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271B1 -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271B1
KR100458271B1 KR10-2002-0057845A KR20020057845A KR100458271B1 KR 100458271 B1 KR100458271 B1 KR 100458271B1 KR 20020057845 A KR20020057845 A KR 20020057845A KR 100458271 B1 KR100458271 B1 KR 100458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information
communicator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6389A (ko
Inventor
서진우
조범구
권상욱
심성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271B1/ko
Publication of KR2004002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상태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업자 서버에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복수의 유선 단말기와, 상기 서버에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복수의 무선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선 단말기와 상기 복수의 무선 단말기 중 특정 단말기의 상태 변경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특정 단말기 상태 데이터를 상기 상태 변경 데이터로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특정 단말기와 기 설정된 관계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검색하여, 검색된 단말기로 상기 상태 변경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검색된 단말기가 상기 특정 단말기 상태 데이터를 상기 상태 변경 데이터로 갱신하여 표시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휴대폰, 개인휴대 정보단말기(PDA)등 무선 이동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한 통신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정보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STATUS INFORMATION OF COMMUNICATOR USER}
본 발명은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상태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무선 단말기의 구별 없이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의 상태정보뿐만 아니라 휴대폰, 개인휴대 정보단말기등 무선 이동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망의 활성화로 회사 내는 물론 일반 가정에까지 초고속 인터넷망이 확산되어, 업무에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가정생활에 필요한 많은 정보를 인터넷망을 통하여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 사용자의 급속한 성장에 힘입어 인터넷상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보급되었다. 특히, 인터넷 접속자간에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하여 사용자의 친구, 직장동료 등 사용자와 일정한 관계에 있는 자들의 인터넷 접속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편리성으로 인하여 "인스턴트 메신저"는 인터넷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널리 확산되고 있다.
인터넷망의 성장과 더불어 주목받는 또 하나의 통신 수단은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이다. 단말기가 특정 장소에 고정된 유선 단말기와는 달리 무선 이동 단말기는 자유로운 이동성이 보장되어, 휴대폰의 개인 소지의 일반화 및 무선 이동 단말기의 대중화는 한층 더 가속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 등 이동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는 타인과 무선 이동단말기로 통신을 원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전화번호를 눌러 호를 시도한 후에 통신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호를 시도한 후 착신자가 오프 상태인 경우 오프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하여야 비로소 착신자가 오프상태를 이유로 착신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발신자는 수시로 상대방에게 호를 시도하여 상대방이 착신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착신자의 휴대폰의 파워가 온 상태인 경우에도 착신자가 회의중, 업무중, 운전중 등 통화를 시도하기에 부적절한 상황에 있는 경우에는 발신자는 영문도 모른 채 통화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호를 시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커뮤니케이터를 설치한 유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일정한 관계를 가지는 다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서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휴대폰, 개인휴대 정보단말기(PDA) 등 무선 이동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상태정보 제공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상태정보 제공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와 친구관계를 형성할 자를 검색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관계정보 생성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하여 친구의 상태정보를 제공받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가 개인휴대 정보단말기(PDA)나 개인용 컴퓨터를 통하여 친구의 상태정보를 제공받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휴대폰 120:개인휴대 정보단말기(PDA)
140:차량 장착 단말기(VMT) 200:이동 통신 교환기
300:개인용 컴퓨터 410:상태정보 관리서버
412:데이터베이스 420:커뮤니케이터 서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업자 서버와, 상기 서버에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복수의 유선 단말기 및 상기 서버에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복수의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선 및 무선 단말기는 상기 서버를 통해서 서로 통신하기 위한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유선 단말기와 상기 복수의 무선 단말기 중 특정 단말기의 상태 변경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특정 단말기 상태 데이터를 상기 상태 변경 데이터로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특정 단말기와 기 설정된 관계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검색하여, 검색된 단말기로 상기 상태 변경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상태 변경 데이터를 전송 받은 단말기가 상기 특정 단말기 상태 데이터를 상기 상태 변경 데이터로 갱신하여 표시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정보 제공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상태정보 제공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망 구성도이다. 동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를 위한 망 구성은 사업자 시스템(400), 무선 이동 단말기(100, 120, 140), 무선망(200, 210, 220), 망 연동장치(IWF: Inter Working Function)(230), 모바일 게이트웨이(240), 인터넷 망(310) 및 유선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커뮤니케이터란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의 상태정보가 변경된 경우, 유선 인터넷망(310) 또는 무선 이동 통신망(200, 210, 220)을 통하여 사용자의 변경된 상태정보를 사용자와 일정한 관계 있는 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사업자 시스템(400)과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상태정보란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말하며, 예를 들면, 단말기 전원의 온/오프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 예를 들면, 운전중, 회의중 또는 업무중 등을 말한다.
