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5095B1 -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5095B1
KR100465095B1 KR10-2001-0048573A KR20010048573A KR100465095B1 KR 100465095 B1 KR100465095 B1 KR 100465095B1 KR 20010048573 A KR20010048573 A KR 20010048573A KR 100465095 B1 KR100465095 B1 KR 100465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e
attribute
size
schema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543A (ko
Inventor
김남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095B1/ko
Priority to US10/214,777 priority patent/US20030032425A1/en
Publication of KR20030014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095B1/ko

Links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Schema)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한 구조의 주기억 장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이중화 시스템 환경에서 서비스의 중단 없이 동적 스키마 변경을 보장하도록 한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시스템은, 테이블 단위로 분리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억세스해주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이미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억세스하기 위해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이미지를 통해 질의를 수행하는 질의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와; 동적 스키마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 이중화된 액티브 시스템과 스탠바이 시스템의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패키지가 적용된 시스템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형상을 송/수신하는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Transferring Data for Dynamic Schema Alteration in Dual System}
본 발명은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한 구조의 주기억 장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이중화 시스템 환경에서 서비스의 중단 없이 동적 스키마 변경을 보장하도록 한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실시간 메모리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베이스의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하나의 통합된 데이터 베이스를 테이블 단위로 분리하여 관리함으로써 테이블의 추가/변경/삭제가 요구될 경우 온라인 상태에서 테이블을 생성/변경/삭제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서비스의 중단 없이 색인과 테이블을 생성/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실시간 메모리 데이터 베이스 관리 장치는 테이블 단위로 분리되어 메모리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동적 스키마(Schema) 변경을 위해 온라인 상으로 디스크에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주기억 장치에 로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별도의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해당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메모리 데이터베이스는 한 개의 테이블 당 한 개의 인덱스 테이블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테이블과 인덱스는 각 테이블의 구별이나 그 위치를 찾기 위해 이용되는 영역을 형성하는 숫자나 문자인 공유 메모리 키(Memory Key)와 해당 공유 메모리 키 값에 의거하여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에서 정수로 할당된 값인 공유 메모리 식별자를 가진다. 테이블 식별자(table ID), 공유 메모리 키, 시작 주소 번지(address)의 정보들은 테이블과 기억장치의 매핑 테이블(Mapping table)에 저장된다. 매핑 테이블은 특정 메모리 키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여부 상태(used tag)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해 온라인 상으로 디스크에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고 주기억 장치에 로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별도의 프로세스를 필요로 한다.
해당 프로세스는 스키마 변경의 요구를 수신하면, 변경된 스키마에 맞는 데이터 파일을 디스크에 생성하고 매핑 테이블을 검색한다.
매핑 테이블의 사용자 여부 상태를 조사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는 메모리 키를 얻어와 디스크에 존재하는 데이터 파일을 기억 장치에 로딩하고 나서 테이블 식별자, 메모리 식별자, 시작 주소 번지를 매핑 테이블에 갱신한 후, 매핑 테이블의 유즈드 태그를 사용 중 값으로 갱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동적 스키마 변경 방법은 동적인 스키마 변경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프로세스가 변경된 스키마에 맞게 제작된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디스크에 제작하여 로딩하여야 하므로 서비스의 지속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목적은 동일한 구조의 주기억 장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이중화 시스템 환경에서 서비스의 중단 없이 동적 스키마 변경을 보장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시스템을 나타낸 도.
도2는 스키마 변경 정보를 나타낸 도.
도3a, 도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4는 단계 S42내지 단계 S46을 설명하기 위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80 : 데이터베이스
20, 60 : 질의 처리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
30, 70 :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이미지
40, 50 :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액티브 시스템과 스탠바이 시스템으로 이중화 하여 운용하는 이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테이블 단위로 분리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억세스해주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이미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억세스하기 위해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이미지를 통해 질의를 수행하는 질의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와; 동적 스키마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 이중화된 액티브 시스템과 스탠바이 시스템의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패키지가 적용된 시스템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형상을 송/수신하는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이전 패키지가 적용된 액티브 시스템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에서 새로운 패키지를 적용할 스탠바이 시스템으로 레코드와 테이블 ID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레코드와 테이블 ID를 수신한 스탠바이 시스템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에서 테이블 정보를 통해 변경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시스템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에서 상기 변경 여부를 검사한 결과, 테이블 정보의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변경 전 테이블 ID와 변경 후 테이블 ID가 같은지와, 속성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시스템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에서 상기 속성에 변경이 있을 경우, 레코드에 속한 모든 속성을 처음부터 이동하면서 속성의 변경 타입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시스템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에서 상기 속성의 크기에 변경이 있는 경우 얼라인먼트 타입을 검사하여 포인터를 변경 크기 만큼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주기억 장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이중화된 시스템 환경을 바탕으로 하는데, 이때, 이중화 시스템은 현재 서비스 중인 액티브(active) 시스템(100)과, 현재 서비스 중은 아니지만 액티브 시스템(100)의 장애에 대비하여 액티브 시스템(100)과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스탠바이(Stand-by) 시스템(200)으로 구성된 물리적으로 독립적인 2대의 시스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시스템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database)(10, 80)와, 질의 처리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Query interface Library)(20, 60)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이미지(Online Database Image)(30, 70)와,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Transaction Synchronization Process)(40, 50)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해당 데이터베이스(10, 80)는 테이블 단위로 공유 메모리 내에 저장되며, 주기억 장치에 존재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0, 80)는 액티브 시스템(100)과 스탠바이 시스템(200)에 동일하게 존재한다.
