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7246B1 - 개구부에 설치되는 차음장치 - Google Patents

개구부에 설치되는 차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7246B1
KR100467246B1 KR10-2002-0024542A KR20020024542A KR100467246B1 KR 100467246 B1 KR100467246 B1 KR 100467246B1 KR 20020024542 A KR20020024542 A KR 20020024542A KR 100467246 B1 KR100467246 B1 KR 100467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sulation
opening
plate
sound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160A (ko
Inventor
강구태
Original Assignee
강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구태 filed Critical 강구태
Priority to KR10-2002-002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7246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7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7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27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creens ; Arrangements of sound-absorbing elements, e.g.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개구부에 설치되어 외부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상기 개구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면과 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차음판; 및
상기 차음판을 통해 상기 개구부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물유입방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구부에 설치되는 차음장치{NOISE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건물의 개구부 등에 장착되는 차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구부의 외부에서 발생한 소음이 상기 개구부 등을 통해서 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차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음원에서 발생한 음파는 공간상의 매질을 통해 파동(음파)의 형태로 전파된다. 공간의 어떤 점의 상태변화가 파동으로 주위에 차차 전파될 때, 위상이 같은 점을 이으면 하나의 파면을 형성하며, 이 파면이 구면을 이루는 경우의 파동이 구면파이고, 파면이 평면이 경우의 파동을 평면파라고 한다.
음원에서 발생한 음파는 일반적으로 구면파의 형태로 전파되나, 음원으로부터의 거리가 먼 곳에서는 평면파에 가까운 파동이 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외부와의 환기 등을 위하여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창문 등이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건물에 있어서 창문을 닫고 있는 경우에는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의 양이 적으나, 창문을 개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로 외부 음원에서 발생한 음파 중 창문 등에 의해서 반사되지 아니한 음파 및 회절되는 음파는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건물 주변에 방음벽이 설치되더라도, 방음벽의 높이가 한정되는 관계로 소음원으로부터 음파가 직접 전파되거나 회절되어 실내로 유입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건물 등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된 경우에도 실내로 전달되는 음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차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음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차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차음장치의 차음판에 보조차음판이 결합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차음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음장치는
상기 개구부의 면과 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차음판; 및
상기 차음판을 통해 상기 개구부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물유입방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빗물유입방지수단은 상기 개구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음판은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유입방지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차음판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건, 상기 차음판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배출통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음판은 상기 개구부의 개폐정도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음판은 1회 이상 꺾이거나 휘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차음장치는
상기 개구부의 면과 제1설정각을 이루도록 상기 차음판과 대향되는 위치의 개구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의 면과 제2설정각을 이루도록 상기 개구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2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음장치는 상기 차음판의 양끝단 및 상기 양끝단 사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곳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차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음장치는 차음판, 제1커버플레이트, 제2커버플레이트,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또는 보조차음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곳에 형성되는 흡음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음방지용 창틀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내의 환기 등을 위하여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창문 등을 개방하는 경우에도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의 양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차음장치를 제공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음장치는 건물의 벽면(1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차음판(100) 및 상기 개구부(20) 상측의 건물 벽면(10)에 설치되는 제1커버플레이트(200)를 포함한다.