상기 사업자 시스템(400)은 커뮤니케이터 서버(410), 상태정보 관리서버(420) 및 데이터베이스(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뮤니케이터 서버(400)는 사용자에게 상기 커뮤니케이터 및 그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사용자는 유선 인터넷 망(310) 또는 무선 이동 통신망(200, 210, 220)을 통하여 커뮤니케이터 서버(400)에 접속하고 커뮤니케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무선 이동단말기(100, 120, 140) 또는 개인용 컴퓨터(30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상태정보 관리서버(420)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상태정보와 사용자의 관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로서, 사용자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면 해당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갱신하고 이를 사용자와 일정한 관계에 있는 자에게 통보한다.
이를 위하여 상태정보 관리서버(420)는 커뮤니케이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다른 사용자와 관계를 설정하는 인터페이스와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관계설정 인터페이스는 일정한 조건에 부합하는 다른 사용자를 검색하는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12)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의 상태정보 및 사용자의 관계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의 상태정보는 상기 상태정보 관리서버(410)를 통하여 저장되고 관리된다
상기 사용자 정보는 아래 표 1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필드 이름 타 입 설 명
CUST_MNG_NUM 숫자 고객관리번호
PROFILE_ID 가변문자 아이디
PROFILE_NAME 가변문자 이름
PROFILE_REGCARD 숫자 주민등록번호
PROFILE_MAIL 가변문자 전자우편주소
PROFILE_ADDR 가변문자 주소
PROFILE_PHONE 숫자 전화번호
PROFILE_HANDPHONE 숫자 핸드폰 번호
PROFILE_AGE 숫자 나이
PROFILE_GENDER 문자 0:알수없음, 1:남, 2:여
PROFILE_JOB 가변문자 직업
PROFILE_HPADDR 가변문자 개인 홈페이지 주소
PROFILE_ID 가변문자 아이디
PROFILE_UPDATE 날짜 수정일자
사용자 정보는 별도의 사용자 정보 관리서버(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자우편주소, 핸드폰 번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사용자는 사용자의 정보 중 전자우편, 핸드폰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접근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상기 표 1에는 기재된 필드항목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개인휴대 정보단말기, 차량 장착 단말기 등의 무선 이동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상태정보는 아래 표 2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필드 이름 타 입 설 명
CUST_NUM 숫자 고객관리번호
USERID 가변문자 사용자 ID
ISONLINE 문자 온라인여부
STATUS 문자 상태표시(0:offline,1:online,2:업무중,3:회의중,4:운전중)
MEDIATYPE 문자 접속 디바이스 분류(1:핸드폰, 2:개인휴대 정보단말기, 3:개인용 컴퓨터)
OADDRESS 가변문자 사용자 접속 IP, PORT
상기 상태(STATUS) 정보는 표 1에서 기재된 상태표시(0:offline, 1:online, 2:업무중, 3:회의중, 4:운전중)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출장중, 수업중, 휴가중 등 사용자의 상태를 더 세분화할 수 있고 또한 우울, 심심, 기쁨, 화남, 슬픔 등 사용자의 감정을 표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관계정보는 사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가진 자들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설정된다. 여기에서 사용자와 일정한 관계란 "친구", "가족", "직장동료", "종교단체", "지역모임", "동호회" 등 사용자와 특정한 관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변경된 상태정보를 제공받는 자는 사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가지는 자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용자의 관계정보는 아래 표 3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고객관리번호 이름 가족 친구 직장동료
1 A G, H, I B, C, F, O L, M, N
2 B A, C, J, K
3 C A, B, E, F, J
4 D O
5 E C, O
6 F A, C, O
7 G A, H, I
8 H A, G, I
9 I A, G, H
10 J B, C
11 K B
12 L A, M, N
13 M A, L
14 N A, L
15 O A, D, E, F
