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0420B1 -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 - Google Patents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0420B1
KR100460420B1 KR10-2002-0064432A KR20020064432A KR100460420B1 KR 100460420 B1 KR100460420 B1 KR 100460420B1 KR 20020064432 A KR20020064432 A KR 20020064432A KR 100460420 B1 KR100460420 B1 KR 100460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m
mail
estimated
phrase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4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328A (ko
Inventor
하정호
안재근
정병환
Original Assignee
디프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프소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프소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4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04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3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0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06Q50/60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을 개량하여 제목이나 본문을 이루는 각 글자 사이에 키보드에 새겨진 글자 이외의 임의의 문자를 삽입한 변형 등을 행한 스팸 문구를 갖는 전자메일도 스팸메일로 걸러내어 자동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한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에 관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메일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전자메일 시스템에서, 미리 규정되고 두 개 이상의 글자로 이루어진 소정의 스팸 문구가 수신 전자메일의 제목 또는 본문 중에 그대로 존재하는 상기 수신 전자메일을 스팸메일로 분류하여 여과할 수 있도록 된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자메일의 제목 또는 본문 중에 상기 스팸 문구를 이루는 각 글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외문자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변형 스팸 문구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 전자메일을 스팸메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method for filtering spam mail by X-code}
본 발명은 스팸메일 여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메일의 제목이나 본문 중에 미리 규정된 스팸 문구의 각 글자 사이에 각종 글자외문자들이 삽입되어 변형되더라도 이를 스팸메일로 분류하여 여과할 수 있도록 한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자메일 시스템이라 함은 인터넷을 통하여 특정한 사용자와 데이터나 메시지를 교환하는 시스템을 말하고, 스팸메일(spam-mail)이라 함은 수취하는 쪽의 의향을 무시하고 대량으로 퍼뜨리는 광고, 선전, 권유 등의 상업적인 목적을 갖는 전자 메일을 말한다. 보다 광범위하게는, 명시적인 수신거부의사에 반하는 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메일,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킬 목적으로 발송하는 대량메일, 프로그램저작권을 침해하는 불법 소프트웨어 등의 판매 광고메일, 공서양속을 해치는 성인용품 및 불건전 사이트 등의 광고메일 및 공포심이나 불안감을 유발하는 메일 등이 스팸메일로 간주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스팸메일이 수신자에게 주는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그 하위 법에서 다양하고도 구체적인 스팸메일 제한 규정을 마련해 놓고 이를 위반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벌을 과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다. 일례로, 스팸메일 제목의 서두에 "(광고)"나 "(성인광고)"라는 문구를 반드시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수신자가 스팸메일 여과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 이러한 문구를 제목으로 갖는 전자메일을 스팸메일로 분류하도록 설정하면 이후 이러한 제목을 갖는 전자메일이 자동적으로 스팸메일로 분류되게 된다. 더욱이 현재에는 메일 클라이언트가 스팸메일 여과를 위한 임의의 문구를 설정할 수도 있어서 제목 또는 본문 내용 중에 상기 설정 문구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메일이 자동으로 스팸메일로 분류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종래의 스팸메일 여과 방식을 '자체 정규 방식'이라 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전자메일이 제목 또는 본문 중에 메일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스팸 문구 그대로가 아닌, 변형된 스팸 문구, 예를 들어 각 글자 사이에 스페이스(칸띄우기), 특수문자 또는 그림문자 등이 삽입된 스팸 문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걸러낼 수 없어서 스팸메일의 여과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의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을 개량하여 제목이나 본문을 이루는 각 글자 사이에 키보드에 새겨진 글자 이외의 임의의 문자를 삽입한 변형 등을 행한 스팸 문구를 갖는 전자메일도 스팸메일로 걸러내어 자동으로 여과할 수 있도록 한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메일서버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전자메일 시스템에서, 미리 규정되고 두 개 이상의 글자로 이루어진 소정의 스팸 문구가 수신 전자메일의 제목 또는 본문 중에 그대로 존재하는상기 수신 전자메일을 스팸메일로 분류하여 여과할 수 있도록 된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전자메일의 제목 또는 본문 중에 상기 스팸 문구를 이루는 각 글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외문자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변형 스팸 문구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수신 전자메일을 스팸메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메일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을 보인 플로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자체 웹사이트, 12: 메일서버,
14: 웹서버, 16: 구내망,
18: 메일 클라이언트, 20: 외부 웹사이트,
22: 웹서버, 24: 메일서버,
30: 인터넷, 40: 개인 메일 클라이언트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팸메일 여과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메일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자메일의 수/발신은 인터넷(30)에 연결된 전자메일 클라이언트(이하, '메일 클라이언트'라 한다)(18)가 자체 웹사이트(10)에 구비된 메일서버(이하, '자체 메일서버'라 한다)(12) 또는 자체 웹사이트 외부에서 전자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종 웹사이트, 예를 들어 크고 작은 포탈 사이트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웹사이트(20)에 구비된 메일서버(이하, '외부 메일서버'라 한다)(24)로부터 전자메일 계정을 부여받아 수행될 수 있다.
