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7992B1 - 신규한 항-aids 면역독소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항-aids 면역독소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7992B1
KR100457992B1 KR1019970707271A KR19970707271A KR100457992B1 KR 100457992 B1 KR100457992 B1 KR 100457992B1 KR 1019970707271 A KR1019970707271 A KR 1019970707271A KR 19970707271 A KR19970707271 A KR 19970707271A KR 100457992 B1 KR100457992 B1 KR 100457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unotoxin
hiv
cells
immunotoxins
reverse transcript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3871A (ko
Inventor
조오지 배리 키토
Original Assignee
리써치 디벨롭먼트 파운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써치 디벨롭먼트 파운데이션 filed Critical 리써치 디벨롭먼트 파운데이션
Publication of KR19980703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1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R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4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42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vir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61K47/6811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the drug being a protein or peptide, e.g. transferrin or bleomycin
    • A61K47/6817Tox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3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 A61K47/683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or an immunoglobulin bearing at least one antigen-binding site the antibody targeting material from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8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HIV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1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RNA viruses
    • C07K16/1036Retroviridae, e.g. leukemia viruses
    • C07K16/1045Lentiviridae, e.g. HIV, FIV, SIV
    • C07K16/1072Regulatory proteins, e.g. tat, rev, vpt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46Hybrid immunoglobul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21/00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On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DS & HIV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Zoology (AREA)
  • He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항-AIDS 면역독소를 제공한다. 면역독소는 바이러스 역전사효소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독소를 포함한다. 또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이와 같은 신규한 면역독소를 이용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규한 항-A I D S 면역독소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분자 면역학과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의 치료분야에 관한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AIDS 치료를 위한 새로운 면역독소에 관한 것이다.
전세계적으로 6백만명 이상의 사람이 HIV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이 질병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절실하다. 백신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바이러스의 특성 때문에 연구가 상당히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현재 AIDS 치료법은 상당히 제한적이다. 미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현재 등록된 유일한 약물은 아지도티미딘(AZT)뿐이다. 그러나, AZT에 대해 내성이 있는 HIV 균주가 발생되는 것도 문제점이다. 돌연변이형 바이러스가 나타나기 때문에 바이러스 내성이 증가하고 있다. 바이러스 내성에 대한 현재 이론은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돌연변이되어 내성이 좀 더 강한 형태로 빠르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이와 같은 내성은 초돌연변이성 때문이 아니라 바이러스의 상당히 높은 수준의 복제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내성 기작과는 무관하게, AZT는 장기적으로는 효과가 없다. 이와 같은 치료는 또한 상당히 고가이고 오심, 발작, 간 기능 이상 및 골수 억제와 같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한다. DDC 및 DDI와 같은 AZT의 여러 화학 변이체는 임상적으로 가능성을 보이지만 효과는 제한적이다. 여러가지 약물 및 치료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추가 약물 및 새로운 치료법이 절실하다.
AIDS에 대한 실험적인 면역요법적 방법이 일부 가능성을 보이기는 하나, 표적분자의 매우 가변적인 특징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 효과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HIV 외피 단백질과 같은 표적 분자는 균주마다 그리고 환자마다 다양하다.
그러나, 면역독소 요법은 항체-독소 결합체의 항체부분에 대해 매우 특정한 표적이 있는 몇 가지 질병에 대해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로써, 슈도모나스 외독소는 난소 암 종양을 표적으로 하는 모노클로날 항체에 결합시켰을 때, 마우스 모델에서 사람 난소 암 세포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Willingham, M.C., et al., 1987). AIDS 면역요법에 필요한 것은 매우 특이적이고 일정한 표적이다.
HIV 역전사효소(RT)는 바이러스 복제에 매우 중요한 것이다. 효소는 바이러스 유전물질(RNA)의 DNA 복사체 형성을 촉매하는데 있어 기본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후, DNA는 여러 개의 바이러스 복사체를 즉시 만드는데 이용되거나 추후 발병시에 환자의 게놈 내로 통합시키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은 역전사효소의 중요한 역할 때문에 이의 구조는 상당히 보존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세포가 HIV에 감염되었을 때, 역전사효소의 복사체(또는 이의 부분)들이 세포 외면에 부착된다는 것이 최근에 밝혀졌다. 역전사효소의 세포 표면 발현은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에 대한 것보다 훨씬 더 많다.
