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439B1 -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439B1
KR100459439B1 KR10-2002-0063934A KR20020063934A KR100459439B1 KR 100459439 B1 KR100459439 B1 KR 100459439B1 KR 20020063934 A KR20020063934 A KR 20020063934A KR 100459439 B1 KR100459439 B1 KR 100459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obile station
connection
web brows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5182A (ko
Inventor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439B1/ko
Priority to JP2003031784A priority patent/JP3955268B2/ja
Priority to DE2003603838 priority patent/DE60303838T2/de
Priority to AT03011102T priority patent/ATE320135T1/de
Priority to EP20030011102 priority patent/EP1411706B1/en
Priority to ES03011102T priority patent/ES2257617T3/es
Priority to PT03011102T priority patent/PT1411706E/pt
Priority to US10/445,085 priority patent/US7515602B2/en
Priority to CNB031490921A priority patent/CN1238803C/zh
Publication of KR20040035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5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Navig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는 일반 웹 브라우징 기능과 모바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컨텐츠와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TE에 모바일 웹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장치나 인터페이스 설치가 요구되지 않으며, 이동국의 표시 장치가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는 인터넷 웹 브라우징과 이동통신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Terminal Equipment(TE)와; 인터넷 서버 및 이동통신 웹 서버과 접속하여, 스스로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거나, 상기 TE의 웹 브라우징을 지원하는 이동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방법은 TE의 연결요구에 의해, TE와 이동국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와 연결이 설정되면, 이동국과 망간의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호가 설정되면, TE로 통합 웹 서비스 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설정된 호를 통해, TE를 인터넷 서버나 이동통신 웹 서버에 접속시키고, 데이터를 업/다운로딩하는 단계;와 TE와 서버와의 접속이 종료되면, 상기 호를 해제하는 단계;와 호가 해제되면, TE로 통합 웹 서비스 비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하고, TE와 이동국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WEB BROWSING SER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Personal Computer) 혹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단말장치(이하, "Terminal Equipment" or "TE"라 한다)의 웹 브라우징 방식과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이동국(Mobile Terminal or MT)"이라 한다)의 웹 브라우징 방식은 기능적 측면과 표시형식 인터페이스에서 서로 상이하게 구현되어진다.
TE의 웹 브라우징 방식에서, 이동국은 TE의 모뎀이나 네트워크용 카드로써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국과 TE는 Rm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Rm 인터페이스는 TE와 이동국간의 물리적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한 부분으로 TE와 이동국 모두에 구현되어져야 하며, TE와 이동국의 물리적 연결은 RS-232C와 같은 직렬 통신 포트, USB, IrDA, IEEE1394, Bluetooth등과 같은 방식에 의해 구현된다.
소프트웨어적 관점에서 TE에는 전화접속 네트워크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PPP(Point-to-point protocol)프로토콜을 필요로 한다. 또 웹 브라우징을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Internet Explorer나 Netscape사의 Netscape와 같은 웹 전용 브라우저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동국에서의 웹 브라우징 방식은 TE에서의 방식과 달리 Rm interface가 필요하지 않고, 대신 PPP(Point-to-Point Protocol), IP(Internet Protocol),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와 같은 프로토콜들이 구현되어져야 하며, 상기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망의 웹 서버(이하, "모바일 서버"라 한다.)에 접속한다. 웹 브라우징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이동국은 UP브라우저나 ME브라우저와 같은 단말기 내장 브라우저(Embedded Browser)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도1a는 웹 브라우징과 관련된 TE의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TE(100)는 모뎀을 통한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전화접속 네트워크부(170)와; TE(100)와 이동국(200)간 물리적 연결을 제공하고, 물리적 연결을 위한 비트 스트림 생성, 에러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Rm 인터페이스부(160)와;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웹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업/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브라우저(12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로 구성된다.
상기 전화접속 네트워크부(170)는 네트워크 접속 설정, 해제, 그리고 관리를 수행하는 연결 제어부(Connection Controller, 130)와; 상대국 프로토콜들과의 논리적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고, 관리하며, 설정된 연결을 통해 프로토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토콜부(150)는 프로토콜(PPP, IP, TCP 등)들의 상태 및 활동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관리자(Protocol Manager, 140)를 포함한다.
도1b는 웹 브라우징과 관련된 이동국의 구성도이다.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이동국(200)은,
Rm 인터페이스부(260)와 Um 인터페이스부(270)로 구성된 인터페이스 블럭(290)과; Rm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전달된 TE(100)의 명령을 분석하고, 처리하는 AT 명령어 해석기(AT Command Parser, 280)와; 망과의 호 설정을 위한 채널 확보, 채널 해제 및 관련된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 제어부(Call Controller, 230)와; 모바일 서버와의 논리적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고, 관리하는 기능과 논리적 연결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토콜부(250)와; 모바일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의 업/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단말기 내장 브라우저(Embedded Browser, 220)와; 키 입력부(212)와 키 처리부(214)로 구성되고, 이동국(200) 내부의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전달된 이벤트나 데이터를 시청각 형태로 출력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210)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토콜부(250)는 RLP(Radio Link Protocol), PPP, IP, TCP 등과 같은 프로토콜들과 상기 프로토콜들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관리자(Protocol Manager, 240)로 구성된다.
AT 명령어(command)는 이동국(200)을 제어하기 위한 TE(100)의 명령어 집합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웹 브라우징 서비스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종래의 웹 브라우징 서비스 방법을 보인 그림이다.
도2a는 TE(100)가 이동국(200)을 통해 웹 브라우징 수행할 때, 구성 요소들의 관계도이고,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TE(100)로 데이터 호를 설정하도록 명령하면, 전화접속 네트워크부(150)는 호 설정을 시도하도록 AT명령어를 구성하여 Rm 인터페이스부(160)로 전달한다.
Rm 인터페이스부(160)는 전달받은 AT명령어를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하고 물리적 전송로를 통해 이동국(200)으로 전송한다. 이동국(200)은 수신된 AT 명령어의 비트 스트림을 해석하여 호 제어부(230)로 하여금 데이터 호 설정을 시도하도록 한다.
