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1813B1 -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1813B1
KR100461813B1 KR10-2002-0041507A KR20020041507A KR100461813B1 KR 100461813 B1 KR100461813 B1 KR 100461813B1 KR 20020041507 A KR20020041507 A KR 20020041507A KR 100461813 B1 KR100461813 B1 KR 100461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driver
select
rod
shi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6915A (ko
Inventor
한호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8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는 변속로드의 장력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변속레버를 3단 또는 4단 변속단에 위치시킨 후 변속레버로부터 노브를 탈거시키고, 이후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면 액추에이터가 드라이버의 회전력에 의해 일정 유압을 발생시켜 이 유압력에 변속로드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기 때문에 변속로드의 장력 조절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Tension control apparatus of shift lever}
본 발명은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콘솔박스를 분해하지 않고 변속레버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변속기는 엔진과 구동바퀴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 상태 변화에 따라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한 후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차실에 구비된 변속레버와 케이블 또는 로드, 와이어 등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변속조작을 행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 어셈블리는 셀렉트 변속 조작시 운전자가 변속레버(2)를 셀렉트 방향, 즉 화살표 Q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변속레버(2)의 하단에 연결된 셀렉트 로드(4)를 통해 셀렉트 변속 조작력이 수동변속기에 전달되고, 이후 운전자가 변속레버(2)를 시프트 방향, 즉 화살표 P방향으로 조작하면 상기 변속레버(2)의 하단에 연결된 시프트 로드(6)를 통해 시프트 변속 조작력이 수동변속기에 전달되어 변속 조작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변속레버(2)는 상부가 플로워 패널에 장착된 콘솔박스(미도시)를 관통해 차실로 돌출되고, 상단에 노브(1)가 장착된다.
상기 셀렉트 로드(4) 및 시프트 로드(6)는 온도변화 및 진동, 마모 등에 의해 길이가 변하지 않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수동변속기에 항상 일정한 변속레버(2)의 조작력, 즉 장력을 전달함으로써 정확한 변속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렉트 로드(4) 및 시프트 로드(6)는 각각 변속레버(2)와 직접 연결된 제1 로드(a)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홀(h)이 형성되어 그 삽입홀(h)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수동변속기와 직접 연결된 제2 로드(b)의 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 로드(a)의 나사와 대응되는 나사(n)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로드(b)의 단부가 상기 제1 로드의 삽입홀(h)에 일정 길이 나사 결합되면서 삽입되며, 상기 제1 로드(a)와 제2 로드(b)의 나사 결합이 고정되도록 상기 제2 로드의 나사(n)에 너트(8)가 조여진다.
따라서, 상기 셀렉트 로드(4) 또는 시프트 로드(6)의 길이가 변한 경우, 상기 너트(8)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상기 변속레버(2)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 어셈블리는 변속레버(2)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플로워 패널로부터 콘솔박스를 분해한 후 변속레버 어셈블리 및 콘솔박스 하측에 장착된 일부 구성부품을 탈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변속레버의 장력 조절시 콘솔박스 및 그 주위 구성부품의 탈거 작업을 요구하지 않는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4a,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셀렉트 로드의 장력조절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버 치가 드라이버 홈에 걸림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5a,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트 로드의 장력조절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변속레버 54 : 드라이버
56 : 드라이버 치 60 : 셀렉트 액추에이터
70 : 시프트 액추에이터 80 : 셀렉트 로드
