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399B1 - 정량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정량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399B1
KR100458399B1 KR10-2001-0068550A KR20010068550A KR100458399B1 KR 100458399 B1 KR100458399 B1 KR 100458399B1 KR 20010068550 A KR20010068550 A KR 20010068550A KR 100458399 B1 KR100458399 B1 KR 100458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piston
pressure
pressu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2928A (ko
Inventor
와타나베수수무
다니카와야수카주
Original Assignee
정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화 filed Critical 정태화
Publication of KR20020052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2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ing after a predetermined quantity of fluid has been deli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48Mechanical actuating means actuated by mechanical timing-device, e.g. with dash-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투입된 코인의 금액만큼만 급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정수압 이상의 수원(20)에 접속되고, 또한 내부에 수원(20)으로부터의 물을 토출측으로 유통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밸브체(24a)가 수용된 개폐밸브(15)와, 이 개폐밸브(15)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밸브체(24a)와 연동하여 이를 개폐시키는 피스톤(30)을 내부에 보유하는 유체압 엑추에이터(16)와, 상기 피스톤(30)의 일단측의 케이스(25)내에 형성된 밀폐형상의 압력실(36)내에, 수원(20)으로부터의 물을 유량을 조절하여 유입시키는 것에 의해, 피스톤(30)을 상기 밸브체(24a)의 밸브개방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시키는 유량조정수단(18)과, 상기 피스톤(30) 타단측을, 상기 피스톤(30)의 일측단에 작용하는 수압보다도 작은 압압력으로 밸브체(24a)의 밸브개방 방향으로 항상 미는 가압수단과, 직류전원(44)에 타이머(43)를 통해 접속되고, 코인의 투입때에 일정시간만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피스톤(30)의 일단측의 압력실(36)내의 물을 배출하여, 상기 압력실(36)내의 수압을 일시적으로 감압시키는 전자밸브(17)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정량급수장치{CONSTANT WAT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세차등에 사용되는 코인식의 정량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용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투입된 코인의 금액만큼의 수량을 급수할 수 있도록 한 정량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맨션 등의 집합주택이나 공공시설 등의 일각에 설치된 세차장, 또는 주유소 등의 셀프세차장 등에는 과금 시스템이 없는 급수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많고, 이 경우 이용자는 수도꼭지에 이어진 호스로 자유롭게 세차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교외에 무인 코인식 세차장을 설치하는 예도 늘어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집합주택이나 주유소 등의 세차 스페이스에 설치된 과금 시스템이 없는 급수설비에서는 수돗물의 사용량에 제한이 없고, 마음껏 사용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절수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수도요금이 많아지는 원인이 된다.
특히, 집합주택 등에 있어서의 급수장치는 거주자 전원의 공용설비이고, 수도 요금은 각 호에서 징수된 관리비 등으로 지불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것을 이용하는 사람과 이용하지 않는 사람과의 사이에 관리비등의 불공평이 생긴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급수설비를 과금 시스템을 갖추도록 하여 투입된 코인 등의 금액분에 상당하는 양만의 수돗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량급수설비는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제어밸브나 제어기기 등을 갖추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상용 100V 전원을 필요로 하고, 이미 설치된 급수설비를 간단히 개조하거나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교외에 설치되는 코인식 세차장에 있어서도,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정량(정시간) 세정장치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상용 100V 전원이 없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용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일정수압이상의 수원이 있으면 어디에나 간단하게 설치하여 투입된 코인의 금액만큼의 물을 급수할 수 있도록 한 정량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통체내에 수용된 급수제어 유니트의 요부를 종단하여 나타내는 개략계통도;
도 3은 급수시에서의 제 1실시예의 개략계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급수제어 유니트의 개략계통도; 및
도 5는 급수시에서의 제 2실시예의 개략계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정량급수장치
(2)앵커볼트
(3)기대
(4)지주
(5)통체
(6)급수제어 유니트
(7)급수관
(8)토출관
(9)호스
(10)록장치
(11)코인 투입구
(12)개폐문
(13)코인수납케이스
(14)전지케이스
(15)개폐밸브
(16)유체압 액추에이터
(17)전자밸브
(18)유량조정밸브
(19)밸브상자
(19a)유입측의 개구단부
(19b)토출측의 개구단부
(19c)숫나사 통
(20)수도꼭지
(21)급수호스
(22)세차용 호스
(23)통수구
(24)밸브축
(24a)밸브체
(25)통형 케이스
(25a)설치부
(25b)삽입통과구멍
(26)암나사구멍
(27)(28)안내구멍
(29)유저공(有低孔)
(30)피스톤
(30a)소경부
(30b)프랜지부
(31)패킹
(32)암나사
(33)폐쇄판
(34)숫나사
(35)3방향 커넥터
(36)고압실(압력실)
(37)저압실
(38)공기빠짐 구멍
(39)급수커넥터
(40)토출커넥터
(41)바이패스커넥터
(42)필터
(43)타이머
(44)직류전원
(45)유체압 엑추에이터
(46)안내구멍
(47)통형 케이스
(47a)설치부
(48)패킹
(49)유저공
(50)피스톤
(51)환형상의 오목홈
(52)압축코일스프링
(53)압력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과제는 다음과 같이 해결된다.