제1커버플레이트(200)는 개구부(20) 상측의 건물의 벽면(10)에 설치되어 비가 오는 경우에 개구부(20)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음장치는 빗물이 개구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음판(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빗물이 배출될 수 있는 배출통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음판(100)은 사각형 형태의 플레이트가 바람직하며, 상기 개구부(20)의 면과 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상기 건물 벽면(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차음판(100)은 건물 벽면(10)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2에는 차음판(100)의 폭이 개구부(20)의 폭과 동일한 경우이나,차음판의 폭이 개구부의 폭보다 크도록 하여 개구부의 하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나아가, 차음판 하나가 여러개의 개구부를 차음할 수 있도록 크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설정된 각도는 차음판(100)의 크기, 개구부(20)의 크기, 건물에서 개구부(20)의 높이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외부 음원에서 발생하는 음파를 차단하기 적당한 각도로 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차음판(100)이 개구부(2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경우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차음판(100)이 개구부(20)의 좌우측 또는 상하측 어느 곳에도 설치될 수 있다. 개구부(20)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1커버플레이트(200)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차음판(100)의 끝단에는 꺾인 부분(102)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많은 음파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차음판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 끝단이 꺾여져 있으면, 외부 음원의 차단 범위가 넓어지게 되고, 또한 끝단을 휘게 함으로써 끝단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회절량을 줄여서 차음 효과를 높일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차음판(100)에 의한 음파 차단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차음판(100)을 한 곳 이상의 곳에서 꺾인 부분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차음판(100)을 휘어진 곡선으로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차음판(100)을 건물의 벽면(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음판(100)을 회전시켜 개구부(20)의 개폐정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힌지(도시하지 않음) 등을 이용하여 차음판(100)을 상기 건물 벽면(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차음장치는 개구부(2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30) 및 제2플레이트(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30 및 40)는 상기 차음판(100)에 의해서 차단되지 아니하고 개구부(20)를 직접 통과하는 음파나 회절 또는 반사 등에 의해 개구부(20)로 유입되는 음파를 추가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다.
제1플레이트(30)는 차음판(100)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이 실외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음판(100)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1플레이트(30)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플레이트(40)는 제1플레이트(30)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실내를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판(100)이 개구부(20)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플레이트(30 및 40)가 개구부의 면과 이루는 각은 제1 및 제2플레이트(30 및 40)의 크기, 차음판(100)의 크기, 개구부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차음판(100)에는 개구부(20)의 측면에서 개구부(20)로 유입되는 음파를 차단하기 위한 보조차음판(50)이 설치될 수 있는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차음판(50)의 면이 개구부(20)의 좌우측을 향하도록 상기 차음판(1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보조차음판(50)이 차음판(100)에 결합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보조차음판(50)은 개구부 양측의 건물의 벽면(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차음판(50)의 상부에는 건물 벽면측에서부터 일정거리만큼 연장되는 수평보조차음판(52)을 설치하여 차음효과를 증대시킬수 있다.
도4에는 차음판(100)이 복수개인 경우의 차음장치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실시예는 차음판(100)이 상하로 복수개 설치된 경우이다.
이때, 차음판(100)은 도1에서의 차음판과 동일한 역할을 하며, 개구부(20)의 크기에 따라 그 개수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차음판(100)의 끝단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플레이트(2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1, 도2 및 도3에서 제시된 차음장치에 흡음재층(도시하지 않음)을 부가하여 차음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차음판(100), 제1커버플레이트(200), 제2커버플레이트(210), 제1플레이트(30), 제2플레이트(40) 및 보조차음판(5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곳에 흡음재층을 형성하여 흡음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커버플레이트(200)와 차음판(100) 사이의 건물 벽면 또는 복수개의차음판 사이의 건물 벽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곳에 흡음재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흡음재층을 이루는 흡음재로는 일반적인 다공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흡음효과가 뛰어난 유리섬유 등도 흡음재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공성 물질로 입사된 음파는 마찰이나 점성저항 등에 의해서 다공성 물질로 흡수되어 흡음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음장치에 의하면 창문을 열어 두는 경우에도 건물 외부의 소음원에서 전달되는 음파의 상당부분이 차음판,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에 의해 반사 또는 흡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의 양이 크게 감소할 뿐만 아니라, 비가 오는 경우에 개구부가 개방되어 있더라도 빗물이 개구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건물 개구부에 설치되어 외부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상기 개구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면과 설정된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차음판; 및
    상기 차음판을 통해 상기 개구부 내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빗물유입방지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빗물유입방지수단은 상기 개구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1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차음판은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빗물유입방지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차음판의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빗물유입방지수단은 상기 차음판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배출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차음판은 상기 개구부의 개폐정도를 조절가능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차음판은 1회 이상 꺾이거나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개구부의 면과 제1설정각을 이루도록 상기 차음판과 대향되는 위치의 개구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개구부의 면과 제2설정각을 이루도록 상기 개구부 일측에 설치되는 제2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차음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차음판의 양끝단 및 상기 양끝단 사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곳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보조차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10. 제1항에서,
    상기 차음판에 형성되는 흡음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11. 제2항에서,
    상기 차음판,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차음판과 상기 제1커버플레이트 사이의 건물벽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곳에 설치되는 흡음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12. 제3항에서,
    상기 복수개의 차음판, 상기 복수개의 차음판 사이의 건물벽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곳에 설치되는 흡음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13. 제4항에서,
    상기 복수개의 차음판, 상기 복수개의 제2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복수개의 차음판 사이의 건물벽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곳에 설치되는 흡음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14. 제8항에서,
    상기 제1 및 제2플레이트는 흡음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15. 제9항에서,
    상기 보조차음판은 흡음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장치.