해당 질의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20, 60)는 데이터베이스(10)의 접근을 위해서 해당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이미지(30)를 통해 접근하여 질의를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해당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이미지(30, 70)는 데이터베이스(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억세스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해당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40, 50)는 액티브 시스템(100)에 발생한 트랜잭션 메시지를 스탠바이 시스템(200)에 반영하기 위해 트랜잭션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해당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40, 50)에 의해 액티브 시스템(100)과 스탠바이 시스템(200)은 동일한 데이터베이스 형상을 유지하게 한다.
해당 액티브 시스템(100)에 장애가 발생하여 서비스를 중단하고 스탠바이 시스템(200)이 독립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태라고 가정하면,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탠바이 시스템(200)은 액티브 시스템(100)이 되어 액티브 시스템(100)이 수행하는 역할을 대신하게 된다. 여기서, 시스템 장애를 복구한 액티브 시스템(100)이 복구를 마쳤다면 이는 스탠바이 시스템(200)으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액티브 시스템(100)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40)는 시스템 장애를 복구한 스탠바이 시스템(200)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50)에게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형상을 송신하여 장애를 복구한 스탠바이 시스템(200)과 액티브 시스템(100)의 형상을 동일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때,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40, 50)는 새로운 패키지 적용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변경의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중화 된 두 시스템의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패키지가 적용된 시스템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형상을 송신하게 된다.
여기서,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40, 50)는 관계(Relation) 정보와 속성(Attribute) 정보를 포함한 스키마 변경 정보를 가지고 있다.
해당 관계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에 포함된 테이블 정보로, 변경 전 스키마의 테이블 ID(OldRealationID)와, 변경 후 스키마 테이블 ID(NewRelationID)와, 해당 테이블에 속한 속성에 변경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ChangeAttFlag)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해당 속성 정보는 테이블에 속한 속성의 변경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변경 전 속성의 속성 ID(OldAttID)와, 변경 후 속성의 속성 ID(NewAttID)와, 변경 전 속성의 속성 크기(OldSize)와, 변경 후 속성의 속성 크기(NewSize)와, 속성의 변경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ChangeType)와, 속성 크기의 변경에 있어 얼라인먼트(Alignment)를 맞추어야 하는 경우 얼라인먼트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AlignmentType)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은 도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액티브 시스템(100)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40)로부터 새로운 패키지가 적용된 스탠바이 시스템(200)으로 레코드와 테이블 ID를 전달한다(단계 S31).
해당 전달된 레코드와 테이블 ID를 수신한 스탠바이 시스템(200)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50)는 해당 레코드와 테이블 ID를 통해 테이블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2).
이때, 테이블의 스키마 정보에서 해당 테이블에 속한 속성에 변경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ChangAttFlag)에 변경 사항이 없고, 변경 전 스키마의 테이블 ID(OldRelationID)와 변경 후 스키마의 테이블 ID(NewRelationID)가 같은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만일 ChangAttFlag에 변경 사항이 없고, 변경 전 스키마의 테이블 ID와 변경 후 스키마의 테이블 ID가 같다면, 테이블에는 변경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송받은 레코드를 질의 처리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60)를 이용하여 스탠바이 시스템(200)에 그대로 반영한다(단계 S33).
그러나, ChangAttFlag에 변경 사항이 없고, 변경 전 스키마의 테이블 ID와 변경 후 스키마의 테이블 ID가 같지 않다면, 물리적 테이블의 위치가 변동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4).