(1) 일정수압 이상의 수원에 접속되고, 내부에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토출측으로 유통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밸브체가 수용된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와 연동하여 이 밸브체를 개폐시키는 피스톤을 내부에 보유하는 유체압 액추에이터와, 상기 피스톤의 일단측의 케이스내에 형성된 밀폐형상의 압력실내로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유량을 조절하여 유입시킴으로써 피스톤을 상기 밸브체의 밸브폐쇄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시키는 유량조정수단과, 상기 피스톤의 타단측을 상기 피스톤의 일측단에 작용하는 수압보다도 작은 압압력으로 밸브체의 밸브개방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코인의 투입시에 일정시간만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측의 압력실내의 물을 배출함으로써 상기 압력실내의 수압을 일시적으로 감압시키는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정량급수장치가 상기 전자밸브가 타이머를 통해 직류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에 있어서, 피스톤의 타단측의 케이스내에 피스톤의 일단측의 압력실내의 수압 면적보다도 작은 저압실을 형성하여, 상기 저압실내에 도입된 수원으로부터의 물의 압력을 가압수단으로 한다.
(3) 상기 (1)에 있어서, 가압수단을 압축코일스프링으로 한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유량조정수단을 가변식의 유량조정 밸브로 한다.
(5) 상기 (1) 내지 (3)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구성부재 전체를 유니트화 하여 지면에 고정가능한 기대에 세워 설치된 지주 상단의 통체(筐體)에 수용됨과 아울러, 기대에 개폐밸브의 유입측에 접속된 급수관과, 동일하게 토출측에 접속된 토출관을 돌출시켜 설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량급수장치(1)의 외관 사시도로서, 세차장 등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부지에 복수의 앵커볼트(2)에 의해 고정된 사각형을 이루는 기대(3)와, 그 중앙부상면에 세워 설치된 원통형상의 지주(4)와, 상기 지주(4)의 상단에 고착된 상자형상의 통체(5)를 구비하고, 통체(5)안에는 후술하는 급수제어유니트(6)가 수용되어 있다.
기대(3)에는 급수관(7)과 토출관(8)이 설치되고, 이들은 기대(3) 및 지주(4)안을 삽입·통과하는 호스(9)를 통해 급수제어유니트(6)의 유입측과 토출측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통체(5)의 전면에는 록장치(10)와 코인투입구(11)를 구비하는 개폐문(12)이 설치되고, 코인투입구(11)와 대응하는 개폐문(12)의 이면에는 코인수납케이스(13)가 설치되어 있다.
14는 전지케이스이다.
상기 급수제어 유니트(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15)와, 이것을 개폐시키는 차압식의 유체압 엑추에이터(16)와, 전자밸브(17)와, 가변식 유량조정밸브(18)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개폐밸브(15)에 있어서의 밸브상자(19)의 상류측, 즉 유입측의 개구단부(19 a)에는 상기 급수관(7)측의 호스(9)가 접속되고, 수도의 수도꼭지(20)등의 수원과 급수관(7)에 접속된 급수호스(21)를 통해 개폐밸브(15)내에 일정 수압 이상(예컨대, 0.15MPa 이상)의 수돗물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밸브상자(19)의 토출측의 개구단부(19b)에는 상기 토출관(8)측의 호스(9)가 접속되어 있다. 22는 토출관(8)에 접속된 세차용 호스이다.
밸브상자(19)내의 중앙부에 형성된, 유입측과 토출측을 연통시키는 통수구(23)에서의 상단 개구부에는, 밸브축(24)의 하단에 설치된 원판형상의 밸브체(24a)가 밀폐된 상태로 접촉하고 있다.
