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369B1 -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와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와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369B1
KR100458369B1 KR10-1999-7005564A KR19997005564A KR100458369B1 KR 100458369 B1 KR100458369 B1 KR 100458369B1 KR 19997005564 A KR19997005564 A KR 19997005564A KR 100458369 B1 KR100458369 B1 KR 100458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creen
data processing
mobile data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5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7701A (ko
Inventor
돌스코트에스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00057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7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3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9G2340/145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related to small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와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가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화면(14)을 갖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용으로 작성되어 있는 다수의 화면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애플리케이션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에 로딩되어 개시되면, 애플리케이션의 다수의 화면(54) 중의 특정 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에,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를 이용하여 다수의 화면 중의 특정 화면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항목(56)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 내에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수의 화면(54) 중의 특정 화면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항목(56)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 내에 모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수의 화면 중의 특정 화면에 대한 대체 화면(57)을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대체 화면(57)은 디스플레이 항목(56)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 상에 나타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항목(56)을 재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디스플레이 항목은 재배열되어 클러스터(cluster)화된다(즉,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 내에서 조밀하게 배치됨). 또한, 디스플레이 항목(56)의 특정한 필드는 전문(full-text)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하이퍼텍스트(hypertext)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과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항목의 2가지 유형의 디스플레이 항목이 디스플레이에 포함된다.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은 안내(orienting) 정보를 제공하거나, 인접 필드에 있는 특정 유형의 데이터를 식별하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프롬프트(prompt)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은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환되는 반면, 특정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은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대한 사용자 프롬프트가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하거나, ②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 결정된 특정 작업자 입력이 발생된 것을 판단하는 경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와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또 다른 기설정된 이벤트(event)가 발생하면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와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와 그 운영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SCREEN REFORMATTING UTILIZING HYPERTEXT}
대부분의 데스크탑(desktop) 및 랩탑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는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그에 따라, 대부분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전형적으로 24×80 문자 크기의 화면에 적합하도록 작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 ("팜탑" 컴퓨터와 바코드 판독 장치와 같은) 포켓형(handheld)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가 등장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면적이 훨씬 작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포켓형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를 사람의 손안에 들어갈 정도로 작게 만들기 위하여, 장치의 중량을 최소화하고, 장치 동작 중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를 소형화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형화 추세에 따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공간이 크게 축소되는 문제가 있다.
새로 개발되는 포켓형 이동식 데이터 처리 또는 계산 장치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24×80 문자 화면에서 16×16 문자 표시 장치와 같은 보다 소형의 화면에 맞게 변경할 때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서, 원래 크기의 디스플레이와 축소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이중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이동식 계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팜탑(palmtop)" 이동식 계산 장치 혹은 바코드 판독 장치와 같은 다른 종류의 소형 데이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탁상용 데이터 처리 시스템과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탁상용 데이터 처리 장치의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온전히 나타낼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화면의 대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대체 화면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a 및 도 10d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용이하게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의 컴퓨터 프로그램 구현을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대체 화면의 내용과 배열을 결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생성된 화면 디스플레이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연관된 대응 대체 화면을 갖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레코드를 만드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카탈로그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개선된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와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는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용으로 작성되어 있는 다수의 화면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을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에 로딩되어 실행되면, 애플리케이션의 다수의 화면 중에서 특정 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표시된다. 