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684B1 - 저전력출력회로 - Google Patents

저전력출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684B1
KR100468684B1 KR1019970041962A KR19970041962A KR100468684B1 KR 100468684 B1 KR100468684 B1 KR 100468684B1 KR 1019970041962 A KR1019970041962 A KR 1019970041962A KR 19970041962 A KR19970041962 A KR 19970041962A KR 100468684 B1 KR100468684 B1 KR 100468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emitter
collector
resistor
transi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736A (ko
Inventor
이건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41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68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008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 H03K19/001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bipolar transistor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using bipolar transistors only
    • H03K19/01806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812Interface arrangements with at least one differential s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08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K19/094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 H03K19/0943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coupled sources or source coupled log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전력 출력 회로를 개시한다. 이는 입력 전압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량이 가변되는 바이어스용 저항들과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차동 증폭부, 및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 전압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량이 가변되는 출력단 바이어스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이미터 폴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저전력 출력 회로{Low power output circuit}
본 발명은 집적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주파수에서 낮은 소비 전력 특성을 가지는 저전력 출력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고주파수 신호 처리용 집적 회로의 출력단은 입력 신호에 대한 출력 신호의 지연 특성, 출력 신호의 상승시간(Rising Time) 특성, 및 출력 신호의 하강 시간(Falling Time) 특성을 최적화하면서 동시에 낮은 소비 전력 특성을 요구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저전력 출력 회로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저전력 출력 회로는 이미터 결합형 차동 증폭부(1)와 이미터 폴로어부(Emitter Follower,2)가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이미터 결합형 차동 증폭부(1)는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Q2), 바이어스용 전류원(I1), 및 부하용인 제 1 컬렉터 저항(Rc1)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는 입력 전압(Vin)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Q2)의 이미터와 접지 전압(GND) 사이에는 바이어스용인 전류원(I1)이 연결된다.
상기 제 1 컬렉터 저항(Rc1)은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Q2)의 컬렉터와 전원 전압(Vcc) 사이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이미터 폴로어부(2)는 베이스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에 연결된 제 3 앤피앤 트랜지스터(Q3) 및 상기 제 3 앤피앤 트랜지스터(Q3)의 이미터와 접지 전압(GND) 사이에 연결된 부하 저항(R)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트랜지스터(Q1,Q2,Q3)는 앤피앤(NPN) 트랜지스터이다.
출력 전압(Vout)은 상기 부하 저항(R)에 나타나는 전압으로서, 상기 출력 전압(Vout)이 논리 하이일 때의 전압 레벨을 "Vhigh"라고 할 때 상기 부하 저항(R)에는 "Vhigh/R"인 전류가 흐르고, 상기 출력 전압(Vout)이 논리 로우일 때의 전압 레벨을 "Vlow"라고 할 때 상기 부하 저항(R)에는 "Vlow/R"인 전류가 흐른다.
따라서 상기 부하 저항(R)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제 2 저항(R)을 크게 설계하여야 한다.
그러나, 실제 회로에서 작은 용량성 부하가 았을 때 고주파 신호 처리에 있어 상기 출력 전압(Vout)이 "Vhigh"에서 "Vlow"로 하강하는 시간은 상기 부하 저항(R)에 흐르는 전류와 반비례하므로 상기 출력 전압(Vout)의 하강 시간 특성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하 저항(R)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 레벨 이상으로 설계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는 상기 부하 저항(R)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부하 저항(R)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되어 전체 소비 전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체 소비 전류를 감소시키면서 원하는 출력 특성을 얻기 위한 저전력 출력 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전압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량이 가변되는 바이어스용 저항들과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차동 증폭부, 및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 전압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량이 가변되는 출력단 바이어스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이미터 폴로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신호처리용 저전력 출력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차동 증폭부는 입력 전압을 입력으로하는 제 1 트랜지스터, 기준 전압을 입력으로하는 제 2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접지 전압 사이에 차례로 연결된 제 1 내지 제 3 이미터 저항, 베이스는 상기 제 2 이미터 저항과 제 3 이미터 저항 사이에 연결되고 컬렉터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접지 전압에 연결된 제 