상기 유체압 액추에이터(16)는 대경의 통형케이스(25)의 하단에 돌출하여 설치된 소경의 설치부(25a)의 암나사구멍(26)을 밸브상자(19)의 중앙부에 밸브축(24)을 관통시켜 상향으로 이어 설치된 숫나사통(19c)에 나사결합함으로써, 개폐밸브(15)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통형케이스(25)안의 하반부에 형성된, 상기 숫나사통(19c)와 동심을 이루는 약간 소경의 바닥이 있는 안내구멍(27)과, 이와 연통되도록 하여 통형케이스(25)안의 상반부에 형성된 대경의 안내구멍(28)에는 내부에 단형상의 유저공(29)을 보유하는 피스톤(30)에서의 소경부(30a)와, 그 상단에 이어서 설치된 대경의 프랜지부(30b)가 각각 상하로 미끄럼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어있다.
양 안내구멍(27,28)과 소경부(30a) 및 플랜지부(30b)의 접촉면의 수밀성은 소경부(30a) 및 플랜지부(30b)의 외주면의 환형상의 홈에 끼워 결합된 패킹(31)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상기 밸브축(24)은 피스톤(30)의 소경부(30 a)의 하단의 중심에 일체적으로 또한 아래로 수직하게 이어 설치되어 있다.
밸브축(24)과 설치부(25a)의 삽입통과구멍(25b)의 수밀성은 삽입통과구멍(25b)의 내면의 환형상의 홈에 끼워 결합한 패킹(30a)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피스톤(30)의 소경부(30a)의 하면과 안내구멍(27)의 바닥면의 사이에는, 밸브체(24a)가 통수구(23)의 상단과 접촉하고, 이것을 밀폐하였을 때,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통형케이스(25)의 상단 개구부는 직경이 약각 확대된 내주면의 암나사(32)에 폐쇄판(33)의 외주면의 숫나사(34)를 나사결합하여 폐쇄되어 있다.
31는 통형 케이스(25)와 폐쇄판(33)과의 접촉면을 밀봉하는 패킹이다.
폐쇄판(33)의 중앙부 상면에는 통형 케이스(25)내로 연통하는 3방향 커넥터(35)가 설치되고, 그 한쪽의 개구부는 상기 전자밸브(17)의 유입측에, 다른쪽의 개구부는 유량조정밸브(18)의 토출측에 각각 호스(도시생략)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밸브체(24a)가 밀폐상태에 있을 때, 피스톤(30)의 상면상의 통형 케이스(25) 내부와 프랜지부(30b)의 하방에는 각각 수압면적(受壓面積)이 큰 고압실(36)과 그것보다도 수압면적이 작은 저압실(37)이 형성되도록 되어있다.
38은 안내구멍(27)의 바닥면과 통형케이스(25)의 외부로 연통하는 공기빠짐 구멍으로서, 피스톤(30)을 원활히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통형케이스(25)의 둘레벽의 대략 180° 대향하는 중간부에는 급수커넥터(39)와 토출커넥터(40)가 각각 상기 저압실(37)과 연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급수커넥터(39)는 개폐밸브(15)의 밸브상자(19)에서의 급수측에 설치된 바이패스 커넥터(41)에 도시하지 않는 호스 및 필터(42)을 통해 접속되고, 수도꼭지(20)로부터 수돗물이 저압실(37)로 급수되게 되어 있다.
토출커넥터(40)는 유량조정밸브(18)의 유입측에 접속되고, 저압실(37)의 수돗물은 유량조정밸브(18)에 의해 조정되어 조금씩 고압실(36)로 유입하도록 되어있다.
전자밸브(17)의 토출측은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밸브상자(19)에서의 토출측에 설치된 바이패스 커넥터(41)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밸브(17)는 도 1의 코인수납케이스(13)안에 설치된 코인의 통과에 의해 on하는 스위치(42)에 타이머(43)를 통해 접속됨과 아울러, 스위치(42) 및 타이머(43)에 접속된 직류전원(44), 즉 도 1의 전지케이스(14)내의 건전지(도시생략)의 한쪽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타이머(43)는 스위치(42)가 on하는 동시에 작동하여 일정시간(예컨대, 1∼2초)경과 후에 off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전자밸브(17)는 타이머(43)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만 밸브를 개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인의 투입이 없는 경우, 즉 스위치(42)가 off로 되어 있을 때에는 전자밸브(17)가 닫혀 있기 때문에, 수도꼭지(20)로부터 개폐밸브(15)의 상류측으로 유입한 수돗물은 바이패스커넥터(41), 필터(42), 및 급수커넥터(39)를 통해 유체압 액추에이터(16)에서의 통형케이스(25)내의 저압실(37)에 유입되어 저압실을 채운 후, 토출커넥터(40), 유량조정밸브(18), 및 3방향 커넥터(35)를 통해 통형케이스(25)내의 고압실(36)로 유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피스톤(30)은 그 상면 전체와 프랜지부(30b)의 하면에 작용하는 차이압(수압면적이 큰 윗쪽의 가압력이 크게 된다)에 의해 밀어 내려지고, 소경부(30a)의 하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내려가는 밸브축(24)의 하단의 밸브체(24a)가 개폐밸브(15)의 통수구(23)의 상단 개구부에 압접(押接)한다.
