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887B1 - 시디엠에이-2000 제어국 넘버7에서 3중 큐를 이용한계층간 아이디 매핑 방법 - Google Patents

시디엠에이-2000 제어국 넘버7에서 3중 큐를 이용한계층간 아이디 매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887B1
KR100458887B1 KR10-2002-0067166A KR20020067166A KR100458887B1 KR 100458887 B1 KR100458887 B1 KR 100458887B1 KR 20020067166 A KR20020067166 A KR 20020067166A KR 100458887 B1 KR100458887 B1 KR 100458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ue
sccp
call
ios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277A (ko
Inventor
이계출
Original Assignee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7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887B1/ko
Publication of KR20040038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887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하는 계층들이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ID를 서로 다르게 관리할 경우, ID에 런닝(Running), 레디(Ready), 펜딩(Pending)의 세 개의 상태를 부여하고 상기 각 상태에 큐를 둠으로써, ID 사용이 잘못되어 호 설정이 거부되거나 연결 거부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CDMA-2000 제어국 No.7에서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무결성 유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통신 프로토콜에서 필요한 기능으로, 인접하는 두 계층이 연결(connection) 또는 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ID가 한 계층에서는 사용 후 바로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또다른 계층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재사용이 되어야 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계층사이에 ID 사용 방법이 다른 계층 사이에서 ID를 변환하는 기능(매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무선 통신 시스템, 인터넷 등 모든 프로토콜 구현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시디엠에이-2000 제어국 넘버7에서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아이디 매핑 방법{Method for mapping of ID between hierarchy using triple queue in CDMA-2000 BSC No.7}
본 발명은 인접하는 계층들이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ID를 서로 다르게 관리할 경우, ID에 런닝(Running), 레디(Ready), 펜딩(Pending)의 세 개의 상태를 부여하고 상기 각 상태에 큐를 둠으로써, ID 사용이 잘못되어 호 설정이 거부되거나 연결 거부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CDMA-2000 제어국 No.7에서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무결성 유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 프로토콜에서 필요한 기능으로, 인접하는 두 계층이 연결(connection) 또는 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ID가 한 계층에서는 사용 후 바로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또다른 계층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재사용이 되어야 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계층사이에 ID 사용 방법이 다른 계층 사이에서 ID를 변환하는 기능(매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무선 통신 시스템, 인터넷 등 모든 프로토콜 구현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교환 시스템은 가입자간 통신라인을 형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교환 시스템은 가입자의 증가와 가입자들로부터 더 많은 부가 서비스가 요구되면서 교환 시스템이 처리해야 할 작업이 증가하였으며, 부피가 증가하였다. 한편 하나의 교환 시스템에서 다른 부가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교환 시스템의 전반적인 요소들을 수정해야 한다. 따라서 교환 시스템의 부피가 증가함으로 인해 특정한 서비스를 부가하기가 어려워졌으며, 부가 기능 추가시마다 많은 인력과 시간 및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교환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별도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추가하는 방법이 대두되었다. 이와 같이 교환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부가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지능망 시스템이라 한다. 이러한 지능망 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는 SS No.7 신호처리 기술의 발전과 함께 더욱 발전하여 현재에는 교환국 기반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또한 가입자 기반 및 그룹 기반의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OSI 7 계층의 구성과 SS No.7 계층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IOS 호 ID와 SCCP LRN의 변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OSI 7 계층과 대비하여 SS No.7 신호처리 장치의 시그널링 시스템의 계층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S No.7 계층(10)의 MTP(Message Transfer Part) 레벨 1(11)은 OSI 7 계층(20)의 물리계층(Physical Layer)(21)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물리적, 전기적인 데이터를 처리한다. SS No.7 계층(10)의 MTP 레벨 2(12)는 OSI 7 계층(20)의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22)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메시지의 구분, 흐름제어, 순번확인, 오류 검사 및 오류시 재전송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SS No.7 계층(10)의 MTP 레벨 3(13)은 OSI 7 계층(20)의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23)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목적지 판별, 라우팅 및 메시지의 분배 등을 수행한다. SS No.7 계층(10)의 SCCP(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14)는 OSI 7 계층(20)의 전송 계층(Transport Layer)(24)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망의 특수설비 사이의 회선 관련 정보를 전송하며, 상위 계층의 연결형, 비연결형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SS No.7 계층(10)의 ISUP(ISDN User Part)(15a)는 OSI 7 계층(20)의 전송계층(Transport Layer)(24), 세션 계층(Session Layer)(25), 프리젠테이션 계층(Presentation Layer)(26),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27)의 부분과 대응되며, 발신자와 착신자간에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 트렁크 회선의 설정, 관리, 복구 절차와 프로토콜 관련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리고, SS No.7 계층(10)의 TUP(Telephone User Part)(15b)는 상기 ISUP(15a)와 동일하게 OSI 7 계층(20)의 전송계층(24)부터 응용계층(27)에 대응되며, 교환기간 전화 호에 필요한 신호의 기능을 담당한다. SS No.7 계층(10)의 TCAP(15c)와 INAP(Intelligent NetworkApplication Protocol,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15d)는 OSI 7 계층(20)의 응용계층(27)에 대응되는 계층이다. 또한 상기 TCAP(15c)의 상위에 INAP(15d)이 존재한다.
