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974B1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974B1
KR100467974B1 KR10-2002-0054173A KR20020054173A KR100467974B1 KR 100467974 B1 KR100467974 B1 KR 100467974B1 KR 20020054173 A KR20020054173 A KR 20020054173A KR 100467974 B1 KR100467974 B1 KR 100467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data
business car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4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570A (ko
Inventor
위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2-0054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97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means for recording information, e.g. telephone number during a conver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함 데이터에서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화 번호부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함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메모리에 저장하기만 했으므로, 수신한 명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 번호를 따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신한 명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 번호를 따로 적거나 기억한 후, 이름과 전화 번호를 다시 입력하여 전화 번호부에 저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함 데이터에서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데이터를 일정 포맷에 따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함으로써, 별도의 작업없이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Telephone Number Management Method Using Written Name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함 데이터에서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화 번호부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화 통화 기능 이외에, 전화 번호 관리 기능, 일정 관리 기능과 같은 개인 정보 관리 기능도 제공하고 있는 데,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 상에서 기설정된 포맷에 따라 본인을 알리는 명함을 작성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 명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 상에서 본인을 알리는 명함을 작성한 후,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와 명함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종래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함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명함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저장하기만 한다.
따라서, 수신한 명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 번호를 따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수신한 명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 번호를 따로 적거나 기억한 후, 이름과 전화 번호를 다시 입력하여 전화 번호부에 저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함 데이터에서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데이터를 일정 포맷에 따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망의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에 적용되는 메뉴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이동 통신 단말기, 11. 키입력부, 12. 무선 처리부,
13. 송수화기부, 14. 디스플레이부, 15. 메모리부,
16. 제어부, 17. 전원 공급부, 20. 기지국,
30. 기지국 제어국, 40. 교환기,
5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명함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명함 데이터에서 이름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이 전화 번호부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동일한 이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명함 데이터로부터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전화 번호 데이터를 기설정된 포맷에 따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동일한 이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명함 데이터로, 검색된 이름의 전화 번호부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업데이트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명함 데이터로부터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설정된 포맷에 따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업데이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운 등록이 필요한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새로운 등록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명함 데이터로부터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설정된 포맷에 따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망의 구성을 보인 도로, 이동 통신 단말기(10), 기지국(20), 기지국 제어국(30), 교환기(40),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10)는 기설정된 포맷에 따라 신상 정보(즉, 명함 데이터)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명함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기지국(20)은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관할한다.
기지국 제어국(3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적절한 기지국을 선택한다.
교환기(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와 다른 유/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접속을 수행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10)에서 발신한 명함 데이터를 수신받아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50)로 전송하고,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50)로부터 전송받은 명함 데이터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50)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며, 교환기(40)로부터 전송받은 명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 가입자의 번호에 의거하여 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착신 가입자 정보 조회를 의뢰하고, HLR로부터 제공받은 착신 가입자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명함 데이터를 해당 착신 가입자가 속해 있는 교환기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도로, 키입력부(11), 무선 처리부(12), 송수화기부(13), 디스플레이부(14), 메모리부(15), 제어부(16) 및 전원 공급부(17)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키입력부(11)는 다이얼링에 필요한 전화 번호, 각종 설정 값 및 명함 데이터 입력을 위한 각종 키코드를 발생시킨다.
무선 처리부(12)는 기지국(20)과 무선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송수화기부(13)는 사용자가 응답하고 들을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4)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상태 및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정보 등을 표시한다.