이것에 의해 개폐밸브(15)의 상류측에 유입한 수돗물이 하류측으로 흐르는 것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하나의 코인(예컨대 100엔짜리 동전)을 투입구(11)에 삽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42)가 on하는 것에 의해 타이머(43)가 작동하여 전자밸브(17)가 일정시간동안 밸브가 개방된다.
그렇게 하면, 통형케이스(25)의 고압실(36)내의 수돗물의 일부가 전자밸브(17)를 통해 개폐밸브(15)의 하류측으로 배출되어 고압실(36)이 급격히 감압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30)은 저압실(37)내의 수돗물의 압력에 의해 상한위치까지 밀어 올려진다.
이와 동시에, 밸브체(24a)도 윗쪽으로 이동하여 통수구(23)가 열림으로써 밸브상자(19)의 상류측의 수돗물은 토출측의 개구단부(19b)에 접속한 호스(9)를 통해 도 1에서의 기대(3)의 토출관(8)으로 향하여 흘러서, 그것에 접속된 세차용 호스(22)로부터 토출하도록 되어있다.
일정시간(1∼2초)경과 후에 타이머(43)가 off로 되고, 전자밸브(17)가 폐쇄되면, 고압실(36) 내에는 유량조정밸브(18)에 의해 최적으로 조정된 수돗물이 조금씩 유입되고, 그 압력에 의해 피스톤(30)이 천천히 밀어 내려진다.
밸브체(24a)가 통수구(23)의 상단 개구부에 접촉하면, 피스톤(30)의 하강은 정지되고, 또한 그때까지 개폐밸브(15)의 하류측으로 유통되고 있던 수도물의 흐름도 차단된다(도 2의 상태).
이와 같이, 개폐밸브(15)의 밸브체(24a)를 개폐시키는 유체압 액추에이터(16)는 급수 타이머로서 작용을 하여 코인의 투입에 의해 열린 밸브체(24a)가 천천히 닫혀지기까지의 일정시간만 정량의 수돗물을 급수하여 이를 세차등에 사용할 수 있다.
또, 급수시간의 조절은 유량조정밸브(18)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급수시간을 길게 하였을 때에는 유량조정밸브(18)를 조여서, 피스톤(30)의 하강속도를 느리게 하면 좋고, 또한, 급수시간을 짧게 하였을 때에는, 상기와 반대로 유량조정밸브(18)을 열어 피스톤(30)의 하강속도를 빠르게 하면 좋다.
게다가, 일회의 사용요금을 비싸게 하였을 때에는 투입된 코인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작동하는 스위치나 형상 또는 크기를 식별하여 작동하는 스위치 등을 설치하면 좋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유체압 액추에이터(45)는 하부의 설치부(47a)가 개폐밸브(15)의 숫나사통(19c)에 나사결합되고, 또한 내부에 스트레이트 형상의 바닥이 있는 안내구멍(46)을 보유하는 통형케이스(47)와, 상기 안내구멍(46)에 상하로 미끄럼가능하고 패킹(48)을 통해 수밀하게 삽입된, 내부에 단형상의 유저공(49)를 보유하는 피스톤(50)과, 상기 피스톤(50)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환형상의 오목홈(51)에 수용되고, 하단이 통형케이스(47)내의 바닥면에 압접되고 있는 압축코일스프링(52)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50)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와 같은 밸브축(24)이 하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통형케이스(47)의 상단 개구부에는 상기와 같이 3방향커넥터 (35)를 구비하는 폐쇄판(33)이 밀폐 상태로 걸어 부착되어 있다.