3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전원 전압(Vcc) 사이에 연결된 제 1 컬렉터 저항,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전원 전압(Vcc) 사이에 연결된 제 2 컬렉터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이미터 폴로어부는 베이스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연결되고 컬렉터는 상기 전원 전압에 연결된 제 4 트랜지스터, 및 베이스는 상기 제 1 이미터 저항과 제 2 이미터 저항 사이에 연결되고 컬렉터는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연결되고 이미터는 접지 전압에 연결된 제 5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전력 출력 회로는 고주파 신호 처리에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저전력 출력 회로는, 이미터 폴로어부의 저항을 입력 전압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로 대체함으로써 전체 소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지연 및 상승/하강 시간과 같은 출력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잇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저전력 출력 회로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저전력 출력 회로는 이미터 결합형 차동 증폭부(11)와 이미터 폴로어부(Emitter Follower,12)가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차동 증폭부(11)는 제 1 내지 제 3 트랜지스터(Q1,Q2,Q3), 제 1 및 제 2 컬렉터 저항(Rc1,Rc2), 및 제 1 내지 제 3 이미터 저항(Re1,Re2,Re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는 입력 전압(Vin)이 인가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는 기준 전압(Vref)이 인가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컬렉터 저항(Rc1,Rc2)은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Q2)의 컬렉터와 전원 전압(Vcc) 사이에 연결되는 부하용 저항이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이미터 저항(Re1,Re2,Re3)은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Q2)의 이미터와 접지 전압(GND) 사이에 차례로 연결된다.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는 상기 입력 전압(Vin)의 크기에 비례하는 전류를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Q2)의 바이어스용 전류로 공급하는 능동형 전류원으로서,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는 상기 제 3 이미터 저항(Re3)에 유기되는 전압이 나타나고 컬렉터는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Q1,Q2)의 이미터에 연결된다.
상기 이미터 폴로어부(12)는 제 4 및 제 5 트랜지스터(Q4,Q5)로 구성되고,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는 출력단 버퍼용 트랜지스터로서 그 연결 관계를 살펴보면 베이스는 상기 제 1 앤피앤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에 연결되고 컬렉터는 상기 전원 전압(Vcc)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상기 제 5 앤피앤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와 연결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이미터 저항(Re1,Re2,Re3)은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와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의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바이어스 저항 역할을 한다.
상기 제 5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에는 상기 제 2 및 제 3 이미터 저항(Re2,Re3)에 유기되는 전압이 나타나고, 이때 출력 전압(Vout)은 상기 제 5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와 이미터 사이의 전압으로서 상기 출력 전압(Vout)의 전기적 특성, 예컨대 지연 특성, 상승 시간 특성, 및 하강 시간 특성은 용량성 부하가 있는 고주파 신호에 있어서 상기 제 4 트랜지스터(Q4)의 바이어스 전류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5 트랜지스터(Q1,Q2,Q3,Q4,Q5)는 앤피앤(NPN) 트랜지스터이다.
상기 입력 전압(Vin)을 인가하지 않을 때 상기 제 1, 제 2, 및 제 4 트랜지스터(Q1,Q2,Q4)의 바이어스 전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이미터 저항(Re1,Re2,Re 3)에 의해 결정되므로 상기 제 1 내지 제 3 이미터 저항(Re1,Re2,Re3)을 조절함으로써 소비 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저전력 출력 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입력 전압(Vin)이 작아지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앤모스 트랜지스터(Q1,Q2)의 바이어스 전류는 상기 입력 전압(Vin)을 인가하지 않을 때의 바이어스 전류로 결정되고 상기 제 1 앤피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위가 커져서 상기 제 4 앤모스 트랜지스터(Q4)가 턴온되어 출력 전압(Vout)은 논리 하이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 4 앤모스 트랜지스터(Q4)의 바이어스 전류값은 작다.
상기 입력 전압(Vin)이 커지는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앤모스 트랜지스터(Q1,Q2)의 바이어스 전류는 증가하고 상기 제 1 앤피앤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전위가 작아져서 상기 출력 전압(Vout)은 논리 로우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 5 앤모스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와 이미터 사이의 전위가 증가하므로 상기 제 4 앤모스 트랜지스터(Q4)의 바이어스 전류가 증가한다.
상기와 같은 저전력 출력 회로에서는 상기 출력 전압(Vout)이 논리 로우에서 논리 하이 될 때 출력되는 전류의 증가가 최소화되고 상기 출력 전압(Vout)이 논리 하이에서 논리 로우될 때 출력되는 전류가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 전압(Vin)의 레벨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상기 제 3 트랜지스터(Q3)로 인해 용량성 부하의 고주파 신호 처리시 출력 특성이 열화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명백하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저전력 출력 회로는, 이미터 폴로어부의 저항을 입력 전압에 비례하는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로 대체함으로써 전체 소비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지연 및 상승/하강 시간과 같은 출력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저전력 출력 회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저전력 출력 회로이다.