상기 표 2와 같이, 사용자의 관계정보는 사업자 시스템(400)에서 사용자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고객관리번호, 이름, 가족, 친구, 직장동료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관계정보 중 사용자 A의 관계정보를 살펴보면, 사용자 A는 사용자 G, H, I와 가족관계로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 B, C, F, O와 친구관계로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 L, M, M과 직장동료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A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면, 상태정보 관리서버(410)는 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된 사용자의 관계정보 중 사용자 A의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A와 일정한 관계에 있는 자 즉, 사용자 A와 가족관계에 있는 사용자 G, H, I와 친구관계에 있는 사용자 B, C, F, O와 직장동료관계에 있는 사용자 L, M, M에게 사용자 A의 상태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
사용자의 관계정보 생성은 관계형성을 원하는 자의 관계정보 필드에 일정 관계자를 등록하고, 관계형성을 요구 당하는 자의 관계정보 필드에 관계형성을 원하는 자를 관계자로 등록하여 해당 사용자 양자간에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바람직하다. 즉, 사용자 A가 사용자 B를 친구로 등록하고 있다면, 사용자 B도 사용자 A를 친구로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A와 직장동료 관계에 있는 사용자 L, M, N은 현실에 있어서는 사용자 A와 뿐만 아니라 사용자 L, M, N 서로간에도 직장동료관계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사업자 시스템(400)의 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된 사용자 관계정보에서는 사용자 M과 사용자 N은 직장동료관계가 형성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상기 표 2에서는 사용자와 일정한 관계를 "친구", 직장동료" 및 "가족"인 경우로 사용자의 관계정보를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교단체", "지역모임", "동호회"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이동 단말기는 이동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모듈이 장착된 단말기로서 휴대폰(100), 개인휴대 정보단말기(120) 및 차량 장착 단말기(14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휴대폰(100), 개인휴대 정보단말기(120), 차량 장착 단말기(140)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윈도우즈 CE, 팜커퓨팅(Computing)사의 팜운영체제 및 심비언(Symbian)사의 이피오시(EPOC) 등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왑(WAP: Wireless Application), 미(ME: Mobile Explorer), 아이모드(i-mode) 등의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전용 브라우저를 탑재한다.
무선 이동 단말기(100, 120, 140)에는 운영체제와 브라우저 외에 상기 커뮤니케이터가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무선 이동 단말기(100, 120, 140)를 이용하여 커뮤니케이터 서버(420)에 무선으로 접속하여 커뮤니케이터를 다운 로드 받아 설치한다.
사용자는 설치된 커뮤니케이터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자신의 상태정보를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고 사업자 시스템(400)은 이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와 일정한 관계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뮤니케이터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신과 일정한 관계를 가지는 다른 사용자의 상태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사업자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무선망(200, 210, 220)은 상기 무선 이동 단말기(100, 120, 140)와 사업자 시스템(400)간의 통신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기지국(BTS)(200), 기지국 제어기(210), 이동 통신 교환기(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지국(200)은 무선 이동 단말기(100, 120, 140)와 무선 접속 시스템을 통해 통신하며, 전송 경로에 위치해 있는 기지국 제어기(BSC)(21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210)는 기지국(200) 셀 내의 이동전화 등록, 핸드오프 수행, 호 설정과 종결 처리를 가능하며, 상기 이동 통신 교환기(220)는 휴대폰(100), 개인휴대 정보단말기(120), 차량 장착 단말기(14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단말기의 호 설정요구 또는 단말기에 대한 호 설정 요구가 있는 경우 통화로를 구성한다.