자체 웹사이트(10)는 웹 문서를 처리하는 웹서버(14)와 메일의 송/수신을 담당하는 메일서버(12) 및 메일 클라이언트(18)가 구내망(16), 예를 들어 랜이나 인트라넷을 통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각각의 외부 웹사이트(20)에도 웹서버(22)와 메일서버(24)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40은 자체의 웹사이트를 구비하지 않은 채로 주로 가정이나 개인 사무실 등에서 전화 회선이나케이블, 위성, ADSL, ISDN 등을 통해 인터넷(30)에 접속하는 개인 메일 클라이언트인 바, 이러한 개인 메일 클라이언트(40)는 주로 외부 메일서버(24)에 가입하여 메일 계정을 무료로 할당받은 후에 전자메일 서비스를 이용한다. 물론 자체 웹사이트(10)에 속한 메일 클라이언트(18)들도 외부 메일서버(24)에 가입하여 전자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전자메일 시스템에 있어서, 임의의 발신측 메일 클라이언트가 내부 메일서버(12) 또는 외부 메일서버(24)를 통해 보낸 전자메일은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간이 메일 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측 메일 클라이언트의 전자메일 주소로 대표되는 내부 또는 외부 메일서버(12),(24)의 메일박스로 전송된 후에 보관된다. 이후, 수신측 메일 클라이언트는 인터넷(30)을 통해 자신의 메일박스에 접속하여 거기에 보존되어 있는 전자메일을 읽을 수가 있다. 수신측 메일 클라이언트가 자기 수신의 전자메일을 읽어오는 방식으로는 메일서버(12),(24)의 메일박스에 보존되어 있는 전자메일을 메일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복사하는 방식인 POP3(Post Office Protocol #3: 메일서버로부터 전자메일을 받아 오기 위한 우체국 프로토콜) 방식 및 자기 수신의 전자메일을 메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복사할 필요 없이 메일박스에 저장시킨 상태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방식 등이 있는 바, 이러한 POP3나 IMAP 통상적으로 내부 메일서버 시스템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IMAP에 더하여 인터넷에 수신메일을 저장해두고 어디에서나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웹메일 서비스가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웹메일을 간단히 설명하면 메일서버와 웹서버가 합체된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즉, 메일 클라이언트 측에서 본 웹메일서버는 일반 웹서버와 아주 똑같은 형태를 갖고 있는 바, 따라서 메일 클라이언트가 웹메일서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되고 전자메일 소프트웨어는 필요가 없다. 이러한 웹메일 기능은 각종 포탈 사이트나 ISP 등에서 서비스 차원에서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인 바, 본 발명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에 따른 프로그램(이하, '스팸 체커'라 한다)은 내부 또는 외부 메일서버(12),(24)에 통합되거나 별개로 설치될 수 있고, 개인 메일 클라이언트(40)의 경우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전자 메일 소프트웨어에 통합되거나 별개로 설치될 수가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이하에서 '스팸 문구'라 함은 스팸메일에서 자주 사용되는 두 개 이상의 글자의 집합을 말한다. '글자외문자'라 함은 키보드를 통해 글자를 생성할 수 있는 문자 이외의 각종 문자, 즉 키보드 상에 표시된 숫자, 특수문자와 문장기호, 키보드 상에 표시되지 않은 그림문자 및 스페이스(칸띄우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는데, 한글의 경우에는 24개의 한글 자모로 생성되는 글자 이외의 것들은 모두 글자외문자가 되며, 영어의 경우에는 26개의 알파벳 이외의 것들이 모두 글자외문자가 된다. 그리고, "(광고)" 및 "(성인광고)"를 법이 규정한 방식, 즉 전자메일 제목의 서두에 키보드를 통해 어떠한 글자외문자를 삽입시키지 않고 사용한 전자메일을 '자인 스팸메일'이라 하고 이외의 스팸메일을 '추정 스팸메일'이라 한다.