한편, 상기한 SS No.7은 유선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국간 연결통신 프로토콜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SS No.7은 2G/2.5G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으며, 3G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상기한 SS No.7의 기본 부분의 구조와 그 기능을 OSI 7 계층 모델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MTP 레벨 1(11)은 인접하는 국간을 물리적/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두 국간 사이에 비트 스트림 전송을 담당하며, 상기 MTP 레벨 2(12)는 상기 MTP 레벨 2(11) 위에서 동작하며, 인접하는 두 국간의 사이에서 시그널 유니트(Signal Unit)들이 에러 없이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MTP 레벨 3(13)/SCCP(14)는 OSI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기능으로 네트워크 설정 및 라우팅을 수행하며, 연결형 서비스(Connection Oriented Service) 및 비연결형 서비스(Connectionless Service)를 상위에 제공한다. IOS는 SCCP 연결형 서비스와 비연결형 서비스를 사용하여 호의 설정 및 해제, 호 설정에 필요한 자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SCCP 연결형 서비스는 연결 설정, 연결, 연결 해제 순으로 구성되며, 연결이 설정된 이후에는 연결을 구별하기 위해서 24bit의 고유 ID(LRN, Local Reference Number)가 사용된다. SCCP LRN은 한번 사용되면, 일정시간(10분)동안 재사용이 금지되는 특성이 규정되어 있다.
한편, IOS는 각각의 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타스크(task) ID 또는 프로세스(process) ID를 사용하며, 이들은 시스템에 따라 다르지만 32bit 또는 64bit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한 IOS가 연결형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IOS 호 ID와 SCCP LRN을 대응(mapping)시키는 첨부한 도면 도 3과 같은 기능이 필요하다.
상기한 기능(IOS 호 ID와 SCCP LRN 변환)을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ID를 관리하기 위해서 한번 사용되는 LRN이 일정시간동안 재사용이 금지되는 특성으로 인해, 두 계층에서 사용되는 ID를 SCCP LRN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단순히 호 ID와 SCCP LRN을 대응시키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리하였다.
즉, 상위 계층에서 호를 시도하면, 하위 계층의 ID를 하나 할당하고, 상위 계층에서 호를 해제하면 하위 계층에서도 바로 사용되고 있는 ID를 해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 즉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이 직접 연관되어 ID를 할당 및 해제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야기되었다.
