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937B1 -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조향장치 - Google Patents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937B1
KR100458937B1 KR10-2001-0073588A KR20010073588A KR100458937B1 KR 100458937 B1 KR100458937 B1 KR 100458937B1 KR 20010073588 A KR20010073588 A KR 20010073588A KR 100458937 B1 KR100458937 B1 KR 100458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unit
power
axle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804A (ko
Inventor
김남훈
Original Assignee
(주)한성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한성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01-007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93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14Steering gears hydraulic

Abstract

본 발명은 방제작업시 사용되는 방제기용 대차를 8륜으로 구동되는 동력조향장치에 설치한 후, 대차가 농지와 최대한 근접되게 이동하여 방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방제 작업의 효율성을 일층 향상시키고, 작업시간의 단축과 안전성 및 작업자를 인체에 해로운 농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한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양측이 연결축(17)으로 연결 지지된 전륜액슬샤프트(16)를 중앙에 두고 액슬링크(15)로 전후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각 액슬(11)(12)에 설치되고 액슬 양단에 축지지되는 한쌍의 바퀴가 한조를 이루는 제1륜부(13) 및 제2륜부(14)를 갖는 전륜구동부(10)와, 상기 전륜구동부(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전륜구동부(10)와 동일하게 구동되고, 양측이 연결축(27)으로 연결 지지된 후륜액슬샤프트(26)를 중앙에 두고 액슬링크(25)로 전후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각 액슬(21)(22)에 설치되고 액슬 양단에 축지지되는 한쌍의 바퀴가 한조를 이루는 제3륜부(23)와 제4륜부(24)로 이루어진 후륜구동부(20)와, 상기 전륜구동부(10)의 각 액슬(11)(12)의 중앙부 일측으로 장착되는 제1감속기(32) 및 제2감속기(33)와, 상기 제1 및 제2감속기(32)(33)를 연결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감속기(32)(33) 사이에 구비된 전륜액슬조인트(34)를 갖고 일측으로 엔진과 밋션의 동력을 전달받는 전륜출력축(31)이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륜동력전달부(30)와, 상기 후륜구동부 (20)의 각 액슬(21)(22)의 중앙부 일측으로 설치되는 제3감속기(42) 및 제4감속기 (43)와, 상기 제3 및 제4감속기(42)(43)를 연결시키기 위해 제3 및 제4감속기 (42)(43) 사이에 구비된 후륜액슬조인트(44)를 갖고 일측으로 엔진과 밋션의 동력을 전달받는 후륜출력축(41)이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후륜동력전달부(40)와, 상기 전후륜동력전달부(30)(40) 사이에 설치되고 엔진과 밋션(52)의 동력을 전달받는 밋션출력축(53)이 연결되고 전륜 및 후륜출력축(31)(41)이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감속시킨 후 상기 전륜 및 후륜출력축(31)(41)을 통해 전후륜동력전달부 (30)(40)로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감속기(51)를 갖는 동력발생부(50)와, 오일이 저장된 오일탱크(T)와, 엔진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오일탱크(T)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오일을 펌핑하는 스티어링펌프(P)와,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유로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V)와, 상기 방향전환밸브(V)의 유로진행 방향에 따라 작동되는 제1실린더(61) 및 제2실린더(62)를 갖고 제1륜부(13) 및 제2륜부(14)의 바퀴를 조향시키는 조향부(60)로 구성된 방제용 대차에 있어서, 상기 양측을 한 쌍으로 하는 전후륜액슬샤프트(16)(26)의 상부 내측으로 방제기 탑재용 프레임이 설치되는 브래킷(16a)(26a)을 각각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조향장치{Power steering system for prevention machine vehicle}
본 발명은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제작업시 사용되는 방제기용 대차를 8륜으로 구동되는 동력 조향장치에 설치한 후, 대차가 농지와 최대한 근접되게 이동하여 방제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방제 작업의 효율성을 일층 향상시키고, 작업 시간의 단축과 안전성 및 작업자를 인체에 해로운 농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한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제기란 방역시에 필요로 하는 기구로서, 통상적으로 농지가 넓을 경우는 항공기를 이용한 항공방제가 이루어 지고, 소농지의 경우는 작업자가 직접 돌아 다니며 수작업으로 살포하게 된다.
