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806B1 - 맥진장치 - Google Patents

맥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806B1
KR100464806B1 KR10-2002-0009822A KR20020009822A KR100464806B1 KR 100464806 B1 KR100464806 B1 KR 100464806B1 KR 20020009822 A KR20020009822 A KR 20020009822A KR 100464806 B1 KR100464806 B1 KR 100464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rist
pulse
pulse pressure
exami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9743A (ko
Inventor
양재봉
김찬호
류희영
신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메드
Priority to KR10-2002-000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806B1/ko
Publication of KR20030069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9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02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 A63H1/04Tops with detachable winding devices with string or band win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12Whip tops; Top whi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00Tops
    • A63H1/20Tops with figure-like features; with movable objects, especially figures

Landscapes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검진자의 손목내측에 위치하는 촌부, 관부, 척부의 3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으며, 또한 피검진자의 손목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과도한 신호성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진맥파형의 추출이 가능한 맥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맥진장치는, 피검진자의 맥을 측정하기 위한 맥진장치에 있어서, 피검진자의 손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40)와, 피검진자의 손목내측표면과 접촉되어서 촌, 관, 척 3점의 시간에 따른 맥압을 측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적신호로 출력하는 맥압측정부(10)와, 상기 맥압측정부(10)를 수평이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평이동부(50)와, 피검진자의 손목높이에 따라서 상기 맥압측정부(10)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수평이동부(50)를 조정하는 수직이동부(60)와, 상기 맥압측정부(1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이동부(50)와 수직이동부(6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진맥위치검출부(20)와, 상기 맥압측정부(1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진자의 진맥파형을 출력하기 위한 맥진파형검출부(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맥진장치{Device for detecting the pulses of 3 points in hands}
본 발명은 맥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피검진자의 손목내측에 위치하는 촌부, 관부, 척부의 3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으며, 또한 피검진자의 손목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과도한 신호성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진맥파형의 추출이 가능한 맥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의학(韓醫學), 동양의학(東洋醫學)에서는 손목내측에 위치한 동맥상의 특정위치인 촌부, 관부, 척부의 맥박을 측정하여 피검진자의 질병을 진단하는 맥진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맥진법은 인체에 흐르는 기와 혈의 조화를 파악하여 십이 장부의 기능적인 유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주로 촌부, 관부, 척부의 3점에 세 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맥박의 강약(압력의 강약), 주기 등을 감지하여 건강상태를 판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맥진법은 숙달되는데 오랜기간의 진료경험이 필요하며 또 환자의 용태나 병의 경중 여부를 손가락의 감각에 의존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환자의 체질에 따라서 나오는 여러가지의 상태를 일일이 체계화하기 어렵고 또 오진의 우려가 많다. 또한 환자의 체질에 따라 처방을 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자료가 필요하나 그 구체화가 어려운 것도 사실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손목의 요골동맥에 압력측정용의 맥파검출센서를 부착한 후 혈압계의 커프를 감아놓고 손으로 공기압력을 가해서 수동적으로 맥파를 검출하는 장치가 발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맥파검출센서가 요골동맥에 정확히 위치하였는가를 확인할 수 없고 측정후 커프를 풀러보면 측정위치를 벗어나 다른 위치에서 맥파를 검출하게 된 경우가 허다하여 그 정확성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 손목전체를 커프로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맥파의 파형이 얻어지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3개의 센서봉을 스텝핑모터로 구동시켜 자동적으로 3단계의 압력에 의한 맥파를 검출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센서봉을 이용한 상기 맥파검출장치는 정확하게 맥점을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말하면, 의사가 정확하게 진맥지점을 탐지하여 3개의 센서봉의 단부를 접촉시키면 문제가 없으나 위치를 정확하게 찾지못하고 약간의 오차가 발생되어도 정확한 측정치를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손목에 접촉되어 있는 센서봉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측정치가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는다. 이것은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손목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센서봉에 의하여 측정되는 측정값의 범위가 크게 변동되기 때문에 발생되는 것이다.