선행 기술에는 후천성 면역결핍증을 치료요법적으로 치료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부족했다. 본 발명은 본 기술분야의 이와 같은 다년간의 요구와 바람을 실현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바이러스 역전사효소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독소로 구성된 면역독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서는 면역독소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구성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이때 면역독소는 바이러스 역전사효소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독소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는 약리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신규한 조성물을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후천성 면역 결핍증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약리학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신규한 조성물을 HIV(사람 면역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HIV에 감염된 환자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측면, 특징 및 장점은 설명을 목적으로 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분명해질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 장점 및 목적과 추후에 밝혀질 사항 등을 자세히 이해하기 위해 상기 간략한 본 발명의 특정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서 설명하고 있는 특정 양태를 참고로 하고 있다. 이들 도면도 본 명세서의 일부이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절한 양태를 설명하기 위함이고, 따라서 이 범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의미는 아니다.
도 1은 일반적인 면역독소 합성과정을 나타낸다(도 1A, 1B, 1C, 1D).
도 2는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면역독소에 세포를 노출시킨 경우, H9 세포를 감염시키는 HIV 균주(HIV-AC-1)에 대한 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Pokeweed) 항-바이러스 단백질 면역독소를 나타낸다.
도 3은 24, 48 또는 72시간 동안 면역독소에 세포를 노출시킨 후에, HIV 세포주 H-9와 HIV 균주, PM-213에 미치는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바이러스성 단백질 면역독소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배양 하루 뒤에 본 발명의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 바이러스 단백질 면역독소 작제물에 대한 세포독성과 투여량 반응 관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겔로닌 면역독소에 대한 세포독성과 투여량 반응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6은 H9 세포 + HIV-IIIB에 미치는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면역독소로 3일간 H9+MN 세포를 처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8은 3일 이상 배양 후에 H9 세포 + HIV-IIIB에 미치는 본 발명의 겔로닌 면역독소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9는 H9 세포+HIV-MN에 미치는 본 발명의 겔로닌 면역독소의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치료하는 면역독소 요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의 개발에 대해 설명한다. 치료과정을 고안하는데 있어, 바이러스 역전사효소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를 이용하여 감염된 세포를 표적화함으로써 AIDS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 특이적으로 상당히 강한 독소를 전달하는 것을 토대로 한다.
HIV 감염된 세포중 매우 높은 비율이 세포 표면에서 바이러스 역전사효소를 발현한다. 또한, HIV 역전사효소는 그 구조가 균주 간에 그리고 분리체 간에 큰 차이가 없다. 이것이 대부분의 HIV 바이러스 단백질이 매우 가변성이 큰 특징과 다른 점이다. 본 발명은 HIV-1 역전사효소에 대한 여러 가지 모노클로날 항체와 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겔로닌 리신-A 쇄, 모데신과 도데칸드린을 포함하는 다양한 일본쇄 및 이본쇄의 촉매성 리보좀 비활성 독소를 이용하여 만든 면역독소에 대해 개시한다.
면역 독소의 효능은 항체와 독소 모두의 작용이다. 세포 결합을 조절하는 인자, 내화(internalization), 표면에서 내부로의 전좌(translocation) 및 전반적인 세포독성은 복잡하여 종종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어떤 모노클로날 항체가 특정 독소에 결합되는지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다.
본 발명은 MAb-PAP(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및 MAb-겔로닌 면역결합체에 대한 적정 투여량 반응 곡선을 확립한다. 이와 같은 투여량 반응 곡선은 다른 형태의 면역결합체 제제와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동일한 모노클로날 항체로 제조되나 HIV-감염된 세포에 효능있는 세포독성을 위해 독소 리신, 리신 A 쇄 및 도데칸드린을 포함하는 면역결합체의 제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HIV-1-역전사효소에 대한 추가의 모노클로날 항체를 개시한다. PAP(포키위드 항 바이러스성 단백질), 겔로닌, 리신, 리신-A 쇄 또는 도데칸드린에 이와 같은 모노클로날 항체들을 각각 결합시켜 세포독성 테스트를 실시한다.