90 : 시프트 로드 110 : 유압유지수단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는 변속레버와; 상기 변속레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드라이버와; 상기 드라이버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드라이버의 회전력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단에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방향으로 형성된 드라이버 홈과 대응되게 형성된 드라이버 치와; 탄성력을 갖고 상기 드라이버 치를 상기 드라이버에 연결하여 상기 드라이버 치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단에 걸림된 경우,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이 구속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드라이버의 회전시 상기 드라이버 치가 함께 회전되다가 상기 드라이버 홈과 변속레버의 조작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된 순간 상기 드라이버 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변속레버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공급받는 유압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수동변속기에 전달하는 변속로드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는 차실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변속조작의지에 따라 작동되는 변속레버(52)와, 상기 변속레버(52)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드라이버(54)와, 상기 드라이버(54)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드라이버(54)의 회전력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셀렉트, 시프트 액추에이터(60,70)와, 상기 셀렉트, 시프트 액추에이터(60,70)의 상단에 상기 변속레버(52)의 조작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드라이버 홈(62a,72a)과 대응되게 형성된 드라이버 치(56)와, 일정 탄성력을 갖고 상기 드라이버 치(56)와 드라이버(54)를 연결하여 변속 조작시 상기 드라이버 치(56)가 셀렉트, 시프트 액추에이터(60,70)의 상단에 걸림된 경우 꺾이도록 하고, 상기 드라이버(54)의 회전시 상기 드라이버 치(56)와 드라이버 홈(62a,72a)이 변속레버의 조작방향으로 일치된 순간 상기 드라이버 치(56)가 상기 드라이버 홈(62a,72a)에 삽입되도록 하는 탄성부재(58)와, 상기 변속레버(52)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셀렉트, 시프트 액추에이터(60,70)로부터 공급받는 유압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변속레버(52)의 조작력을 수동변속기에 전달하는 셀렉트, 시프트 로드(80, 90)로 이루어진 변속로드 등으로 이루어진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변속레버(52)는 상단에 노브(50)가 착탈 가능토록 나사 결합되고, 중앙부가 차체에 장착된 볼 조인트(51)에 삽입되어 상기 볼 조인트(51)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하단에 일체로 움직이도록 결합되어 수동변속기로 변속레버(52)의 셀렉트 조작력 및 시프트 조작력을 각각 전달하는 셀렉트 로드(80) 및 시프트 로드(90)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셀렉트 로드(8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수동변속기와 연결되고 타단에 유압라인(미도시)을 통해 상기 액추에이터(미도시)로부터 소정의 유압을 공급받는 실린더(82a)가 형성된 셀렉트 실린더 로드(82)와, 일단이 상기 셀렉트 실린더 로드의 실린더(82a) 좌측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변속레버(52)의 하단과 연결된 셀렉트 피스톤 로드(84)와, 상기 셀렉트 실린더 로드의 실린더(82a)에 장착되어 상기 셀렉트 실린더 로드의 실린더(82a)에 공급되는 유압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셀렉트 리턴 스프링(86)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프트 로드(90)는 상기 셀렉트 로드(80)와 마찬가지로 실린더(92a)가 구비된 시프트 실린더 로드(92)와 시프트 피스톤 로드(94), 시프트 리턴 스프링(96)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셀렉트 피스톤 로드(84) 및 시프트 피스톤 로드(94)에는 상기 셀렉트 실린더 로드의 실린더(82a) 및 시프트 실린더 로드의 실린더(92a)에 공급된 유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 유압유지수단(110)이 장착된다.
상기 유압유지수단은(110)은 내주면이 상기 셀렉트 피스톤 로드(84) 또는 시프트 피스톤 로드(94)의 외주면에 스플라인 결합되고, 외주면에 셀렉트 피스톤 로드(84) 또는 시프트 피스톤 로드(94)의 길이방향으로 제1 디텐트 홈(112a)이 형성된 제1 디텐트 플레이트(112)와, 상기 셀렉트 피스톤 로드(84) 또는 시프트 피스톤 로드(94)의 외둘레를 감싸는 하우징(114)의 내주면에 아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디텐트 홈(112a)과 대향되는 면에 제2 디텐트 홈(116a)에 형성된 제2 디텐트 플레이트(116)와, 상기 제1 디텐트 플레이트(112)와 제2 디텐트 플레이트(116) 사이에 힌지(118a) 결합되어 일단이 상기 제1 디텐트 홈(112a)에 삽입되고 타단이 제2 디텐트 홈(116a)에 삽입된 디텐트 로드(118)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유압유지수단(110)은 셀렉트 로드(80)의 장력 조절시 상기 셀렉트 피스톤 로드(84)가 셀렉트 액추에이터(60)로부터 공급받는 유압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디텐트 로드(118)가 힌지(118a)을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양단이 제1 디텐트 홈(112a)과 제2 디텐트 홈(116a) 중 어느 하나에 각각 삽입되고, 셀렉트 로드(80)의 장력 조절 후 상기 디텐트 로드(118)가 삽입되어 있는 제1 디텐트 홈(112a)과 제2 디텐트 홈(116a)에 걸림되어 회전되는 것이 구속됨으로써 상기 셀렉트 로드(80)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유압유지수단(110)은 상기 시프트 로드(90)의 장력이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변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드라이버(54)는 상기 변속레버(52)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단에 변속레버(52)의 내경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변속레버(52)의 상단에 걸림되고 변속레버의 장력 조절시 작업자가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54a)가 형성된다.