이때, 테이블의 스키마 정보에서 해당 테이블에 속한 속성의 변경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ChangAttFlag)에 변경 사항이 없고, 변경 전 스키마의 테이블 ID(OldRelationID)와 변경 후 스키마의 테이블 ID(NewRelationID)가 다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만일, ChangAttFlag에 변경 사항이 없고, 변경 전 스키마의 테이블 ID와 변경 후 스키마의 테이블 ID가 같지 않다면, 해당 테이블에 속한 속성에는 변경이 없고, 테이블 ID만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전송받은 레코드를 질의 처리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60)를 이용하여 스탠바이 시스템(200)에 테이블 ID만을 변경하여 반영한다(단계 S35).
그러나, 테이블의 스키마 정보에서 해당 테이블에 속한 속성에 변경 여부를 표시하는(ChangAttFlag) 정보에 변경 사항이 있고, 변경 전 스키마의 테이블 ID(OldRelationID)와 변경 후 스키마의 테이블 ID(NewRelationID)가 같으면, 해당 테이블에 속한 속성에만 변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포인터를 셋팅한다(단계 S36).
그리고, 속성 ID를 초기화한 후(단계 S37), 전송받은 레코드를 가리키는 변경 전 튜플 포인터 "PtrOldTuple"를 선언한다. 이후, 변환하여 값을 저장할 새로운 레코드를 가리키는 변경 후 튜플 포인터 "PtrNewTuple"를 선언한다. 레코드의 처음 속성부터 마지막 속성까지 포인터를 이용하여 해당 속성의 변경 타입을 검사한다.
검사 결과, 변경 타입이 속성 삭제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38). 해당 변경 타입이 "속성 삭제"이면, 변경 전 튜플 포인터(PtrOldTuple)를 변경 전 크기(OldSize) 만큼 이동한다(단계 S39).
해당 변경 타입이 "변경 없음"값을 가질 경우, 변경 전 튜플 포인터(PtrOldTuple)의 위치에서 변경 후 튜플 포인터(PtrNewTuple)의 위치로 변경 전 크기(OldSize) 만큼 복사한다. 복사 후, 두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 전 크기(OldSize) 만큼 이동한다.
해당 변경 타입이 "속성 크기에 변경 값이 있음" 값을 가질 경우, 얼라인먼트 형태를 검사하여 얼라인먼트(Alignment)가 "변경 없음"이거나 앞에서부터 복사하는 타입(Front-End)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40).
얼라인먼트는 크기가 증가된 속성을 앞에서부터 복사하는 타입(Front-End)과 크기가 증가된 속성을 뒤에서부터 복사하는 타입(Back-End)를 포함한다.
상기 얼라인먼트를 검사한 결과, 얼라인먼트가 "변경 없음"이거나 앞에서부터 복사하는 타입(Front-End)인 경우, 변경 전 튜플 포인터(PtrOldTuple)의 위치에서 변경 후 튜플 포인터(PtrNewTuple)의 위치로 변경 전 크기(OldSize) 만큼을 복사한 후, 변경 전 튜플 포인터(PtrOldTuple)의 위치를 변경 전 크기(OldSize) 만큼 이동하고 변경 후 튜플 포인터(PtrNewTuple)의 위치는 속성 정보의 변경 후 크기(NewSize)에서 변경 전 크기(OldSize)를 뺀 만큼 이동한다(단계 S41).
상기 얼라인먼트를 검사한 결과, 얼라인먼트가 크기 증가된 속성을 뒤에서부터 복사하는 타입(Back-End)인 경우(단계 S42),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 후 크기(NewSize)에서 변경 전 크기(OldSize)를 빼서 애드오프셋 값(AddOffset)을 구한 후(단계 S43), 변경 후 튜플 포인터(PtrNewTuple)의 현재 위치에 애드오프셋 값(AddOffset)을 더하여 라스트오프셋 값(LastOffset)을 구한다(단계 S44). 이후, 변경 전 튜플 포인터(PtrOldTuple)의 위치에서 라스트오프셋 값(LastOffset)의 위치로 변경 전 크기(OldSize) 만큼을 복사한 후(단계 S45), 변경 전 튜플 포인터(PtrOldTuple)의 위치를 변경 전 크기(OldSize) 만큼 이동한다(단계 S46).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기억 장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이중화된 시스템에서 데이터 변환 알고리즘을 이용함으로써 서비스 중단 없이 동적으로 스키마를 변경하게 된다.