즉, ID 사용 빈도가 많은 상위 계층에서 해제한 ID를 바로 재 사용할 경우에는 한번 사용된 ID가 일정시간동안 사용될 수 없는 제약이 따르는 하위 계층에서는 바로 ID를 할당 할 수 없으므로 인해, 상위에서 시도된 호가 거절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접하는 계층들이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ID를 서로 다르게 관리할 경우, ID에 런닝(Running), 레디(Ready), 펜딩(Pending)의 세 개의 상태를 부여하고 상기 각 상태에 큐를 둠으로써, ID 사용이 잘못되어 호 설정이 거부되거나 연결 거부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CDMA-2000 제어국 No.7에서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무결성 유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IOS(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s)에서 호를 시도하면,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에서는 레디 큐(Ready Queue)에서 ID 하나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ID 삭제 후, 그 ID를 런닝 큐(Running Queue)에 삽입하여 SCCP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SCCP 연결 설정 후, IOS에서 설정된 호를 해제하였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IOS가 설정된 호를 해제하면, SCCP에서 상기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런닝 큐에 있는 해당 ID를 검색하여 펜딩 큐(Pending Queue)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ID 삽입 후, 큐 핸들러(Queue Hdlr)에서 SCCP로부터의 ID 해제 메시지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SCCP가 ID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면, 해당 ID를 펜딩 큐에서 검색하여 레디 큐의 맨 끝에 삽입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OSI 7 계층의 구성과 SS No.7 계층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IOS 호 ID와 SCCP LRN의 변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큐(Queue)의 초기화된 상태(모든 ID가 대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초기화된 큐에서 3개의 큐를 연계하여 운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매핑 방법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매핑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SS No. 7 계층
11 ..... MTP 레벨 1
12 ..... MTP 레벨 2
13 ..... MTP 레벨 3
14 ..... SCCP
20 ..... OSI 7 계층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CDMA-2000 제어국 No.7에서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매핑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큐(Queue)의 초기화된 상태(모든 ID가 대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초기화된 큐에서 3개의 큐를 연계하여 운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매핑 방법을 적용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OS(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s) 및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에서 사용되는 ID를 레디(Ready), 런닝(Running), 펜딩(Pending)의 세 상태로 나누어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레디(Ready)는 IOS에서 호를 시도하면, SCCP에서 LRN을 할당하여 정상적으로 호를 설정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런닝(Running)은 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펜딩(Pending)은 호가 해제되어 IOS는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SCCP는 사용할 수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첨부한 도면 도 3은 시스템이 초기화된 상태로 모든 ID가 레디 상태이며, 런닝 및 펜딩 상태 즉, 큐(Queue)가 초기화된 상태를 나타낸 경우이며, 이때 사용되는 큐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
즉, 레디 큐(Ready Queue)는 삭제는 맨 앞부분부터 이루지지만, 삽입은 맨 끝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일한 ID가 재사용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런닝 큐(Running Queue)와 펜딩 큐(Pending Queue)는 삽입은 앞부분에서 이루어지며, 삭제는 큐의 임의의 부분에서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첨부한 도면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초기화된 큐를 운용하는 과정 및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먼저 단계 S10에서 IOS(100)에서 호를 시도하면, SCCP(200)는 레디 큐에서 ID 하나를 삭제하고, 그 ID를 런닝 큐에 삽입하여 SCCP 연결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S20에서와 같이 상기 SCCP 연결 설정 후 IOS(100)가 상기 설정된 호를 해제하면, 상기 SCCP(200)에서 SCCP 연결을 해제하고 런닝 큐에 있는 해당 ID를 찾아서 펜딩 큐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단계 S30에서와 같이, 상기 해당 ID 펜딩 큐에 삽입 후, 큐 핸들러(Queue Hdlr)(300)에서 상기 SCCP(200)가 ID 해제 메시지를 보내면, 해당 ID를 펜딩 큐에서 검색하여 레디 큐의 맨 끝에 삽입한다.