상기 셀렉트 액추에이터(60)는 상기 변속레버(52)가 3단 변속위치로 회동된 경우, 상기 드라이버(54)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되어 상기 셀렉트 변속로드(80)에 유압을 공급하고, 상기 시프트 액추에이터(70)는 상기 변속레버(52)가 4단 변속위치로 회동된 경우, 상기 드라이버(54)의 하단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일직선 상에 위치되어 상기 시프트 변속로드(90)에 유압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셀렉트 액추에이터(6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렉트 로드(80)와 유압라인(102)을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작동유가 충진된 셀렉트 실린더(64)와, 상단에 상기 드라이버 홈(62a)이 3/4단 시프트 변속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단 외둘레에 상기 셀렉트 실린더(64)의 상단 내부에 형성된 나사(64a)와 대응되는 나사(62b)가 형성된 셀렉트 푸시로드(6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셀렉트 액추에이터(60)는 상기 변속레버(52)가 3단 변속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버 치(56)가 상기 드라이버 홈(62a)에 삽입된 후 상기 드라이버(5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이 회전력에 의해 상기 셀렉트 푸시로드(62)가 상기 셀렉트 실린더(64)의 상단 내부에서 나사가 풀리는 방향 또는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셀렉트 실린더(64)의 작동유에 소정의 유압이 생기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시프트 액추에이터(70)는 상기 셀렉트 액추에이터(60)와 마찬가지로 시프트 실린더(74) 및 시프트 푸시로드(72)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변속레버(52)가 4단 변속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드라이버 치(56)가 상기 시프트 푸시로드(72)의 상단에 형성된 드라이버 홈(72a)에 삽입된 후 상기 드라이버(5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이 회전력에 의해 상기 시프트 푸시로드(72)가 상기 시프트 실린더(74)와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드라이버(54)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시프트 실린더(74)의 작동유에 소정의 유압이 생기도록 한다.
상기 드라이버 치(56)는 상기 드라이버(54)의 하단에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치 로드(57)의 끝단에 상기 드라이버 홈(62a,72a)과 대응되게 일자형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58)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 내주면이 상기 드라이버(54)의 하단 외주면과 결합되고, 하부 내주면이 상기 치 로드(57)의 외주면과 결합되는 고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변속레버의 노브(50)를 잡고 변속레버(52)를 셀렉트 또는 시프트 방향으로 조작하면, 셀렉트 로드(80) 또는 시프트 로드(90)를 통해 변속레버(52)의 조작력이 수동변속기에 전달된다.
여기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 변속을 위해 상기 변속레버(52)가 3단 변속위치로 회동될 때 상기 드라이버 치(56)가 셀렉트 푸시로드(62)의 상단에 걸림된 경우, 상기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드라이버 치(56)가 꺾이기 때문에 상기 변속레버(52)의 3단 변속조작이 걸림되지 않는다.
또한, 4단 변속시 상기 드라이버 치(56)가 시프트 푸시로드(72)의 상단에 걸림되어도 상기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드라이버 치(56)가 꺾여져 변속레버(52)의 4단 변속조작이 걸림되지 않는다.