메모리부(15)는 시스템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16)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전원 공급부(17)는 시스템 전체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에 적용되는 메뉴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내 명함 작성, 명함 보관함, 명함 송/수신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a), 내 명함 작성 메뉴는 다시, 신규 작성, 수정으로 나뉠 수 있다(b). 그리고, 명함 보관함 메뉴는 명함 찾기(1.이름으로 찾기, 2.회사명으로 찾기), 그룹 관리(1.회사, 2.친구, 3.일반, 4.기타), 명함 삭제(1.부분 삭제, 2.전체 삭제)로 구성되며(c), 명함 송/수신함은 메시지 발신(1.SMS으로 보내기, 2.이 메일로 보내기), 메시지 수신(1.명함 보기, 2.전화 번호부로 이동, 3.명함 관리함으로 이동)으로 나뉠 수 있다(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명함 데이터를 관리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명함 신규 작성 시에는, 기설정된 포맷에 따라 명함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 예를 들어, 이름, 회사명, 소속, 직위, 주소, 전화 번호(대표 전화 번호, 직통 전화 번호), 팩스 번호,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 이 메일 주소, 본인의 사진, 캐릭터, 회사 로고 등을 요구하여 사용자로부터 명함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명함 데이터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명함 수정 시에는, 수정하고자 하는 데이터 항목을 선택받고, 선택받은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새로 입력받고, 입력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명함 데이터를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함 데이터의 검색 요구 시에는, 검색에 이용하고자 하는 검색 항목, 예를 들어, 이름, 회사명 등을 선택받고, 선택받은 검색 항목에 따른 검색어를 입력받은 후, 입력받은 검색어와 일치하는 검색 항목을 검색하고, 검색된 명함 데이터를 해당 메모리 영역에서 독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름을 이용하여 명함 데이터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름을 지정한 후, 검색하고자 하는 이름을 입력하여 검색을 실행시키면,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입력받은 이름과 일치하는 이름을 검색하고, 검색된 명함 데이터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그룹 관리 요구 시에는, 임의의 명함 데이터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명함 데이터가 속할 그룹을 지정받고, 선택된 명함 데이터를 지정받은 그룹에 연계시킨다.
그리고, 명함 삭제 요구 시에는, 삭제시키고자 하는 명함 데이터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명함 데이터를 해당 메모리 영역에서 삭제시킨다.
그리고, 명함 데이터 전송 시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명함 데이터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명함 데이터를 전송할 이동 통신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번호를 입력받은 후, 전송 명령에 따라 명함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에서 송출된 명함 데이터는 기지국(20), 기지국 제어국(30)을 통해 교환기(40)로 전송되고, 교환기(4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명함 데이터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50)로 전송하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50)는 교환기(40)로부터 전송받은 명함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착신 가입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에 의거하여 HLR로 착신 가입자 정보 조회를 의뢰하고, HLR로부터 제공받은 착신 가입자 정보에 의거하여 명함 데이터를 해당 착신 가입자가 속해 있는 교환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50)로부터 명함 데이터를 수신한 교환기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50)로부터 전송받은 명함 데이터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명함 데이터를 소정 이 메일(E-mail) 주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데, 우선, 전송하고자 하는 명함 데이터를 선택받고, 선택받은 명함 데이터를 전송할 이 메일 주소를 입력받은 후, 전송 명령에 따라 명함 데이터를 무선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하여 송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에서 송출된 명함 데이터는 기지국(20), 기지국 제어국(30)을 통해 교환기(40)로 전송되고, 교환기(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신한 명함 데이터를 인터넷 망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명함 데이터 수신 시에는,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저장 요구에 따라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그룹 관리를 통해 저장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명함 데이터를 관리하게 되는 데, 본 발명에 따라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명함 데이터를 수신하면(S10), 사용자의 저장 요구에 따라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S12), 상기한 과정 S10에서 수신한 명함 데이터를 전화 번호부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있는 지를 판단한다(S14).
상기한 과정 S14의 판단결과 전화 번호부로의 이동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명함 데이터에서 이름을 추출하여 추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이 전화 번호부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한다(S16, S18).
상기한 과정 S18의 판단결과 동일한 이름이 전화 번호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10에서 수신한 명함 데이터로부터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 예를 들어, 이름, 집(또는 직장) 전화 번호, 이동 통신 단말기 번호, 이 메일 주소 등을 추출한다(S20).
이후에는 상기한 과정 S20에서 추출된 전화 번호 데이터를 기설정된 포맷에 따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S22).
상기한 과정 S20 및 과정 S2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수신된 명함 데이터에서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설정된 포맷으로 저장함으로써, 서로 다른 포맷으로 명함 데이터가 수신된다 하더라도 동일한 포맷으로 전화 번호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과정 S18의 판단결과 동일한 이름이 전화 번호부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10에서 수신받은 명함 데이터로, 검색된 이름의 전화 번호부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지를 판단한다(S24).
상기한 과정 S24에서 검색된 이름의 전화 번호부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지에 대한 판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으로, 검색된 이름의 사용자와 수신된 명함 데이터에서 추출된 이름의 사용자가 동일 인물이면 업데이트를 요구한다.