맥압의 측정시 손목의 이동에 따른 변동범위를 나타내는 도 10을 참고하면, (a)는 손목의 이동이 없는 상태에서 측정된 파형이며, (b)는 손목이 상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측정된 파형을 나타내고 있다. (b)의 경우에 측정되는 값이 P에서 P'으로 상승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압력변동의 문제점은 맥압을 측정하는 센서는 미세한 압력을 측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비하여 손목의 이동에 따른 변동치는 이것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센서의 측정범위를 벗어나서 측정이 불가능해지는데 있다. 따라서 정확한 맥진(맥압과 주기측정)을 위하여서는 먼저 정확한 진맥위치를 감지하여야 하고, 손목의 상하이동에 따른 변동치를 정확하게 보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하고 재현성있는 맥진결과의 추출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진자의 손목내측에 위치하는 촌부, 관부, 척부의 3점의 맥측정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는 맥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검진자의 자연스러운 손목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과도한 신호성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진맥파형을 추출할 수 있는 맥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맥진시에 재현성이 우수한 맥진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맥진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 시킬 수 있으며 진맥 및 병명진단에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맥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맥진장치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맥진장치의 부분절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평, 수직이동부의 결합상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평이동부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고정부재의 외관사시도,
도 6은 압력센서부의 설치상태도,
도 7은 압력센서의 접촉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맥진장치의 회로도,
도 9는 본 발명의 맥진파형검출부에 의하여 측정된 소정위치에서의 파형도,
도 10은 손목진동에 의한 파형의 상태변화도,
도 11은 본 발명의 맥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맥압측정부 20: 진맥위치검출부
30: 맥진파형검출부 40: 케이스
42: 가이드홈 44: 손목고정대 고정부
46: 손목고정대 이동부 46a: 볼트
46b: 너트 48: 엄지고정홈
50: 수평이동부 52a: 상부고정판
52b: 하부고정판 54: 고정부재
54a: 관통공 54b: 고정축
54c: 축고정판 56: 측면판
58: 코일 58a: 보빈
60: 수직이동부 62,62a: 모터
64a: 상부고정대 64b: 하부고정대
66: 활주로드 68: 중앙로드
70: 압력센서부 72: 압력센서
72a: 접촉부 74: 본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맥진장치는, 피검진자의 맥을 측정하기 위한 맥진장치에 있어서, 피검진자의 손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와, 피검진자의 손목내측표면과 접촉되어서 촌, 관, 척 3점의 시간에 따른 맥압을 측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적신호로 출력하는 맥압측정부와, 상기 맥압측정부를 수평이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수평이동부와, 피검진자의 손목높이에 따라서 상기 맥압측정부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수평이동부를 조정하는 수직이동부와, 상기 맥압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이동부와 수직이동부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진맥위치검출부와, 상기 맥압측정부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진자의 진맥파형을 출력하기 위한 맥진파형검출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맥진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맥진장치의 외관사시도로서, 정확한 구조를 표시하기 위하여 케이스(40)의 상부측 표면 일부가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맥진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40)의 상부측에는 진맥을 위한 압력센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부(50)와 상기 수평이동부(50)를 수직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부(60)가 상호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표면에는 피검진자의 손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손목고정대 고정부(44)와 이동부(46)가 각각 위치하고 있다.
수직이동부(50)는 수평이동부(50)와 수직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손목고정대 고정부, 이동부(44)(46)에 의하여 피검진자의 손목이 고정되면, 수평이동부(50)의 하단부에 부착된 압력센서부(후에 상술됨)를 상하이동시켜서 손목의 진맥위치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비하여 수평이동부(50)도 스텝모터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이동하여 압력센서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이동부(50)와 수직이동부(60)의 각각의 이동상태에 따라서 압력센서부(70)는 손목의 진맥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촌부, 관부, 척부의 3점의 각각의 진맥위치를 탐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압력센서부(70)가 3개 사용되어야 한다. 이렇게 3개의 압력센서부(70)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수평이동부(50)에는 3개의 고정부재(5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이 도 2에 표시되어 있다.
