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956B1 -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 - Google Patents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956B1
KR100461956B1 KR10-2002-0084205A KR20020084205A KR100461956B1 KR 100461956 B1 KR100461956 B1 KR 100461956B1 KR 20020084205 A KR20020084205 A KR 20020084205A KR 100461956 B1 KR100461956 B1 KR 100461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night
tank
periscope
im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7457A (ko
Inventor
조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to KR10-2002-008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95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7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K1전차 포술 훈련장치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K1전차 조종 훈련장치를 통해 야간환경에서 조종 훈련을 수행하면서 모의 야간잠망경을 통해 야간 관측시 실제 환경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야간영상을 모의 야간잠망경 내에 설치된 영상출력부인 LCD 모니터 등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광학계의 설계변경 없이 간단하게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SIMULATED NIGHT PERISCOPE OF CONTROL TRAINING APPARATUS FOR K1 TANK}
본 발명은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K1전차 조종 훈련장치를 통해 야간환경에서 조종 훈련을 수행하면서 모의 야간잠망경을 통해 야간 관측시 실제 환경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야간영상을 제공하는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에 관한 것이다.
전차는 제 1차 세계대전 중 영국에 의해 최초로 개발되어 보병의 최대 장애물이었던 철조망과 기관총을 무력화하여 전선의 돌파구를 만들기 위해 운용되었으나, 현대전에서는 고속입체 기동전의 주력으로 운용되고 있다.
K1전차는 1980년대 국내기술로 개발된 3세대 전차로 특수장갑에 의한 방호력과 열 영상장비를 장착하여 주/야 악천후시에도 관측 및 사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레이저에 의한 거리측정이 가능하여 기존 전차보다 초탄 발사시간을 현저히 감소시켰고, 특히 고지에서 저지 사격이 가능한 장비로 일명 88전차라고도 한다.
제 1차 대전시 전차의 주임무는 철조망 뒤쪽의 참호에 있는 기관총을 무력화하기 위한 임무였으나, 전차의 주행속도 및 주포 파괴력 증가와 아울러 창과 방패의 경쟁적 발전 요소가 가미되면서 1960년대에 이르러 지상 전투의 주무기로 탄생하게 되었고, 현대전에서는 방어시 적 전차를 막아내는 가장 좋은 수단이며, 공격시는 강력하고 신속하게 적진을 돌파하여 적에게 충격력을 가하여 심리적 마비를 달성하며, 아울러 명중률을 자랑하는 특성에 의해 적 벙커나 진지를 파괴, 아군 보병 및 타 전투차량의 진로를 개척하기도 한다.
위와 같은 기능을 갖는 전차를 통해 실전에서 최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훈련을 통해 승무원의 전투력을 증강시키는 방법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제상황이 항상 도래하는 것도 아니며 언제 어떤 상황에서 전투가 발생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일편 단순한 환경에서 훈련을 받을 경우 실전이 발생할 경우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K1전차와 동일한 환경을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훈련장치를 통해 실제의 K1전차와 동일한 환경을 구성하고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을 임의로 만들어서 실전과 유사한 상황에서 반복훈련을 수행함으로써 실전에서 최대의 전투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뮬레이션 훈련장치를 통해 야간 조종훈련을 수행할 경우 야간 환경을 야간잠망경을 통해 관측하면서 조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야간잠망경을 실제 전차에 사용되는 야간잠망경을 사용할 경우 모의훈련을 위한 야간 영상을 비춰주는 스크린과 야간잠망경의 대물부와의 거리로 인해 야간 영상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어 실제 사용되는 야간잠망경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야간잠망경을 스크린에 비춰지는 야간영상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야간잠망경의 광학계를 변경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기하학적인 구조도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에서 훈련환경을 제공하는 영상의 휘도는 고휘도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되는 야간잠망경의 경우 낮은 휘도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고휘도의 영상을 입력받을 경우 전력을 차단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전차에 설치되는 야간잠망경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K1전차 조종 훈련장치를 통해 야간환경에서 조종 훈련을 수행하면서 모의야간잠망경을 통해 야간 관측시 실제 환경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야간영상을 제공하는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우징 15 : 장착부
20 : 영상입력부 25 : 영상콘넥터
30 : 영상출력부 35 : LCD 모니터
40 : 접안부 50 : 영상밝기 조절부
55 : 밝기조절 손잡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에 있어서, 조종 훈련장치에서 야간 관측을 수행하기 위한 야간잠망경의 하우징과,
조종 훈련장치에서 제공되는 야간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와, 영상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와, 영상출력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관측하는 접안부와, 영상출력부의 출력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영상밝기 조절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영상입력부와 영상출력부와 접안부와 영상밝기 조절부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영상출력부는 LCD, VFD(냉음극선관), EL(전자조명), PD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K1전차 조종 훈련장치를 통해 야간 조종훈련을 수행하면서 야간 관측을 할 때 실질적인 야간관측과 동일하도록 하기 위해 모의 야간잠망경을 설치하고 야간 훈련영상을 모의 야간잠망경의 영상출력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야간훈련시 모의 야간잠망경의 접안부를 통해 야간관측을 수행하면서 야간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K1전차 조종을 위한 모의 훈련장치를 통해 훈련을 하면서 야간 관측을 수행하기 위한 야간잠망경의 하우징(10)과, 조종 훈련장치에서 제공되는 야간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20)와, 영상입력부(2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30)와, 영상출력부(30)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영상출력부(30)에 출력되는 영상을 관측하는 접안부(40)와, 영상출력부(30)의 출력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영상밝기 조절부(50)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우징(10)은 실제 K1전차와 동일한 외관을 갖도록 구성되며, 영상입력부(20)와 영상출력부(30)와 접안부(40)와 영상밝기 조절부(50)는 모의 야간잠망경의 하우징(10) 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영상출력부(30)는 LCD, VFD(냉음극선관), EL(전자조명), PDP 등으로 이루어져 하우징 내에 설치할 수 있는 평면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상출력부(30)와 접안부(40)와의 거리는 영상출력부(30)에 투영되는 영상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야간잠망경을 통해 관측되는 영상의 크기가 일치되는 위치로 설정하게 된다. 