다음에,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는 다수의 화면 중의 특정 화면으로부터의 모든 디스플레이 항목이 자체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 표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만일, 다수의 화면 중의 특정 화면에 있는 모든 디스플레이 항목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경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다수의 화면 중의 특정 화면에 대한 대체 화면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 대체 화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을 재배치하여 이들 디스플레이 항목을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항목들은 재배열되고 클러스터(cluster)된다(즉,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밀집 배치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의 특정 필드는 전문(full-text)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하이퍼텍스트(hypertext)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과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항목의 두가지 유형의 디스플레이 항목이 디스플레이에 포함된다.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은 안내 정보(orienting information)를 제공하거나, 인접 필드에 있는 특정 유형의 데이터를 식별하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프롬프트(prompt)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은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환되는 반면, 특정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 및 그 영역 내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는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대한 사용자 프롬프트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하거나, (2)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 결정된 특정 작업자 입력이 발생된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는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와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 간에 자동으로 절환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전 결정된 특정 작업자 입력은, (1)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상의 작업자에 의한 커서의 위치, 또는 (2)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상의 작업자에 의한 그래픽 포인팅 장치(graphical pointing device)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는 또 다른 사전 결정된 이벤트(event)의 발생시,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와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 간에 자동으로 전환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벤트는 다른 상이한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대해 다른 상이한 사용자 프롬프트가 요구된다고 애플리케이션이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애플리케이션은 사전 결정된 특정 작업자 입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다음에, 다수의 화면 중의 특정 화면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수의 화면 중의 특정 화면에 대한 대체 화면을 사용한다. 이 대체 화면은 항목들의 디스플레이를 재배열하여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이들 항목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프로세스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 각각의 특정 화면에 대해서 반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수의 화면 중에서 대체 화면이 존재하는 특정 화면의 기록(또는 카탈로그)을 생성한다. 그 후,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대체 화면이 존재하는 임의의 특정 화면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요구될 때마다,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체 화면이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성 및 그 밖의 특성이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자체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 실시예와 또 다른 목적 및 장점과 함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프로그램가능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이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은 그래픽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중앙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를 바람직하게 구비하는 프로세서(1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에는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컬러 모니터 또는 흑백 모니터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가능한 영상 디스플레이(14)가 접속되어 있다. 프로세서(12)에는 키보드(16)가 또한 접속되어 있다. 이 키보드(16)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18)을 통해 프로세서(12)에 접속되어 있는 표준 컴퓨터 키보드를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12)에는 마우스(20)와 같은 그래픽 포인팅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마우스(20)는 본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케이블(22)을 통해 프로세서(12)에 접속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20)는 커맨드 및 제어 신호를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에 공급하기 위한 좌측 버튼(24)과 우측 버튼(26)을 구비하며, 이들 버튼은 누르거나 클릭(click)할 수 있다. 