Claims (3)

  1. 입력 전압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량이 가변되는 바이어스용 저항들과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차동 증폭부; 및
    상기 차동 증폭부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 전압에 따라 바이어스 전류량이 가변되는 출력단 바이어스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이미터 폴로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동 증폭부는,
    입력 전압을 입력으로하는 제 1 트랜지스터;
    기준 전압을 입력으로하는 제 2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접지 전압 사이에 차례로 연결된 제 1 내지 제 3 이미터 저항;
    베이스는 상기 제 2 이미터 저항과 제 3 이미터 저항 사이에 연결되고 컬렉터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접지 전압에 연결된 제 3 트랜지스터;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와 전원 전압(Vcc) 사이에 연결된 제 1 컬렉터 저항;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와 전원 전압(Vcc) 사이에 연결된 제 2 컬렉터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이미터 폴로어부는,
    베이스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컬렉터에 연결되고 컬렉터는 상기 전원 전압에 연결된 제 4 트랜지스터; 및
    베이스는 상기 제 1 이미터 저항과 제 2 이미터 저항 사이에 연결되고 컬렉터는 상기 제 4 트랜지스터의 이미터와 연결되고 이미터는 접지 전압에 연결된 제 5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출력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5 트랜지스터는 앤피앤(NPN)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저전력 출력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전력 출력 회로는 고주파수 신호 처리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출력 회로.
KR1019970041962A 1997-08-28 1997-08-28 저전력출력회로 KR100468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962A KR100468684B1 (ko) 1997-08-28 1997-08-28 저전력출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962A KR100468684B1 (ko) 1997-08-28 1997-08-28 저전력출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736A KR19990018736A (ko) 1999-03-15
KR100468684B1 true KR100468684B1 (ko) 2005-03-16

Family

ID=3722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962A KR100468684B1 (ko) 1997-08-28 1997-08-28 저전력출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6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9519A (en) * 1987-12-04 1991-03-12 Hitachi Vlsi Engineering Corporation Semiconductor circuit with low power consumption having emitter-coupled logic or differential amplifier
KR910013729A (ko) * 1989-12-01 1991-08-08 아오이 죠이치 최대 또는 최소 레벨회로
JPH0685661A (ja) * 1992-09-07 1994-03-25 Hitachi Ltd Ecl出力回路
KR940008254A (ko) * 1992-09-29 1994-04-29 빈센트 비. 인그라시아 전원 종속 입력 버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9519A (en) * 1987-12-04 1991-03-12 Hitachi Vlsi Engineering Corporation Semiconductor circuit with low power consumption having emitter-coupled logic or differential amplifier
KR910013729A (ko) * 1989-12-01 1991-08-08 아오이 죠이치 최대 또는 최소 레벨회로
JPH0685661A (ja) * 1992-09-07 1994-03-25 Hitachi Ltd Ecl出力回路
KR940008254A (ko) * 1992-09-29 1994-04-29 빈센트 비. 인그라시아 전원 종속 입력 버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736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0076A (en) Emitter-grounded amplifier circuit with bias circuit
US4453092A (en) Comparator circuit having reduced input bias current
JPS63302620A (ja) 出力回路
US7113041B2 (en) Operational amplifier
KR100830812B1 (ko) 고주파 증폭기 회로
JP3003625B2 (ja) Cmlcmos変換回路
US3914704A (en) Feedback amplifier
US5939944A (en) NPN push-pull output stage with folded cascode JFETs
US5945880A (en) Low noise amplifier
US4516082A (en) Amplifier circuit for minimizing output voltage power-up transients
US5719529A (en) Operational amplifier and digital signal transfer circuit
US4255716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JP3116884B2 (ja) 光受信器用トランスインピーダンスアンプ
KR100468684B1 (ko) 저전력출력회로
KR930007295B1 (ko) 증폭기 장치
EP0299723A2 (en) Current mirror circuit
CN111629463B (zh) 一种振荡电路
JPH02226809A (ja) 抵電力過渡現象除去回路
US6734720B2 (en) Operational amplifier in which the idle current of its output push-pull transistors is substantially zero
US4847566A (en) CMOS Amplifier having enhanced current sinking and capacitance load drive
JP3427482B2 (ja) 演算増幅器
KR900015449A (ko) 리액턴스 제어회로
JPH0519323B2 (ko)
JPH0360222B2 (ko)
JPS5914817Y2 (ja) 安定化電源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