Claims (9)

  1. 액티브 시스템과 스탠바이 시스템으로 이중화 하여 운용하는 이중화 시스템에 있어서,
    테이블 단위로 분리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억세스해주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이미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억세스하기 위해 온라인 데이터베이스 이미지를 통해 질의를 수행하는 질의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와;
    동적 스키마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 이중화된 액티브 시스템과 스탠바이 시스템의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새로운 패키지가 적용된 시스템으로 전체 데이터베이스의 형상을 송/수신하는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는 변경 전 스키마의 테이블 ID와, 변경 후 스키마의 테이블 ID와, 상기 테이블에 속한 속성에 변경 여부를 표시하는 정보를 구비하는 테이블 정보와;
    변경 전 속성의 속성 ID와, 변경 후 속성의 속성 ID와, 변경 전 속성의 속성 사이즈와, 변경 후 속성의 속성 크기와, 속성의 변경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와, 속성 크기의 변경에 있어 얼라인먼트를 맞추어야 하는 경우 얼라인먼트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구비하는 속성 정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시스템.
  3. 이전 패키지가 적용된 액티브 시스템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에서 새로운 패키지를 적용할 스탠바이 시스템으로 레코드와 테이블 ID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레코드와 테이블 ID를 수신한 스탠바이 시스템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에서 테이블 정보를 통해 변경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시스템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에서 상기 변경 여부를 검사한 결과, 테이블 정보의 변경 사항이 있을 경우, 변경 전 테이블 ID와 변경 후 테이블 ID가 같은지와, 속성이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시스템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에서 상기 속성에 변경이 있을 경우, 레코드에 속한 모든 속성을 처음부터 이동하면서 속성의 변경 타입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스탠바이 시스템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에서 상기 속성의 크기에 변경이 있는 경우 얼라인먼트 타입을 검사하여 포인터를 변경 크기 만큼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와 테이블 ID를 수신한 스탠바이 시스템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는 테이블 정보를 통해 변경 여부를 검사한 결과, 변경 전 테이블 ID와 변경 후 테이블 ID가 같고, 속성이 변경되지 않았을 경우, 전송받은 레코드를 질의 처리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스탠바이 시스템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코드와 테이블 ID를 수신한 스탠바이 시스템의 트랜잭션 동기화 프로세스는 테이블 정보를 통해 변경 여부를 검사한 결과, 변경 전 테이블 ID와 변경 후 테이블 ID가 같지 않고, 속성이 변경되지 않았을 경우, 해당 테이블에 속한 속성에는 변경이 없고, 테이블의 ID만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전송받은 레코드를 질의 처리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스탠바이 시스템에 테이블 ID만을 변경하여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속성에 변경이 있을 경우, 레코드에 속한 모든 속성을 처음부터 이동하면서 해당 속성의 변경 타입을 검사한 결과, 속성의 변경 타입이 변경 없음을 나타낸 경우, 변경 전 튜플 포인터(PtrOldTuple)의 위치에서 변경 후 튜플 포인터(PtrNewTuple)의 위치로 변경 전 크기(OldSize)만큼 복사하고 각각의 포인터를 변경 전 크기(OldSize) 만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속성에 변경이 있을 경우, 레코드에 속한 모든 속성을 처음부터 이동하면서 해당 속성의 변경 타입을 검사한 결과, 속성의 변경 타입이 삭제되었음을 나타낸 경우, 변경 전 튜플 포인터(PtrOldTuple)의 위치를 변경 전 크기(OldSize) 만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속성의 크기에 변경이 있는 경우 얼라인먼트 타입을 검사한 결과, 앞에서부터 복사하는 타입(Front-End)인 경우, 변경 전 튜플 포인터(PtrOldTuple)의 위치에서 변경 후 튜플 포인터(PtrNewTuple)의 위치로 변경 전 크기(OldSize) 만큼 복사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 전 튜플 포인터(PtrOldTuple)의 위치를 변경 전 크기(OldSize) 만큼 이동하고, 변경 후 튜플 포인터(PtrNewTuple)의 위치를 속성 정보의 변경 후 크기(NewSize)에서 변경 전 크기(OldSize)를 뺀 만큼 이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속성의 크기에 변경이 있는 경우 얼라인먼트 타입(Alignment Type)을 검사한 결과, 뒤에서부터 복사하는 타입(Back-End)인 경우, 변경 후 크기(NewSize)에서 변경 전 크기(OldSize)를 빼서 애드오프셋 값(AddOffset)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 후 튜플 포인터(PtrNewTuple)의 현재 위치에 상기 애드오프셋 값(AddOffset)을 더하여 라스트오프셋 값(LastOffset)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 전 튜플 포인터(PtrOldTuple)의 위치에서 상기 라스트오프셋(LastOffset)의 위치로 변경 전 속성의 속성 크기(OldSize) 만큼 복사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 전 튜플 포인터(PtrOldTuple)의 위치를 변경 전 속성의 속성 크기(OldSize) 만큼 이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KR10-2001-0048573A 2001-08-11 2001-08-11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시스템 및 방법 KR100465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573A KR100465095B1 (ko) 2001-08-11 2001-08-11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시스템 및 방법
US10/214,777 US20030032425A1 (en) 2001-08-11 2002-08-09 Schema change method of dua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573A KR100465095B1 (ko) 2001-08-11 2001-08-11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43A KR20030014543A (ko) 2003-02-19