지금 설명 중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마우스가 사용되고 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구현하는 데에 라이트 팬(light pen)이나 접촉식 화면(touch sensitive screen)과 같은 임의의 포인팅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내용과 관련하여, 당업자라면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을 IBM사(International Bussiness Machines Corporation)에서 제조한 것과 같은 소위 퍼스널 컴퓨터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4)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에 의해 실행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화면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데에 사용되는 비교적 큰 영상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4)는 전형적으로 24×80 문자 화면 포맷을 포함하며, 이 포맷은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에서 현재 사용가능한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실상의 표준 포멧이다.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중앙 처리 장치, 메모리,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소위 "팜탑" 장치이다.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전형적으로 몸체의 하부(36)에 위치하는 키패드 또는 키보드(34)와 몸체의 상부(40)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38)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이 장치는 재킷의 주머니나 핸드백 또는 서류 가방에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비교적 박형이 되게 몸체의 상하부를 포갤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38)를 갖고 있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갖고 있다. 그 중의 한 예로서 16×16 문자 크기의 디스플레이가 있다. 당연히, 이러한 16×16 문자 디스플레이는 그 크기가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에 의해 실행하기에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수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그러나,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그러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충분한 처리 능력과 메모리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특별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이나 소형 장치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숙련된 개발자를 필요로 하지 않고, 데이터 처리 시스템(10)의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에 맞도록 작성된 애플리케이션을 이동식 데이터 처리장치(32)가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해결 방안은 적응성이 있는 것으로, 이에 따라 최종 사용자는 화면 정보를 자신의 취향에 맞게 배열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의해, 최종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임의의 특정 크기를 갖는 디스플레이에도 적응시킬 수 있다.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는 버스(42)를 통해 데이터 처리 장치(10)에 접속되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의 교환을 가능케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10)과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수의 화면 중에서 하나의 특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의 가로 길이는 통상적인 경우와 같이 대략 80 문자 크기이다. 화면의 세로 길이는 통상적인 경우와 같이 대략 24 문자 크기이다. 디스플레이(14) 내에 도시되어 있는 화면(54)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항목(56)을 포함하며, 이들 항목은 화면(54) 내부의 특정한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54)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항목(56)을 포함하며, 이들 디스플레이 항목으로는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NAME")(62) 및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63)을 포함하는 이름 디스플레이 항목(60)과,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ADDRESS")(66) 및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68)을 포함하는 주소 디스플레이 항목(64)과,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PHONE NUMBER")(72) 및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74)을 포함하는 전화 번호 디스플레이 항목(70)과,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AGE")(78) 및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80)을 포함하는 연령 디스플레이 항목(76)과,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SOCIAL SECURITY NUMBER")(84) 및 데이터 입력디스플레이 영역(86)을 포함하는 사회 보장 번호 디스플레이 항목(82)과,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GENDER")(92) 및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94)을 포함하는 성별 디스플레이 항목(90)과,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RACE")(98) 및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100)을 포함하는 인종 디스플레이 항목(96) 등이 있다. 도 2에 나타낸 특정 디스플레이 항목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항목과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도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디스플레이 항목들에 공통적인 것은 각 디스플레이 항목의 일부가 화면(54)의 다양한 필드를 식별하는 텍스트 성분과 같은 식별 또는 정보 자료를 포함한다는 것이다. 도 2의 디스플레이(14)는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면적을 가지므로, 단일 화면 내에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과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항목 모두를 수용하는 데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면적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항목을 도 2의 포맷대로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의)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이들 디스플레이 항목을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항목들이 재편성된다.
