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606B1 - 도예미술장식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예미술장식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606B1
KR100466606B1 KR1020040040096A KR20040040096A KR100466606B1 KR 100466606 B1 KR100466606 B1 KR 100466606B1 KR 1020040040096 A KR1020040040096 A KR 1020040040096A KR 20040040096 A KR20040040096 A KR 20040040096A KR 100466606 B1 KR100466606 B1 KR 100466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art
ceramic
drying
ornament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구
Original Assignee
조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구 filed Critical 조용구
Priority to KR102004004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 B28B11/04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oating or applying engobing layers with glaze or engobe or enamel or varn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0Dry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자기법, 백자기법, 도자기제조방법 등의 전통도자기술의 독창적이고 아름다운 문양디자인과 제조기술을 평판 형태의 도자기로 구현한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자기 제조공정 중 소성과정은 초벌구이와 재벌구이로 이루어지는데,본 발명에서는 두 공정이 합쳐진 형태의 단일소성공정을 구현함으로써 연료, 인력 및 제조기간이 절약되는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도예미술장식품은 현대 도심 속 건물이 석재, 시멘트등의 재료가 사용되어 황폐화되고 획일화된 환경을 자연친화적이고 심리적인 안정을 주는 전시공간으로 바꿔 줄 수 있는 재료이며, 그 용도도 건축물 내외부 벽체마감재, 환경미술 조경자재, 인테리어용 장식자재등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
또한, 도예미술장식품은 전통의 고유문화를 살리면서 독창적인 디자인을 갖게 되고, 습도조절, 원적외선 발산, 보온성, 단열성, 방음성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도예미술장식품을 대량생산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도예미술장식품 제조방법 {A Manufacturing Method of Ceramic Art Ornaments}
일반적으로 주거 및 사무공간에 쓰이는 내, 외장 건축마감재는 석재나 타일이 가장 보편적으로 쓰인다.
그러나 상기 석재의 경우 자연에 가까운 무늬와 색감의 아름다움과, 내열성, 내마모성이 강해 외부 하중에 견디는 힘이 강하며, 시공기간도 단축되는 장점이 있으나 가공하기가 어렵고, 비중이 커서 운반, 시공이 어려운 점과 석재의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현실로 원자재의 수급에 따른 고비용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타일에 경우에는 다양한 무늬의 디자인이 가능하고 다른 건축마감재에 비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비교적 쉬우며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재질의 특성과 제조방법상의 문제로 파손이 쉬우며 바닥에 사용시 건조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입에만 의존하던 타일이나 석재를 대체할 건축마감재의 필요성과 웰빙의 유행을 타고 친환경적인 건축자재의 요구로 전통도자기술을 이용한 흙을 소재로 한 건축마감재가 등장했다.
전통도자기술로 청자기법, 백자기법, 도자기제조방법을 이용하여 건축마감재로 활용할 수 있는 판상의 도자기 도예미술장식품을 제조하여 그동안 수입에만 의존하던 석재나 타일의 대체가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 도예미술장식품은 자연문양을 이용해 독창적인 창의성과 전통미를 살렸으며, 대리석보다 풍화에 강하고 내 외부 어디서나 보온, 단열성이 높고, 사계절 기후 변화에도 반영구적으로 변색없이 내후성이 강하다.
또한, 대리석이나 시멘트와는 달리 순수점토와 천연유약, 화장토로 만들어져 유해물질이 전혀 없으므로, 건강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제품을 전시하므로 이용객의 정서순화, 미적욕구를 충족하고,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해서 공기정화, 전자파 차단기능을 갖추었다.
