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3581B1 - 맨홀뚜껑체결장치 - Google Patents

맨홀뚜껑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3581B1
KR100463581B1 KR1020040053496A KR20040053496A KR100463581B1 KR 100463581 B1 KR100463581 B1 KR 100463581B1 KR 1020040053496 A KR1020040053496 A KR 1020040053496A KR 20040053496 A KR20040053496 A KR 20040053496A KR 100463581 B1 KR100463581 B1 KR 10046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lid
bolt
spring
ju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채
송권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원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원주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원주철
Priority to KR102004005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3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3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Abstract

본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각종 전기,통신선로 및 상, 하수도관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보도나 도로에 설치된 맨홀에 있어서, 맨홀 뚜껑이 맨홀본체에 견고하게 체결되고 이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맨홀뚜껑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뚜껑(10)의 하부에서 스프링(27)의 탄발력으로 탄발전진되는 노리쇠(21)가 맨홀본체(2)의 체결홈(4)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고,
이의 해제시에는 노리쇠(21)의 밀림홈(23)에 끼워진 T자형 지렛대(30)의 송곳부(35)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밀림대(31)의 걸림돌기(33)가 밀림홈(23)을 가압하여 노리쇠(21)를 후퇴시켜 뚜껑(10)의 체결을 해제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맨홀뚜껑체결장치 {Manhole cover combined with manhole-pipe}
본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각종 전기,통신선로 및 상, 하수도관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보도나 도로에 설치된 맨홀에 있어서, 맨홀 뚜껑이 맨홀본체에 견고하게 체결되고 이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는 맨홀뚜껑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나 도로의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각종 전기,통신선로 및 상, 하수도관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설치된 맨홀의 구성은, 상부에 뚜껑을 덮도록 하고 그 뚜껑을 열고 관리자나 관리도구가 맨홀내로 드나들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맨홀은 맨홀본체에 뚜껑을 단순히 덮어 끼우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누구나 손쉽게 열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뚜껑이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주철과 같은 중량물로 주물하여 제작함으로서 시공이 힘들고 개폐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뚜껑을 열기 위해 구성된 손잡이로 인하여 구성이 복잡하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뚜껑에 손잡이를 부착하지 아니하므로 구성이 간단하여지고 미관이 좋도록 구성하며, 뚜껑이 맨홀본체에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체결되고, 필요시 간편하게 해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맨홀을 종래의 주물과 같은 중량물 이외의 합성수지와 같은 저렴하고 가벼운 재질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맨홀뚜껑 위를 지나가는 보행자나 차량의 안전을 도모하고, 필요시 뚜껑의 개폐가 용이하고 맨홀의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구성한 맨홀뚜껑체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예시한 일부단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뚜껑을 예시한 일부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 3a의 B-B'선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일부단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자석을 이용할 경우의 노리쇠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일부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회전노리쇠를 이용한 작동상태를 예시한 일부단면도이다.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맨홀
2: 맨홀본체
3: 뚜껑걸림턱
4: 체결홈
10: 뚜껑
11: 테두리
12: 지렛대삽입홈
13: 노리쇠구멍
14: 노리쇠받침대
15: 스프링고정쇠
16: 걸림홈
17: 패킹
18: 자석끼움구
19: 자석
21: 노리쇠
22: 밀림경사면
23: 밀림홈
24: 걸림구
25: 스프링끼움돌기
26: 걸림턱
27: 스프링
28: 자석부착구
30: 지렛대
31: 밀림대
32: 손잡이
33: 걸림돌기
34: 쇠막대기
35: 송곳부
40: 회전노리쇠
41: 회전축
42: 태엽스프링
43: 스프링끼움구
44: 스프링지지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예시한 일부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뚜껑을 예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맨홀본체(2)의 상부는 뚜껑(10)이 덮어지도록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노리쇠(21)가 끼워져 걸리도록 체결홈(4)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뚜껑(10)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뚜껑걸림턱(3)이 형성된다.
뚜껑(10)은 하부로 돌출된 테두리(11)가 구성되고, 이 테두리(11)의 상부에는 지렛대삽입홈(12)이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노리쇠(21)가 끼워지는 노리쇠구멍(13)이 형성되고, 그 하부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패킹(17)이 차례로 끼워진다.
뚜껑(10)의 하부에는 노리쇠(21)가 끼워진후 노리쇠(21)가 노리쇠구멍(13) 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하부가 트이고 경사진 벽체로 노리쇠받침대(14)가 구성되고, 지렛대(30)의 걸림돌기(33)에 걸리도록 뚜껑(10)에 걸림홈(16)이 형성되며, 스프링(27)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뚜껑(10) 하부로 부터 테두리(11)쪽으로 돌출된 "L"형의 스프링고정쇠(15)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노리쇠받침대(14)에 슬라이딩되어 노리쇠(21)가 맨홀본체(2)의 체결홈(4)에 삽입체결 되도록 구성된다.