도 3은 대체 화면(57)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도 1의)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의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항목(56)이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 내에 재배열되어 클러스터화됨으로써 모든 디스플레이 항목(56)을 디스플레이하는 데에 사용되는 공간 영역이 최소화된다. 게다가, 디스플레이 항목(56)의 특정 부분은 하이퍼텍스트 모드로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하이퍼텍스트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항목의 일부분만이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 내에 표시된다. 사전 설정된 프로그램의 작동 및/또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하이퍼텍스트 항목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전문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그런 후에, 이들 특정 디스플레이 항목은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형태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문 모드로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항목만큼 중요하지 않은 항목에 의해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사용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클러스터화와 하이퍼텍스트 포맷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을 사용하여 유용하고 필요한 정보를 그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름 디스플레이 항목(60)은 그 원래 위치에 사실상 유지된다. 하지만, 주소 디스플레이 항목(64)은 디스플레이 화면(38) 내에서 위치 변경된다. 또한, 연령 디스플레이 항목(76), 성별 디스플레이 항목(90), 인종 디스플레이 항목(96)도 디스플레이 화면(38) 내에서 위치 변경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 번호 디스플레이 항목(70)과 사회 보장 번호 디스플레이 항목(82)도 다른 항목들의 재배치를 수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영역(38) 내에서 약간 위치 변경되어 있다. 이 특정 포맷에서, 모든 디스플레이 항목(56)은 이들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되는 화면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교적 서로 조밀하게 클러스터화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 내의 디스플레이 공간을 더욱 경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항목(56) 중의 특정 디스플레이 항목들이 하이퍼텍스트 모드나 상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름 디스플레이 항목(60)의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62)은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 내에서 하이퍼텍스트 모드("NA")로 디스플레이된다. 주소 디스플레이 항목(64)의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66) 또한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 내에서 하이퍼텍스트 모드("AD")로 디스플레이된다. 연령 디스플레이 항목(76)의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AGE")(78)은 디스플레이 항목(56)의 다른 텍스트 성분에 비해 비교적 짧은 텍스트를 갖기 때문에 하이퍼텍스트 모드로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성별 디스플레이 항목(90)의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GEN")(92)은 하이퍼텍스트 모드로 표시되어 있다. 인종 디스플레이 항목(96)의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RA")(98) 역시 하이퍼텍스트 모드로 표시되어 있다. 전화 번호 디스플레이 항목(70)의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PH")(72) 또한 하이퍼텍스트 모드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사회 보장 번호 디스플레이 항목(82)의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SOC")(84)도 하이퍼텍스트 모드로 표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기동형 사용자 프롬프트(application-initiated prompts of the user)를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프롬프트는 애플리케이션내에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있고 기설정된 프로그램 흐름에 따라 제어된다. 도 4의 예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에 의해 화면(57)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어 있고 어떠한 데이터 필드에도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애플리케이션이 판단한 상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작업자의 데이터 입력을 프롬프트한다. 예를 들어, 이름 디스플레이 항목(60)은 작업자의 주의를 끌기 위해 통상의 방법으로 강조 표시(highlight)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생성 프롬프트를 보강하기 위해,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62)은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전문 디스플레이 모드로 자동으로 변환된다. 커서(103)는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64)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작업자는 키보드 혹은 다른 통상적인 수단을 사용하여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64) 내에 데이터를 기입할 수 있다. 설명의 목적상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름 디스플레이 항목(60)의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64)에 "월터 벤자민(WALTER BENJAMIN)"이라는 이름을 입력한 것으로 가정한다. 그 다음 사전에 프로그램되어 있는 절차에 따라,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에 의해 주소 정보를 위한 후속 프롬프트가 생성된다. 예를 들면, 커서(103)는 주소 디스플레이 항목(64)의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68)으로 위치 변경된다. 또한, 프롬프트를 강조하기 위해서, 주소 디스플레이 항목(64)의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66)은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전문 디스플레이 모드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름 정보가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64) 내에 입력된 다음에, 이름 디스플레이 항목(60)의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62)은 자동적으로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모드로 복귀한다. 작업자가 주소 디스플레이 항목(64)의 데이터 - 디스플레이 영역(68)에 주소 정보의 입력을 완료하면,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 내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66) 또한 자동으로 전문 모드 디스플레이에서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경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커서(103)나 그래픽 포인팅 장치(101)를 이용하여 화면(57) 내에서 데이터 입력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래픽 포인팅 장치(101)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사회 보장 번호 디스플레이 항목(82)을 선택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회 보장 번호 디스플레이 항목(82)은 하이퍼텍스트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84)과 전문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86)을 갖는다. 