본 발명은 면역독소로 구성된 조성물에 대해 기술하는데, 이때 면역독소는 바이러스 역전사효소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독소로 구성된다. HIV-1 역전사효소에 대한 70개 이상의 마우스 모노클로날 항체 패널을 준비하였다. 이들은 IgG와 IgM 종류 및 서브타입이 다르다. HIV 역전사효소에 특이적인 모노클로날 항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HIVRT 10-1-a, HIVRT 2-2-F8, HIVRT 11-1-b, HIVRT 6-1-a, HIVRT 12-1-c, HIVRT 6-9, HIVRT 15-3, HIVRT 16-4, HIVRT 14-1-d, HIVRT 18-1, HIVRT 2-3-b, HIVRT 10-1-b 와 HIVRT-10-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환자에게 청구항 4의 조성물을 약리학적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AIDS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리학적 유효량을 사람 면역 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람 면역 결핍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면역독소를 이용하여 약제학적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신규한 면역독소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구성된다. 본 기술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별도 실험없이 본 발명에서 상술하고 있는 여러 면역독소의 적정 투여량과 투여 경로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면역독소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 구성된 약제학적 조성물을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다양한 약물 전달계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약물 전달에 대한 방법은 문헌[참조: Langer, Science 249:1527-1533(1990)]을 참고하면 알 수 있다. 투여 가능한 화합물을 만드는 방법은 공지이거나 또는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문헌[참조: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7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1988)]에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임의 치료과정에서, 본 발명의 면역독소는 단독으로 또는 복합형태(cocktail)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는데, 복합 형태의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면역독소, 다른 치료제, 조성물 또는 면역억제제, 내성유도제, 약효증강제 및 부작용 경감제와 같은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숙주에게서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는데 운용한 면역억제제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면역억제제는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데카드론(DECADRON),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사이클로스포린, 메토트렉세이트와 아자티오프린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약효증강제에는 모멘신, 염화암모늄, 페르헥실린, 베라파밀과 아만타딘을 포함한다. 이들 물질은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유효 투여량 범위 내에서 투여된다. 또한, 환자가 특정 면역결합체에 대해 면역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독소성분 또는 두 성분 모두를 다르게 한 교체된 면역결합체를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독소는 주사용 제제로 제형화한 후에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경구 제형은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근육내 또는 정맥내 투여시에 적합할 수 있다. 치료학적 유효량의 면역독소를 포함하는 제형은 멸균 용액, 액체 현탁액 또는 동결 건조된 형으로 적절하게는 안정제와 부형제를 포함한다. 동결 건조된 조성물은 주사용수, 염수, 0.3% 글리신 등과 같은 적절한 희석제를 사용하여 0.01mg/숙주 체중kg 내지 10mg/숙주 체중kg 수준으로 재구성시켜, 망상 적혈구 용해질 검사를 할 경우 생물학적 활성이 20ng/㎖ 이하로 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면역독소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매일 정맥을 통하여 주입하여, 몇일 내지 약 2주 동안 환자에게 환자 체중(kg)당 약 0.01mg 내지 약 5mg 정도의 범위로 제공한다. 치료반응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실험을 통하여 비히클에 사용되는 농도를 정확하게 조정한다.
본 발명의 면역독소는 폐에 국한하여 전달될 수 있도록 에어로졸을 사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면역독소를 포함하는 수용성 에어로졸, 리포좀형 제제 또는 고형 입자를 만들어 실시할 수 있다. 보통, 수용성 에어로졸은 통상의 담체나 안정화제와 함께 면역독소의 수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형화시킴으로써 만들어진다. 담체와 안정화제는 특정 면역독소의 요구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알부민과 같은 무독성 단백질, 소르비탄 에스테르, 레시틴, 글리신과 같은 아미노산, 완충액, 염, 당 또는 당 알코올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면역독소는 슈타이너(Steiner) 등의 미국 특허 제 4,925,673호에 기술된 것과 같이 프로테이노이드 캡슐화와 같은 전달계에 의해 경구 투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면역독소의 치료학적 유효량의 경구 투여량은 하루에 약 0.01mg/kg 내지 약 50mg/kg(체중) 범위가 된다. 바람직한 유효량 범위는 하루에 약 0.05mg/kg 내지 약 5mg/kg(체중) 범위가 된다.
본 발명의 면역독소는 용액으로 투여될 수도 있다. 용액은 pH가 5 내지 9.5 범위, 바람직하게는 pH 6.5 내지 pH 7.5 범위가 된다. 면역독소 또는 이의 유도체는 인산염,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HCl 또는 시트레이트 등과 같은 적절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완충액을 가지는 용액에 존재한다. 완충액 농도는 1 내지 100mM의 범위로 존재해야 한다. 면역독소 용액에는 50-150mM 농도의 염화나트륨과 같은 염이 포함될 수 있다. 알부민, 글로불린, 젤라틴, 프로타민 또는 프로타민염과 같은 안정화제가 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HIV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시키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면역독소를 약제학적 유효량으로 사람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람에서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며, 어떠한 방식으로건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의미는 아니다.