한편, 수동변속기에 변속레버(52)의 셀렉트 조작력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셀렉트 로드(8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경우, 먼저 변속레버(52)를 3단 변속위치로 회동시켜 드라이버(54)와 셀렉트 푸시로드(62)가 드라이버(54)의 길이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하고, 변속레버의 노브(50)를 풀어 드라이버의 손잡이(54a)를 잡고 드라이버(5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 때, 상기 드라이버(54)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셀렉트 푸시로드(62) 또한 회전되면서 상기 셀렉트 실린더(64)에 소정의 유압이 발생되고, 상기 셀렉트 실린더(64)에서 발생된 유압이 유압라인(102)을 통해 셀렉트 실린더 로드의 실린더(82a)에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셀렉트 푸시로드(62)가 상기 셀렉트 실린더(64)와의 나사 결합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셀렉트 실린더 로드의 실린더(82a)에 보다 작은 유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셀렉트 리턴 스프링(86)의 복원력에 의해 셀렉트 피스톤 로드(84)가 셀렉트 로드(80)의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반면, 상기 셀렉트 푸시로드(62)가 상기 셀렉트 실린더(64)와의 나사 결합이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셀렉트 실린더 로드의 실린더(82a)에 보다 큰 유압이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셀렉트 피스톤 로드(84)가 셀렉트 리턴 스프링(86)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셀렉트 로드(80)의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한편, 상기 드라이버 치(56)가 셀렉트 푸시로드(62)에 걸림되어 상기 드라이버 치(56)가 꺾인 경우, 상기 드라이버(54)의 회전시 상기 드라이버 치(56)가 상기 드라이버(54)와 함께 회전되다가 상기 셀렉트 푸시로드의 드라이버 홈(62a)과 3단 변속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된 순간 상기 탄성부재(58)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셀렉트 푸시로드의 드라이버 홈(62a)에 삽입되어 상기 드라이버(54)의 회전력이 상기 셀렉트 푸시로드(62)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시프트 로드(90)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변속레버(52)를 4단 변속위치로 회동시킨 후 변속레버의 노브(50)를 풀고 드라이버(54)를 회전시켜 시프트 액추에이터(70)에 소정의 유압이 발생되도록 하고, 상기 시프트 로드(90)가 이 유압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셀렉트 로드(80)의 장력을 조절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드라이버(54)의 회전시 시프트 푸시로드(72)가 시프트 실린더(74)와의 나사 결합이 풀리거나 조여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시프트 실린더 로드의 실린더(92a)에 공급되는 유압이 가변되고, 이 유압력과 시프트 리턴 스프링(96)의 탄성력의 차이에 따라 시프트 피스톤 로드(94)가 시프트 로드(90)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버 치(56)는 상기 시프트 푸시로드(72)의 상단에 걸림된 상태에서 드라이버(54)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시프트 푸시로드의 드라이버 홈(72a)과 4단 변속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된 순간 탄성부재(5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시프트 푸시로드의 드라이버 홈(72a)에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는 변속로드의 장력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변속레버를 3단 또는 4단 변속단에 위치시킨 후 변속레버로부터 노브를 탈거시키고, 이후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면 액추에이터가 드라이버의 회전력에 의해 일정 유압을 발생시켜 이 유압력에 변속로드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기 때문에 변속로드의 장력 조절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변속레버와; 상기 변속레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된 드라이버와; 상기 드라이버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드라이버의 회전력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단에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방향으로 형성된 드라이버 홈과 대응되게 형성된 드라이버 치와; 일정 탄성력을 갖고 상기 드라이버 치와 드라이버를 연결하여 변속 조작시 상기 드라이버 치가 액추에이터의 상단에 걸림된 경우 꺾이도록 하고, 상기 드라이버의 회전시 상기 드라이버 치와 드라이버 홈이 변속레버의 조작방향으로 일치된 순간 상기 드라이버 치가 상기 드라이버 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변속레버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공급받는 유압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상기 변속레버의 조작력을 수동변속기에 전달하는 변속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단에 상기 변속레버에 걸림되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로드는 상기 변속레버의 셀렉트 조작력을 전달하는 셀렉트 로드와, 상기 변속레버의 시프트 조작력을 전달하는 시프트 로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변속레버가 3단 변속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드라이버와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셀렉트 로드에 유압을 공급하는 셀렉트 액추에이터와, 상기 변속레버가 4단 변속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드라이버와 길이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시프트 로드에 유압을 공급하는 시프트 액추에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홈 및 드라이버 치는 일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변속로드와 유압라인을 통해 연결되고, 내부에 작동유가 충진된 셀렉트/시프트 실린더와; 상기 셀렉트/시프트 실린더에 