또는 영상출력부(30)의 투영되는 영상의 영상출력부(30)와 접안부(40)와의 거리에 따라 영상을 재처리하여 크기를 일치시킬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의 하우징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의 야간잠망경은 K1전차 포탑 내부의 해치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15)와, 영상입력부(20)로 영상을 입력시키기 위한 영상콘넥터(25)와, 영상밝기 조절부(50)를 조작하기 위한 밝기조절 손잡이(55)와, 영상출력부(30)의 LCD 모니터(35)로 출력되는 영상을 보기 위한 접안부(40)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의 야간잠망경의 장착부(15)를 통해 K1전차의 포탑에 장착하고 야간 훈련을 수행할 경우 조종 훈련장치를 통해 야간 훈련환경의 설정화면이 출력될 때 영상입력부(20)를 통해 야간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입력된 야간 영상이 출력됨으로써 훈련생은 모의 야간잠망경의 접안부(40)를 통해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되는 야간 영상을 보면서 야간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밝기조절 손잡이(55)를 통해 영상밝기 조절부(50)를 조작함으로써 출력되는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면서 야간훈련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K1전차 조종 훈련장치를 통해 야간환경에서 조종 훈련을 수행하면서 모의 야간잠망경을 통해 야간 관측시 실제 환경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야간영상을 모의 야간잠망경 내에 설치된 영상출력부인 LCD 모니터 등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광학계의 설계변경 없이 간단하게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종 훈련장치에서 야간 관측을 수행하기 위한 야간잠망경의 하우징과,
    상기 조종 훈련장치에서 제공되는 야간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와,
    상기 영상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출력부와,
    상기 영상출력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영상출력부에 출력되는 영상을 관측하는 접안부와,
    상기 영상출력부의 출력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영상밝기 조절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입력부와 상기 영상출력부와 상기 접안부와 상기 영상밝기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는 LCD, VFD(냉음극선관), EL(전자조명), PD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야간잠망경의 하우징은
    K1전차 포탑 내부의 해치에 설치하기 위한 장착부와,
    상기 영상입력부로 영상을 입력시키기 위한 영상콘넥터와,
    상기 영상밝기 조절부를 조작하기 위한 밝기조절 손잡이와,
    상기 영상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보기 위한 접안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
KR10-2002-0084205A 2002-12-26 2002-12-26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 KR100461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205A KR100461956B1 (ko) 2002-12-26 2002-12-26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205A KR100461956B1 (ko) 2002-12-26 2002-12-26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57A KR20040057457A (ko) 2004-07-02
KR100461956B1 true KR100461956B1 (ko) 2004-12-17

Family

ID=3735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205A KR100461956B1 (ko) 2002-12-26 2002-12-26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2664B (zh) * 2018-06-05 2023-10-27 中国人民解放军陆军工程大学 一种炮长观察镜模拟装置
KR102120553B1 (ko) * 2018-09-19 2020-06-09 주식회사 크렌진 Vr hmd와 모니터 방식을 동시 적용하는 다목적 차량용 멀티모드 주행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457A (ko) 200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9726B1 (en) Multi-shot, non-lethal, taser cartridge remote firing system for protection of facilities and vehicles against personnel
RU2498191C1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огнем нескольких снайперов
US20110030545A1 (en) Weapons control systems
CA2429963C (en) Combat simulation wherein target objects are associated to protecting object by means of a local co-operation between the target objects and the relevant protecting objects
CN103940297A (zh) 无人化侦察武器平台
RU2294514C1 (ru) Приц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боевого беспилотного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US20060196098A1 (en) Hand-carried weapon having a remote visual display
KR100461956B1 (ko) K1전차 조종 훈련장치의 모의 야간잠망경
CN103134386B (zh) 一种非直瞄视频瞄准系统
Meyer Active Protective Systems
US4470818A (en) Thermal sight training device
RU152571U1 (ru) Имитатор переносного зенитного ракетного комплекса
CN109029130A (zh) 实战化训练的靶标攻击方法
KR102298623B1 (ko) Hmd를 활용한 전차의 상황인식시스템
DE4111935C2 (ko)
RU199963U1 (ru) Бортовой комплекс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от поражающего воздействия переносных зенитно-ракетных комплексов
KR20040057460A (ko) K1전차 포술 훈련장치의 제어장치
RU2292005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трельбы по скоростным низколетящим целям
RU2254546C1 (ru) Бронированная башня "тайфун" боевой машины
RU2184683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двухместный высокоманевренный самолет тактического назначения
RU2807287C1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ударного робототехнического комплекса
Fortin et al. Improving the Protection of the Canadian Light Armoured Vehicle Using a Laser-based Defensive Aids Suite
CN114963854A (zh) 轮式突击炮模拟训练器
Bogner Application of panospheric imaging to an armoured vehicle viewing system
KR101977234B1 (ko) 어안렌즈 카메라를 이용한 일체형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