노리쇠(21)는 노리쇠받침대(14)에 끼워진후 밑으로 빠지지 않고 슬라이드 이동 되도록 측면에서 볼때 역사다리꼴로 구성되며,
체결홈(4)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노리쇠(21)는 그 선단이 뚜껑(10)을 덮을때 맨홀본체(2) 상부내주면에 접촉되면 미끄러져 밀리면서 스프링(27)의 탄발력을 이기고 후퇴할 수 있도록 밀림경사면(22)이 형성되고 그 선단 중심부에는 회전되는 T자형 지렛대(30)의 밀림대(31)에 형성된 걸림돌기(33)에 의해 노리쇠(21)가 스프링(27)의 탄발력을 이기고 후퇴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밀림홈(23)이 형성되며, 밀림홈(23)의 선단에는 양측내부로 걸림구(24)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노리쇠(21)의 후단에는 스프링(27)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스프링끼움돌기(25)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노리쇠(21)가 스프링(27)의 탄발력에 의해 노리쇠받침대(14)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걸림턱(26)이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노리쇠(21)는 뚜껑(10) 저면에 형성된 노리쇠받침대(14) 상부의 노리쇠구멍(13)에 끼워지고, 스프링(27)이 "L"형의 스프링고정쇠(15) 및 노리쇠(21) 후단의 스프링끼움돌기(25)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뚜껑(10)을 여는데 사용하는 T자형 지렛대(30)는 상단에 지렛대(30)의 회전을 위한 손잡이(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밀림홈(23)에 삽입된 후 회전이 용이하도록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송곳부(35)가 형성되어 이를 중심으로 지렛대(30)를 회전시키면 맨홀본체(2) 테두리 내측에 지지되면서 밀림대(31)의 걸림돌기(33)가 밀림홈(23)을 밀어내면서 스프링(27)의 탄발력을 이기고 노리쇠(21)를 후퇴시킨다. 뚜껑(10) 하부의 걸림홈(16)은 지렛대(30)의 걸림돌기(33)가 걸리도록 하여 뚜껑(10)이 용이하게 열리도록 한다.
또한, 지렛대(30)의 하단에는 밀림홈(23)에 먼지나 이물질등이 쌓여도 삽입이 용이 하도록 하측방향으로 송곳부(3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도 3a의 B - B'선 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일부단면 사시도이다.
도 3a, 도4a 및 도 5a 에서와 같이 뚜껑(10)을 맨홀본체(2)에 덮으면 노리쇠(21)의 밀림경사면(22)은 맨홀본체(2)의 내측 테두리에 닿아 미끄러져 밀리면서, 스프링(27)을 압축시켜 노리쇠(21)를 뚜껑(2)내측으로 후퇴시키고, 노리쇠(21)의 선단이 체결홈(4)에 이르러서는 스프링(27)의 탄발력에 의해 체결홈(4)에 삽입되므로 뚜껑(10)은 맨홀본체(2)와 결합된다.
이때, 먼지와 같은 이물질로 인해 스프링(27)의 탄성력으로도 노리쇠(21)의 선단이 체결홈(4)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쇠막대기(34)와 같은 밀림홈(23)에 삽입가능한 도구를 노리쇠(21)의 밀림홈(23)내에 형성된 걸림구(24)에 걸어, 강제로 노리쇠(21)를 체결홈(4)으로 밀어 넣을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된 맨홀(1)은 뚜껑(10)과 맨홀본체(2)사이가 패킹(17)으로 밀착 되므로 방수가 가능하여, 우수의 유입을 막아 맨홀내에 설치된 각종 시설물을 보호 할 수 있으며, 손잡이가 없으므로 뚜껑(10) 상면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여 미관이 좋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뚜껑(10)이 노리쇠(21)에 의하여 맨홀본체(2)에 견고하게 체결되므로, 뚜껑(10)이 맨홀본체(2)로 부터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뚜껑(10)은 주물과 같은 종래의 중량물 이외에도, 합성수지와 같은 저렴하고 가벼운 재질로 구성이 가능하며, 맨홀(1) 위를 지나가는 보행자나 차량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맨홀본체(2)에 결합된 뚜껑(10)을 열때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b, 도 4b 및 도 5b 에서와 같이 지렛대(30)를 지렛대삽입홈(12)에 삽입한다. 이때 지렛대(30) 하단은 송곳부(3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리쇠(21)의 밀림홈(23)에 쌓인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파고들면서 밀림대(31)가 밀림홈(23)내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3c, 도 4c 및 도 5c에서와 같이 밀림대(31)가 뚜껑(10)을 향하도록 지렛대(30)를 90도 회전시키면 지렛대(30)는 맨홀본체(2) 내측에 지지되면서, 밀림대(31)의 걸림돌기(33)가 밀림홈(23)을 밀게 되어, 이로 인해 노리쇠(21)는 스프링(27)을 압축시키면서 슬라이드 후퇴되므로 노리쇠(21)의 선단이 체결홈(4)에서 이탈되어 체결이 해제 된다.