종래 기술로써 건축마감재용 도예도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허등록번호 10- 0360624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발명은 상감기법과 도자기 제조방법 등을 이용하여 평면 형태의 건축용마감재로서 판상의 도자기를 제조하여 석재나 타일등의 건축마감재를 대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 발명에 따른 공정은 원료배합(100), 원료반죽(110), 토련작업(120), 판상의 기물성형(130), 인화 상감처리(140), 건조(150), 1차소성(160), 유약시유(170), 2차소성(180) 공정 순으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원료를 반죽하는 공정(100, 110)은 SiO₂67.87%, Al₂O₃17.63%, CaO₃3.7%,
K₂O 8.07%, Na₂O1.6%, Fe₂O₃1.12%의 비율로 원료를 배합하고 배합된 원료에 물을 일정량 부어 미립자상의 원료를 반죽상태로 만드는 공정이다.
반죽물의 기포를 없애는 토련공정(120)은 형성된 기포를 없애는 공정으로 반죽물을 소정시간 계속하여 반죽하는 동안 기포를 제거하여 균일한 면의 도예도판을 제조할 수 있다.
판상의 기물을 성형하는 공정(130)은 반죽물을 일정규격의 판형태의 기물로 성형하는 공정으로 일정규격으로 제작된 틀에 의해 압축, 성형되며, 그 규격은 다양하게 성형될 수 있다.
상감처리 하는 공정(140)은 성형된 기물의 일면을 음각한 후 이색성의 상감재를 채워 접합시키는 공정이다.
상감처리한 기물의 건조공정(150)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건조판과 건조판 사이에 상감처리된 기물을 적층하여 150-200℃의 온도에서 15시간 이상 압축,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상감문양을 표출시키는 공정은 상감처리한 후 건조시킨 기물의 상감면을 균일하게 연마함으로써 상감문양이 표출되도록 하기 위한 공정으로 이때 연마재로는 사포나 수세미등을 이용한다.
1차 소성하여 초벌판을 제조하는 공정(160)은 가마에 위치시킨 기물을 800-900℃의 온도로 7-9시간정도 가열하여 일정 강도를 갖는 초벌판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초벌판에 유약을 시유하여 건조시키는 공정(170)은 일정비율로 혼합제조된 유약을 초벌판의 상감처리된 일면에 시유하여 건조시키는 공정이다.
2차 소성하여 도예도판을 제조하는 공정(180)은 유약이 시유된 초벌판을 1250-1350℃의 온도로 10-13시간 정도 2차소성하는 공정이다.
도예도판의 제조공정 중 1차소성을 하는 이유는 건조과정에서 도판의 수분을 어느 정도 건조시키고 1차소성과정(초벌구이)에서는 800-900℃의 온도로 도판의 남아있는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남아있는 수분 때문에 유약의 흡수를 방해하거나 그로 인해 소성공정중에 도판이 파괴되지 않도록 한다.
유약이 도포된 도예도판은 가마에서 다시 2차소성(재벌구이) 공정에서 1250-1350℃ 정도의 온도을 거치면서 유약이 도판 표면에 유리질화 되고 강도가 더욱 강해진다.
상기 소성공정은 온도를 조절하여 완성품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고온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소성공정후 다음 단계로 진행시 오랜시간 별도로 냉각 시간을 가져야 하는 번거로운 점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소성공정은 1차소성(160), 2차소성(180) 공정으로 시행되고 있다.
상기 1차소성(160) 공정후 유약공정을 거친 도예도판이 2차소성(180)을 시작하려면 가마에 다시 연료를 공급해서 고온의 상태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연료가 많이 소모되며 그에 따른 시간, 인력도 투입되어야한다.
따라서, 상기의 두번의 소성공정은 도예도판을 대량생산 하는 경우 경제적비용이나 인력투입, 시간적인 손실 등이 발생하여 완성품을 만드는데 많은 제약이 뒤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도예장식품의 제조방법에서 1차소성(초벌구이), 2차소성(재벌구이)의 두 번의 소성공정을 한번의 단일소성공정을 통해 실현함으로써, 도예미술장식품의 대량 생산시 연료의 공급으로 인한 경제적비용의 감축과 불필요한 인력투입을 없애고 생산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공정 중 건조공정에 있어서 45° 경사진 건조대를 채택함으로써 흙의 건조시 나타나는 수축작용에 의해 생기는 처짐이나 찌그러짐, 비틀림등의 현상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건조공정시 도예미술장식품은 외부에서 중심부로 수축하는데,
45° 경사진 건조대에서 건조하는 경우에는 모든면이 균일하게 감소하여 도예장식품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한다.