또한, 상기한 과정은 상기 IOS(100)가 호를 지속적으로 시도함에 따라 상기의 세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매핑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S에서 호를 시도(ST11)하면, SCCP에서는 레디 큐(Ready Queue)에서 ID 하나를 삭제하는 단계(ST12)와, 상기 ID 삭제 후, 상기 삭제된 ID를 런닝 큐(Running Queue)에 삽입하는 단계(ST13)와, 상기 ID 삽입 후, SCCP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ST14)와, 상기 SCCP 연결 설정 후, IOS에서 설정된 호를 해제하였는지 판별하는 단계(ST15)와, 상기 판별결과 IOS가 설정된 호를 해제하면, SCCP에서 상기 연결을 해제하는 단계(ST16)와, 상기 SCCP에서 연결 해제 후, 상기 런닝 큐에 있는 해당 ID를 검색하는 단계(ST17)와, 상기 검색된 해당 ID를 펜딩 큐(Pending Queue)에 삽입하는 단계(ST18)와, 큐 핸들러(Queue Hdlr)에서 SCCP로부터의 ID 해제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T19)와, 상기 확인결과 SCCP가 ID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면, 해당 ID를 펜딩 큐에서 검색하는 단계(ST20)와, 상기 검색된 해당 ID를 레디 큐의 맨 끝에 삽입하는 단계(ST2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ID 매핑 과정은 상기 IOS가 호를 지속적으로 시도함에 따라 상기의 매핑 과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위 IOS는 호 설정 거부의 염려없이 호 설정 및 해제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인접하는 계층들이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ID를 서로 다르게 관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즉 ID 사용이 잘못되어 호 설정 거부또는 연결 거부와 같은 문제를 ID에 런닝(Running), 레디(Ready), 펜딩(Pending)과 같은 세 개의 상태를 부여하고, 상기 각 상태에 큐를 둠으로써, 호 설정 거부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통신 프로토콜에서 필요한 기능으로서, 인접하는 두 계층이 연결(connection) 또는 호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ID가 한 계층에서는 사용 후 바로 재사용이 가능하나 또다른 계층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재사용이 되어야 하는 경우와 같이, 계층 사이에 ID 사용 방법이 다른 계층 사이에서 ID의 매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며, 유/무선 통신 시스템, 인터넷 등의 모든 프로토콜 구현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 "CDMA-2000 제어국 No.7에서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매핑 방법"에 따르면, 인접하는 계층들이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ID를 서로 다르게 관리할 경우, ID에 런닝(Running), 레디(Ready), 펜딩(Pending)의 세 개의 상태를 부여하고 상기 각 상태에 큐를 둠으로써, ID 사용이 잘못되어 호 설정이 거부되거나 연결 거부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한 매핑 방법을 통해 중복되는 호 ID를 사용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호 시도에 따른 호 설정 성공률을 높일 수 있으며, SCCP와 SCCP 상위 계층간 모듈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큐(Queue)의 관리를 담당하는 큐 핸들로(Queue Hdlr)를 별도로 둠으로써, SCCP 큐에서의 관리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레디 큐(Ready Queue)에서 ID를 할당할 때, 맨 처음 것을 사용함으로써, 사용 가능한 ID를 검색하기 위한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호 설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사용한 ID를 레디에 넣을 때 레디 큐의 맨 끝에 삽입함으로써, 동일한 ID가 중복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4)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계층간 ID 매핑 방법에 있어서,
    IOS(Interoperability Specifications)에서 호를 시도하면, SCCP(Signaling Connection Control Part)에서는 레디 큐(Ready Queue)에서 ID 하나를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ID 삭제 후, 그 ID를 런닝 큐(Running Queue)에 삽입하여 SCCP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SCCP 연결 설정 후, IOS에서 설정된 호를 해제하였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IOS가 설정된 호를 해제하면, SCCP에서 상기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런닝 큐에 있는 해당 ID를 검색하여 펜딩 큐(Pending Queue)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ID 삽입 후, 큐 핸들러(Queue Hdlr)에서 SCCP로부터의 ID 해제 메시지 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SCCP가 ID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면, 해당 ID를 펜딩 큐에서 검색하여 레디 큐의 맨 끝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2000 제어국 No.7에서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매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ID 매핑 과정은 상기 IOS가 호를 지속적으로 시도함에 따라 상기의 매핑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호 설정 및 해제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2000 제어국 No.7에서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매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S 및 SCCP에서 사용되는 ID를 레디(Ready), 런닝(Running), 펜딩(Pending)의 세 상태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2000 제어국 No.7에서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매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디(Ready)는 IOS에서 호를 시도하면, SCCP에서 LRN을 할당하여 정상적으로 호를 설정할 수 있는 상태, 상기 런닝(Running)은 호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 상기 펜딩(Pending)은 호가 해제되어 IOS는 재사용이 가능하지만 SCCP는 사용할 수 없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2000 제어국 No.7에서 3중 큐를 이용한 계층간 ID 매핑 방법.
