탈수 중 공급된 물에 의해 불균형 질량이 상쇄되어 정상 회전시, 상기 물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도 8c 참조)와; 탈수 종료시, 상기 발란스 챔버(10)의 물에 미치는 힘 중 원심력보다 중력이 더 크게 작용하여 외조(2) 바닥으로 발란스 챔버의 물이 배수되는 단계(도 7 참조)가 포함되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단계는, 상기 불균형 질량으로부터 발생한 외조(2)의 요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20)가 눌려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인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기설정된 위치값 및 내조의 속도에 따라 상기 발란스 챔버로의 물 유입시점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물 유입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밸브(33)가 열려 상기 발란스 챔버(10)에 물을 분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진동저감장치는, 다음과 같은 추가 구성요소를 가짐이 보다 바람직하다.
설명에 앞서, 이하 추가 구성요소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공급수단을 갖는 진동저감장치 및 상술한 제2 실시예의 공급수단를 갖는 진동저감장치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첫째, 상기 안내관(32) 중 상기 밸브(33)의 후단부[밸브(33)와 발란스 챔버(10) 사이 부분]는, 외조(2)의 진동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둘째, 상기 내조(3)의 개방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란스 챔버(10)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내조(3)의 개방부(3a)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발란스 챔버의 위치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조의 개방부(3a) 외주면은, 상기 발란스 챔버(10)의 물이 원활하게 상기 외조(2)바닥으로 배출되도록 경사진 형상을 함이 바람직하다.
셋째, 상기 발란스 챔버(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의 물에 원심력이 미칠 경우 물이 발란스 챔버의 외부로 튀어 나가지 못하도록 하고, 그 내부의 물에 중력이 미칠 경우 물이 발란스 챔버에서 나와 외조(2)의 바닥으로 흘러내리도록 'ㄷ'자 형상(도 6참조) 또는 'ㄱ'자 형상(도 7참조) 중 어느 한 형상의 단면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넷째,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란스 챔버(10)를 가질 수 있으며, 만약 두 개 이상의 발란스 챔버를 가질 경우, 다음과 같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발란스 챔버(10)는, 도 5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조(3)의 개방부(3a)의 외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동심원상에 구비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발란스 챔버(10) 중 큰 직경을 갖는 발란스 챔버의 물이 원활하게 상기 외조(2) 바닥으로 배출되도록, 이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발란스 챔버의 외주면은 경사진 형상을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란스 챔버(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 상기 내조의 개방부(3a)의 외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되,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개방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내조 회전시, 발생되는 불균형 질량에 의한 외조(2)의 진동을 저감시킬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탈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불균형 질량을 상쇄시켜 외조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조 회전시, 발생되는 불균형 질량에 의한 외조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탈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 불균형 질량을 상쇄시켜 외조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과 달리 웨이트를 제거시키거나 현저히 줄일 수 있음에 따라, 제품의 경량화 및 원가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되는 물이 정확하게 불균형 질량과 180도의 위상차를 가짐에 따라, 종래기술과 달리 정확한 진동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외조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前方)에 개방부를 갖는 내조가 포함된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내조의 개방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이를 감싸며, 그 내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격벽에 의해 분리 구획된 고리형 발란스 챔버와;
    상기 케이스에 일측에 구비되어 불균형 질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외조의 요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작동시, 상기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발란스 챔버의 입구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작동유체로 물을 공급하는 외부 급수원과,
    상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발란스 챔버의 입구까지 안내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상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선택적으로 안내관을 개폐시키는 밸브와,
    상기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물의 유입시점을제어하기 위해 상기 밸브의 개방시점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에는;
    상기 발란스 챔버로 순간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안내관의 수압을 높이기 위한 펌프가 상기 안내관상에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상기 작동유체로 물을 공급하는 외부 급수원과,
    상기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발란스 챔버의 최상부에 위치한 입구까지 안내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상에 구비됨과 함께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선택적으로 안내관을 개폐시키는 밸브가 포함되고,
    상기 외조의 최하부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상기 스위치를 구비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에는;
    상기 발란스 챔버로 순간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안내관의 수압을 높이기 위한 펌프가 상기 안내관상에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 중 상기 밸브의 후단부는, 외조의 진동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란스 챔버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내조의 개방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상기 내조의 개방부가 상기 발란스 챔버의 위치보다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란스 챔버의 물이 원활하게 상기 외조 바닥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내조의 개방부 외주면이 경사진 형상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란스 챔버는, 'ㄷ'자 형상 또는 'ㄱ'자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의 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란스 챔버는, 상기 내조의 개방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동심원상에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란스 챔버 중 큰 직경을 갖는 발란스 챔버의 물이 원활하게 상기 외조 바닥으로 배출되도록, 이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발란스 챔버의 외주면이 경사진 형상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란스 챔버는, 상기 내조의 개방부의 외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되,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개방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13. 세탁-헹굼-탈수를 수행시키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a) 내조의 세탁물을 고르게 하는 탈수 초기,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안내관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펌프의 동작으로 펌프와 밸브사이의 안내관에 수압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b) 탈수 중 불균형 질량에 의한 진동 초기, 상기 불균형 질량으로 부터 발생한 외조의 요동에 의해 스위치가 눌러져 제어부로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단계와;