데이터 호가 설정되면, 호 제어부(230)는 Rm 인터페이스부(260)를 통해 호가 설정되었음을 TE(100)에 통보한다. 호 설정을 통보받은 TE(100)는 PPP연결 및 TCP/IP연결을 시도하고, 이것이 성공하면 표시장치를 통해 웹 서버와 접속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리고 사용자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Internet Explorer나 Netscape사의 Netscape와 같은 TE전용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웹 브라우징을 수행한다.
도2b는 이동국(200)에서 웹 브라우징을 수행할 때, 구성 요소들의 관계도이고, 그 절차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지정된 키를 눌러 이동국(200)의 내장 브라우저(220)를 구동시키면, 키 처리부(214)는 데이터 호를 시도하도록 호 제어부(230)에게 소정의 메시지를 보낸다. 데이터 호가 설정되면, 프로토콜부(250)는 목적 모바일 서버와 RLP, PPP, IP, TCP프로토콜 연결을 차례로 수행한다. 그리고 연결이 이루어지면, 목적 모바일 서버로부터 웹 페이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 출력 처리부(미도시)는 표시 장치를 통해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종래 TE(100)는 인터넷(or PDSN)에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동국(200)을 이용하지만, 모바일 서버에 접속할 수 없고, 이동국(200)도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일반 웹 서버에 접속할 수는 없다. 또한, 이동국(200)은 웹 컨텐츠와 관련한 TE(100)의 다양한 리소스들을 활용할 수 없다.
이동국(200)의 CPU, 메모리, 표시 장치가 음성 및 텍스트 처리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바일 서버는 이동국(200)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다양한 웹 컨텐츠를 구성하기 어렵다.
PPP, IP, TCP, UDP프로토콜들과 네트워크 관련 자원들이 TE(100)와 이동국(200)에 각각 구현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리소스의 중복 구현은 개발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고 개발 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TE의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웹 서버 및 이동통신 웹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는 인터넷 웹 브라우징과 이동통신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Terminal Equipment(TE)와; 인터넷 서버 및 이동통신 웹 서버과 접속하여, 스스로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거나, 상기 TE의 웹 브라우징을 지원하는 이동국으로 구성된다.
상기 TE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선택내용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터넷 웹 브라우징이나 이동통신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통합 브라우저;와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국과의 연결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통합 네트워크 제어부와 이동국간의 물리적 연결을 제공하는 Rm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국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내장 브라우저;와 상기 내장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TE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와 TE간의 물리적 연결을 제공하는 Rm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방법은 TE의 연결요구에 의해, TE와 이동국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와 연결이 설정되면, 이동국과 망간의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호가 설정되면, TE로 통합 웹 서비스 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설정된 호를 통해, TE를 인터넷 서버나 이동통신 웹 서버에 접속시키고, 데이터를 업/다운로딩하는 단계;와 TE와 서버와의 접속이 종료되면, 상기 호를 해제하는 단계;와 호가 해제되면, TE로 통합 웹 서비스 비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하고, TE와 이동국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1a는 웹 브라우징과 관련된 TE의 구성도.
도1b는 웹 브라우징과 관련된 이동국의 구성도.
도2a는 TE(100)가 이동국(200)을 통해 웹 브라우징 수행할 때, 구성 요소들의 관계도.
도2b는 이동국(200)에서 웹 브라우징을 수행할 때, 구성 요소들의 관계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TE의구성 요소 및 그들 간의 관계를 보인 그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400)의 구조를 보인 그림.
도5a는 TE와 이동국(400)간 논리적 링크 설정이나 각 서비스 관리자에서 정의된 명령어의 송수신을 위한 메시지 프레임 구조.
도5b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
도5c는 도5a의 메시지 프레임에서 메시지 외에 추가되는 제어기능 요소(Control Function Element)를 위한 프레임 구조.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TE(300)와 이동국(400)간의 처리절차를 보인 그림.
도7a는 이동국(400)이 TE(300)의 연결요구를 승인하는 과정을 보인 그림.
도7b는 이동국(400)이 TE(300)의 연결요구를 거절하는 과정을 보인 그림.
도8은 도7의 시그널링에 관련된 구성 요소들과 그들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
도9는 통합 웹 서비스의 시작 시그널링을 보인 그림.
도10은 도9의 시작 시그널링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과 그들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
도11은 통합 웹 서비스의 종료 시그널링을 보인 그림.
도12는 연결해제 시그널링을 보인 그림.
도13은 상태관리 시그널링을 보인 그림.
도14는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계된 구성 요소들과 그들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300 : TE(Terminal Equipment)
200, 400 : 이동국(Mobile Terminal)
110, 21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20 : 브라우저
130 : 연결 제어부(Control Connection Unit)
140, 240 : 프로토콜 관리자(Protocol manager)
150, 250 : 프로토콜부(Protocol Unit)
160, 260 : Rm 인터페이스부
170 : 전화접속 네트워크부
212 : 키 입력부 214 : 키 처리부
220, 420 : 내장 브라우저(Embeded Browser)
230 : 호 제어부(Call Control)
270 : Um 인터페이스부
280 : AT명령어 해석기(AT command parser)
290 : 인터페이스 블록(Interface block)
320 : IW브라우저(Integrate web Browser)
330, 430 : 링크 관리자(Link manager)
340, 452 : IW관리자(Integrate Web manager)
342, 454 : 명령어 해석기(command parser)
344, 456 : 데이터 관리자(data manager)
350, 450 : 서비스 관리부(Service management Unit)
360, 460 : 네트워크 제어부
370, 470 : 링크접속 절차부(Link Access procedure for Integrate web services)
380, 480 : 서비스 분배부(Service router)
이하,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TE의 구성 요소 및 그들 간의 관계를 보인 그림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TE(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110), 통합 웹 브라우저(integrated Web Browser, 320), 그리고 Rm 인터페이스부(Rm Interface, 1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360)는 서비스 관리부(Service Management Unit, 350), 서비스 분배부(Service Router, 380), 링크 관리자(Link manager, 330), 그리고 링크 접속 절차부(Link Access Procedure for integrate web services, 370)로 구성된다.