그래픽 포인팅 장치(101)를 (포인팅 및 클릭킹(clicking)과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 조작함으로써, 작업자는 사전 프로그램된 애플리케이션의 흐름을 벗어날 수 있고, 사전 프로그램된 흐름 순서를 벗어나 사회 보장 번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알 수 있듯이, 사회 보장 번호 디스플레이 항목(82)을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84)의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로부터 전문 디스플레이로 자동적으로 변경된다. 커서(103)는 자동으로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86)으로 옮겨지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사회 보장 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단어 "SOCIAL SECURITY NUMBER"와 사회 보장 번호의 조합된 텍스트 문자 길이가 16 문자를 초과하기 때문에,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86)은 자동적으로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84) 바로 아래로 재위치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회 보장 번호 정보가 입력된 다음에, 사회 보장 번호 디스플레이 항목(82)의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84)은 자동적으로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모드로 다시 변경되고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86)도 원래의 자리로 재위치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 흐름을 다시 제어하여, 전화 번호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70)을 강조 표시하고, 커서(103)를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74)에 재위치시키고,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72)을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전문 디스플레이 모드로 전환하여 단어 "PHONE NUMBER"를 전문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전화 번호 정보를 입력하도록 자동으로 프롬프트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d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하나의 특정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a 및 도 10d는 본 발명을 예시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프로세스는 단계(200)에서 시작하여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에 의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개시되는 단계(202)로 진행한다. 단계(204)에 따라,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개시된 애플리케이션이 24×80 문자 화면에 맞게 포맷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그와 같이 포맷되지 않으면 제어 프로세스는 단계(202)로 복귀하며, 그와 같이 포맷되어 있으면 제어 프로세스는 단계(206)로 진행한다. 단계(206)에서, 디스플레이가 요구된 첫 번째 화면의 사전 선택된 부분만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의 비교적 작은 화면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된다. 단계(208)에 따라,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38)을 벗어난 디스플레이 항목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일 화면(38)을 벗어난 디스플레이 항목이 없으면 제어 프로세스는 단계(209)로 진행하여 다른 요구 기능을 수행하지만, 화면(38)을 벗어난 디스플레이 항목이 있다고 판단되면, 제어 프로세스는 도 10b의 단계(210)로 진행한다. 단계(210)에서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경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항목들이 더욱 조밀하게 클러스터화된다. 이러한 클러스터화는 도 3에 도식적으로 나타나 있고 앞에 설명되어 있다. 그 다음 제어 프로세스는 단계(212)로 진행하여, 단계(212)에서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하이퍼텍스트 포맷으로 자동적으로 축약한다. 그 후 단계(214)에 따라,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자동적으로 (도 3의) 대체 화면(57)을 디스플레이한다.
그 다음, 단계(216)에 따라,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새로운 화면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 요구가 있었으면 제어 프로세스는 단계(217)로 진행하여 대체 화면(57)을 재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이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카탈로그화한 후 단계(206)로 진행하여 새로운 화면을 처리한다. 그러나, 새로운 화면의 디스플레이 요구가 없었으면, 제어 프로세스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가 프로그램 흐름에 의해 요구되는 사용자 프롬프트를 발생하는 도 10c의 단계(218)로 진행한다. 프롬프트가 요구되지 않으면, 제어 프로세스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가 임의의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항목으로의 커서(103) 혹은 그래픽 포인팅 장치(110)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222)로 진행한다. 사용자 프롬프트가 요구되어 있거나 또는 커서(103)나 그래픽 포인팅 장치(101)가 작업자에 의해 특정 하이퍼텍스트 부분에 위치하여 있으면, 제어 프로세스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가 그 해당 하이퍼텍스트 부분을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전문 디스플레이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220)로 진행한다. 그 다음 제어 프로세스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가 ① 데이터의 입력, ② 커서(103)나 그래픽 포인팅 장치(101)의 이동, 또는 ③ 작업자에 의한 종료 커맨드를 모니터링하는 도 10d의 단계(224)로 진행한다.
데이터가 입력되고 있으면, 제어 프로세스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가 입력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모니터링하는 단계(226)로 진행한다. 입력은 엔터(Enter)키 또는 기능 키를 누르는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커서(103)나 그래픽 포인팅 장치(101)의 이동이 있으면, 제어 프로세스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가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항목으로부터의 커서(103)나 그래픽 포인팅 장치(101)의 이동을 모니터링하는 단계(228)로 진행한다.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항목으로부터의 커서(103)나 그래픽 포인팅 장치(101)의 이동이 있는 경우, 제어 프로세스는 단계(234)로 진행하여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가 자동적으로 이전의 전문 디스플레이 모드를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모드로 재변경한다.
종료 커맨드가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제어 프로세스는 화면을 용이하게 재생성하기 위해서 대체 화면이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에 의해 자동적으로 기록되는 단계(230)로 진행한다. 그런 후, 단계(236)에 따라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32)는 모든 대체 화면의 카탈로그를 갱신하고, 프로세스는 단계(238)에서 종료된다.