상기 망 연동장치(230)는 이동 통신 교환기(220)로부터 인터넷 또는 PSPDN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비로서, 이동 통신 교환기(22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서킷(Circuit) 데이터를 패킷(Packet) 데이터로 상호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모바일 게이트웨이(240)는 망 연동장치(230)에서 변환된 패킷 데이터및 사업자 시스템(400)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데이터의 흐름을 조절한다.
상기 인터넷망(310)은 개인용 컴퓨터(300) 사용자가 사업자 시스템(400)에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경로를 제공한다.
상기 유선 단말기는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로서 개인용일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300)는 상기 무선 이동단말기(100, 120, 140)와 같이 인터넷 접속을 위한 전용 브라우저와 별도로 커뮤니케이터를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커뮤니케이터 서버(420)로부터 커뮤니케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이를 설치하고, 설치된 커뮤니케이터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신의 상태정보를 설정 및 변경할 수 있고, 사용자와 일정한 관계에 있는 자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무선 이동단말기의 경우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정보 제공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은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정보 등록 및 단말기에 커뮤니케이터를 설치하는 단계(S210), 사용자의 관계정보 생성단계(S220), 사용자의 상태정보 설정 또는 변경단계(S230) 및 사용자의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변경된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S210 단계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 및 저장하고 단말기에 커뮤니케이터를 설치하는 단계로서, 사용자는 무선 이동단말기(100, 120, 140) 또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업자 시스템(400)에 접속한 후 사용자 정보를 설정 등록하면사용자 정보 관리서버(도시되지 않음)는 이를 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는 상기 표 1에서 설명한 사용자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 관리서버(도시되지 않음)는 사용자 정보가 등록되면 이를 커뮤니케이터 서버(420)에 통보하고, 커뮤니케이터 서버(420)는 사용자에게 무선 이동단말기(100, 120, 140) 또는 개인용 컴퓨터(300)를 이용하여 커뮤니케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때, 무선 이동 단말기(100, 120, 140)의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 접속으로 사용자 정보 등록 및 커뮤니케이터 다운로드 절차를 순차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유선 인터넷 망(310)접속을 통하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무선 이동 단말기(100, 120, 140)를 통한 커뮤니케이터 다운로드를 별개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핸드폰(100)인 경우 유선 인터넷 망(310)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300)에 비하여 단말기 키 조작 및 전송속도에 제한이 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커뮤니케이터는 무선 이동 단말기(100, 120, 140)의 파워 온과 동시에 또는 개인용 컴퓨터(300)에 있어서는 전원이 온 되어 시스템이 부팅 된 후 커뮤니케이터가 즉시 기동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220 단계는 사용자의 관계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로서, 사용자는 사업자 시스템(400)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른 사용자와 일정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의 관계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경우가 존재하지만, 이하에서는 "친구"인 경우의 관계정보 생성과정을 예시한다. 사용자의 관계가 "가족", 직장동료" 인 경우에도 동일한 절차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관계정보 생성을 위하여, 사업자 시스템(400)은 사용자에게 데이터베이스(412)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를 적절한 키로 검색할 수 있고 검색된 자를 친구로 등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와 친구관계를 형성할 자를 검색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핸드폰 번호, 아이디를 키로 하여 특정인을 검색하여 친구로 등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 관리서버(430)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450, 452)에 저장한 다른 정보의 조합, 예를 들면, 성별, 나이, 거주지, 직업, 관심사, 스타일 등의 조합을 키로 하여 임의의 자를 친구로 등록할 수 있다.
도 4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관계정보 생성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은 사용자 A가 커뮤니케이터를 통하여 다른 사용자 B와 친구 관계정보 생성과정을 예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검색과정에서 특정된 자, B를 친구로 등록하기 위한 절차를 선택하면, 사용자 A의 단말기에는 "B님에게 친구 관계를 요청하시겠습니까?"라는 확인 메시지가 출력된다.