상기 통합 웹 브라우저(320, 이하, "IW브라우저"라 한다.)는 HTML과 같은 일반 웹 페이지 생성언어 뿐만 아니라 WML, cHTML과 같은 모바일 웹 페이지 생성 언어로 작성된 웹 페이지를 해석하고 적절한 방식으로 표시함으로써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일반 웹 브라우징 기능과 모바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350)는 일정관리 서비스, 전화번호부 서비스, 웹 브라우징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개체들과 연계하여 이들의 시작 및 종료, 관리, 연결 설정 등의 기능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각 서비스 관리자는 명령어 해석기와 데이터 관리자 혹은 이와 유사 기능의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비스 관리부(350)는 통합 웹 서비스 관리자(Integrated Web Service Manager, 340)와 기타 다수의 서비스 관리자(other service manager)로 구성된다.
상기 통합 웹 서비스 관리자(340, 이하, "IW서비스 관리자"라 한다.)는 IW브라우저(320)로부터 전달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전달된 명령어를 해석하고 이를 적절한 방식으로 처리하는 명령어 해석기(command parser, 342)와, IW브라우저(320)로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혹은 IW브라우저(32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데이터 관리자(Data Manager, 344)로 구성된다.
상기 기타 서비스 관리자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외에 일정관리 서비스, 전화번호부 서비스 등과 같이 PC-sync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정의된 것으로, 그 구조는 통합 웹 서비스 관리자와 동일하지만 구성 요소들의 기능은 관련 서비스에 따라 약간 상이하다.
상기 서비스 분배부(380)는 링크 접속 절차부(370)에서 전달된 메시지를 메시지의 서비스 유형에 따라 각 서비스 관리자에게 전달하거나 상기 서비스 관리부(350)로부터 전달받은 메시지를 상기 링크 접속 절차부(37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링크 관리자(330)는 TE(300)와 이동국(400)간의 연결 설정, 해제, 관리를 담당한다.
상기 링크 접속 절차부(370)는 TE(300)와 이동국(400)간의 논리적 연결성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상위의 메시지나 데이터 송수신할 수 있도록 프레임화(framing)하거나 역프레임화(deframing)한다.
상기 Rm 인터페이스부(160)는 TE(300)와 이동국(400)간의 물리적 연결성을 제공한다. Rm인터페이스부(160)는 UART를 이용한 직렬통신이나 Bluetooth, IrDA, USB 등으로 구현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선택내용을 입력받거나 사용자에게 처리결과 등을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와 TE(300)간의 인터페이스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400)의 구조를 보인 그림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4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210), 단말기 내장 브라우저(Embedded Brower, 420), 프로토콜부(250), 호 제어부(Call Controller, 230), 그리고 인터페이스 블록(290)으로 구성되고,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460)는 서비스 관리부(450), 서비스 분배부(Service Router, 480), 링크 관리부(430), 그리고 링크 접속 절차부(Link Access Procedure for integrate web services, 470)로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내장 브라우저(Embedded Brower, 420)는 모바일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웹 사이트의 내용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지정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이동하는 웹 브라우징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토콜부(250)는 TCP, IP, PPP, RLP등과 같은 프로토콜 개체들과 이들을 관리하는 프로토콜 관리부(protocol manager, 240)로 구성된다
상기 호 제어부(230)는 Um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이동통신 망과 접속하기 위한 호 처리를 담당하며, 호 설정, 해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460)는 이동국(400)에서 TE(300)의 네트워크 제어부(36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블록(290)은 Rm 인터페이스부(260)와 Um 인터페이스부(270)로 구성되어 있으며, Rm 인터페이스부(260)는 TE(300)의 Rm 인터페이스(160)와 기능상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Um 인터페이스부(270)는 기지국을 통해, 이동통신 망과의 물리적 연결성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10)는 TE(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와 기능상 동일하며 키 입력부(212)와 키 처리부(214)로 구성된다. 상기 키 입력부(212)는 이동국(400)의 키패드를 통해 키 입력을 받아 이에 대응되는 키 이벤트로 변환하는 부분이며, 상기 키 처리부(214)는 이동국(400)의 상태에 따라 키 입력부(212)에 의해 입력된 키 이벤트를 처리한다.
TE(300)와 이동국(400)는 상호간의 논리적 연결성을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 (혹은 데이터)를 프레임화하거나 역프레임화한다. 그리고 그 프레임의 구조는 도5a, 5b, 5c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5a는 TE(300)와 이동국(400)간 논리적 링크 설정이나 각 서비스 관리자에서 정의된 명령어의 송수신을 위한 메시지 프레임 구조(Format)이다. 도5b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Format)이며, 도5c는 도5a의 메시지 프레임에서 메시지 외에 추가되는 제어기능 요소(Control Function Element)를 위한 프레임 구조(Format)이다. 제어기능 요소는 메시지에 추가되어 상세한 제어정보를 제공한다.
도5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은 프레임 구분자(Frame Discriminator)필드, 서비스 유형(Service Type)필드, 메시지 유형(Message Type)필드, 데이터 길이(Data Length)필드, 데이터 필드(Data Field), 길이(Length)필드, 제어 기능 요소(Control Function Element)필드로 구성된다.
프레임 구분자(Frame Discriminator)는 프레임이 메시지 프레임인지, 데이터 프레임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필드이다. 필드 값이 "0x69"이면 해당 프레임은 메시지 프레임이고, 필드 값이 "0x96"이면 데이터 프레임이다.
서비스 유형(Service Type)은 메시지, 혹은 데이터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서비스 유형을 나타내는 필드이다. 필드 값이 "0x00"이면 해당 프레임의 서비스 유형은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이고, "0x01"이면 일정관리 서비스이고, "0x02"이면 전화번호부 서비스이다.
위에서 제시한 서비스 유형 코드 외에 다른 서비스 유형이 추가될 경우, 0x03 ~ 0xFF 사이의 코드 값을 해당 서비스에 할당한다.
메시지 유형(Message Type)은 송수신 메시지를 위한 필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유형은 하기 표1에 설명된 바와 같다.