상기 도예미술장식품의 뒷면을 격자무늬의 문양으로 구성하여 강도는 유지하면서 뒤틀림을 방지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제작공정 중 도예미술장식품을 제작하기 위한 상부성형틀과 하부성형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제작공정 중 도예미술장식품을 제작하기 위한 상부성형틀과 하부성형틀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제작공정 중 하부성형틀에 이형제 도포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제작공정 중 프레스로 눌러 성형틀을 가압성 형하는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제작공정 중 하부성형틀 뒷면의 에어홀에
에어건을 이용해공기를 분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제작공정 중 하부성형틀과 도예미술장식품이 분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 중 건조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 중 유약도포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 중 소성공정을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의 앞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의 뒷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성형틀에 삽입되는 성형재료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예미술장식품 11 : 상부성형틀 12 : 하부성형틀 13 : 프레스
14 : 이형제 15 : 에어홀 16 : 에어건 17 : 건조대 18 : 유약 19 : 가마
20 : 도예미술장식품 앞면 21 : 도예미술장식품 뒷면 22 : 전면부 23 : 후면부
200 : 도예미술장식품성형공정 210 : 건조공정 220 : 유약도포공정
230 : 소성공정 230a : 제1단계소성 230b : 제2단계소성
230c : 제3단계소성 240 : 제품
본 발명은 도자기, 도예도판등의 도예미술장식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공정 중 1차소성(초벌구이), 2차소성(재벌구이)공정을 단일소성공정으로 해결하여 연료와 인력 및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은 프레스로 성형틀을 가압성형하여 도예미술장식품을 만들고 성형틀로부터 도예미술장식품을 분리하는 도예미술장식품성형공정과, 분리된 도예미술장식품을 45° 경사진 건조대에 거치시켜 비스듬한 상태에서 건조되도록 하는 건조공정과, 건조된 도예미술장식품의 표면에 압력공기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기법으로 유약을 도포하는 유약도포공정과, 유약이 도포된 도예미술장식품을 순차적인 온도조절과정을 통하여 도예미술장식품의 강도를 높이고 수분과 유기물을 제거하여 도예미술장식품을 완성하는 소성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성공정은 도예미술장식품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비등점이하 온도인80-90℃에서 도예미술장식품을 건조시키는 제1단계소성공정과, 도예미술장식품의 혼합된 유기물등 가연성 불순물을 소각하기 위해 도예미술장식품을 450-550℃ 정도에서 소성하는 제2단계소성공정과, 도예미술장식품의 강도를 높이고 유약과 도예미술장식품을 유리질화 하기 위해 도예미술장식품을 1200±50℃에서 고온소성하는 제3단계소성공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 도 2에 도시된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프레스로 성형틀을 가압성형하여 도예미술장식품(10)을 만들고 성형틀로부터 도예미술장식품(10)을 분리하는 도예미술장식품성형공정(200)은
먼저, 도예미술장식품(10)을 제작하기 위해 상부성형틀(11)과 하부성형틀(12)을 준비한다.
상기 상부성형틀(11) 뒷면의 형성되어 있는 4개의 체결공에 프레스(13)를 부착시킨다.
상기 프레스(13)에 부착된 상부성형틀(11)과 하부성형틀(12)간의 중심을 맞추어 가압성형 할 수 있는 준비를 한다.
상기 하부성형틀(12)의 성형재료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즉, 도예미술장식품(10)의 앞면의 문양이 형성되는 위치에 이형제(14)를 도포한다.
상기 이형제(14)는 표면에 스킨층을 형성하여 폴리수지에 접착력을 떨어뜨리고 성형틀과 도예미술장식품(10)의 분리를 용이 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물질로 성형틀 자체에 바르는 물질이다.