사용자 A가 "예"를 선택하면, 사용자 B의 단말기에는 "A님이 친구 관계를 요청하셨습니다. 맺으시겠습니까?" 라는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 B가 사용자 A의 친구로 등록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지 않는 자와의 관계 설정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B가 사용자 A의 친구관계 요청을 받아들이면, 사업자 시스템(400)은 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된 사용자의 관계정보 중 사용자 A에 해당하는 레코드를 검출하여 사용자 B를 사용자 A의 친구 필드에 등록하여 이를 다시 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한다. 이와 동일한 절차로 사용자 A를 사용자 B의 레코드 중 친구필드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표 3은 사용자간 일정한 관계가 형성된 사용자의 관계정보를 예시한다. 상기의 표 3에 나타난 관계 필드, "가족", "친구" 및 "직장동료" 필드에는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의 이름을 표시하였으나 실제로는 해당 사용자 정보를 액세스할 수 있는 포인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친구, 직장동료, 가족 필드에는 사용자의 상태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의 변경된 상태정보를 전송하여야 할 목적지 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사업자 시스템(400)은 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된 사용자 A의 정보 데이터를 독취하여 사용자 B의 휴대폰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 때 사용자 A와 사용자 B, 각각의 휴대폰 표시부에는 사용자 A의 정보카드 데이터가 전송 중에 있음이 표시된다.
사용자 A의 정보카드 데이터가 사용자 B에게 전송이 완료되면, 친구 관계를 요청한 사용자 A의 단말기에는 최종적으로 사용자 B와 친구관계의 형성 및 정보카드 전송에 대한 확인 또는 취소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B의 단말기에는 사용자 A의 정보카드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어 사용자 B의 단말기에 저장됨을 표시한다.
상기에서는 사용자 A와 사용자 B가 친구관계를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 A의 정보카드 데이터만 사용자 B에게 전송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이와 동시에 사용자 B의 정보카드 데이터도 사용자 B에게 전송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상호간에 명함을 주고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커뮤니케이터 사용자가 상기 친구를 등록 절차를 진행하면, 사업자 시스템(400)은 상기 사용자 관계정보 데이터의 친구필드에 등록된 친구의 사용자 정보를 액세스 할 수 있는 포인터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상태정보를 등록된 친구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S230 단계는 사용자의 상태가 설정 또는 변경되는 단계로서, 커뮤니케이터의 기동 또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적극적인 상태정보의 설정 또는 변경절차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무선 이동 단말기(100, 120, 140) 또는 개인용 컴퓨터(300)의 파워가 온 되어 초기화 또는 시스템의 부팅과 함께 커뮤니케이터가 기동하는 경우에는, 커뮤니케이터는 해당 단말기의 사용자의 상태가 "온" 상태임을 상태정보 관리서버(410)에 알린다. 상태정보 관리서버(400)는 "온" 상태임을 알린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해당 단말기의 상태 정보를 온 상태로 변경한다.
커뮤니케이터 사용자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상태를 적극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해당 단말기가 "온" 상태이지만, 사용자가 타인과 원활하게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즉, 긴급한 업무를 진행하는 경우, 중요한 회의를 진행하는 경우, 운전을 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사용자는 자신의 상태를 직접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커뮤니케이터는 사용자가 자신의 상태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뮤니케이터 사용자가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신의 상태정보를 변경하면, 상태정보 관리서버(410)는 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된 해당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액세스하여 사용자의 해당 단말기 상태정보 필드를 갱신하여 다시 데이터베이스(412)에 저장한다.
S240 단계는 사용자의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변경된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의 상태가 설정 또는 변경되면, 상태정보 관리서버(410)는 상태정보가 변경된 해당 사용자의 관계정보를 액세스하여 변경된 사용자의 상태정보가 전송될 목적지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표 3에 나타난 사용자 관계정보 중 사용자 A의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A의 상태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가 휴대폰을 통하여 상태정보를 제공받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따르면,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사용자 A의 관계정보에 따라 사용자 B가 사용자 A 등의 상태정보를 제공받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며, 사용자 A, C, F, O는 각각 "온", "회의중", "운전중" "오프" 상태에 있음을 알수 있다.