실시예 1
독소의 제조
면역독소의 일부로 사용하고자 하는 각 독소는 표준 공개된 과정을 통하여 정제할 수 있다. 추출물로부터 리보좀 비활성 단백질을 정제하기 위해 사용된 과정은 모든 단백질에 있어서 유사하다. 단백질은 주로 염기성 전하를 가지고, DEAE-셀룰로오즈와 같은 음이온 교환 수지에 결합하지 않는다. 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에 대한 정제 방법은 문헌[참조: Irvin, J.D., Arch. Biochem. Biophys. 169, 522-528 (1975); Irvin, et al., Arch. Biochem. Biophys., 200, 418-425 (1980); Barbieri, et al., Biochem. J., 203, 55-59 (1982)]에 기술되어 있고; 겔로닌에 대한 정제 방법은 문헌[참조: Lambert, J. et al in "Immunotoxins" pg 177 (1988) Stirpe, et al , J. Biol. Chem. 255, 6947-6953 (1980)]에 기술되어 있고; 도데칸드린에 대한 정제 방법은 참조[문헌: Ready, et al., J.D. Biochem. Biophys. Acta 791, 314-319 (1984)]에 기술되어 있다. 임상실험에서 요구되는 초 고순도를 얻기 위해서는 PAP의 경우 항체 친화성 칼럼을 고안하였다. 이와 같은 기술은 다른 독소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2
HIV-역전사효소의 제조
HIV-역전사효소는 문헌[참조: Kohlstaedt와 Steitz, Proc. Natl. Acad. Sci., 89:1259(1989)]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HIV-역전사효소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정제 과정은 서머스(Summers)와 다퀼라(D'Aquila)(1989)가 기술한 역전사효소 발현 클론을 이용하고, 이는 리차드 다퀼라 박사(Dr. Richard D'Aquila)와 윌리암 씨 서머스 박사(Dr. William C. Summers)에 의해 이루어진 AIDS 연구 및 참고 시약 프로그램(AIDS Research and Reference Reagent Program, Division of AIDS, NIAID:Reagent Number pKRT2, Catalog Number 393)을 통하여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모노클로날 항체의 제조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만드는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주령이 6주인 각각 두 마리 수컷(RTI와 RTII)과 암컷(RTIII와 RTIV) balb/c 마우스의 혈액을 음성 대조군으로 준비하고, 그 다음 재조합 HIV-1 역전사효소 10㎍을 각각의 마우스에 주사하였다. 이 단백질의 순도를 SDS 겔상에서 체크한다. 각각 마우스에 역전사효소를 3회 추가 주사하는데, 이때 매회 추가 주사량은 2㎍으로 하였다. 각각 마우스로부터 수득한 혈액 시료에서 추출한 역가는 60,000 내지 80,000 범위인 것으로 나타났다(하기 방법을 참조). 두 마리 암컷 마우스를 죽이고, 이들의 비장을 떼어내었다. 면역화된 비장에서 추출한 세포를 쥐 골수종 세포와 융합시켰다. 이와 같이 융합된 세포는 골수종 융합된 골수 세포가 생장할 수 없는 선택성 배지(1 ×HAT)에서 성장시킨다. 이와 같은 선택성 배지에는 하이포크산틴, 아미노프테린 및 티미딘을 포함한다. 골수종 융합된 비장 세포를 하이브리도마 세포라 한다.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 모 하이브리도마를 테스트하였다(하기 간접 ELISA를 참조). 양성으로 테스트된 하이브리도마는 2회 검사하였다. 일단 두 번째에도 양성으로 검사되면, 이와 같은 모 클론의 일부를 생장시켜(확장) 냉동한다; 다른 부분은 서브클론한다. 일차 서브클론을 ELISA 방법을 사용하여 테스트한다. 일차 서브클론이 양성으로 검사되면 생장시켜 냉동시키고 그 일부를 다시 서브클론하였다. 이차 서브클론이 양성으로 검사되면, 또한 생장시켜 냉동시켰다. 이와 같이 양성으로 검사된 2차 서브클론의 상층액은 모노클로날 항체를 포함하였고, 이는 추출하여 정제한다.