[표1]
코드 메시지 방향 비 고 필요 제어기능 요소
0x01 Connect request TE -> MT TE와 이동국간 연결 설정요청
0x02 Connect complete TE <- MT TE와 이동국간 연결 설정
0x03 Connect reject TE <- MT TE의 연결 요청에 대한 이동국의 거부 Reject Cause
0x04 Disconnect request TE<-->MT TE와 이동국간 연결해제 요청
0x05 Disconnect Ack TE<-->MT 연결 해제 통보
0x06 Status request TE -> MT 이동국의 상태정보 요청
0x07 Status TE <- MT 이동국의 상태정보 상태
0x08 Service start TE -> MT TE에 의한 서비스 시작
0x09 Service activated TE <- MT 이동국에서 서비스 활성화시킴
0x0A Service stop TE -> MT TE에 의한 서비스 종료
0x0B Service deactivated TE <- MT 이동국에서 서비스 비활성화 시킴
0x0C~ 추후에 메시지 추가 정의
데이터 길이(Data Length)는 데이터 필드의 길이(바이트 단위)를 저장하는 필드이다. 데이터 필드(Data Field)는 송수신되는 실제 데이터를 저장한 필드이다. 길이(Length)는 메시지 프레임에서 제어기능 요소 전체 길이(바이트 단위)를 저장하는 필드이다.
제어 기능 요소(Control Function Element) 필드는 메시지에 추가되는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메시지 프레임 끝에 추가된다. 제어 기능 요소(Control Function Element)는 기능 요소 식별자(Function Element ID)필드, 길이(Length)필드, 내용(Contents) 필드로 구성된다.
기능 요소 식별자(Function Element ID)는 제어기능 요소를 구별하는 식별자(표2 참조)이다. 길이(Length)는 내용(Contents)필드의 길이(바이트 단위)를 저장하는 필드이다. 내용(Contents)은 제어기능 요소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필드이다.(표3 참조)
[표2]
코 드 제어 기능 요소 비 고 관련 메시지
0x01 Cause 해당 메시지 발생 사유 Connect reject
0x02 MT status 이동국의 상태 정보 Status
0x03 ~ 추후에 추가 정의
[표3]
코 드 Cause 비 고
0x01 Unusable 사용자가 해당 기능 설정을 선택하지 않음
0x02 Already use 이미 연결되어진 상태
0x03 Not acceptable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메시지를 처리할 수 없음
0x04 Invalid frame 잘못된 프레임
0x05 ~ 추후에 메시지 추가 정의
TE(300)로 전달할 이동국(400)의 상태 정보는 이동국(400)의 전화번호, 통화 중인지 아닌지를 알리는 호의 상태 정보, 이동국(400)이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를 지원하는지 여부 등을 나타내는 정보들로 구성되며, 그 구성방식은 도5c의 표를 따르되, 제공할 정보의 종류 및 위치, 코딩 방식은 구현 개발시의 의도를 따른다.
[표4]
(a) 서비스 분배부 ~ 명령어 분석기 간 프리미티브
프리미티브 방 향
FE-service_start_req CP -> SR
FE-service_start_ind SR -> CP
FE-service_act_req CP -> SR
FE-service_act_ind SR -> CP
FE-service_stop_req CP -> SR
FE-service_stop_ind SR -> CP
FE-service_deact_req CP -> SR
FE-service_deact_ind SR -> CP
* SR : 서비스 분배부 * CP : 명령어 분석기
(b) 서비스 분배부 ~ 링크접속 절차부 간 프리미티브
프리미티브 방 향
DL-service_start_req SR -> LAP
DL-service_start_ind LAP -> SR
DL-service_act_req SR -> LAP
DL-service_act_ind LAP -> SR
DL-service_stop_req SR -> LAP
DL-service_stop_ind LAP -> SR
DL-service_deact_req SR -> LAP
DL-service_deact_ind LAP -> SR
* SR : 서비스 분배부 * LAP : 링크접속 절차부
(C) 호 제어부 ~ 명령어 해석기 간 프리미티브
프리미티브 방 향
CALL_CONNECT_REQ CP -> CC
CALL_CONNECT_COMP CC -> CP
CALL_DISCONNECT_REQ CP -> CC
CALL_DISCONNECT_ACK CC -> CP
* CC : 호 제어부 * CP : 명령어 해석기
(d) 링크 관리자 ~ 링크접속 절차부 간 프리미티브
프리미티브 방 향
MDL-connect_req LM -> LAP
MDL-connect_ind LAP -> LM
MDL-connect_ack LM -> LAP
MDL-connect_comp LAP -> LM
MDL-connect_rej LM<-->LAP
MDL-Status_req LM -> LAP
MDL-Status_ind LAP -> LM
MDL-Status_rep LM -> LAP
MDL-Status_cfm LAP -> LM
* LAP : 링크접속 절차부 * LM : 링크 관리자
(e) 사용자 Interface ~ 링크 관리자 간 프리미티브
Primitives direction
CONNECT_REQ UI -> LM
CONNECT_COMP LM -> UI
CONNECT_REJ LM -> UI
DISCONNECT_REQ UI -> LM
DISCONNECT_COMP LM -> UI
STATUS_REQ UI -> LM
STATUS_CFM LM -> UI
* UI : 사용자 interface * LM : 링크 관리자
상기 [표4]는 본 발명에 따른, TE(300)와 이동국(400)의 구성 요소들간 전달되는 프리미티브(Primitive)들이다. 메시지는 프레임 형태로 TE(300)와 이동국(400)간에 전달되는 반면, 프리미티브는 TE(300)및 이동국(40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간에 전달되는 신호로 각 프리미티브는 자체적인 의미를 갖으며, 그 구조는 구현/개발시의 의도에 따라 변형 또는 가감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TE(300)와 이동국(400)간의 처리절차를 보인 그림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방법은 TE(300)의 연결요구에 의해, TE(300)와 이동국(400)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S1);와 연결이 설정되면, 이동국(400)과 망간의 호를 설정하는 단계(S2);와 호가 설정되면, TE(300)로 통합 웹 서비스 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3);와 설정된 호를 통해, TE(300)를 인터넷 서버나 이동통신 웹 서버에 접속시키고, 데이터를 업/다운로딩하는 단계(S4);와 TE(300)와 서버와의 접속이 종료되면, 상기 호를 해제하는 단계(S5);와 호가 해제되면, TE(300)로 통합 웹 서비스 비활성화 메시지를 전송(S6)하고, TE(300)와 이동국(400)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S7)로 이루어진다.