상기한 과정 S24의 판단결과 검색된 이름의 전화 번호부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20로 진행하여 수신한 명함 데이터로부터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설정된 포맷에 따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 S24의 판단결과 검색된 이름의 전화 번호부를 업데이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운 등록이 필요한 지를 판단한다(S26).
상기한 과정 S26에서 새로운 등록이 필요한 지에 대한 판단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으로, 검색된 이름의 사용자와 수신된 명함 데이터에서 추출된 이름의 사용자가 동명 이인이면 등록을 요구한다.
상기한 과정 S26의 판단결과 새로운 등록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한 과정 S20로 진행하여 수신한 명함 데이터로부터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설정된 포맷에 따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에 따르면,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함 데이터에서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된 데이터를 일정 포맷에 따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작업없이 수신된 명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화 번호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명함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명함 데이터를 전화 번호부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명함 데이터에서 이름을 추출하고, 추출된 이름과 동일한 이름이 전화 번호부에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동일한 이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명함 데이터로부터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화 번호 데이터를 기설정된 포맷에 따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결과 동일한 이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명함 데이터로, 검색된 이름의 전화 번호부를 업데이트해야 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 업데이트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명함 데이터로부터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화 번호 데이터를 기설정된 포맷에 따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업데이트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 업데이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새로운 등록이 필요한 지를 판단하여, 새로운 등록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명함 데이터로부터 전화 번호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화 번호 데이터를 기설정된 포맷에 따라 소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 번호부의 업데이트 여부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등록이 필요한 지의 여부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 관리 방법.
KR10-2002-0054173A 2002-09-09 2002-09-09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관리 방법 KR100467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73A KR100467974B1 (ko) 2002-09-09 2002-09-09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4173A KR100467974B1 (ko) 2002-09-09 2002-09-09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70A KR20040022570A (ko) 2004-03-16
KR100467974B1 true KR100467974B1 (ko) 2005-01-24

Family

ID=37326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4173A KR100467974B1 (ko) 2002-09-09 2002-09-09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9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2807A (ja) * 1998-07-07 2000-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個人情報送受信機能付phs電話機
KR20010058752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이동 통신망에서의 전자 명함 관리 방법
KR200249921Y1 (ko) * 2001-07-09 2001-11-17 김연학 개인명함 관리형 휴대폰
KR20020036872A (ko)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이동 단말기 발신자에 의한 수신자 폰북 메모리 제어방법
KR20030006558A (ko) * 2001-07-13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전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2807A (ja) * 1998-07-07 2000-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個人情報送受信機能付phs電話機
KR20010058752A (ko) * 1999-12-30 2001-07-06 서평원 이동 통신망에서의 전자 명함 관리 방법
KR20020036872A (ko)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이동 단말기 발신자에 의한 수신자 폰북 메모리 제어방법
KR200249921Y1 (ko) * 2001-07-09 2001-11-17 김연학 개인명함 관리형 휴대폰
KR20030006558A (ko) * 2001-07-13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전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570A (ko) 2004-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11748A1 (en) Mobile telephone and file sharing method thereof
KR20030012444A (ko) 인공지능 셀룰러폰에 있어서의 국제전화를 하는 다이어링방법
US20060099997A1 (en) Portable cellular phone, portable cellular phone system, message format controlling method, and message format controlling program
KR100314175B1 (ko) 에스엠에스 전화번호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운용 방법
US7817992B2 (en) Method for updating a personal data file in mobile units of communication networks
KR20020019852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주소록 입력 방법
KR20000037021A (ko) 인터넷과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명함관리 시스템
JP2008306721A (ja) ユーザの端末のメモリ内に格納された呼び出し番号のオペレータを識別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2063614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ess controlling method, and smart card
US201000744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30061505A (ko) 발신자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46797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명함 데이터를 이용한 전화 번호관리 방법
CN103095891A (zh) 一种快速录入名片信息的方法、装置及其终端
US20070004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numeric telephone address
KR100598978B1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100365884B1 (ko) 무선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명함 전송 방법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00073341A (ko) 이미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 이를 이용한 이미지 전송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02792B1 (ko) 단말기와 서버간의 개인정보 동기화방법
KR20010044092A (ko)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명함 서비스 운용방법
KR20050081854A (ko) 사용 정보를 관리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20008606A (ko) 전자명함 교환 서비스 방법
KR100591820B1 (ko) 전화번호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관리방법
GB2373679A (en) Accessing bookmarks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020006267A (ko) 번호를 이용한 네트웍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