사용자 B는 휴대폰의 이동키(114)로 스크롤하여 상태 정보가 제공된 A, C,F, O 중 통신을 원하는 자를 선택할 수 있다. 친구 A의 휴대폰(100) 상태는 "온", 즉 통화 가능한 상태이다. 사용자 A의 상태정보라인(116)은 사용자 B의 선택에 따라 회색으로 표시되어 선택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사용자 B는 사용자 A와 통신하기 위하여 커뮤니케이터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단말기가 휴대폰(100)인 경우 개인휴대 정보단말기(120)나 개인용 컴퓨터(300)에 비하여 입력수단의 기능이 미흡하므로 휴대폰에 내장된 키 패드를 적절히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음성통화(102) 1 번 키, 문자대화(104) 2번 키, 메시지 쓰기(106) 3번키 , 메시지함(108) 4번 키, 상대 정보 확인(110) 5번 키, 친구 추가(112) 작업을 위한 6번 키 등을 활용할 수 있음이 휴대폰 표시창에 나타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7번 키에는 파일전송, 8번 키는 환경설정, 9번 키는 커뮤니케이터의 온/오프(on/off), *키는 MP3, 0번키는 안티 바이러스(anti virus), #키는 포탈서비스(potal service) 등으로 매핑하여 해당 키를 누르는 경우에 키에 해당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각 키는 환경설정 기능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매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A의 휴대폰(100)은 통화 가능한 상태이므로, 사용자 B가 사용자 A와 통신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 B는 음성통화를 위하여 1번 키를 선택할 수 있다. 1번 키가 선택된 경우 휴대폰(100) 단말기는 저장된 사용자 A의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즉시 음성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B의 휴대폰(100)에는 사용자 A의 단말기 정보가 미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B가 문자대화를 선택한 경우에는 인스턴트 메시지(IM) 또는 1대1 대화가 가능하고, 메시지 쓰기를 선택한 경우 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활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가 개인휴대 정보단말기이나 개인용 컴퓨터를 통하여 친구의 상태 정보를 제공받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 따르면,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사용자의 관계정보 중 사용자 A의 변경된 상태정보를 사용자 A의 직장동료인 사용자 L이 제공받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며, 사용자 M이 선택된 상태(142)이다.
사용자 A, M은 휴대폰(100)을 통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이고 사용자 N은 개인용 컴퓨터(300)를 통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이다. 사용자 N의 경우 다른 사용자와는 달리 커뮤니케이터가 내장된 개인용 컴퓨터를 통하여 자신의 상태정보를 설정한 경우임을 알 수 있다.
사용자 L의 단말기가 개인휴대 정보단말기(120)나 개인용 컴퓨터(300)의 경우에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휴대폰(100)의 경우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등록된 친구의 상태정보 디스플레이 및 원하는 친구와 통신을 시도하는 방법은 상기 휴대폰(100)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하나의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뮤니케이터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터가 설치된 단말기를 소지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을 통하여 자신의 상태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터가 설치된 단말기를 소지하는 경우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특정 단말기 상태가 적극적인 상태, 예를 들면, 회의중, 운전중, 업무중로 상태변경이 되면, 해당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단말기 전체를 그 상태정보를 통일 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커뮤니케이터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300)를 사용하여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중에도 사용자가 휴대폰(100)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일 수 있으므로, 커뮤니케이터 사용자가 하나의 적극적인 상태변경 외 다른 단말기를 통하여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해당 단말기 상태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각각 해당 단말기의 상태를 별개로 표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은, 커뮤니케이터를 설치한 유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일정한관계를 가지는 다른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개인용 컴퓨터 사용자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휴대폰, 개인휴대 정보단말기등 무선 이동 단말기의 상태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한 통신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사업자 서버와, 상기 서버에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복수의 유선 단말기 및 상기 서버에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복수의 무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선 및 무선 단말기는 상기 서버를 통해서 서로 통신하기 위한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유선 단말기와 상기 복수의 무선 단말기 중 특정 단말기의 상태 변경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 1단계와 ;
    상기 서버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특정 단말기 상태 데이터를 상기 상태 변경 데이터로 갱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특정 단말기와 기 설정된 관계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단말기를 검색하여, 검색된 단말기로 상기 상태 변경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상태 변경 데이터를 전송 받은 단말기가 상기 특정 단말기 상태 데이터를 상기 상태 변경 데이터로 갱신하여 표시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 온, 커뮤니케이터 프로그램 오프 ,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서버에서 관리되는 사용자별 정보 레코드의 모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사용자별 정보 레코드는 해당 단말기 식별코드와, 해당 단말기 사용자의 상태정보, 해당 단말기 사용자가 관계 설정한 다른 단말기 사용자 식별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는 이동 가능한 네트워크 접속 모듈이 장착된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 단말기는 유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 정보 제공 방법.