이후 도 3d 에서와 같이 지렛대(30)를 누르면서 상측으로 당기면 걸림돌기(33)가 뚜껑(10)의 걸림홈(16)에 끼워지면서 체결이 해제된 뚜껑(10)이 열리게 된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자석을 이용할 경우의 노리쇠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일부단면도이다.
도 6a에서와 같이 노리쇠(21)의 측면후방엔 자석(19)에 붙을 수 있는 재질의 자석부착구(28)가 형성되고, 뚜껑(10)의 밑면에는 서로 바라보도록 자석(19)이 내입된 자석끼움구(18)가 자석부착구(28)의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뚜껑(10)을 맨홀본체(2)에 덮으면 노리쇠(21)의 밀림경사면(22)은 맨홀본체(2)의 내측 테두리에 닿아 미끄러져 밀리면서 노리쇠(21)를 뚜껑(2) 내측으로 후퇴시키고, 이때 후방에 위치된 자석끼움구(18)의 자석(19)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노리쇠(21)의 자석부착구(28)가 후방 자석(19)에 부착되어 노리쇠(21)가 후방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뚜껑이 덮어진다.
이후 도 6b 에서와 같이 쇠막대기(34)등으로 노리쇠(21)의 걸림구(24)를 걸어 노리쇠(21)를 체결홈(4)으로 밀어 넣는다. 이에따라 전방에 위치된 자석끼움구(18)의 자석(19)에 노리쇠(21)의 자석부착구(28)가 부착되므로 뚜껑(10)의 노리쇠(21)가 맨홀본체(2)의 체결홈(4)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체결된다.
맨홀본체(2)에 결합된 뚜껑(10)을 열때는 다음과 같다.
도 6c 에서와 같이 지렛대(30)를 지렛대삽입홈(12)에 삽입한 후 밀림대(31)가 뚜껑(10)을 향하도록 지렛대(30)를 90도 회전시키면 지렛대(30)는 맨홀본체(2) 내측에 지지되면서, 밀림대(31)의 걸림돌기(33)가 밀림홈(23)을 밀게 되며 노리쇠(21)는 슬라이딩 후퇴되므로 후방 자석(19)에 자석부착구(28)가 부착되고 노리쇠(21)의 선단이 체결홈(4)에서 이탈되어 체결이 해제 된다.
또다른 실시예인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회전노리쇠를 이용한 작동상태를 예시한 일부단면도이다.
도 7a에서와 같이 회전노리쇠(40))는 뚜껑(10)하부의 회전축(41)에 끼워져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밀림경사면이 형성된 회전노리쇠(40)의 선단이 체결홈(4)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며, 회전노리쇠(40)의 일측면은 지렛대(30)를 회전할 때 태엽스프링(42)의 탄발력을 이기고 후퇴할 수 있도록 오목지게 형성되고, 그 반대면은 태엽스프링(42)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노리쇠(40)가 뚜껑쪽으로 회전 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태엽스프링은(42)은 뚜껑(10) 하부의 스프링끼움구(43)에 끼워지고, 일측단은 스프링지지구(44)에 걸려 태엽스프링(42)이 회전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반대단은 회전노리쇠(40)의 볼록한 측면을 밀어, 태엽스프링(42)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노리쇠(40)가 체결홈(4)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뚜껑(10)을 맨홀본체(2)에 덮으면 회전노리쇠(40)의 밀림경사면은 맨홀본체(2)의 내측 테두리에 닿아 미끄러져 밀리면서 태엽스프링(42)를 압축시켜 밀림노리쇠(40)를 뚜껑(2) 내측으로 회전시키고, 밀림노리쇠(40)의 선단이 체결홈(4)에 이르러서는 태엽스프링(42)의 탄발력에 의해 체결홈(4)에 삽입되므로 뚜껑(10)은 맨홀본체(2)와 결합된다.
맨홀본체(2)에 결합된 뚜껑(10)을 열때는 다음과 같다.