손목의 고정에 사용되는 손목고정대 고정부(44)와 이동부(46)는 그것들이 설치되어 있는 표면에 고정부(44)와 이동부(46)가 삽입되는 직선홈을 형성하여 양자가 상호접근 또는 상호이격되도록 활주가능하게 고정시키거나 또는 고정부(44)는 이동불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이동부(46)만 활주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고정부(44)와 이동부(46) 또는 이동부(46)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이드홈(42)을 케이스(40)의 측면벽에 형성하고 이동부(46)를 관통하는 볼트(46a)를 구비한 상태에서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본체를 가이드홈(42)의 외부로 노출시킨 후에 너트(46b)를이용하여 고정한다. 물론 고정부(44)와 이동부(46)를 다른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활주 및 고정이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케이스(40)의 개방된 하부측면에 피검진자의 손목을 고정하기 위하여 엄지손가락을 수납하는 엄지고정홈(48)을 더 구비한다. 엄지고정홈(48)은 도면을 참고하면 손목이 수납되는 손목고정대 고정부(44)의 측면으로부터 약간 이격되어 있다. 피검진자가 엄지손가락을 엄지고정홈(48)에 삽입한 상태에서 손목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피검진자의 손목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진맥점의 위치를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다.
케이스(4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평이동부(50)와 수직이동부(60)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전면에는 수평이동부(50)가 위치하고 후면에 수직이동부(60)가 위치하고 있다. 수직이동부(60)는 케이스(40)의 내측단부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평이동부(50)는 수직이동부(60)를 따라서 상하이동하며, 또한 자체적으로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평이동부(50)와 수직이동부(60)의 결합구조가 후에 설명된다.
수직이동부(60)는 하부에 기어드모터(62)가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고정대(64b)와 상부고정대(64a)의 사이에 한 쌍의 활주로드(66)와 중앙로드(68)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중앙로드(68)에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기어드모터(62)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한다. 이 중앙로드(68)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수평이동부(50)가 상하이동한다. 이에 비하여 활주로드(66)는 표면에 나사산이 없으며 상하이동시에 수평이동부(50)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중앙로드(68)와 수평이동부(50)의 결합은, 도 3을 참고하면, 중앙로드(68) 및 활주로드(66)가 관통하도록 수납하는 가이드박스(69)의 상부표면에 수평이동부(50)의 상부고정판(52a)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박스(69)가 상하이동하면 상부고정판(52a)이 상하이동하게 된다.
수평이동부(50)는 수직이동부(60)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판(52a)과, 상부고정판(52a)의 내측표면에 부착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59a)이 관통하는 것으로 일측의 내부에 스텝모터(62a)가 구비된 2조의 기어박스(59)와, 상기 회전축(59a)을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56)과, 상기 측면판(56)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하부고정판(52b)과, 상기 하부고정판(52b)의 전단부 표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코일(58)과, 상기 코일(58)의 하부에 설치되며 단부가 고정축(54b)에 의하여 고정되며 압력센서부(미도시됨)가 부착되는 고정부재(54)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부재(54)의 외관사시도가 도 5에 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4)는 상부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관통공(54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측으로 연장된 단부는 수평을 유지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수직면(a)을 기준으로 하여 수평으로 연장된 하부면(b)은 하부고정대(52b)의 아래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도 6에서와 같은 형태로 압력센서부(70)가 고정부재(54)의 하부면(b)에 부착된다. 이 때 수직면(a)은 하부고정대(52b)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단부면에 의하여 제지되거나 또는 스토퍼(미도시됨)를 설치하여 약간 하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서 피검진자의 손목내측에 접촉되면 압력센서부(70)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는 수평이동부(50)의 배면도로서, 3개의 상호이격된 고정부재(54)들이 고정축(54b)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맥박에 의한 압력측정을 위한 압력센서부(70)의 구조는 전기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선(76)과, 고정부재(54)의 하부면(b)과 결합시키기 위한 본체(74)와, 본체(74)의 하부에 결합되며 맥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72)와, 압력센서(72)의 하부에 위치하며 손목의 특정부위와 접촉하는 접촉부(72a)로 구성된다. 