피스톤(50)의 하면과 통형케이스(47)의 내부 바닥면의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체(24a)가 통수구(23)를 닫혔을 때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2)의 스프링 정수는 전자밸브(17)의 밸브개방시에 있어서 피스톤(50)의 표면과 폐쇄판(33)의 사이의 압력실(53)에 작용하는 수압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압력실(53)내에는 수도꼭지(20)로부터의 수돗물이 개폐밸브(15)의 상류측인 바이패스커넥터(41), 필터(42), 유량조정밸브(18), 및 3방향커넥터(35)를 통해 직접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 2의 실시예의 정량급수장치에 있어서, 코인이 투입되지 않는 미사용시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밸브(17)가 닫혀져 있기 때문에, 압력실(53)은 수돗물에 의해 채워지고, 그 압력에 의해 피스톤(50)은 압축코일스프링(52)에 저항하면서 밀어 내려진다. 이것에 의해 개폐밸브(15)의 통수구(23)는 밸브체(24a)에 의해 닫혀지고, 개폐밸브(15)의 상류측의 수도물이 하류측으로 흐르는 것이 저지된다.
이 상태로 코인을 투입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밸브(17)가 개방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실(53)내의 수돗물의 일부가 배출되어, 그 속의 압력이 급격히 감압됨으로써 피스톤(50)은 압축코일스프링(52)의 가압력에 의해 상한까지 밀어 올려진다.
그 결과, 밸브체(24a)에 의해 통수구(23)가 개방되고, 개폐밸브(15)의 상류측의 수돗물이 하류측에 흐름으로써 호스(22)로 급수를 할 수 있다. 이 때의 급수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체(24a)가 하강하여 통수구(23)를 다시 폐쇄하기까지의 일정시간이 걸린다.
즉, 타이머(43)가 off로 되어, 전자밸브(17)가 닫혀지는 동시에, 압력실(53)에는 유량조절밸브(18)로부터 수돗물이 조금씩 유입하여 피스톤(50)이 압축코일스프링(52)을 압축하면서 천천히 밀어 내려지는 것에 의해 밸브체(24a)도 통수구(23)의 상단과 접촉할 때까지 조금씩 하강하여, 그 때까지의 일정시간만 급수가 계속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두 개폐밸브(15)의 밸브체(24a)를 작동시킴에 있어서, 수돗물의 수압을 이용한 유체압 액추에이터(16, 45)를 이용하고, 또한 그것들의 고압실(36) 및 압력실(53)을 감압시키는 전자밸브(17)의 작동용 전원으로서 건전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용 100V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공사는 불필요로 되고, 일정수압 이상의 수원이 있으면, 어디에서도 간단히 설치할 수가 있고, 수도사용료를 수익자만의 부담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코인을 투입하면, 전자밸브의 작동에 의해 유체압 액추에이터의 압력실이 감압되고, 피스톤이 가압수단에 의해 밸브체의 밸브개방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폐밸브내의 수원의 물이 유통가능하게 되고, 압력실이 물에 의해 재차 채워지기까지의 일정시간만 급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수돗물 등이 낭비되는 일이 없고, 또한, 이용자는 요금을 지불하여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집합주택등의 공용설비라 할지라도 불공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게다가, 상용 100V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공사 등이 불필요하고, 어느 곳에서나 간단히 설치할 수가 있다.
청구항2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부재로서의 가압수단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3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수원의 압력이 다른 경우에서도 피스톤의 크기의 변경 없이 압축코일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만을 바꾸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급수시간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코인의 가격에 대한 급수시간의 조정도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급수장치 전체의 체재(體裁)가 향상함과 동시에, 기대로부터 돌출하는 급수관을 호스에 의해 수도의 수도꼭지 등에 접속하고, 또한 토출관에 세차호스 등을 접속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으로 즉시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일정수압 이상의 수원에 접속되고, 내부에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토출측으로 유통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밸브체가 수용된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와 연동하여 이 밸브체를 개폐시키는 피스톤을 내부에 보유하는 유체압 액추에이터와, 상기 피스톤의 일단측의 케이스내에 형성된 밀폐형상의 압력실내로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유량을 조절하여 유입시킴으로써 피스톤을 상기 밸브체의 밸브폐쇄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시키는 유량조정수단과, 상기 피스톤의 타단측을 상기 피스톤의 일측단에 작용하는 수압보다도 작은 압압력으로 밸브체의 밸브개방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코인의 투입시에 일정시간만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피스톤의 일단측의 압력실내의 물을 배출함으로써 상기 압력실내의 수압을 일시적으로 감압시키는 전자밸브를 포함하는 정량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가 타이머를 통해 직류전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급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피스톤의 타단측의 케이스내에 피스톤의 일단측의 압력실내의 수압면적보다도 작은 저압실을 형성하여 상기 저압실내로 도입된 수원으로부터의 물의 압력을 가압수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급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이 압축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급수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정수단이 가변식의 유량조정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급수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성부재 전체를 유니트화하여 지면에 고정가능한 기대에 세워 설치된 지주 상단의 통체에 수용함과 아울러, 기대에 개폐밸브의 유입측에 접속된 급수관과, 동일하게 토출측에 접속된 토출관을 돌출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급수장치.