먼저, 단계 S10에서 임의의 전자메일이 수신된 경우에 스팸 체커는 단계 S12를 수행하여 수신된 전자메일의 제목을 읽어 들인다. 다음, 단계 S14에서는 당해 전자메일이 자인 스팸메일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하는데, 이를 위해 소정의 문구, 즉 "(광고)" 및 "(성인광고)"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하게 된다.
단계 S14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전자메일이 자인 스팸메일인 경우에는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이를 스팸메일박스, 바람직하게는 '자인 스팸메일박스'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단계 S14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된 전자메일이 자인 스팸메일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스팸 체커는 단계 S16에서 읽어들인 전자메일의 제목을 검색하여 자체적으로 운용하는 스팸 문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규정된 대로의 스팸 문구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6에서의 판단 결과, 당해 전자메일의 제목에 규정된 스팸 문구가 그대로 존재되고 있는 경우에는 당해 전자메일을 스팸메일로 추정하고 단계 S30으로 진행하여 '추정 스팸메일박스'에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어 "광고", "성인광고", "★광고★", "♡성인광고♡", "*정보", "홍보★", "야동" 또는 "성인사이트" 등 스팸 문구를 이루는 글자 사이에 어떠한 글자외문자도 삽입하지 않은 문구를 제목으로 사용한 전자메일이 스팸메일로 걸러질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16에서의 판단 결과, 당해 전자메일의 제목에 규정된 그대로의 스팸 문구가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단계 S18에서 당해 전자메일의 제목을 아래의 검색식 1로 처리하여 변형된 스팸 문구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검색식1)
C1&...Cn, 단 n은 1보다 큰 정수
위의 검색식 1에서 C1및 Cn은 상기 스팸 문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된 스팸 문구를 이루는 각 글자들을 나타내고, n은 스팸 문구를 이루는 글자의 개수를 나타내며, 기호 &는 스팸 문구를 이루는 각 글자들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외문자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러한 검색식 1을 수행하기 위해 즉, 스팸 체커는 글자 데이터베이스 및 글자외문자 데이터베이스를 운용할 수 있다. 이 단계 S18에 따르면, 예를 들어, "광★고", "성♡인♡광♡고", "홍 보', "정 보", "성인♡사이트", "다이★어트" 등과 같이 상기 스팸 문구 데이터베이스에 규정된 스팸 문구를 이루는 글자들 사이에 스페이스(칸띄우기), 그림문자나 특수문자 등과 같이 글자외문자가 삽입되어 변형된 스팸 문구를 제목으로 갖는 전자메일이 스팸메일로 걸러질 수 있을 것이다.
단계 S18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 전자메일의 제목에 변형된 스팸 문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스팸메일로 추정하고 단계 S30으로 진행하여 추정 스팸메일박스에 저장한다.
다시, 단계 S20에서는 수신 전자메일의 본문을 읽어들이고, 단계 S22에서는 상기 본문 중에 상기 스팸 문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규정된 대로의 스팸 문구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2에서의 판단 결과, 전자메일의 본문 중에 상기 스팸 문구 데이터베이스에 규정된 대로의 스팸 문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스팸메일로 추정하고 단계 S30으로 진행하여 추정 스팸메일박스에 저장한다.
단계 S24에서는 상기 본문 중에 상기 스팸 문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규정된 스팸 문구가 변형된 채로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4에서의 판단 결과, 전자메일의 본문 중에 변형된 스팸 문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스팸메일로 추정하고 단계 S30으로 진행하여 추정 스팸메일박스에 저장한다. 단계 S24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 전자메일의 본문 중에 변형된 스팸 문구도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8로 진행하여 '일반 메일박스'에 저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에 따르면, 전자메일의 제목 또는 본문을 이루는 각 글자 사이에 키보드에 새겨진 글자 이외의 임의의 문자를 삽입한 변형 등을 행한 스팸 문구를 갖는 전자메일도 스팸메일로 걸러낼 수 있어서 스팸메일의 여과 효율을 증진시킬 수가 있다.