상기 이형제(14)로는 방청유등의 다양한 종류가 사용된다.
상기 이형제(14)가 도포된 하부성형틀(12)의 성형재료가 수용되는 공간에 수분의 비율과 크기가 다른 두종류의 흙단으로 이루어진 성형재료를 삽입하고 프레스(13)를 이용하여 상부성형틀(11)의 일면으로 하부성형틀(12)을 눌러 가압성형한다.
상기 성형재료는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성형재료를 배합, 반죽하고 기포를 없애는 토련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진공토련기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진공토련기는 도자기용 점토를 성형하기에 적합하도록 반죽하는 기계를 말하는데, 유압으로 점토속의 공기를 제거하여 곧바로 성형이 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일반적인 진공토련기는 둥근형태의 성형재료 점토를 만들어 내는데 반해, 본 발명의 공정에서는 상기 진공토련기의 출력부를 변형하여 판상의 점토가 나오도록 하고 있다.
상기 판상의 점토는 완성품과 동일한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성형틀에 성형재료 점토를 삽입시 불필요한 수작업을 없애고, 점토에 기포가 생길 수 있는 요인을 적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압성형시 성형재료는 약 4Cm 정도로 구성하여 성형품의 앞면 문양이 형성되는 성형재료 전면부(22)와 격자무늬가 형성되는 성형재료 후면부(23)로 약3 대 1 정도의 비율로 층을 나누어 성형재료를 구성한다.
상기 성형재료의 전면부(22)와 후면부(23)는 수분의 함량으로 층이 나누어지는데, 성형재료의 전면부(22)는 흙과 수분의 비율이 (65 : 35 )± 5 % 정도로 구성되고, 성형재료의 후면부(23)는 흙과 수분의 비율이 (75 : 25 )± 5 % 정도로 구성되어 약 10%포인트 정도의 차이가 나게 형성한다.
상기 성형재료의 전면부(22)와 후면부(23)의 두께와 수분함유량의 차이는 성형재료의 전면부(22)는 후면부(23)보다 수분이 더 많이 함유된 묽은재료를 써야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고, 가압성형시 사방으로 성형재료가 분산되는 양이 많으므로 그에 비례하여 전면부(22)의 두께를 후면부(23)보다 더 두껍게 형성해야 성형품을 완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도예미술장식품(10)이 생산되려면, 성형재료의 전면부(22)와 후면부(23)의 두께비율은 약 3대1로, 수분함유량은 10%포인트 차이가 나게 구성한다.
상기 프레스(13)로 눌러 가압성형 후 상부성형틀(11)과 하부성형틀(12)에 의해서 성형재료는 앞면에는 하부성형틀(12)의 수용공간에 형성되어 있는 문양이 새겨지고, 그 뒷면에는 상부성형틀(11) 앞면의 문양이 새겨진 도예미술장식품(10)이 완성된다.
상기 상부성형틀(11)의 앞면에는 격자무늬, 물결무늬 등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격자무늬를 채택하였다.
상기 도예미술장식품(10)의 뒷면의 모양을 성형하는 상부성형틀(11)을 격자무늬의 문양으로 만든 것은 도예미술장식품(10) 뒷면의 강도는 유지하면서 뒤틀림을 방지하고, 성형틀의 소재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예미술장식품(10)이 건조되는 경우 모서리부분이 단면적이 넓기 때문에 건조가 먼저 진행되어 휨 현상이 발생하는데, 격자무늬의 문양은 이 휨 현상을 견딜 수 있는 버팀목 역활도 한다.
상기 하부성형틀(12)의 수용공간상의 사각모서리에는 각각 에어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홀(15)은 하부성형틀(12) 앞면에서부터 뒷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성형틀(12)의 수용공간상의 성형재료가 충진되는 경우 기포가 발생하고 구석진 모서리 부분은 성형재료가 잘 안 채워지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 하부성형틀(12) 앞면에 형성된 에어홀(15)은 발생된 기포를 배출하고, 성형재료가 구석진 모서리에 고르게 분배, 공급 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하부성형틀(12) 뒷면에 형성된 에어홀(15)은 하부성형틀(12)과 성형재료가 원활하게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써, 상기 에어홀(15)에 에어건(16)의 압축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하부성형틀(12)과 성형재료가 분리된다.