우리 나라의 경우 농지가 거의 다 소농지이므로 항공방제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거의 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제 방식은 소농지의 경우는 별 문제없이 방제가 이루어 졌으나, 대규모 농지의 경우 다수의 인원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의 지연을 초래할 뿐 아니라, 모든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 짐에 따라 작업자가 인체에 치명적인 농약등의 약물을 흡입하게 되어 약물 중독 등의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방제용 농약 방제기가 종래 출원된 바 있다.
이러한 방제기는 부피가 커서 대형 트럭 등과 같은 차량에 방제기를 탑재한 후 차량에 상차하여 방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농지의 근거리 살포용으로 적합하나 차량 진입이 어려운 대규모 농지일 경우 살포거리가 짧기 때문에 농지의 안쪽 까지 살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농지 전체에 걸쳐 효과적으로 농약을 공급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신안등록제 221498호를 개발한 바 있다.
이러한 방제기는 방제기를 탑재한 트럭등을 농로와 인접한 곳에 정차한 후, 조작반의 조작에 의해 모터를 구동시켜 방제기 본체의 분무기를 농지 쪽으로 회동시켜준 상태에서 엔진부의 엔진을 구동시켜 주게 되며, 또한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방제기 본체의 경사각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같이 분무 방향과 살포 각도를 조절하게 된 농약 방제기는 송풍휀을 이용하여 강력히 송풍시킴에 따라 살포 거리가 종래 보다 더 먼거리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제 수단은 단지 방제기의 성능만을 향상시키는 것에 불과할 뿐 트럭 등의 차량에 탑재하여 방제기를 운반하는 등의 기본적인 수단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농약을 살포하는 곳이 농지인 것을 감안하면 상기와 같이 방제기를 운반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트럭은 부피가 너무 과다하게 큰 관계로 비좁고 평탄치 못한 농로에서 이동이 불가능하여 농로와 인접한 곳에 차량을 정차시킨 후 이곳에서 방제 작업을 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농로와 인접한 곳에 차량을 정차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차량을 이용한 방제 작업이 불가능할 뿐 아니라, 또한 농지가 도로와 인접한 곳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원거리에 있는 것이 대부분인 것을 감안하면 단지 방제기의 성능향상 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결과적으로 효율적인 방제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종래 트럭 등의 차량에 탑재하여 운반하던 방제기를 별도의 대차에 탑재하여 운반이 용이하도록 함에 따라, 방제기의 운반 수단이 소형화 되어 농로와 인접한 도로 뿐 아니라, 농로로도 직접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여 농지와 최대한 근접된 위치에서 방제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방제 작업을 농지 전체에 걸쳐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 할 수 있게 한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제기를 탑재하는 대차를 8륜 동력 조향장치로 구성함에 따라 포장된 농로 뿐 아니라, 비 포장도로의 농로 즉 농로의 상태에 무관하게 대차를 보다 균형있고 안정감있게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방제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작업 시간을 최소로 단축하고, 작업효율을 극대화하도록 한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륜측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후륜측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동력 조향장치 회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동력 조향장치에 의한 우회전시에 회로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동력 조향장치에 의한 좌회전시에 회로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륜구동부 11, 12 : 액슬
13 : 제1륜부 14 : 제2륜부
15 : 액슬링크 16 : 전륜액슬샤프트
20 : 후륜구동부 21, 22 : 차축
23 : 제3륜부 24 : 제4륜부
25 : 액슬링크 26 : 후륜액슬샤프트
30 : 전륜동력전달부 31 : 전륜출력축
32 : 제1감속기 33 : 제2감속기
34 : 전륜액슬조인트 40 : 후륜동력전달부
41 : 후륜출력축 42 : 제3감속기