KR10-2001-0068550A 2000-12-26 2001-11-05 정량급수장치 KR100458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4208A JP3807935B2 (ja) 2000-12-26 2000-12-26 定量給水装置
JPJP-P-2000-00394208 2000-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2928A KR20020052928A (ko) 2002-07-04
KR100458399B1 true KR100458399B1 (ko) 2004-11-26

Family

ID=1885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550A KR100458399B1 (ko) 2000-12-26 2001-11-05 정량급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807935B2 (ko)
KR (1) KR100458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7935B2 (ja) * 2000-12-26 2006-08-09 日本ギア工業株式会社 定量給水装置
JP4690430B2 (ja) * 2008-02-07 2011-06-01 株式会社栗本鐵工所 定流量弁
JP5687026B2 (ja) * 2010-10-21 2015-03-18 株式会社鷺宮製作所 三方弁および該三方弁を用いた車両用空調装置
CN108869822B (zh) * 2018-07-17 2020-02-04 衢州市信和财务咨询服务有限公司 小于一定流量时定时关闭的切断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279A (ja) * 1981-11-09 1983-05-16 F M Valve Seisakusho:Kk 定量給水装置
JPH01275978A (ja) * 1988-04-28 1989-11-06 Toshiba Corp 自圧式弁の駆動装置
KR980002354U (ko) * 1996-06-14 1998-03-30 김홍식 세차 장치
JP2002195431A (ja) * 2000-12-26 2002-07-10 Nichigi Engineering Co Ltd 定量給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279A (ja) * 1981-11-09 1983-05-16 F M Valve Seisakusho:Kk 定量給水装置
JPH01275978A (ja) * 1988-04-28 1989-11-06 Toshiba Corp 自圧式弁の駆動装置
KR980002354U (ko) * 1996-06-14 1998-03-30 김홍식 세차 장치
JP2002195431A (ja) * 2000-12-26 2002-07-10 Nichigi Engineering Co Ltd 定量給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95431A (ja) 2002-07-10
JP3807935B2 (ja) 2006-08-09
KR20020052928A (ko)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4052A (en) Multiple outlets self-actuated irrigation valve
US10329743B2 (en) Efficient water utilization system
JPH03168485A (ja) 電磁弁及び電磁弁連結構造
ES8603050A1 (es) Un dispositivo de valvula de control de flujo
KR100458399B1 (ko) 정량급수장치
JPH04234579A (ja) 廃水ポンプステーションにおける自動循環方法および装置
US5302088A (en) Water powered sump pump
CA2762879C (en) Flow-through trap primer valve assembly
CN209180460U (zh) 一种阀门驱动器、阀门控制系统、阀门及阀门组件
US9856987B2 (en) Distribution valve
US5704390A (en) Automatic variable demand flow regulator
EP0623713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automatic circulation in a waste water pump station
US20160258136A1 (en) Modular electrical appliance which reuses greywater
US3844311A (en) Valve control apparatus
US5441078A (en) Device for terminating flow of a liquid after continuous flow of a predetermined duration
KR100209486B1 (ko) 소형화된 생활, 소방겸용 기압급수 장치
CN208252887U (zh) 具有保护及自动控制进水流量的遥控浮球阀装置
US6065694A (en) Flow limiter
WO1999034140A1 (en) Flow control valve
CN206072484U (zh) 一种掀按式磁感应开关阀芯
CN219973440U (zh) 一种带有雨污混接限流结构的排水系统
CN114150740B (zh) 一种排水阀的延时排水结构及延时排水方法
KR102173444B1 (ko) 상수도 공급시스템의 대수용가 유량조절 장치
KR200248833Y1 (ko) 소화수와 생활용수 공급장치
KR102212770B1 (ko) 소형 다이어프램 래치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