본체(74)는 하부면(b)과의 밀착부분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직사각형태를 가지며, 손목내측피부에 접촉되는 접촉부(72a)는 정확한 측정을 위하여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 도 7에 압력센서(72)와 접촉부(72a)의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표시된 것과 같은 구조의 이점은 진맥시에 압력의 변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압력센서부(70)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재(54)는 고정축(54b)에 의하여 허공중에서 회동되므로 고정부재(54)와 압력센서부(70)의 자체 하중 이외에 외부로부터의 압력, 특히 고정부재(54)가 연결되어 있는 하부고정판(52b) 등으로부터 압력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종래 압력변동에 의한 오차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즉, 상기 고정부재(54)의 일단은 고정축(54b)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고정부재(54)의 타단에는 별도의 부품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외팔보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상기 고정부재(54)의 타단에 외력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회동되는 것이다.한편, 상기 고정부재(54)는 코일(58)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서 전자석으로 작동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센서부(70)에는 맥압이 측정되는 것이다.이와 같이 피검진자의 맥압을 측정할 때 피검진자가 손목을 움직일 경우에는 그 손목의 움직임에 의한 압력의 변화와 맥압에 의한 압력의 변화는 상이하게 된다.즉, 맥압은 압력센서부(70)에 각각 다른 미세한 압력으로 측정되지만, 속목의 움직임에 의한 압력의 변화는 압력센서부(70)에 동일한 큰 압력으로 측정되므로 이는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 가능한 것이다.또한 본 발명의 압력센서부(70)는 스트레인 게이지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스트레인 게이지 자체의 휨 변위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는 외부에서 센서로 인가되는 힘과 비레 관계를 갖게 되고 힘과 압력 사이의 관계는 접촉 면적의 정도에 따라 그 환산값이 달라지게 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따라서, 피검진자의 손목내측표면과 압력센서 사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힘 궤환(force feedback)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 방식은 접촉되되어지는 물체 사이의 일정한 압력 또는 힘을 유지 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코일(58)의 전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피검진자의 손목내측표면과 압력센서부의 접촉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그리고, 상기 압력센서는 맥압을 측정하는 도구 이지만 상술한 바와같이 압력과 힘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손목과 압력센서 사이에 형성되는 접촉력의 크기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54)의 전단부 상부측의 하부고정판(52b) 표면에는 보빈(58a)에 감긴 코일(5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일(58)은 전류를 흘려줌으로서 전자석으로 작동된다. 상기 코일(58)은 전류방향을 변경함으로서 고정부재(54)를 하방을향하여 밀거나 또는 상방을 향하여 당길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무의식적으로 발생되는 피검진자의 손목진동을 보정한다. 이러한 보정은 손목의 상하이동에 따른 압력의 변화량을 감지하고 변화량만큼 즉시 전류량을 조정하여 압력센서부(70)에 공급되는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압력센서부(70)에 의하여 측정되는 압력치는 도 10의 (a)와 같이 항상 일정한 크기(P)로 유지된다.
압력센서부(70)의 압력센서(72)에 의하여 측정된 신호는 도 8과 같은 회로에 의하여 처리된다. 도면에서 10은 맥압측정부, 20은 진맥위치검출부, 30은 맥진파형검출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맥압측정부(10)는 피검진자의 손목내측에 접촉되어서 시간의 진행에 따른 맥압의 크기(압력과 주기)를 측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적신호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손목내측피부와 직접 접촉되어서 맥압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72)와, 상기 압력센서(7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차동증폭부(102)와, 상기 차동증폭부(102)로부터 출력된 신호중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로우패스필터(103)로 구성된다.