KR100465095B1 true KR100465095B1 (ko) 2005-01-05

Family

ID=2771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573A KR100465095B1 (ko) 2001-08-11 2001-08-11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0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075B1 (ko) 2008-07-16 2010-04-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동적 데이터의 배포시에 개인정보 보호방법 및 이를 이용한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653B1 (ko) * 2001-08-31 2003-12-06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3지 비동기 시스템에서 운영체제 이중화 지원 방법
KR100902843B1 (ko) * 2007-07-23 2009-06-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온톨로지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435A (ja) * 1994-01-26 1995-08-11 Fuji Xerox Co Ltd データベース管理装置
WO1996006138A1 (de) * 1994-08-19 1996-02-29 Skw Trostberg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extraktion natürlicher carotinoid-farbstoffe
JPH08202597A (ja) * 1995-01-24 1996-08-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スキーマ変換機構編成方式
KR19990078536A (ko) * 1998-12-26 1999-11-05 김형순 지능망서비스시스템을위한데이터베이스의이중화방법
KR20010054560A (ko) * 1999-12-07 2001-07-02 이계철 다중 데이터베이스 질의언어를 이용한 스키마 통합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0435A (ja) * 1994-01-26 1995-08-11 Fuji Xerox Co Ltd データベース管理装置
WO1996006138A1 (de) * 1994-08-19 1996-02-29 Skw Trostberg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extraktion natürlicher carotinoid-farbstoffe
JPH08202597A (ja) * 1995-01-24 1996-08-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スキーマ変換機構編成方式
KR19990078536A (ko) * 1998-12-26 1999-11-05 김형순 지능망서비스시스템을위한데이터베이스의이중화방법
KR20010054560A (ko) * 1999-12-07 2001-07-02 이계철 다중 데이터베이스 질의언어를 이용한 스키마 통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075B1 (ko) 2008-07-16 2010-04-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동적 데이터의 배포시에 개인정보 보호방법 및 이를 이용한개인정보 보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43A (ko) 200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348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licating data
US8458425B2 (en) Computer progra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US7502801B2 (en) Providing a snapshot of a subset of a file system
US6959310B2 (en) Generating data set of the first file system by determining a set of changes between data stored in first snapshot of the first file system, and data stored in second snapshot of the first file system
US6594744B1 (en) Managing a snapshot volume or one or more checkpoint volumes with multiple point-in-time images in a single repository
CN101567805B (zh) 并行文件系统发生故障后的恢复方法
US7085785B2 (en) Writable file system snapshot with ditto address feature
US7216135B2 (en) File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a snapshot dataset where disk address in the inode is equal to a ditto address for indicating that the disk address is invalid disk address
US7043503B2 (en) Ditto address indicating true disk address for actual data blocks stored in one of an inode of the file system and subsequent snapshot
US69413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base synchronization in a duplex system
JP5081631B2 (ja) データの削除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117167B2 (en) Method and data processing system with data replication
US20030159007A1 (en) Deferred copy-on-write of a snapshot
US20030120669A1 (en) Duplex structure of main-memory DBMS using log information in diskless environ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sistency of data of main-memory DBMS
JP2007241486A (ja) 記憶装置システム
JP2002149454A (ja) 論理ディスク上でのトランザクション・サポート
US6792429B2 (en) Method for fault tolerant modification of data representation in a large database
KR100465095B1 (ko) 이중화 시스템에서 동적 스키마 변경을 위한 데이터 변환시스템 및 방법
US20030032425A1 (en) Schema change method of dual system
JPH09244933A (ja) データベースバックアップ方法及び装置
US20110320507A1 (en) System and Methods for Digest-Based Storage
CN108694209B (zh) 基于对象的分布式索引方法和客户端
US10915499B2 (en) Filesystem durable write operations to cloud object storage
US20110047194A1 (en) Method for coordinating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physical entities
KR20030058687A (ko) 공간 데이터 특성에 따른 데이터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