도 11은 대체 화면 테이블(250)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그 테이블은 타이틀(252)과, 내부 프로그램 이름에 의한 필드의 리스트(list)(254)와, 각 필드에 대한 위치와 (전문 또는 하이퍼텍스트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변수("D1", "D2")를 포함한다. 대체 화면 테이블(250)은 이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어 디스플레이 요구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한 대체 화면을 더욱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작업자에 의해 검토되고 필드 시퀀스(sequence) 테이블에 프로파일된 다양한 화면을 카탈로그화하여 생성된 레코드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타이틀(262)과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화면에 대한 다수의 식별자(264)를 포함하는 화면 카탈로그(260)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점 중의 하나는, 애플리케이션에 연관된 다수의 화면 중의 특정 화면에 대한 대체 화면을 생성하는 개선된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와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맞도록 배열되고 처리되어 있는 다수의 필드 요소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은 화면 데이터를 포착하여 그 화면을 특정한 이동식 디스플레이 장치에 맞도록 재배열하기 위해서 특정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이나 숙련된 개발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에 비해 이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해결 방안은 적응성이 있는 것으로, 이에 따라 최종 사용자는 화면 정보를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다시 배열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임의의 크기의 어떠한 디스플레이 화면에도 적응시킬 수 있는 기계에 의존하지 않는 해결 방안이라는 점에서 종래 기술에 비해 유리하다.

Claims (13)

  1.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를 운영하여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용으로 작성된 다수의 화면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에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하나의 특정 화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내에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으로부터의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내에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①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나타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을 재배치하고,
    ②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의 특정 필드를 전문(full-text)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환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에 대한 대체 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운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대체 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으로부터의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내에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에 대하여
    ①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을 조밀하게 그룹화하여 재배치하고,
    ②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의 특정 필드가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환되어 있는 대체 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운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과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며,
    대체 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으로부터의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에 대하여
    ①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을 조밀하게 그룹화하여 재배치하고,
    ②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의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환하고,
    ③ 특정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을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로 유지하는
    대체 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운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과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며,
    대체 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으로부터의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내에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에 대하여
    ①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을 조밀하게 그룹화하여 재배치하고,
    ②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의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환하고,
    ③ 특정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을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로 유지하는 대체 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운영 방법이,
    ①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대한 사용자 프롬프트(prompt)가 요구된다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판단하고,
    ②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 결정된 특정 작업자 입력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중의 하나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와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운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특정 작업자 입력이,
    ①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의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연관된 부분 상의 작업자에 의한 커서의 위치와,
    ② 작업자가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의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연관된 부분 상의 작업자에 의한 그래픽 포인팅 장치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운영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상이한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대한 다른 상이한 사용자 프롬프트가 요구된다고 판단하고,
    ②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 결정된 특정 작업자 입력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중의 하나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와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운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특정 작업자 입력이,
    ①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의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연관된 부분 상의 작업자에 의한 커서의 위치와,
    ② 작업자가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의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연관된 부분 상의 작업자에 의한 그래픽 포인팅 장치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운영 방법.