또한 진맥위치검출부(20)는 피검진자의 손목내측에 위치한 촌부, 관부, 척부의 3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맥압측정부(10)로부터 입력되는 진맥측정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201)와, 상기 앰프(20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202)와, 상기 A/D변환기(2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입/출력부(203)와, 상기 입/출력부(203)로부터 출력되는 측정신호를 입력받아서 메모리부(205)에 저장하고 또한 맥진측정점을 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72)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모터(기어드모터(62) 및 스텝모터(62a))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4)와, 상기 제어부(2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206)와, 상기 앰프(2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모터(62,62a)를 제어하는 모터콘트롤러(207)로 구성된다.
상기 기어드모터(62)는 수직이동부(60)의 하부측에 부착되어서 수평이동부(50)를 상하이동시키는데 사용되며, 상기 스텝모터(62a)는 수평이동부(50) 자체를 이동시켜서 압력센서부(7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기어박스(59)에 내장되거나 또는 기어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외부에 장착시킬 수 있다. 압력센서부(70)의 위치이동은 손목내측의 일정부위를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하면서 맥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저장한다. 저장이 완료된 후에 제어부(204)에서 저장된 신호들의 크기를 비교하여 가장 큰 신호치가 검출된 위치를 맥압측정의 최적위치로 판단한다. 스텝모터(62a)는 일정간격으로 압력센서부(70)를 이동시킨다.
또한 맥진파형검출부(30)는, 일측단자에는 상기 맥압측정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타측단자에는 상기 맥압측정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중의 특정대역성분을 제거하는 로우패스필터(304)를 통과한 신호를 입력받아서 소정성분신호만을 출력하는 비교기(301)와, 상기 비교기(30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성분을 1차미분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1하이패스필터(302)와, 상기 하이패스필터(3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성분을 2차미분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2하이패스필터(303)와, 일단에는 상기 로우패스필터(3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타단에는 기준값을 설정하기 위한 저항(305)이 연결되는 비교기(306)와, 상기 비교기(3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마그네틱 코일(58)에 인가하기 위한 앰프(30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촌부, 관부, 척부의 3점을 측정하기 위하여 맥압측정부(10)와 진맥파형검출부(30)가 모두 3개 씩 구비되어야 한다. 이에 비하여 진맥위치검출부(20)는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으며, 3개를 이용하여 더욱 정확한 진맥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맥진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11의 플로우차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검진자는 엄지손가락을 엄지고정홈(48)에 삽입한 후에 손목을 케이스(40)의 손목고정대 고정부(42)와 이동부(44)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동부(44)의 위치를 조정하여 손목의 위치를 확정한다. 이 때 이동부(44)를 가이드홈(42)을 통하여 돌출된 볼트(46a)에 너트(46b)를 이용하여 이동부(44)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어부(204)에 작동명령을 위한 신호를 입력시키면 기어드모터(62)를 작동시켜서 수직이동부(60)를 하강시켜서 피검진자의 손목내측 표면에 압력센서부(70)의 압력센서(72)가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압력센서(72)의 접촉부(72a)가 손목내측피부에 접촉되면 혈압에 의한 압력이 검출되며, 검출된 신호는 맥압측정부(10)를 통하여 제어부(204)에 입력된다. 제어부(204)에서는 입력되는 신호의 검출후에 측정위치와 측정신호치를 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1회 측정이 완료되면, 제어부(204)에서는 스텝모터(62a)를 제어하여 압력센서부(70)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에 상기와 같이 맥압을 측정하고 측정위치와 측정신호치를 저장한다. 이러한 측정위치의 변경 및 측정신호의 저장은 손목내측의 일정부위에 대하여 약 10회 정도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10회 정도의 측정위치와 측정신호치에 대한 저장이 완료된 후에 제어부(204)에서는 측정신호치중에서 최대치를 갖는 위치를 판단한다. 이것은 최대치를 갖는 측정위치를 맥압측정의 최적점으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최적의 측정위치가 탐지되면 제어부(204)에서는 압력센서부(70)를 최적의 측정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신호의 출력에 따라서 수평이동부(50)와 수직이동부(60)가 제어되어서 해당 측정위치로 압력센서부(70)가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진맥위치의 탐지가 완료된다.