43 : 제4감속기 44 : 후륜액슬조인트
50 : 동력전달부 51 : 메인감속기
52 : 엔진밋션 53 : 밋션출력축
60 : 조향부 61 : 제1실린더
62 : 제2실린더 13a, 14a ; 액슬하우징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이 연결축(17)으로 연결 지지된 전륜액슬샤프트(16)를 중앙에 두고 액슬링크(15)로 전후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각 액슬(11)(12)에 설치되고 액슬 양단에 축지지되는 한쌍의 바퀴가 한조를 이루는 제1륜부(13) 및 제2륜부(14)를 갖는 전륜구동부(10)와, 상기 전륜구동부(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전륜구동부(10)와 동일하게 구동되고, 양측이 연결축(27)으로 연결 지지된 후륜액슬샤프트(26)를 중앙에 두고 액슬링크(25)로 전후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각 액슬(21)(22)에 설치되고 액슬 양단에 축지지되는 한쌍의 바퀴가 한조를 이루는 제3륜부(23)와 제4륜부(24)로 이루어진 후륜구동부(20)와, 상기 전륜구동부(10)의 각 액슬(11)(12)의 중앙부 일측으로 장착되는 제1감속기(32) 및 제2감속기(33)와, 상기 제1 및 제2감속기(32)(33)를 연결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감속기(32)(33) 사이에 구비된 전륜액슬조인트(34)를 갖고 일측으로 엔진과 밋션의 동력을 전달받는 전륜출력축(31)이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륜동력전달부(30)와, 상기 후륜구동부(20)의 각 액슬(21)(22)의 중앙부 일측으로 설치되는 제3감속기(42) 및 제4감속기(43)와, 상기 제3 및 제4감속기(42)(43)를 연결시키기 위해 제3 및 제4감속기(42)(43) 사이에 구비된 후륜액슬조인트(44)를 갖고 일측으로 엔진과 밋션의 동력을 전달받는 후륜출력축(41)이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후륜동력전달부(40)와, 상기 전후륜동력전달부(30)(40) 사이에 설치되고 엔진과 밋션(52)의 동력을 전달받는 밋션출력축(53)이 연결되고 전륜 및 후륜출력축(31)(41)이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감속시킨 후 상기 전륜 및 후륜출력축(31)(41)을 통해 전후륜동력전달부(30)(40)로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감속기(51)를 갖는 동력발생부(50)와, 오일이 저장된 오일탱크(T)와, 엔진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오일탱크(T)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오일을 펌핑하는 스티어링펌프(P)와,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유로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V)와, 상기 방향전환밸브(V)의 유로진행 방향에 따라 작동되는 제1실린더(61) 및 제2실린더(62)를 갖고 제1륜부(13) 및 제2륜부(14)의 바퀴를 조향시키는 조향부(60)로 구성된 방제용 대차에 있어서, 상기 양측을 한 쌍으로 하는 전후륜액슬샤프트(16)(26)의 상부 내측으로 방제기 탑재용 프레임이 설치되는 브래킷(16a)(26a)을 각각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 조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향부(60)의 제1실린더(61)와 제2실린더(62)를 제1륜부(13)와 제2륜부(14)의 액슬하우징(13a)(14a)에 각각 장착시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전륜측 분리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후륜측 분리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평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측면도이며,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동력 조향장치 회로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구동부(10)는 제1륜부(13)와 제2륜부(14) 사이의 중앙에 전륜액슬샤프트(16)를 구비하고, 상기 제1륜부(13)와 제2륜부(14)는 전륜액슬샤프트(16)와 액슬링크(15)로 상호 연결되며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후륜구동부(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륜부(23)와 제4륜부(24)사이의 중앙부에 후륜액슬샤프트(26)를 구비하고 상기 제3륜부(23)와 제4륜부(24)는 후륜액슬샤프트(26)와 액슬링크(25)로 상호 연결되며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양측으로 설치된 전후륜액슬샤프트(16)(26)의 상부 내측으로 브래킷(16a)(26a)을 상호 대향되게 각각 형성한후, 상기 브래킷(16a)(26a)에 방제기 탑재용 프레임을 볼트 결합하되, 상기 프레임에는 방제기 뿐 아니라, 캐빈 등도 설치되게 된다.
상기 브래킷(16a)(26a)에는 방제기 탑재용 프레임이 볼트 결합되도록 볼트 결합공을 형성한다.