웹 서버로부터 원하는 정보나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자 할 때, TE(300)는 우선 이동국(400)과의 연결을 시도한다. 그리고 TE(300)와 이동국(400)이 연결되면, TE(300)는 이동국(400)으로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에 대한 시작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TE(300)의 시작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국(400)은 망과의 호 설정을 시도한다. 호가 설정되면, 이동국(400)은 TE(300)로 서비스 활성화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리고 서비스 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한 TE(300)는 원하는 웹 서버에(서) 데이터의 업로드 및 다운로드를 시작한다.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가 종료되면, TE(300)는 이동국(400)으로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에 대한 종료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이동국(400)은 망과의 호 설정을 해제하면서, TE(300)로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에 대한 비활성화 메시지를 전달한다.
TE(300)는 서비스 비활성화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연결해제 요구 메시지를 이동국(400)으로 전달하여 이동국(400)과의 연결을 끊지만, TE(300)의 사용자가 다른서비스(예, PC-Sync를 통한 일정관리 서비스, 전화번호부 서비스 등)를 요구하는 경우, TE(300)와 이동국(400)과의 연결은 계속 유지된다.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TE(300)와 이동국(400)간의 연결설정 시그널링, 통합 웹 서비스의 시작/종료 시그널링(or 데이터 송수신 시그널링), 연결 해제 시그널링, 그리고 연결 관리 시그널링을 정의한다.
도7a와 B는 연결설정 시그널링을 보인 그림으로서, 연결설정 메시지(요구, 허가, 거부) 및 구성 요소간 프리미티브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연결설정 시그널링은 PC-Sync를 통한 일정관리 서비스, 전화번호부 서비스 및 통합 웹 서비스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TE(300)와 이동국(400)간에 수행된다. 상기 연결설정 시그널링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TE(300)와 이동국(400)은 논리적으로 연결된다.
도7a는 이동국(400)이 TE(300)의 연결요구를 승인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사용자의 "연결 명령"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 전달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링크관리자(330)에게로, 링크관리자(330)는 링크접속 절차부(370) 에게로 연결설정에 관한 프리미티브를 각각 전달한다.
링크관리자(330)의 프리미티브(MDL-connect_req)를 수신한 링크접속 절차부(370) 는 Rm인터페이스부(160,260)를 통해, 연결요구 메시지(Connect request)를 이동국(400)의 링크접속 절차부(470)로 전달한다.
TE(300)로부터 연결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면, 링크접속 절차부(470)는 링크 관리자(430)로 연결설정 프리미티브(MLD-connect_ind)를 전달한다.
이동국(400)이 연결 가능상태이면, 링크 관리자(430)는 링크접속 절차부(470)로 연결승인 프리미티브(MDL-connect_ack)를 전달하고, 링크접속 절차부(470)는 Rm인터 페이스(260,160)를 통해, 연결완료 메시지(Connect complete)를 TE(300)의 링크접속 절차부(430)로 전달한다.
이동국(400)으로부터 연결완료 메시지가 전달되면, 링크접속 절차부(360)는 링크 관리자(330)에게로, 링크 관리자(3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게로 연결승인에 대한 프리미티브를 각각 전달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TE(300)와 이동국(400)은 논리적으로 연결된다.
도7b는 이동국(400)이 TE(300)의 연결요구를 거절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TE(300)의 연결요구 메시지가 수신되었을 때, 이동국(400)이 연결 가능상태가 아니면, 링크 관리자(430)는 링크접속 절차부(470)로 연결거절 프리미티브(MDL-connect_rej)를 전달하고, 링크접속 절차부(470)는 Rm인터페이스부(260,160)를 통해, 연결거절 메시지(Connect reject)를 TE(300)의 링크접속 절차부(370)로 전달한다.
이동국(400)으로부터 연결거절 메시지(Connect Reject)가 전달되면, 링크접속 절차부(370)는 링크 관리자(330)에게로, 링크 관리자(3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0)에게로 연결거절에 대한 프리미티브를 각각 전달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TE(300)는 연결요구가 거절된 것으로 판단한다. 연결설정 시그널링과 관련된 프리미티브는 표4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이동국(400)이 본 발명에서 제안한 통합 웹 브라우징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경우, 사용자가 통합 웹 브라우징 기능을 해제했을 때, 이동국(400)이 연결설정 요구를 수용할 수 없을 때, TE(300)가 Connection Request메시지를 이동국(400)으로 보낸 후, 일정시간(△T1) 동안 그 응답을 받지 못했을 때에도, TE(300)는 연결요구가 거절된 것으로 판단한다.
TE(300)와 이동국(400)이 연결되면, TE(300)은 통합 웹 서비스의 시작 및 종료 시그널링을 수행한다.
도8은 도7의 시그널링에 관련된 구성 요소들과 그들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이들 구성 요소들에 의해 TE(300)와 이동국(400)이 연결되면 TE(300)의 사용자는 통합 웹 서비스 뿐만 아니라 PC-sync를 통한 일정관리 서비스, 전화번호부 서비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도9는 통합 웹 서비스의 시작 시그널링을 보인 그림이다.
TE(300)와 이동국(400)이 연결되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명령어 해석기(342)로, 명령어 해석기(342)는 서비스 분배부(380)로, 서비스 분배부(380)는 링크접속 절차부(370)로 서비스 시작에 대한 프리미티브를 각각 전달한다.
서비스 분배부(380)의 프리미티브(DL-service_start_req)를 수신한 링크접속 절차부(370)는 Rm인터페이스부(160, 260)를 통해, 서비스 시작 메시지(Service Start message)를 이동국(400)의 링크접속 절차부(470)로 전달한다.
TE(300)로부터 서비스 시작 메시지가 전달되면, 링크접속 절차부(470)는 서비스 분배부(480)로, 서비스 분배부(480)는 명령어 해석기(454)로, 명령어 해석기(454)는호 제어부(492)로 서비스 시작에 대한 프리미티브를 각각 전달한다.
상기 명령어 해석기(454)의 프리미티브(call_connect_req)가 수신되면, 호 제어부(492)는 망과의 호 연결을 시도한다. 그리고 호가 연결되면,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비스 시작 시그널링 경로의 역방향으로, 서비스 활성을 위한 프리미티브를 전달하게 된다. 통합 웹 서비스의 시작 시그널링과 관련된 프리미티브는 상기 표4에서 정의된다.