  8.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용으로 작성된 다수의 화면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적응적으로 사용하는,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개선된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의 다수의 화면 중에서 디스플레이가 요구된 특정 화면이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갖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용으로 작성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수단과,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으로부터의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내에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 없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①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을 재배치하고,
    ②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의 특정 필드를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에 대한 대체 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개선된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 화면 자동 생성 수단이,
    ①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을 조밀하게 그룹화하여 재배치하고,
    ②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의 특정 필드를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에 대한 대체 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개선된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과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대체 화면 자동 생성 수단이,
    ①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을 조밀하게 그룹화하여 재배치하고,
    ②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의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환하고,
    ③ 특정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을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에 대한 대체 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개선된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과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대체 화면 자동 생성 수단이,
    ①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이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을 조밀하게 그룹화하여 재배치하고,
    ② 상기 디스플레이 항목의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로부터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로 변환하고,
    ③ 특정 데이터 입력 디스플레이 영역을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다수의 화면 중의 상기 특정 화면에 대한 대체 화면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가,
    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대한 사용자 프롬프트가 요구된다고 판단하고,
    ②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 결정된 특정 작업자 입력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중의 하나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와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개선된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결정된 특정 작업자 입력이,
    ①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의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연관된 부분에 상기 작업자에 의한 커서의 위치와,
    ② 작업자가 상기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의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연관된 부분 상에 상기 작업자에 의한 그래픽 포인팅 장치의 위치 중 적어도하나를 포함하는 개선된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상이한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에 대한 다른 상이한 사용자 프롬프트가 요구되다고 판단하고,
    ②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사전 결정된 특정 작업자 입력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 중의 하나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정보 디스플레이 항목을 전문 디스플레이 상태와 하이퍼텍스트 디스플레이 상태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개선된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
KR10-1999-7005564A 1996-12-31 1997-12-09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와 그 운영 방법 KR100458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77,896 1996-12-31
US08/777,896 1996-12-31
US08/777,896 US5801691A (en) 1996-12-31 1996-12-31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screen reformatting utilizing hypertex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7701A KR20000057701A (ko) 2000-09-25
KR100458369B1 true KR100458369B1 (ko) 2004-11-26

Family

ID=2511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5564A KR100458369B1 (ko) 1996-12-31 1997-12-09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와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01691A (ko)
EP (1) EP0950218B1 (ko)
JP (1) JP3372261B2 (ko)
KR (1) KR100458369B1 (ko)
DE (1) DE69739147D1 (ko)
WO (1) WO1998029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1689A (en) * 1996-01-22 1998-09-01 Extended Systems, Inc. Hypertext based remote graphic user interface control system
US6209009B1 (en) 1998-04-07 2001-03-27 Phone.Com, Inc. Method for displaying selectable and non-selectable elements on a small screen
CN1251450A (zh) * 1998-10-21 2000-04-26 国际商业机器公司 在手持装置的多个应用程序之间共享数据的方法
SG94330A1 (en) * 1999-07-24 2003-02-18 Kent Ridge Digital Labs Mobile computing system and method for a network
US6614432B1 (en) 1999-04-16 2003-09-02 Adobe Systems Incorporated Image rendering technique
WO2000068831A2 (en) * 1999-05-07 2000-11-16 Argo Interactive Limited Graphical data within documents
EP1055993B1 (en) * 1999-05-13 2004-03-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viewing HTML documents with smart scrolling
US6708214B1 (en) * 2000-04-21 2004-03-16 Openwave Systems Inc. Hypermedia identifier input mode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3822024B2 (ja) * 2000-05-24 2006-09-13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
JP2001344175A (ja) * 2000-05-31 2001-12-14 Net Village Co Ltd 携帯端末におけるテキストデータの送受信方法
EP1172722A3 (en) * 2000-07-12 2003-08-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play device
US6822664B2 (en) 2000-10-11 2004-11-23 Microsoft Corporation Browser navigation for devices with a limited input system