상기 분리된 도예미술장식품(10)을 45° 비스듬한 상태에서 건조되도록 만든 경사진 건조대(17)에 거치시키는 건조공정(210)은
먼저, 하부성형틀(12)에서 분리된 도예미술장식품(10)을 45° 비스듬한 상태로 경사진 건조대(17)에 거치시킨다.
상기 건조공정(210)은 자연건조도 가능하지만 건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 건조실의 온도를 100±45℃정도로 높혀서 저온 열풍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공정(210)에서 자연상태에서 도예미술장식품(10)을 건조하면 일주일이상의 시일이 걸리지만 저온열풍건조시에는 3-4일로 시일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도예미술장식품(10)을 수평으로 건조하는 경우 도예미술장식품(10) 표면의 수분증발의 차등으로 수분이 증발하는 부분이 수축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도예미술장식품(10)이 휘게 된다.
상기 도예미술장식품(10)을 수직으로 건조하는 경우에는 도예미술장식품(10) 자체의 수분으로 인한 하중이 형성되어 도예미술장식품(10)의 처짐과 찌끄러짐 등의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건조대(17)를 45° 경사지게 만들면 도예미술장식품(10)을 수평이나 수직으로 건조시에 생기는 갈라짐, 휨, 처짐과 찌끄러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공정(210) 후 도예미술장식품(10)의 사이즈는 건조 전에 비하여 13±3% 축소되는데, 45° 경사진 건조대(17)에서 건조하는 경우 도예미술장식품(10)의 모든면이 균일하게 감소하여 도예미술장식품(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성형재료의 후면부(23)의 수분함량이 전면부(22)보다 적게 구성된 이유는 건조공정시 수분증발로 인한 수축작용으로 도예미술장식품(1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도예장식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건조과정(210)에서 남아있는 수분을 1차소성공정(160)에서 완전 건조시키고 2차소성공정(180)에 들어가게 된다.
일반적인 종래 기술의 제조공정에서는 마지막 공정인 2차소성공정시(180)에성형품에 수분이 남아 있으면 그로 인해 소결(점토가 소성공정으로 굳어지는 현상)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불량품이 생산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 건조공정(210)에서는 도예미술장식품(10)의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약 20%정도의 수분은 잔류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도예미술장식품(10)을 완전히 건조하게 되면 유약(18)도포시에 과다한 수분 흡수로 도예미술장식품(10)이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분이 남아 있게 되면 상기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불량품이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을 제거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소성공정 중 제1단계소성공정에서 성형품의 잔류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며, 수분을 제거하고 다음 공정을 진행하므로 완전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소성공정은 아래에서 설명하겠다.
상기 건조공정(210)이 끝나면 도예미술장식품(10) 표면위에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기법으로 유약(18)을 도포하는 유약도포공정(220)이 진행된다.
상기 45° 경사진 건조대(17)에서 건조한 후에 도예미술장식품(10) 표면위에 화장토, 소금유, 투명유등의 유약(18)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기법으로 도포한다.
상기 유약(18)은 도예미술장식품(10)의 표면위에 엷게 피복, 밀착시키기 위해 바르는 유리질이다.
일반적으로 유약(18)은 장석, 석회석, 규석으로 구성되며, 여기에 여러가지재료나 첨가제를 추가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재료의 성질에 따라 다양한 색, 광택, 투명정도 등에서 서로 차이를 보인다.
유약(18)의 종류에는 재유약, 납유약, 고화도유약, 투명유, 유탁유, 자기유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작업자가 성형재료나 유약(18)의 용융온도등에 따라 취사선택할 수 있다.