상기 서비스 시작 시그널링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TE(300)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는 일반 웹 서버뿐 아니라 모바일 서버와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링크접속 절차부(370, 470)가 생성하는 프레임 구조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10은 도9의 시작 시그널링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과 그들의 관계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1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이동통신 망 및 인터넷 망과의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와 관련된 것이며, 일단, 망과의 연결이 설정되면, 망을 통해, 목적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도11은 통합 웹 서비스의 종료 시그널링을 보인 그림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거나, 호 제어부(492)의 호 연결 시도가 실패하거나, 기타 TE(300)의 불가피한 사유에 따라 통합 웹 서비스를 종료시킬 때, 이 시그널링이 수행된다.
또한, TE(300)가 Service Start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시간(△T4)동안 이동국(400)의 응답이 없으면, TE(300)는 통합 웹 서비스 시작 시그널링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원인들로 인해 통합 웹 서비스가 종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명령어 해석기(342)로, 명령어 해석기(342)는 서비스 분배부(380)로, 서비스 분배부(380)는 링크접속 절차부(370)로 서비스 종료에 대한 프리미티브를 각각 전달한다.
서비스 분배부(380)의 프리미티브(DL-service_stop_req)를 수신한 링크접속 절차부(370)는 Rm인터페이스부(160,260)를 통해, 서비스 종료 메시지(Service Stop message)를 이동국(400)의 링크접속 절차부(470)로 전달한다.
TE(300)로부터 서비스 종료 메시지가 전달되면, 링크접속 절차부(470)는 서비스 분배부(480)로, 서비스 분배부(480)는 명령어 해석기(454)로, 명령어 해석기(454)는 호 제어부(492)로 서비스 종료에 대한 프리미티브를 각각 전달한다.
상기 명령어 해석기(454)의 프리미티브(call_disconnect_req)가 수신되면, 호 제어부(492)는 망과의 호 연결을 해제한다.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비스 종료 시그널링 경로의 역방향으로, 서비스 비활성을 위한 프리미티브를 전달하게 된다. 통합 웹 서비스의 종료 시그널링과 관련된 프리미티브는 상기 [표4]에서 정의된다.
도12는 연결해제 시그널링을 보인 그림으로서, 사용자가 IW브라우저(320)를 종료시키거나 기타 연결해제에 대한 불가피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TE(300)는 이 시그널링을 수행하여 이동국(400)과의 연결을 해제한다. 만일, Disconnect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한 후 일정시간(△T2)동안 응답이 없으면, TE(300)는 이동국(400)과의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간주한다. 연결해제 시그널링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연결해제 명령"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로 전달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0)는 링크관리자(330)에게로, 링크관리자(330)는 링크접속 절차부(370)로 연결해제에 관한 프리미티브를 각각 전달한다.
링크관리자(330)의 프리미티브(MDL-disconnect_req)를 수신한 링크접속 절차부(370)는 Rm인터페이스부(160, 260)를 통해, 연결해제 요구 메시지(Disconnect request)를 이동국(400)의 링크접속 절차부(470)로 전달한다.
TE(300)로부터 연결해제요구 메시지가 전달되면, 링크접속 절차부(470)는 링크 관리자(430)로 연결해제 프리미티브(MLD-disconnect_ind)를 전달한다.
연결해제 프리미티브(MLD-disconnect_ind)를 수신하면, 링크 관리자(430)는 링크접속 절차부(470)로 해제 승인 프리미티브(MDL-disconnect_ack)를 전달하고, 링크접속 절차부(470)는 Rm인터 페이스(260, 160)를 통해, 해제완료 메시지(Disconnect complete)를 TE(300)의 링크접속 절차부(430)로 전달한다.
이동국(400)으로부터 해제완료 메시지가 전달되면, 링크접속 절차부(370)는 링크 관리자(330)에게로, 링크 관리자(3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게로 해제 승인에 대한 프리미티브를 각각 전달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TE(300)와 이동국(400)의 연결은 해제된다. 연결해제 시그널링과 관련된 프리미티브는 표4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도8은 연결해제 시그널링에 관련된 구성 요소들과 그들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13은 상태관리 시그널링을 보인 그림으로, TE(300)와 이동국(400)이 연결되면, 사용자의 요구 혹은 상태관리 스케줄에 따라, TE(300)는 주기적으로 이동국(400)과의 연결상태를 모니터하고, 관리한다. 연결상태 정보는 시청각 형태로 사용자에게보고된다.
만일, TE(300)와 이동국(400)의 연결이 해제되었지만,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여 계속 웹 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 TE(300)는 연결설정 시그널링을 수행하여, TE(300)와 이동국(400)의 연결을 다시 설정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IW브라우저 종료를 요청하면, TE(300)는 IW브라우저(320)를 즉시 종료한다. 도8은 상태관리 시그널링에 관련된 구성 요소들과 그들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14는 데이터의 송수신에 관계된 구성 요소들과 그들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동국(400)이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를 지원하고, 사용자가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기능의 사용을 선택하면, 프로토콜부(440)를 통해 망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TE(300)로 전달되고, 그것은 IW브라우저(320)를 통해 출력된다. 또 사용자 입력 내용이 TE(300)로부터 이동국(400)에 전달되면, 그 사용자 입력 내용은 프로토콜부(250)를 통해 망으로 전달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국(400)은 사용자가 IW브라우저(320)를 사용할 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기능, 즉 IW브라우저(320)의 사용과 비사용에 대한 모드선택 기능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 기능은 참/거짓 방식의 Boolean형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그 외 다른 방식으로의 구현도 가능한데, 그 구현방식의 선택은 이동국 개발자의 선택에 따른다.
상기 선택된 모드값은 단말기(400)에 저장되고, 저장된 모드 값은 사용자 혹은 단말기 개발자에 의한 "모드변경 사유"가 발생하기 전까지 바뀌지 않는다.
"IW브라우저(320)의 비사용 모드(혹은 사용해제)"가 설정된 경우, IW브라우저(320)사용을 위한 TE(300)측의 연결설정 요구에 대해 이동국(400)은 연결 거부 메시지를 TE(300)로 송신하고, 연결을 설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IW브라우저(320)는 이러한 연결거부 내용을 시청각 형태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IW브라우저(320)의 사용 모드가 설정된 경우, 이동국(400)의 내장 브라우저(420)는 비 활성화되고, 내장 브라우저(420)로 전달되는 모든 데이터는 TE(300)로 전달되거나 TE(300)로부터 전달받는다.