    (c) 탈수 중 불균형 질량에 의한 진동 초기, 상기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발란스 챔버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d) 탈수 중 공급된 물에 의해 불균형 질량이 상쇄되어 정상 회전시, 상기 물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와;
    (e) 탈수 종료시, 상기 발란스 챔버의 물에 미치는 힘 중 원심력보다 중력이 더 크게 작용하여 외조 바닥으로 발란스 챔버의 물이 배수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의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불균형 질량의 위치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상기 발란스 챔버로의 물 유입시점을 조절하는 단계와,
    상기 물 유입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밸브가 열려 상기 발란스 챔버에 물을 분사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3항의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15. 세탁-헹굼-탈수를 수행시키는 드럼세탁기에 있어서;
    내조의 세탁물을 고르게 하는 탈수 초기,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상기 안내관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펌프의 동작으로 펌프와 밸브사이의 안내관에 수압을 증가시키는 단계와;
    탈수 중 불균형 질량에 의한 진동 초기, 상기 불균형 질량으로부터 발생한 외조의 요동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눌림과 동시에 상기 밸브가 열려 상기 발란스 챔버에 물을 분사시키는 단계와;
    탈수 중 공급된 물에 의해 불균형 질량이 상쇄되어 정상 회전시, 상기 물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와;
    탈수 종료시, 상기 발란스 챔버의 물에 미치는 힘 중 원심력보다 중력이 더 크게 작용하여 외조 바닥으로 발란스 챔버의 물이 배수되는 단계가 포함되어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5항의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02-0013599A 2002-03-13 2002-03-13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0469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599A KR100469249B1 (ko) 2002-03-13 2002-03-13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599A KR100469249B1 (ko) 2002-03-13 2002-03-13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847A KR20030073847A (ko) 2003-09-19
KR100469249B1 true KR100469249B1 (ko) 2005-02-02

Family

ID=3222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599A KR100469249B1 (ko) 2002-03-13 2002-03-13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262A (ko) * 2003-11-25 2005-05-3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밸런싱 장치
WO2019232978A1 (zh) * 2018-06-08 2019-12-1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用于衣物处理设备的平衡环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760Y1 (ko) * 1988-11-12 1992-01-23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컬러전광표시램프
JPH0482591A (ja) * 1990-07-25 1992-03-16 Hitachi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H0910480A (ja) * 1995-06-26 1997-01-14 Sanyo Electric Co Ltd 遠心脱水装置
JPH09234295A (ja) * 1995-12-26 1997-09-09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9990003409U (ko) * 1997-06-30 1999-01-25 이영서 전자동 세탁기의 편심보정 스위치장치
JP2000157778A (ja) * 1998-11-24 2000-06-13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2001259285A (ja) * 2000-03-11 2001-09-25 Lg Electronics Inc バランサーを備える洗濯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760Y1 (ko) * 1988-11-12 1992-01-23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컬러전광표시램프
JPH0482591A (ja) * 1990-07-25 1992-03-16 Hitachi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H0910480A (ja) * 1995-06-26 1997-01-14 Sanyo Electric Co Ltd 遠心脱水装置
JPH09234295A (ja) * 1995-12-26 1997-09-09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9990003409U (ko) * 1997-06-30 1999-01-25 이영서 전자동 세탁기의 편심보정 스위치장치
JP2000157778A (ja) * 1998-11-24 2000-06-13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2001259285A (ja) * 2000-03-11 2001-09-25 Lg Electronics Inc バランサーを備える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847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7083B2 (en) Washing machine having ball balancers
US5916274A (en) Reinforced ball balancer for clothes washing machine
EP2312039B1 (en) Drum type washing maschine
EP1143059B1 (en) Washing machine with balancer
EP2235247B1 (en) A washing machine with reservoirs in the ribs for balancing and wash sprays
US20070028654A1 (en) Drum washing machine
KR20130017196A (ko) 세탁기
WO2002079560A1 (fr) Machine a laver
KR20110057302A (ko) 유체 밸런서 및 이를 갖춘 세탁기
US2020024838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70115295A (ko)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KR100469249B1 (ko) 드럼세탁기의 진동저감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JP2009000463A (ja) 脱水装置とそれを備える洗濯機
US20220049401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H11319371A (ja) ドラムの振動を減少させ得るドラム型洗濯機
KR100785386B1 (ko) 세탁기 및 그 밸런싱 제어방법
JP3544376B1 (ja) ドラム式洗濯機のバラストタンク搭載回転ドラム構造
JPH11169595A (ja) 回転胴のバランス調整装置
KR100244204B1 (ko) 세탁기의밸런서
JP2012187235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344936Y1 (ko) 세탁기의편심보정장치
US11859340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JPH08215470A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269464B1 (ko)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JPH11179090A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