최적의 진맥위치로 압력센서부(70)가 이동한 후에, 제어부(204)에서는 진맥위치검출부(20)로 입력되는 신호를 차단한다. 따라서 맥압측정부(10)의 압력센서(101)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는 맥진파형검출부(30)로 입력된다. 입력된 측정신호치는 맥진파형검출부(30)에 의하여 처리된 후에 출력된다. 도 8을 다시 참고하면, 출력(output) 단을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는 도 9의 (a)와 같은 신호가 된다. 이것은 비교기(301)에서 오프셋(off-set)처리된 신호이다.
비교기(301)에서 출력된 신호는 제1하이패스필터(302)를 통과하면서 1차미분처리된다. 1차미분처리된 신호의 출력은 출력단자(P1)을 통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파형은 도 9의 (b)와 같은 형태가 된다.
1차미분된 신호는 다시 제2하이패스필터(303)를 통과하면서 2차미분처리된다. 2차미분된 신호의 출력은 출력단자(P2)를 통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파형은 도 9의 (c)와 같은 형태가 된다. 2차미분처리에 의한 파형은 거의 펄스파형이 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출력(output), 출력단자(P1,P2)의 출력파형은 모니터와 같은 표시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펄스파형태의 신호로 추출함으로서 신호를 저장하고 특정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다시말하면, 펄스의 주기와 크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화시킴으로서 특정질병을 가진 피검진자의 맥압상태와 비교하여 병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검진자의 촌, 관, 척의 맥의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으며, 피검진자의 손목의 상하이동에 의하여 발생되는 불필요한 신호성분을 제거하여 정확한 진맥파형을 추출할 수 있으며, 맥진시에 재현성이 우수한 맥진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맥진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시킬 수 있어서 진맥 및 병명진단에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피검진자의 맥을 측정하기 위한 맥진장치에 있어서,
    피검진자의 손목을 고정시키기 위한 케이스(40)와,
    피검진자의 손목내측표면과 접촉되어서 촌부, 관부, 척부 3점의 시간에 따른 맥압을 측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기적신호로 출력하는 맥압측정부(10)와,
    상기 맥압측정부(10)를 수평이동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수직이동부(60)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판(52a)과, 상부고정판(52a)의 내측표면에 부착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59a)이 관통하는 것으로 일측의 내부에 스텝모터(62a)가 구비된 2조의 기어박스(59)와, 상기 회전축(59a)을 따라서 활주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판(56)과, 상기 측면판(56)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하부고정판(52b)과, 상기 하부고정판(52b)의 전단부 표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코일(58)과, 상기 코일(58)의 하부에 설치되며 단부가 고정축(54b)에 의하여 고정되며 압력센서부(70)가 부착되는 고정부재(54)로 이루어진 수평이동부(50)와,
    피검진자의 손목높이에 따라서 상기 맥압측정부(10)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수평이동부(50)를 조정하는 수직이동부(60)와,
    상기 맥압측정부(1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평이동부(50)와 수직이동부(6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진맥위치검출부(20)와,
    상기 맥압측정부(1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진자의 진맥파형을 출력하기 위한 맥진파형검출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맥위치검출부(20)가 피검진자의 손목내측에 위치한 촌부, 관부, 척부의 3점의 위치를 정확하게 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맥압측정부(10)로부터 입력되는 진맥측정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201)와, 상기 앰프(20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202)와, 상기 A/D변환기(20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입/출력부(203)와, 상기 입/출력부(203)로부터 출력되는 측정신호를 입력받아서 메모리부(205)에 저장하고 또한 맥진측정점을 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72)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기어드모터(62) 및 스텝모터(62a)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4)와, 상기 제어부(20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206)와, 상기 앰프(20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서모터(62,62a)를 제어하는 모터콘트롤러(2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진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02-0009822A 2002-02-25 2002-02-25 맥진장치 KR100464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822A KR100464806B1 (ko) 2002-02-25 2002-02-25 맥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822A KR100464806B1 (ko) 2002-02-25 2002-02-25 맥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009U Division KR200274525Y1 (ko) 2002-02-20 2002-02-20 맥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743A KR20030069743A (ko) 2003-08-27