상기 전륜동력전달부(30)의 제1감속기(32)와 제2감속기(33)는 전륜구동부(10)의 각 액슬(11)(12)의 중앙부 일측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감속기(32)(33) 사이에는 전륜액슬조인트(31)가 설치되어 상기의 전륜액슬조인트(31)로 제1 및 제2감속기(32)(33)를 상호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후륜동력전달부(40)의 제3감속기(42)와 제4감속기(43)는 후륜구동부(20)의 각 액슬(21)(22) 중앙부 일측으로 장착되고, 상기 제3 및 제4감속기(42)(43)사이에는 후륜액슬조인트(41)가 설치되어 상기의 후륜액슬조인트(41)로 제3 및 제4감속기(42)(43)를 상호 연결시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동력발생부(50)는 전후륜동력전달부(30)(40) 사이에 설치되는 메인감속기(51)를 갖게 되며, 상기 메인감속기(51)는 엔진밋션(52)과 밋션출력축(53)으로 연결되어 엔진밋션의 동력을 전달 받아 전후륜출력축(31)(41)으로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조향부(60)의 제1 및 제2실린더(61)(62)는 전륜구동부(10)의 제1륜(13) 및 제2륜(14)의 액슬(11)(12)에 각각 장착되어 제1실린더(61)는 제1륜부(13)를 조향시키고, 제2실린더(62)는 제2륜부(14)를 각각 조향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제1 및 제2실린더(61)(62)는 조향핸들의 조작 방향을 감지하여 유압이 통과함에 따라 제1륜부(13) 및 제2륜부(14)의 조향 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륜부측의 동력 전달을 살펴 보면, 최초에 엔진밋션(52)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이 동력은 밋션출력축(53)을 통해 동력발생부(50)의 메인감속기(51)로전달되고, 상기 메인감속기(51)에 전달된 동력은 감속되어진 상태에서 다시 전륜출력축(31)을 통해 전륜동력전달부(30)의 제2감속기(33)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 제2감속기(33)로 전달된 동력은 전륜액슬조인트(34)를 통해 제1감속기(32)로 전달 되게 된다.
한편 후륜부측의 동력 전달을 살펴보면, 상기 전륜측과 마찬가지로 최초에 엔진밋션(52)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이 동력은 밋션출력축(53)을 통해 메인감속기(51)로 전달되고, 상기 메인감속기(51)로 전달된 동력은 감속되어진 상태에서 다시 후륜출력축(41)을 통해 후륜동력전달부(40)의 제3감속기(42)로 전달된 후 후륜액슬조인트(44)를 통해 제4감속기(43)로 전달되게 된다.
이와같이 밋션출력축(53)을 통해 엔진밋션의 동력이 전달되면 전륜동력전달부(30)와 후륜동력전달부(40)를 통해 제1내지 제4감속기(32)(33)(42)(43)로 동력이 전달되게 되고, 이때 동력을 전달하는 매개체는 각 액슬(11)(12)(21)(22)간을 연결하는 전후륜액슬조인트(34)(44)가 되며, 상기와 같이 액슬간을 연결하는 전후륜액슬조인트(34)(44)에 의해 8륜으로 구동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력이 전달되는 본 발명의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조향장치에 있어 각 차륜의 조향 방향을 결정하는 조향부를 도6에 도시된 회로구성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엔진에 부착된 스티어링펌프(P)에서 오일탱크(T)의 오일을 펌핑하고 상기 펌핑된 오일은 방향전환밸브(V)를 경유하여 제1 및 제2실린더(61)(62)로 오일이 전달되게 되며, 이때 방향전환밸브(V)는 조향핸들에 연결되어 조향핸들의 조향 방향에 따라 개폐 방향을 달리하여 유압의 전달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조향부의 회로구성도에 의한 조향방향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조향핸들을 우측으로 조향할 경우(우회전시)를 보면, 상기 오일탱크(T)로부터 펌핑된 오일이 방향전환밸브(V)를 통과하여 제1실린더(61)측으로 오일이 전달되고, 상기 제1실린더(61)측으로 전달된 오일은 다시 제2실린더(62)로 전달되고,상기 제2실린더(62)를 경유한 오일은 방향전환밸브(V)를 경유하여 오일탱크(T)로 리턴되게 된다.
이때 방향전환밸브(V)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공급측 및 리턴측이 유로관과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며 개방되게 된다.
그리고 조향핸들을 좌측으로 조향할 경우(좌회전시)를 보면, 도8에 도시된바와 같이 방향전환밸브(V)가 왼쪽으로 이동하여 방향전환밸브(V)가 서로 교차하게 되어 개방과 리턴이 상기와 반대로 되어 즉 제2실린더(62)측의 유로관(63)으로 오일이 먼저 전달되어 제2실린더(62)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제2실린더(62)로 전달된 오일은 유로관(63)을 통해 제1실린더(61)로 전달되고 상기 제1실린더(61)로 전달된 오일은 방향전환밸브(V)를 경유하여 오일탱크(T)로 리턴되게 된다.