KR10-2002-0067166A 2002-10-31 2002-10-31 시디엠에이-2000 제어국 넘버7에서 3중 큐를 이용한계층간 아이디 매핑 방법 KR100458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66A KR100458887B1 (ko) 2002-10-31 2002-10-31 시디엠에이-2000 제어국 넘버7에서 3중 큐를 이용한계층간 아이디 매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7166A KR100458887B1 (ko) 2002-10-31 2002-10-31 시디엠에이-2000 제어국 넘버7에서 3중 큐를 이용한계층간 아이디 매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277A KR20040038277A (ko) 2004-05-08
KR100458887B1 true KR100458887B1 (ko) 2004-12-03

Family

ID=3733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7166A KR100458887B1 (ko) 2002-10-31 2002-10-31 시디엠에이-2000 제어국 넘버7에서 3중 큐를 이용한계층간 아이디 매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8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374A (ja) * 1991-07-11 1993-01-29 Nec Corp Osi階層モデル内の層間イベント伝達処理方式
JPH05227168A (ja) * 1992-01-24 1993-09-03 Nec Corp Tcp/ipプロトコルのosiトランスポート層へのインタフェース整合方式
JPH1132078A (ja) * 1997-07-11 1999-02-02 Hitachi Ltd 送信キュー管理方式および本方式を用いるインタネットワーク装置
KR20010006035A (ko) * 1997-04-04 2001-01-15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개방형 시스템 상호 접속 환경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통신 망 및 서비스 액세스 인터페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374A (ja) * 1991-07-11 1993-01-29 Nec Corp Osi階層モデル内の層間イベント伝達処理方式
JPH05227168A (ja) * 1992-01-24 1993-09-03 Nec Corp Tcp/ipプロトコルのosiトランスポート層へのインタフェース整合方式
KR20010006035A (ko) * 1997-04-04 2001-01-15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개방형 시스템 상호 접속 환경에서 통신을 위한 방법, 통신 망 및 서비스 액세스 인터페이스
JPH1132078A (ja) * 1997-07-11 1999-02-02 Hitachi Ltd 送信キュー管理方式および本方式を用いるインタネットワー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277A (ko) 200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3649C (en) Transparent signaling for remote terminals
CA2220790C (en) Automatic learning of network routing using random routes
CA2081166C (en) Automatic initialization of a distributed telecommunication system
CA2053619C (en) Transparent remoting of switching network control over a standard interface link
US7639664B2 (en) Dynamic management of trunk group members
JPH0685907A (ja) 呼ル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装置
JPH0685924A (ja) 呼ルーティング方法
EP0664068A1 (en) Network structure and a signalling protocol for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6611689B1 (en) System for integrat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s into a private telecommunication system
USH1964H1 (en) Resource management sub-system of a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US6879566B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442692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capability of changing the alerting tone
EP0982919A2 (en) Network directed call pickup service
US6717940B1 (en) Message transfer part level three alias point codes
US5914939A (en) Automatic learning of network routing by exchanging route information
US20010053218A1 (en) Transaction bridging/forwarding in signaling system of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458887B1 (ko) 시디엠에이-2000 제어국 넘버7에서 3중 큐를 이용한계층간 아이디 매핑 방법
US6880001B1 (en) System for managing and exchanging telecommunication system subscriber data stored in a single logical subscriber database
JP4090738B2 (ja) スイッチング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要素
FI103460B (fi) Menetelmä dataliikenteen välittämiseksi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CN100454871C (zh) Qsig系统中的信道分配方法
US6148073A (en) Network centric call processing architecture using distributed call segments
CN101192980B (zh) 一种消息环回的方法及系统
JPH02246662A (ja) 統合サービス通信網におけるチャネル管理方式
KR100299095B1 (ko) 브이 5.2 피에스티엔 프로토콜에서 포트 식별자를 이용한 가입자 처리 인덱스 탐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