KR10-2002-0024542A 2002-05-03 2002-05-03 개구부에 설치되는 차음장치 KR100467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542A KR100467246B1 (ko) 2002-05-03 2002-05-03 개구부에 설치되는 차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542A KR100467246B1 (ko) 2002-05-03 2002-05-03 개구부에 설치되는 차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160A KR20030086160A (ko) 2003-11-07
KR100467246B1 true KR100467246B1 (ko) 2005-01-24

Family

ID=32381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542A KR100467246B1 (ko) 2002-05-03 2002-05-03 개구부에 설치되는 차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7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185B1 (ko) 2018-10-29 2019-07-0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갱폼에 설치되는 건물 공사 소음차단용 차음막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339B1 (ko) * 2002-05-03 2005-09-27 강구태 소음 유입 방지를 위한 차음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8011U (ko) * 1974-05-24 1975-12-09
JPS5129612U (ko) * 1974-08-21 1976-03-03
JPS51109909U (ko) * 1975-03-04 1976-09-04
JPH1181251A (ja) * 1997-09-03 1999-03-26 Sekisui Jushi Co Ltd 自浄式防音パネル
KR200201089Y1 (ko) * 2000-05-17 2000-11-01 차일환 소음 감쇄를 위한 차음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8011U (ko) * 1974-05-24 1975-12-09
JPS5129612U (ko) * 1974-08-21 1976-03-03
JPS51109909U (ko) * 1975-03-04 1976-09-04
JPH1181251A (ja) * 1997-09-03 1999-03-26 Sekisui Jushi Co Ltd 自浄式防音パネル
KR200201089Y1 (ko) * 2000-05-17 2000-11-01 차일환 소음 감쇄를 위한 차음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185B1 (ko) 2018-10-29 2019-07-0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갱폼에 설치되는 건물 공사 소음차단용 차음막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160A (ko) 200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5197C2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ий блок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KR20080008957A (ko) 소음 루버
KR101712945B1 (ko) 멀티 슬릿 공명형 방음판
KR100467246B1 (ko) 개구부에 설치되는 차음장치
KR100667586B1 (ko) 도어의 방음장치
AU2022100068A4 (en) An acoustic louvre assembly
KR100517339B1 (ko) 소음 유입 방지를 위한 차음장치
KR200423185Y1 (ko) 방음벽 설치용 방음판
KR101889712B1 (ko) 세대별 방음장치
JP4136015B2 (ja) 窓を利用した空気取り入れ構造
US6886298B2 (en) Shutter
KR20050032539A (ko) 소음 유입 방지를 위한 차음장치
KR200347272Y1 (ko) 비대칭 골판차음채널을 이용하는 건식벽체
KR20050069677A (ko) 비대칭 골판차음채널을 이용하는 건식벽체
GB2310445A (en) Y-shaped soundproof wall
JP2007285048A (ja) 勾配対応型換気棟
US1611483A (en) Sound interceptor
EP4290151A1 (en) Wall passage
KR200362795Y1 (ko) 방음벽용 흡음판
KR102369472B1 (ko) 창틀프레임의 흡음 및 방음구조
EP3614067A1 (en) Openable panel unit
JP2023058020A (ja) ベランダ構造
JP7184677B2 (ja) 防音パネル
JPH10280702A (ja) 仮設用防音パネル
KR200246123Y1 (ko) 방음도어의 소음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