본 발명,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는 일반 웹 브라우징 기능과 모바일 웹 브라우징 기능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컨텐츠와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TE(300)와 이동국(400)의 웹 브라우징 서비스 통합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단일 매체 그리고 단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둘째. PC-Sync와의 연동을 통해, TE(300)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중에도 이동국(400)은 일정관리, 전화번호부 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동시 수행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이동국(400)에 TE(300)와의 중복된 자원을 구현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에 따른 개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이동국(400)의 개발 효율성이 증가한다.
넷째. 본 발명은 TE(400)에 모바일 웹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장치나 인터페이스 설치가 요구되지 않으며, 이동국의 표시 장치가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인터넷 웹 브라우징과 이동통신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Terminal Equipment(TE)와;
    인터넷 서버 및 이동통신 웹 서버과 접속하여, 스스로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거나, 상기 TE의 웹 브라우징을 지원하는 이동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E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선택내용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터넷 웹 브라우징이나 이동통신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통합 브라우저와;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국과의 연결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와 이동국간의 물리적 연결을 제공하는 Rm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종 서비스를 수행하는 다수의 서비스 관리자와;
    하위계층에서 전달된 메시지를 해당 서비스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서비스 분배부와;
    상기 서비스 분배부의 하위계층으로서, framing 및 Deframing을 수행하고, 이동국과의 논리적 연결을 제공하는 링크접속 절차부와;
    이동국과의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고, 관리하는 링크 관리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내장 브라우저와;
    상기 내장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TE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와 TE간의 물리적 연결을 제공하는 Rm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각종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 관리자와;
    하위계층에서 전달된 메시지를 해당 서비스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서비스 분배부와;
    상기 서비스 분배부의 하위계층으로서, framing 및 Deframing을 수행하고, TE와의 논리적 연결을 제공하는 링크접속 절차부와;
    TE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고, 관리하는 링크 관리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6. 제3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비스 관리자는
    통합 웹 관리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통합 웹 관리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나 브라우저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처리하는 명령어 해석기와 상기 브라우저로(로부터)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전달받는 데이터 관리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이동국은,
    통합 브라우저의 활성 모드, 비활성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이동국에 통합 브라우저의 활성 모드가 설정되면,
    이동국의 내장 브라우저는 비 활성화되고, 내장 브라우저로 전달되는 모든 데이터는 상기 TE로(부터) 전달되거나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9. TE의 연결요구에 의해, TE와 이동국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와;
    연결이 설정되면, 이동국과 망간의 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호가 설정되면, TE로 통합 웹 서비스 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설정된 호를 통해, TE를 인터넷 서버나 이동통신 웹 서버에 접속시키고, 데이터를 업/다운로딩하는 단계와;
    TE와 서버와의 접속이 종료되면, 상기 호를 해제하는 단계와;
    호가 해제되면, TE로 통합 웹 서비스 비활성화 메시지를 전송하고, TE와 이동국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TE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선택내용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인터넷 웹 브라우징이나 이동통신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브라우저와;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국과의 연결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와 이동국간의 물리적 연결을 제공하는 Rm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종 서비스를 수행하는 다수의 서비스 관리자와;
    하위계층에서 전달된 메시지를 해당 서비스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서비스 분배부;와
    상기 서비스 분배부의 하위계층으로서, framing 및 Deframing을 수행하고, 이동국과의 논리적 연결을 제공하는 링크접속 절차부와;
    이동국과의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고, 관리하는 링크 관리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이동통신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내장 브라우저와;
    상기 내장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TE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와 TE간의 물리적 연결을 제공하는 Rm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각종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 관리자와;
    하위계층에서 전달된 메시지를 해당 서비스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서비스 분배부와;
    상기 서비스 분배부의 하위계층으로서, framing 및 Deframing을 수행하고, TE와의 논리적 연결을 제공하는 링크접속 절차부와;
    TE와의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고, 관리하는 링크 관리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통합 브라우저의 활성과 비활성에 대한 모드 선택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통합 브라우저의 비활성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TE의 연결요구는 허용되지 않고, 이동국의 내장 브라우저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방법.
KR10-2002-0063934A 2002-10-18 2002-10-18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45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34A KR100459439B1 (ko) 2002-10-18 2002-10-18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03031784A JP3955268B2 (ja) 2002-10-18 2003-02-07 統合ウェブブラウジングサービス装置及びそのサービス方法
AT03011102T ATE320135T1 (de) 2002-10-18 2003-05-21 System zum integrierten webbrowsen und verfahren dazu
EP20030011102 EP1411706B1 (en) 2002-10-18 2003-05-21 Integrated web brows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DE2003603838 DE60303838T2 (de) 2002-10-18 2003-05-21 System zum integrierten Webbrowsen und Verfahren dazu
ES03011102T ES2257617T3 (es) 2002-10-18 2003-05-21 Sistema para un servicio integrado de navegacion web y metodo correspondiente.