US7421666B2 (en) 2000-10-11 2008-09-02 Microsoft Corporation Browser navigation for devices with a limited input system
US7565605B2 (en) * 2001-05-08 2009-07-21 Nokia, Inc. Reorganizing content of an electronic document
AUPR962001A0 (en) * 2001-12-19 2002-01-24 Redbank Manor Pty Ltd Document display system and method
US7925611B1 (en) 2003-09-25 2011-04-12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070083810A1 (en) * 2003-09-30 2007-04-12 Scott Simon D Web content adaptation process and system
US7516414B2 (en) * 2004-02-02 2009-04-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ab order mapping of user interfaces
US7315988B2 (en) 2004-02-02 2008-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hort captions to map user interfaces
US20050172235A1 (en) * 2004-02-02 2005-08-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xcluded elements mapping in a user interface
US20050216846A1 (en) * 2004-03-26 2005-09-29 Mika Kalenius Normal versus small screen rendering with given URL
US20080163101A1 (en) * 2007-01-03 2008-07-03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display windows on small screens
US8448074B2 (en) * 2009-05-01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rtioned web page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10066971A1 (en) * 2009-09-14 2011-03-17 Babak Forutanpou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pplication interface portions on peripheral computing devices
US9922139B2 (en) * 2013-06-05 2018-03-20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data screening
CN104216922B (zh) * 2013-06-05 2018-11-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筛选的方法及装置
US20160026616A1 (en) * 2014-07-28 2016-01-28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dataset of spreadsheet in form based view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0831A1 (de) * 1983-11-11 1985-05-23 Olympia Werke Ag, 2940 Wilhelmshaven Verfahren und anordnung zum maschinellen beschriften eines formulares
US5481741A (en) * 1986-04-14 1996-01-02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ttribute nodes in a graphical data flow environment
US5335323A (en) * 1987-01-05 1994-08-02 Motorola, Inc. Computer human interface with multiapplication display
US5155836A (en) * 1987-01-27 1992-10-13 Jordan Dale A Block diagram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instruments with simulated graphic display
US5001697A (en) * 1988-02-10 1991-03-19 Ibm Corp. Method to automatically vary displayed object size with variations in window size
US5283560A (en) * 1991-06-25 1994-02-0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with superimposed partially transparent menus
US5404442A (en) * 1992-11-30 1995-04-04 Apple Computer, Inc. Visible clipboard for graphical computer environments
US5374942A (en) * 1993-02-05 1994-12-20 Gilligan; Federico G. Mouse and method for concurrent cursor position and scrolling control
US5313229A (en) * 1993-02-05 1994-05-17 Gilligan Federico G Mouse and method for concurrent cursor position and scrolling control
US5682529A (en) * 1994-03-14 1997-10-28 Apple Computer, Inc. System for dynamically accommodating changes in display configuration by notifying changes to currently running application programs to generate information by application programs to conform to changed config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50218A1 (en) 1999-10-20
WO1998029797A1 (en) 1998-07-09
US5801691A (en) 1998-09-01
DE69739147D1 (de) 2009-01-15
EP0950218A4 (en) 2005-11-16
EP0950218B1 (en) 2008-12-03
KR20000057701A (ko) 2000-09-25
JP3372261B2 (ja) 2003-01-27
JP2000505924A (ja) 2000-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369B1 (ko) 이동식 데이터 처리 장치와 그 운영 방법
US579875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 screen reformatting
JP2752040B2 (ja) マルチメディア適用業務を作成する方法
US52874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elp information to users of computers
EP0349459B1 (en) Method for accessing selected windows in a multi-tasking system
US53849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operator reconfiguratio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P0810536B1 (en) User-controllable persistent browser display pages
US5408659A (en) Link pane class and application framework
US5544285A (en) Graphical user interface control for replicating data fields in forms
US4686522A (en) Method of editing graphic objects in an interactive draw graphic system using implicit editing actions
US20020054126A1 (en) Browser translation between frames and no frames
US2003002073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elements
US6388685B1 (en) Method for displaying a window
Ziegler et al. Direct manipulation
JPH11249780A (ja) グラフィカル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内のコマンドと記号アイコンへのアクセスを提供する方法
US200302102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EP0613145A2 (en) Card file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visual representation of video data
US5129056A (en) Method for cursor control of scrolling movements on certain computer workstations
CN101978364B (zh) 在多个输入装置之间实现一致性操作的操作系统
JP2940846B2 (ja) ハイパテキスト表示システム
JPH036631A (ja) 適用業務プログラムの状況の監視方法
US5692140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pplication and utility programs
Frankel et al. An on-line assistance system for the simulation model development environment
US5673217A (en) Idea processor
JPS63314665A (ja) メニュ−切替え処理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230

Effective date: 2004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