KR100464806B1 true KR100464806B1 (ko) 2005-01-06

Family

ID=3222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822A KR100464806B1 (ko) 2002-02-25 2002-02-25 맥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5697A2 (ko) * 2009-11-24 2011-06-03 한국한의학연구원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이용한 맥파측정로봇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맥파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586A (ko) * 2002-08-28 2004-03-06 주식회사 아론통신기술 맥상파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869515B1 (ko) * 2007-03-14 2008-11-19 한국 한의학 연구원 대맥 및 세맥 진단 시스템
US9044146B2 (en) 2008-10-06 2015-06-02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Arm-fastening device for pulse diagnosis, pulse sensor, pulse diagnosis apparatus comprising the device and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ulse sensor
KR101020001B1 (ko) * 2008-11-11 2011-03-09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맥파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310530B1 (ko) 2012-07-18 2013-10-14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맥 측정 장치 및 그의 맥 측정 방법
CN107157455B (zh) * 2017-06-26 2023-11-21 四川君德利远程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带指法采集的脉象拟真终端
CN111870233A (zh) * 2020-08-25 2020-11-03 大连理工大学 一种脉搏传感器定位及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5828A (ja) * 1987-12-14 1989-06-19 Koorin Denshi Kk 脈波検出装置
JPH01155827A (ja) * 1987-12-14 1989-06-19 Koorin Denshi Kk 脈波検出装置
KR200247606Y1 (ko) * 2001-06-19 2001-10-31 정두진 자동맥진기
KR20020087617A (ko) * 2001-05-15 2002-11-23 허웅 맥위검출을 위한 맥동검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5828A (ja) * 1987-12-14 1989-06-19 Koorin Denshi Kk 脈波検出装置
JPH01155827A (ja) * 1987-12-14 1989-06-19 Koorin Denshi Kk 脈波検出装置
KR20020087617A (ko) * 2001-05-15 2002-11-23 허웅 맥위검출을 위한 맥동검출기
KR200247606Y1 (ko) * 2001-06-19 2001-10-31 정두진 자동맥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5697A2 (ko) * 2009-11-24 2011-06-03 한국한의학연구원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이용한 맥파측정로봇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맥파측정방법
WO2011065697A3 (ko) * 2009-11-24 2011-10-06 한국한의학연구원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이용한 맥파측정로봇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맥파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9743A (ko) 200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4711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etermining systolic pressure
RU217724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давления крови
TWI289441B (en) Augmentation-index measuring apparatus
US4509528A (en) Hemostat with blood flow sensor
EP1041925B1 (de) Verfahren und messgerät zur bestimmung des blutdrucks
KR100464806B1 (ko) 맥진장치
EP1985229A2 (en) A system for draining cerebrospinal fluid from a brain or spinal fluid cavity
EP0014720B1 (en) Sphygmomanometer
JPH01242031A (ja) 血圧測定装置
JPH021225A (ja) 血圧モニタ用押圧力制御装置
WO2000022983A1 (en) Non-invasive blood pressure sensor with motion artifact reduction
JPH09510372A (ja) センサのインビボ・キャリブレーションを行なう装置及び方法
JPH0649068B2 (ja) 脈管内注入における異常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US4290430A (en) Pacer analyzer
US6099476A (en) Blood pressure measurement system
US47293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blood pressure measurements
US20220341803A1 (en) Pressure sensor
KR100464807B1 (ko) 진맥위치 탐지장치
JP5169631B2 (ja) 血圧情報測定装置
CN103315726A (zh) 便携式血压测量设备和血压测量方法
KR200274525Y1 (ko) 맥진장치
US11166638B2 (en) Device for measuring pressure pulses based on applanation tonometry
KR200274526Y1 (ko) 진맥위치 탐지장치
EP0470638B1 (en)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EP0188894A1 (en) Technique for obtain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individual's blood pressure including specifically a stat mode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