도 7b 에서와 같이 지렛대(30)를 지렛대삽입홈(12)에 삽입한 후 밀림대(31)가 뚜껑(10)을 향하도록 지렛대(30)를 90도 회전시키면 지렛대(30)는 맨홀본체(2) 내측에 지지되면서, 밀림대(31)의 걸림돌기(33)가 회전노리쇠(40)의 오목한 일측을 밀게 되며 이로 인해 회전노리쇠(21)는 태엽스프링(42)을 압축시키면서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 후퇴되므로 회전노리쇠(40)의 선단이 체결홈(4)에서 이탈되어 체결이 해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맨홀본체(2)와 뚜껑(10)이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체결됨으로서, 맨홀(1)을 종래의 주물과 같은 중량물 이외의 가볍고 저렴하며 시공이 간편한 합성수지로도 제작이 가능하고, 종래의 뚜껑(10)에 부착된손잡이를 제거하여 미관이 좋도록 한 장점이 있으며,
뚜껑(10)의 이탈로 인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는것은 물론,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뚜껑(10)의 개폐가 간편하여 맨홀(1)내에 설치된 각종 시설물의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각종 전기,통신선로 및 상, 하수도관의 유지, 보수를 위하여 보도나 도로에 설치된 맨홀(1)에 있어서,
    뚜껑(10)은 하부의 스프링고정쇠(15)에 지지된 스프링(27)의 탄발력으로 탄발전진되는 노리쇠(21)가 경사진 벽체로 설치된 노리쇠받침대(14)에 슬라이딩되어 맨홀본체(2)의 체결홈(4)에 삽입 되므로서 뚜껑(10)이 맨홀본체(2)에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노리쇠(21)에 반원형 밀림홈(23)이 형성되어 그 밀림홈(23)에 끼워지는 T자형 지렛대(30)의 송곳부(35)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밀림대(31)의 걸림돌기(33)로서 밀림흠(23)을 가압하여 노리쇠(21)를 후퇴시켜 뚜껑(10)의 체결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뚜껑체결장치
KR1020040053496A 2004-07-09 2004-07-09 맨홀뚜껑체결장치 KR10046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496A KR100463581B1 (ko) 2004-07-09 2004-07-09 맨홀뚜껑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496A KR100463581B1 (ko) 2004-07-09 2004-07-09 맨홀뚜껑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3581B1 true KR100463581B1 (ko) 2004-12-29

Family

ID=3738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496A KR100463581B1 (ko) 2004-07-09 2004-07-09 맨홀뚜껑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35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504B1 (ko) 2012-02-14 2012-12-24 이상각 맨홀뚜껑 잠금기능을 갖는 맨홀
KR200493839Y1 (ko) 2020-06-09 2021-06-10 김정은 저소음 분리형 맨홀 뚜껑 구조체
KR102286782B1 (ko) 2021-06-03 2021-08-06 박성진 소음 및 이탈 방지수단이 구비된 맨홀뚜껑의 결합장치
KR102441278B1 (ko) * 2021-03-03 2022-09-07 주식회사 호남금속 록킹장치를 구비한 맨홀 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504B1 (ko) 2012-02-14 2012-12-24 이상각 맨홀뚜껑 잠금기능을 갖는 맨홀
KR200493839Y1 (ko) 2020-06-09 2021-06-10 김정은 저소음 분리형 맨홀 뚜껑 구조체
KR102441278B1 (ko) * 2021-03-03 2022-09-07 주식회사 호남금속 록킹장치를 구비한 맨홀 커버
KR102286782B1 (ko) 2021-06-03 2021-08-06 박성진 소음 및 이탈 방지수단이 구비된 맨홀뚜껑의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013B1 (ko) 무소음 트렌치 커버
KR100463581B1 (ko) 맨홀뚜껑체결장치
KR100735007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맨홀
KR101436372B1 (ko) 도난 방지용 배수 집수구
KR101274742B1 (ko) 도로표지판 연결구
KR200383422Y1 (ko) 맨홀뚜껑의 고정장치
KR100551592B1 (ko) 맨홀뚜껑용 잠금장치
KR200436607Y1 (ko) 지렛대용 맨홀 뚜껑의 잠금장치
KR20080026032A (ko) 무볼트 이중고정식 맨홀덮개
KR100779157B1 (ko) 회전잠금식 상하수도·전기·통신용 방수 맨홀뚜껑
CN107651331B (zh) 一种用于加油站及油罐区检测井的井盖
KR101458360B1 (ko) 작동 불능시 간편 해제 가능한 맨홀용 잠금장치
KR100746633B1 (ko) 맨홀
CN211622988U (zh) 一种新型低压成套配电柜专用锁具
KR200383421Y1 (ko) 맨홀뚜껑의 고정장치
KR100466343B1 (ko) 주물손잡이 체결형 잠금 맨홀뚜껑
KR101244740B1 (ko) 우수통 뚜껑 잠금장치
CN210975894U (zh) 井盖用锁具
KR200253292Y1 (ko) 맨홀
CN214657252U (zh) 一种快速开合的井盖
KR200205762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CN210622503U (zh) 一种紧凑型摩托车锁
KR200306637Y1 (ko) 맨홀의 잠금장치
JP4191530B2 (ja) 鉄蓋開閉構造
US20170167107A1 (en) Underground security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