상기 조향부(60)의 조향은 제1 및 제2실린더(61)(62)에 의해 전륜구동부(10)가 조향되며 후륜구동부(20)는 전륜구동부(10)의 조향방향에 따라 동일하게 조향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 조향장치는 엔진밋션의 동력이 밋션출력축(53)을 통해 동력발생부(50)의 메인감속기(51)로 전달되면 상기 메인감속기(51)는 동력을 감속시킨후 전후륜출력축(31)(41)으로 각각 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전후륜출력축(31)(41)으로 전달된 동력은 다시 제2감속기(33) 및 제3감속기(42)로 각각 전달되게 된다.
이와같이 제2감속기(33) 및 제3감속기(42)로 전달된 동력은 전후륜액슬조인트(34)(44)를 통해 제1 및 제4감속기()(43)로 각각 전달되게 된다.
즉 동력발생부(50)의 메인감속기(51)에서 감속된 엔진밋션의 동력을 전륜동력전달부(30)와 후륜동력전달부(40)를 통해 제1륜 내지 제4륜(13)(14)(23)(24)까지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동력조향장치를 보면 제1륜부(13)의 액슬하우징(13a)에 장착된 제1실린더(61)는 제1륜부(13)를 조향시키고, 제2륜부(14)의 액슬하우징(14a)에 장착된 제2실린더(62)는 제2륜부(14)를 각각 조향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력조향장치의 조향은 엔진(E/G)에 부착된 스티어링펌프(P)에서 오일탱크(T)의 오일을 펌핑하고, 상기 펌핑된 오일은 방향전환밸브(V)를 경유하여 핸들조작시 그 방향에 따라 제1실린더(61)와 제2실린더(62)로 유압이 전달되도록 하여 유압의 작용으로 조향되도록 하며 후륜구동부(20)의 조향은 전륜구동부(10)의 조향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이루어진 동력 조향장치의 상부로는 방제기를 탑재하는 프레임이 설치되게 되는데, 그 설치는 상기 양측을 한쌍으로 하는 전후륜액슬샤프트(16)(26)의 상부 내측으로 형성되어진 브래킷(16a)(26a)에 프레임을 볼트 결합함에 따라 고정이 완료되며, 이와 같이 프레임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상부로 방제기 및 캐빈 등이 설치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 조향장치에 별도의 방제기용 대차를 장착하고 상기 대차에 방제기를 탑제시키게 되면 방제기용 대차의 크기가 소형화 됨에 따라 폭이 비좁은 농로 등에서도 안정감있게 운행되게 된다.
또한 동력 조향장치가 8륜으로 구동됨에 따라 비포장도로등과 같은 즉 도로의 노면 상태에 무관하게 주행이 가능하여 그 성능이 일층 향상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조향장치는 방제작업시 사용되는 방제기용 대차를 별도의 동력 조향장치에 설치하여, 방제기의 운반수단을 소형화시킴에 따라 농로와 인접한 도로 뿐 아니라, 농로로도 직접 운행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방제 작업을 농지 전체에 걸쳐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제기를 탑재하는 대차를 8륜으로 구동되는 동력 조향장치로 구성함에 따라 포장된 농로 뿐 아니라, 비포장 도로의 농로 즉 농로의 상태에 무관하게 대차를 보다 균형있고 안정감있게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방제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작업 시간을 최소로 단축하고,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삭제
  2. 양측이 연결축(17)으로 연결 지지된 전륜액슬샤프트(16)를 중앙에 두고 액슬링크(15)로 전후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각 액슬(11)(12)에 설치되고 액슬 양단에 축지지되는 한쌍의 바퀴가 한조를 이루는 제1륜부(13) 및 제2륜부(14)를 갖는 전륜구동부(10)와, 상기 전륜구동부(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전륜구동부(10)와 동일하게 구동되고, 양측이 연결축(27)으로 연결 지지된 후륜액슬샤프트(26)를 중앙에 두고 액슬링크(25)로 전후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각 액슬(21)(22)에 설치되고 액슬 양단에 축지지되는 한쌍의 바퀴가 한조를 이루는 제3륜부(23)와 제4륜부(24)로 이루어진 후륜구동부(20)와, 상기 전륜구동부(10)의 각 액슬(11)(12)의 중앙부 일측으로 장착되는 제1감속기(32) 및 제2감속기(33)와, 상기 제1 및 제2감속기(32)(33)를 연결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감속기(32)(33) 사이에 구비된 전륜액슬조인트(34)를 갖고 일측으로 엔진과 밋션의 동력을 전달받는 전륜출력축(31)이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륜동력전달부(30)와, 상기 후륜구동부(20)의 각 액슬(21)(22)의 중앙부 일측으로 설치되는 제3감속기(42) 및 제4감속기(43)와, 상기 제3 및 제4감속기(42)(43)를 연결시키기 위해 제3 및 제4감속기(42)(43) 사이에 구비된 후륜액슬조인트(44)를 갖고 일측으로 엔진과 밋션의 동력을 전달받는 후륜출력축(41)이 구비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후륜동력전달부(40)와, 상기 전후륜동력전달부(30)(40) 사이에 설치되고 엔진과 밋션(52)의 동력을 전달받는 밋션출력축(53)이 연결되고 전륜 및 후륜출력축(31)(41)이 각각 연결되어 동력을 감속시킨 후 상기 전륜 및 후륜출력축(31)(41)을 통해 전후륜동력전달부(30)(40)로 동력을 전달하는 메인감속기(51)를 갖는 동력발생부(50)와, 오일이 저장된 오일탱크(T)와, 