Claims (3)

  1. 수신측 클라이언트의 내부 또는 외부 메일서버 또는 개인 메일 클라이언트의 전자메일 소프트웨어와 협동하며, 소정의 자인스팸문구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소정의 추정스팸문구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및 변형스팸문구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소정의 검색식이 구비되어 있는 스팸 체커에 의해 수행되는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에 있어서,
    (a) 수신된 메일의 제목을 읽어들이는 단계;
    (b) 상기 메일 제목을 상기 자인스팸문구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자인스팸메일 여부를 판단하고, 자인스팸메일인 경우에는 자인스팸메일 박스에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 자인스팸메일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메일 제목을 상기 추정스팸문구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추정스팸메일 여부를 판단하고, 추정스팸메일인 경우에는 추정스팸메일 박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추정스팸메일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메일 제목을 상기 검색식에 대입하여 변형스팸문구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 추정스팸메일 박스에 저장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메일 박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검색식은 C1&...Cn,(단 n은 1보다 큰 정수)으로 이루어지고, C1및 Cn은 상기 추정스팸문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된 스팸문구를 이루는 각 글자를 나타내며, &는 스팸문구를 이루는 각 글자들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외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메일 여과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e) 수신된 메일의 본문을 읽어들이는 단계;
    (f) 상기 메일 본문을 상기 자인스팸문구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자인스팸메일 여부를 판단하고, 자인스팸메일인 경우에는 자인스팸메일 박스에 저장하는 단계;
    (g) 상기 단계 (f)에서 자인스팸메일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메일 본문을 상기 추정스팸문구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추정스팸메일 여부를 판단하고, 추정스팸메일인 경우에는 추정스팸메일 박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h) 상기 단계 (g)에서 추정스팸메일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메일 본문을 상기 검색식에 대입하여 변형스팸문구가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는 경우에는 추정스팸메일 박스에 저장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메일 박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C1및 Cn은 상기 추정스팸문구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된 스팸문구를 이루는 각 글자를 나타내며, &는 스팸문구를 이루는 각 글자들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글자외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메일 여과 방법.
  3. 삭제
KR10-2002-0064432A 2002-10-22 2002-10-22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 KR100460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432A KR100460420B1 (ko) 2002-10-22 2002-10-22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4432A KR100460420B1 (ko) 2002-10-22 2002-10-22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328A KR20040035328A (ko) 2004-04-29
KR100460420B1 true KR100460420B1 (ko) 2004-12-08

Family

ID=3733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432A KR100460420B1 (ko) 2002-10-22 2002-10-22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0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108B1 (ko) * 2004-09-24 2007-02-06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전자 메일 필터링 방법
KR101895609B1 (ko) * 2009-12-18 2018-09-0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발신 아이디 유형 분석을 통해 스팸 처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328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8519B1 (en) Method and system for url-based screening of electronic communications
US78316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email spam using email noise reduction
US20030229672A1 (en) Enforceable spam identification and redu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73200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hecking e-mail addresses in outgoing e-mail communications
US9305079B2 (en) Advanced spam detection techniques
US77393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uping spam email messages
JP4395848B2 (ja) 廃棄可能なeメールアドレスを生成し、処理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321512B2 (en) Method and software product for identifying unsolicited emails
US9246860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athering information relating to electronic content utilizing a DNS server
KR100486821B1 (ko) 링크 유알엘 접속을 통한 스팸메일 자동 차단 방법
KR100460420B1 (ko) 자체 정규 방식의 스팸메일 여과 방법
KR100473051B1 (ko) 스팸메일 자동분류 방법
JP2005284454A (ja) 迷惑メール配信防止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端末及び電子メールサーバ
KR100451051B1 (ko) 인터넷상의 이-메일 관리 시스템
KR100473052B1 (ko) 스팸메일 자동분류용 사전 구성 방법
WO2008096346A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transfer of data and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JP4334210B2 (ja) メッセージ提供システム
KR20040035329A (ko) 발송 이력 정보 추출을 통한 스팸메일 자동 차단 방법
KR20040035330A (ko) 복수 서버에서 발송되는 동일 내용의 스팸메일 자동 차단방법
KR100477956B1 (ko) 특수 문자를 이용하여 편집한 메시지의 필터링 방법 및시스템
Askin Making the Most of E-Mail
JP2005275941A (ja) 要約メ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