KR10-2002-0057845A 2002-09-24 2002-09-24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KR100458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845A KR100458271B1 (ko) 2002-09-24 2002-09-24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7845A KR100458271B1 (ko) 2002-09-24 2002-09-24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389A KR20040026389A (ko) 2004-03-31
KR100458271B1 true KR100458271B1 (ko) 2004-11-26

Family

ID=3732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7845A KR100458271B1 (ko) 2002-09-24 2002-09-24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975B1 (ko) * 2004-04-09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레전스 정보를 이용한 전자 명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90764B1 (ko) * 2004-06-0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엠피에스 클라이언트의 상태정보 동기화 방법
KR100565337B1 (ko) * 2004-07-03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Ptt 서비스의 리스트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US7650337B2 (en) 2005-07-26 2010-01-19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rich presence collections
KR100788693B1 (ko) * 2006-01-12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복구하는방법 및 장치
US8108345B2 (en) 2006-03-31 2012-01-31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rich presence collections in a single request
US8234559B2 (en) 2006-03-31 2012-07-31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rich presence collections
US20080215993A1 (en) * 2006-12-28 2008-09-04 New Tier, Inc. Communicator Program Manager
KR101649162B1 (ko) * 2009-06-11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27593A (ko) * 2017-09-07 2019-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906A (ko) * 2000-03-31 2000-07-05 이상철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넷 단말기간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10006814A (ko) * 1999-03-16 2001-01-26 스테븐 디.피터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가입자 상태 및 위치 정보이용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9729A (ko) * 2000-07-26 2002-02-02 박경택 친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4304A (ko) * 2001-03-20 2002-09-30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모바일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6814A (ko) * 1999-03-16 2001-01-26 스테븐 디.피터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가입자 상태 및 위치 정보이용시스템 및 방법
KR20000036906A (ko) * 2000-03-31 2000-07-05 이상철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넷 단말기간의 양방향 통신 시스템및 그 방법
KR20020009729A (ko) * 2000-07-26 2002-02-02 박경택 친인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74304A (ko) * 2001-03-20 2002-09-30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모바일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389A (ko)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77501B (zh) 用于生成图形用户界面的系统与方法
KR101126032B1 (ko) 모바일 위치를 사용한 검색 리파인
CN102984155B (zh) 用于处理位置信息访问请求的方法
CN1947442B (zh) 使用有线/无线通信终端提供电话号码所有者的信息的方法以及用于实施该方法的系统
JPWO2003048945A1 (ja) 通信情報共有システム、通信情報共有方法、通信情報共有プログラム
KR100458271B1 (ko) 커뮤니케이터 사용자 상태정보 제공방법
WO2006051858A1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ファイル共有方法
KR20050050647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40096331A (ko) 이동통신 단말기로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00475A (ko)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한 맞춤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923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목록을 이용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38993B1 (ko) 전화번호부 온라인 공유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20020097456A (ko) 무선 인터넷 정보 검색 방법
KR100595685B1 (ko) 휴대단말기에서 상태정보 체크 및 통화 수행방법
KR100642552B1 (ko) 커뮤니케이터 사용자의 변경정보 제공방법
KR20040051088A (ko) 유/무선 통신 수단을 통한 개인 주소록 정보 관리 및 제공방법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0038038A (ko) 통신망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 시스템 및 방법
KR100365884B1 (ko) 무선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명함 전송 방법
KR20030020101A (ko) 단축 기호를 이용한 단말 응용프로그램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JP200236888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サーバ
JP3855921B2 (ja) 個人情報分散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GB2373679A (en) Accessing bookmarks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KR20030000108A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주소록 통합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H11134268A (ja) メッセージデー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