엔진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오일탱크(T)로부터 소정의 압력으로 오일을 펌핑하는 스티어링펌프(P)와,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유로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밸브(V)와, 상기 방향전환밸브(V)의 유로진행 방향에 따라 작동되는 제1실린더(61) 및 제2실린더(62)를 갖고 제1륜부(13) 및 제2륜부(14)의 바퀴를 조향시키는 조향부(60)로 구성된 방제용 대차에 있어서, 상기 양측을 한 쌍으로 하는 전후륜액슬샤프트(16)(26)의 상부 내측으로 방제기 탑재용 프레임이 설치되는 브래킷(16a)(26a)을 각각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 조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60)의 제1실린더(61)와 제2실린더(62)를 제1륜부(13)와 제2륜부(14)의 액슬하우징(13a)(14a)에 각각 장착시켜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 조향장치.
KR10-2001-0073588A 2001-11-24 2001-11-24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조향장치 KR100458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588A KR100458937B1 (ko) 2001-11-24 2001-11-24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588A KR100458937B1 (ko) 2001-11-24 2001-11-24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조향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286U Division KR200264597Y1 (ko) 2001-11-24 2001-11-24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804A KR20030042804A (ko) 2003-06-02
KR100458937B1 true KR100458937B1 (ko) 2004-12-17

Family

ID=29571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588A KR100458937B1 (ko) 2001-11-24 2001-11-24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9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688A (ko) * 1992-10-30 1994-05-26 윤종용 텔레비젼신호의 임펄스노이즈제거방법 및 장치
KR100203806B1 (ko) * 1996-12-31 1999-06-15 추호석 지게차용 유압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688A (ko) * 1992-10-30 1994-05-26 윤종용 텔레비젼신호의 임펄스노이즈제거방법 및 장치
KR100203806B1 (ko) * 1996-12-31 1999-06-15 추호석 지게차용 유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804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3220B1 (en) Remote control vehicle
US5427195A (en) Hydraulic drive and steering systems for a vehicle
US5964567A (en) Skid steer loader vehicle
JP4131816B2 (ja) 走行車の駆動装置
US6866113B2 (en) Forklift with transverse travel system
EP2944540A1 (en) Turning system and heavy-load wheeled vehicle having independent suspension
US4667763A (en) Vehicle
US20050279563A1 (en) Steerable bogie
US5020627A (en) Four-wheel drive tractor
US20060151233A1 (en) Wheeled working machine
US4457389A (en) Steering system for gantry-type crane
KR100458937B1 (ko)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조향장치
KR200264597Y1 (ko) 방제기용 대차의 동력 조향장치
US6220384B1 (en) Vehicle for handling various materials or operating units in sheds, airports, and markets
US20180327021A1 (en) Four Wheel Steering With Lock Assembly
US4016948A (en) Dual steering system for vehicle
US10464600B2 (en) Four wheel steering with rear mounted control valves
CA2269535C (en) Skid steer loader vehicle
KR20010097665A (ko) 스키드 로더
EP3802293B1 (en) A track assembly and a track-driven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track assembly
RU2245260C2 (ru) Полноприводная колесная машина с гидрообъемной трансмиссией
DE10224933A1 (de) Fahrzeugchassis
JP2022001017A (ja) 粒剤散布車
EP1509438B1 (en) Cross-country vehicle
CN212373489U (zh) 一种无人车底盘和无人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