상기 유약(18)은 유리와 같은 일종의 고용체로서 취급되며, 유약(18)을 바른 도예미술장식품(10) 표면에 열을 가해서, 유약(18)과 도예미술장식품(10)이 융점에서 부착된다.
상기 유약(18)은 도예미술장식품(10) 표면을 싸서 피막의 역할을 하며 아름다움을 주는 동시에 도예미술장식품(10)의 강도를 강하게 한다.
또한, 도예미술장식품(10)이 액체 및 기체에 불투과성을 갖도록 하며, 표면을 반질반질하게 하여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유약도포공정(220)이 끝난 후에 가마(19) 내부에 도예미술장식품(10)을 재임하여 소성공정(230)에 들어간다.
상기 소성공정(230)은 온도조절을 통하여 도예미술장식품(10)의 강도를 높이고, 수분과 유기물을 제거하여 양질의 도예미술장식품(10)을 만드는 공정이다.
상기 소성공정(230)은 제1단계소성(230a), 제2단계소성(230b), 제3단계소성(230c) 공정으로 구성되는데, 가마(19) 내부 온도를 낮은 온도에서 높은 온도로 점차적으로 올리면서 각 단계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제1단계소성공정(230a)은 비등점이하 온도인 80-90℃에서 5시간내외로도예미술장식품(10)을 건조시키는 공정으로 온도를 서서히 올려 도예미술장식품(10)의 수분을 제거한다.
상기 제1단계소성공정(230a)에서 비등점을 초과하여 소성공정을 진행시키면 도예미술장식품(10)의 수분이 증가되어 폭발하는 문제가 생긴다.
상기 제2단계소성공정(230b)은 도예미술장식품(10)의 혼합된 유기물등 가연성불순물을 소각하는 과정으로 온도를 450-550℃로 서서히 올려 5시간내외로 유지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제2단계소성공정(230b)에서 온도를 급격하게 올리면 소각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급격한 가스를 방출하여 도예미술장식품(10)이 파손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소성공정(230c)은 종래 기술에서 2차소성(재벌구이)에 해당하는 공정으로 도예미술장식품(10)을 제조하는 마지막 공정이다.
상기 제3단계소성공정(230c)은 도예미술장식품(10)을 1200±50℃에서 5시간내외로 고온소성하는 공정으로 성형재료인 점토와 유약(18)이 융점에서 접착하여 기공의 부피를 축소시키고 기공으로 탄산염과 점토가 분해되면 기포가 빠져 나감으로써 유리질화 되고, 도예미술장식품(10)의 강도가 높아지는 공정이다.
상기 각 단계에서의 온도는 서서히 올려야 하며, 급격한 온도 변화를 주면 도예미술장식품(10)에서 가스가 방출되고 폭음을 내면서 파괴될 위험이 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도예장식품 제조방법은
일반적으로 도예장식품의 제조방법에서는 1차소성(초벌구이), 2차소성(재벌구이)의 두 번의 소성공정을 거치는데, 본 발명은 한번의 소성공정만을 실행함으로써, 도예장식품의 대량 생산시 연료절약과 불필요한 인력투입을 없애고 생산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예장식품의 제조공정 중 건조공정에 있어서 45° 경사진 건조대를 채택함으로써 수평, 수직으로 도예미술장식품을 건조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처짐이나 찌그러짐등의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예미술장식품의 뒷면을 격자무늬의 문양으로 구성하여 강도는 유지하면서 뒤틀림을 방지하고자 한다.
상기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시 사용되는 성형재료의 후면부의 수분함유량을 전면부보다 더 낮게 구성하여 도예미술장식품의 건조시 생기는 비틀림, 찌그러짐등을 방지하고자한다.