PT03011102T PT1411706E (pt) 2002-10-18 2003-05-21 Sistema de servico integrado de navegacao web e metodo respectivo
US10/445,085 US7515602B2 (en) 2002-10-18 2003-05-27 Integrated web brows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NB031490921A CN1238803C (zh) 2002-10-18 2003-06-26 综合Web浏览业务的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3934A KR100459439B1 (ko) 2002-10-18 2002-10-18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5182A KR20040035182A (ko) 2004-04-29
KR100459439B1 true KR100459439B1 (ko) 2004-12-03

Family

ID=3620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3934A KR100459439B1 (ko) 2002-10-18 2002-10-18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515602B2 (ko)
EP (1) EP1411706B1 (ko)
JP (1) JP3955268B2 (ko)
KR (1) KR100459439B1 (ko)
CN (1) CN1238803C (ko)
AT (1) ATE320135T1 (ko)
DE (1) DE60303838T2 (ko)
ES (1) ES2257617T3 (ko)
PT (1) PT1411706E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731B1 (ko) * 2000-09-01 2007-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3480A (ja) * 2004-05-20 2005-12-02 Mitsum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及びそのプログラム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ターネット接続装置
KR100706960B1 (ko) * 2005-02-25 2007-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가상 머신 툴을 이용하여 포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GB0504554D0 (en) * 2005-03-04 2005-04-13 Vodafone Plc Personal access platform
KR100753291B1 (ko) * 2006-01-17 2007-08-2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Dmb 단말기에서 방송 웹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받는방법
US7616566B2 (en) * 2006-04-28 2009-11-10 Samsung Electroncis Co., Ltd Data flow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for reverse communication from high speed communication device to wireless network
US20080014929A1 (en) * 2006-05-05 2008-01-17 Infosys Technologies Ltd. Occasionally connected computing for mobile web services
KR100890421B1 (ko) * 2007-11-06 2009-03-26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에서 서로 다른 형태의 브라우저들을 연동하는방법 및 장치
KR101453956B1 (ko) * 2008-01-14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임베디드 브라우져 에이젼트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WO2009104829A1 (en) * 2008-02-22 2009-08-27 Logicplant Web browsing environment provider system for multiple user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79624B1 (ko) * 2008-05-06 2011-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브라우저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101029364B1 (ko) * 2008-06-24 2011-04-13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이동통신 시스템,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68292B1 (ko) 2008-08-11 2011-09-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단말장치의 ui 제공 방법
KR20100033843A (ko) * 2008-09-22 2010-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단말기 연결에 따른 데이터 통신 전환 방법
US8990404B2 (en) * 2009-11-16 2015-03-24 Apple Inc. Directing data in a web browser from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491268B2 (ja) * 2010-04-28 2014-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369532B (zh) * 2012-04-09 2018-07-13 黄余晖 一种移动终端恶意软件行为的黑盒检测方法
CN103136375A (zh) * 2013-03-26 2013-06-05 柳汉石 一种用语言文字直达所索求目标的浏览器
CN103237088A (zh) * 2013-05-16 2013-08-0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基于对应关系库的浏览方法、系统及云端服务器
US20160100436A1 (en) * 2014-10-01 2016-04-07 Vincent Cirel Providing access to a cruise ship network from a connection to a secondary network seamlessl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48030C (en) * 1998-10-26 2011-01-25 Qualcomm Incorporated A mobile terminal and wireless device with common ip address
US6665537B1 (en) * 1999-01-21 2003-12-16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invocation of mobile IP regist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I107770B (fi) * 1999-06-07 2001-09-28 Nokia Mobile Phones Ltd PDP-kontekstien hallinta matkaviestimessä
US6483822B1 (en) * 1999-06-07 2002-11-19 Marcello Lioy Establishing a packet network call between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an interworking function
US6571237B1 (en) * 1999-08-17 2003-05-27 Oy Vsp Virtualsalesperson Ltd. Method, system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ducing an offer document
JP3623715B2 (ja) 2000-04-07 2005-02-23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JP2002152328A (ja) * 2000-11-07 2002-05-24 Nec Corp 携帯端末、該携帯端末における表示切換方法、及び表示切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02045344A2 (en) * 2000-11-30 2002-06-06 Message Machin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outing messages to communications devices
FI111782B (fi) * 2000-12-29 2003-09-15 Nokia Corp Valintaisen yhteyden tarjoaminen pakettiradiojärjestelmässä
US6941326B2 (en) * 2001-01-24 2005-09-06 Microsoft Corporation Accounting for update notifications in synchronizing data that may be represented by different data structures
EP1271877B1 (en) * 2001-06-22 2008-11-05 Microsoft Corporation Wireless browser
US6842621B2 (en) * 2001-12-21 2005-01-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litting control and media content from a cellular network connection
US6501421B1 (en) * 2002-01-08 2002-12-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location-based legal information service
US20040012627A1 (en) * 2002-07-17 2004-01-22 Sany Zakharia Configurable browser for adapting content to diverse display types
US6763226B1 (en) * 2002-07-31 2004-07-13 Computer Science Central, Inc. Multifunctional world wide walkie talkie, a tri-frequency cellular-satellite wireless instant messenger computer and network for establishing global wireless volp quality of service (qos) communications, unified messaging, and video conferencing via the internet
US7110371B2 (en) * 2002-08-28 2006-09-19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communicate between a host and a mod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731B1 (ko) * 2000-09-01 2007-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55268B2 (ja) 2007-08-08
CN1490738A (zh) 2004-04-21
US7515602B2 (en) 2009-04-07
PT1411706E (pt) 2006-05-31
CN1238803C (zh) 2006-01-25
ES2257617T3 (es) 2006-08-01
EP1411706A1 (en) 2004-04-21
EP1411706B1 (en) 2006-03-08
DE60303838T2 (de) 2006-08-10
JP2004140775A (ja) 2004-05-13
US20040078286A1 (en) 2004-04-22
DE60303838D1 (de) 2006-05-04
ATE320135T1 (de) 2006-03-15
KR20040035182A (ko) 200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439B1 (ko) 통합 웹 브라우징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4440509B2 (ja) パケットデータセッションにおける休眠モードを終了させる方法および無線システム
EP1954086B1 (en) (U)SIM card in server mode, and communication method with client
US75361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the capabilities of handheld devices using local resources
US8744519B2 (en) Multimodal phone data session management enhancement that alleviates dual transmission problems
CN1685323B (zh) 通信系统,中继设备和通信控制方法
JP3509684B2 (ja) 接続制御装置、接続制御方法、接続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2000261372A (ja) 情報通信方法および情報通信装置
US9451433B2 (en)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multi-PDP data communication for mobile broadband device
WO2004114590A2 (en) Method for mobile station request release of multiple packet data service sessions simultaneously using resource release request messages
KR20040055822A (ko) 무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시스템
KR20010074702A (ko) Cdma 셀룰러폰에 관한 데이터 패킷의 전송
EP39721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er premise equipment configuration management
CN110582035B (zh) 一种利用宽带普遍服务管理平台对onu进行升级的方法
Cisco Cisco 700 - Release Notes for Release 4.4(1) Feature Packs
Cisco Release Notes for Cisco 700 Series Router Software Version 4.4.1
TW200306100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program
KR100316187B1 (ko) V5.2 기동 절차 방법
JPH11127477A (ja) パーソナル通信システム
WO2002052874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on-oriented access to packet data networks for wireless devices
JP2002135440A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104440A (ja) 通信制御手順の動的変更方式および方法
RU99117146A (ru) Протокол прикладной программы программируемого терминал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