나사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드라이버 홈이 형성되어 상기 드라이버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셀렉트/시프트 실린더와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작동유에 압력을 부여하는 셀렉트/시프트 푸시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드라이버와 드라이버 치의 상부 외둘레를 감싸는 원통형 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로드는 수동변속기와 연결되고 일단에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실린더가 형성된 셀렉트/시프트 실린더 로드와; 상기 변속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셀렉트/시프트 실린더 로드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셀렉트/시프트 피스톤 로드와; 상기 셀렉트/시프트 실린더 로드에 공급되는 유압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는 셀렉트/시프트 리턴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로드는 셀렉트/시프트 피스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액추에이터로부터 받은 유압을 유지시키는 유압유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유지수단은 셀렉트/시프트 피스톤 로드의 외주면에 길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제1 디텐트 홈과; 상기 셀렉트/시프트 피스톤 로드의 외둘레를 감싸는 하우징의 내주면에 상기 제1 디텐트 홈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2 디텐트 홈과; 일단이 상기 제1 디텐트 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디텐트 홈에 삽입되며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셀렉트/시프트 피스톤 로드의 슬라이드 이동시 회동되는 디텐트 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KR10-2002-0041507A 2002-07-16 2002-07-16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KR100461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507A KR100461813B1 (ko) 2002-07-16 2002-07-16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507A KR100461813B1 (ko) 2002-07-16 2002-07-16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915A KR20040006915A (ko) 2004-01-24
KR100461813B1 true KR100461813B1 (ko) 2004-12-14

Family

ID=3731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507A KR100461813B1 (ko) 2002-07-16 2002-07-16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42B1 (ko) * 2008-04-29 2009-10-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수동변속기의 시프트로드와 변속레버의 연결구조
CN104442376B (zh) * 2014-12-02 2017-06-13 湖南梅花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手扶式履带运输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125U (ko) * 1995-12-28 1997-07-29 타이밍 벨트의 장력조절장치
KR20010042759A (ko) * 1998-04-17 2001-05-25 피코 트리아드 변속-레버 장치
KR20020047935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주차브레이크 케이블 장력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125U (ko) * 1995-12-28 1997-07-29 타이밍 벨트의 장력조절장치
KR20010042759A (ko) * 1998-04-17 2001-05-25 피코 트리아드 변속-레버 장치
KR20020047935A (ko) * 2000-12-14 2002-06-22 이계안 주차브레이크 케이블 장력 조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915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4472B1 (en) A control arrangement for a brake lever
EP0130456B1 (en) Fluid pressure actuator
JPS6171266A (ja) 液圧マスタシリンダ組立体
US9423019B2 (en) Manual park release actuator assembly
US6722218B1 (en) Shifting device for a variable speed vehicle transmission
JP6434638B2 (ja) 枢動可能アームの精密位置決めのための関節式レバー又はカム型作動装置
US20070068324A1 (en) Centering spring apparatus for a transmission shift control mechanism
SE410951B (sv) Anordning for att underletta vexling vid manuellt manovrerbara vexellador
KR20090007299A (ko) 기계식 기아박스에서의 기아 변속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및방법
KR100461813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장력조절장치
US11052880B2 (en) Parking lock arrangement
US7464621B2 (en) Longitudinally displaced shifter
EP2019237A2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US8113081B2 (en) Universal shifter system for a vehicle
US20080314186A1 (en) Shifter Lever Knob Adapter and Kit Including Same
US9599213B2 (en) Shift lever assembly with axially offset noise and vibration damper
US6569058B2 (en) Linear motion shifter
KR20000017443A (ko) 실용차의 회전축 특히 수동 기어용 톱니변속 장치 회전운동 보조장치
KR100456892B1 (ko) 가변 셀렉트레버 비를 갖는 변속레버 장치
KR101612970B1 (ko) 기어 시프팅 시스템
EP1541292B1 (de) Bohrhammer
US20230365218A1 (en) Clutch assist device
DE10127955A1 (de) Schaltvorrichtung für ein Fahrzeug-Wechselgetriebe
JPH0521001Y2 (ko)
BRPI0400191B1 (pt) Dispositivo para mudança manual de marcha em uma caixa de marchas em um veícu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