Claims (6)

  1. 프레스로 성형틀을 가압성형하여 도예미술장식품을 만들고 성형틀로부터 도예미술장식품을 분리하는 도예미술장식품성형공정,
    분리된 도예미술장식품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도예미술장식품을 소정각도로 경사진 건조대에 거치시키는 건조공정,
    건조된 도예미술장식품 표면에 유약을 도포하는 유약도포공정,
    유약이 도포된 도예미술장식품을 비등점 이하 온도인 80~90℃에서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450-550℃ 정도에서 도예미술장식품에 혼합된 가연성 불순물을 소각하는 단계와; 1200±50℃에서 고온소성하는 단계를 순차으로 수행하는 소성공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예미술장식품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경사진 건조대의 각도를 45°정도의 경사진 상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정에서는 도예미술장식품의 잔류수분이 20%정도가 되도록 건조하고, 상기 소성공정 중 제1단계소성공정에서 도예미술장식품을 완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은 도예미술장식품의 뒷면이 새겨지는 상부성형틀과 도예미술장식품의 앞면이 새겨지는 하부성형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성형틀 일면에는 도예미술장식품의 뒷면의 강도를 유지하고 뒤틀림을 방지하는 격자무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성형틀 일면에는 도예미술장식품 앞면의 다양한 문양이 새겨질 수 있도록 하는 음각 또는 양각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도예미술장식품의 완성품을 만들기 위한 성형재료는 두께와 수분함유량의 차이로 전면부와 후면부로 구분되는 층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재료의 전면부는 후면부보다 더 두껍고 수분함유량이 많은 묽은층을 형성하며, 상기 성형재료의 후면부는 전면부보다 더 얇고 수분함유량이 적은 된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예미술장식품의 제조방법.
KR1020040040096A 2004-06-02 2004-06-02 도예미술장식품 제조방법 KR100466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096A KR100466606B1 (ko) 2004-06-02 2004-06-02 도예미술장식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096A KR100466606B1 (ko) 2004-06-02 2004-06-02 도예미술장식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6606B1 true KR100466606B1 (ko) 2005-01-15

Family

ID=3722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096A KR100466606B1 (ko) 2004-06-02 2004-06-02 도예미술장식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60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24230B (zh) 黑金花釉料及具有黑金花釉陶瓷的制作方法
KR100709064B1 (ko) 도자 블록 및 그 제조 방법
CN101054043B (zh) 一种立体瓷板画的制作工艺
CN102372423A (zh) 彩釉玻璃热弯炉、彩釉钢化热弯玻璃制备方法及彩釉钢化热弯玻璃
CN105272180A (zh) 一种陶瓷砖的生产工艺
KR100360624B1 (ko) 건축마감재용 도판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N102372480B (zh) 一种建水紫陶饰品的制作方法
KR102313713B1 (ko) 폐유리병을 이용한 자기 타일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자기 타일
KR100466606B1 (ko) 도예미술장식품 제조방법
CN110128101B (zh) 方型陶土浮雕板材的制备工艺
CZ296707B6 (cs) Zpusob výroby sklenených dlazdic, sklenených bordur, sklenených dekoracních panelu a jim podobných sklenených výrobku
CN1724427A (zh) 幻彩玻璃马赛克的制造方法
KR101552458B1 (ko) 내부에 탄화층이 형성되고 외면에 양각문양을 갖는 다양한 색상의 세라믹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CN204689902U (zh) 一种内墙抛晶镜面瓷片
CN111745806B (zh) 一种陶瓷产品干粒布料工艺
KR100508854B1 (ko) 도자기의 제조방법
CN206815730U (zh) 免烧仿天然石材
CN105690896A (zh) 一种铝合金和陶瓷板的复合板及配方工艺
CN107060253B (zh) 一种嵌套式马赛克瓷砖及其制备方法
KR102508767B1 (ko) 폐유리와 조개껍질을 이용한 글라스 데코타일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글라스 데코타일
KR102508773B1 (ko) 폐유리를 이용한 글라스 데코타일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글라스 데코타일
KR20010070567A (ko) 보형성(保形性)이 구축된 다목적 도자기판의 제조방법
CN1101024A (zh) 一种陶瓷生产新工艺
CN2396118Y (zh) 一种有装饰面的烧制粘土砖
KR101145172B1 (ko) 점토벽돌과 점토바닥벽돌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