실시예 4
간접 ELISA를 이용한 마우스 혈청 항체 역가의 테스트
밑이 편편한 96-웰 미세역가 플레이트(NUNC-Immunoplate, Thomas Scientific)의 각 웰에 50ng 항원을 포함하도록 역전사효소 항원를 희석시켰다. 항원은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에, 항원을 비워내고 100㎕ 차단 완충액/웰(0.1M 인산 칼륨, 0.5% 트윈 20, 1% 소 혈청 알부민, pH 7.0)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30분 동안 웰에서의 반응을 차단시켰다. 플레이트를 3회 씻어내고(세척 완충액-0.1M 인산 칼륨, 0.5% 트윈, pH 7.0), 희석된 혈청 시료를 첨가하여 하루밤 동안 4℃에서 배양하였다. 희석 범위는 1:250 내지 1:80,000이다. 다음날 모두 실온으로 만든 다음 플레이트를 씻어내고, 퍼옥시다제-결합된 AffiniPure Donkey 항-마우스 IgG(Jackson ImmunoResearch Laboratory, Inc.제조원) 1:1000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이를 각각 웰에 첨가한 다음 플레이트를 30분간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다시 플레이트를 씻어내고, 기질 용액(2,2'-아지노-비스[3-에틸벤즈-티아졸린-6-설폰산]디암모늄염[ABTS](Moss,Inc.제조원) 0.7mg/㎖) 100㎕를 각 웰마다 20분 동안 첨가하였다. 반응은 웰당 100㎕ 옥살산을 첨가하여 종료시켰다. ELISA 판독기(BioRad, model 2550)를 이용하여 414nm에서 흡광도를 판독하였다. 광학 밀도(OD)가 0.500 이상인 경우는 양성이 되고, 네 마리 마우스 모두 이 크기에서 1:80,000의 역가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양성 하이브리도마의 스크리닝
세포 상층액의 검정에 의한 양성 하이브리도마를 검출하는 스크리닝 과정은 간접 ELISA의 것과 동일한 과정에 따랐다. 세포 상층액 시료는 세척 완충액(0.1M 인산 칼륨, 0.05% 트윈-20, 1mg/㎖ 소 혈청 알부민, pH 7) 100㎕와 1:1로 희석하였다. 사용된 항원은 정제된 역전사효소이고, 50ng씩 웰에 분배하였다. 제 1 서브클론이 모두 양성은 것은 재검하고, 만약 다시 양성으로 나오는 경우에는 이를 2회 서브클론하였다. 2차 서브클론은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다시 검사한다. 2차 서브클론이 다시 양성으로 나오면, 이를 생장시켜 냉동함으로써 후에 모노클로날 항체 생산에 이용한다.
실시예 6
모노클로날 항체 복수액 생산
복수액을 만드는데 주령이 6주인 암컷 balb/c 마우스를 이용하였다. 복수액을 생산할 수 있도록 이들 마우스들은 프리스틴을 일차 주사하여 항원자극을 하였다. 12마리 마우스에게 하이브리도마 HIVRT-10-1-a를 주사하였다. 10일후에 마우스의 복강이 눈에 띄게 팽윤되었다. 이는 액이 채워진 부드러운 종양의 존재를 암시하는 것으로 20 1/2 게이지 Precision Glide 바늘을 사용하여 배액한다. 바늘은 다리의 상부부근 복강으로 삽입하였다. 매일 주사 위치를 바꾸어 가능한 한 마우스의 고통을 경감시켰다. 한 마리 마우스에서 빼내는 복수액은 약 0.2㎖ 내지 3.0㎖ 정도이다. 동일한 마우스 그룹으로부터 동일자로 취한 복수액을 합쳤다. 그 다음 복수액은 멸균된 15㎖ 튜브에 넣어 Sorvall Superspeed RC2-B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Sorvall GSA 로터로 3000×g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지방 층을 상부로부터 걷어내고, 복수액은 바닥에 있는 세포 찌꺼기 펠렛에서 분리하였다. 액이 채워진 부드러운 종양이 딱딱해지면 수집을 끝내고, 복강으로부터 더 이상 복수액을 빼내지 않았다. 이때 마우스를 죽였다. 각 하이브리도마 주로부터 취한 복수액을 합쳤다. 복수액은 멸균 튜브에 넣어 4℃에서 저장하였다.
실시예 7
단백질 G를 사용한 모노클로날 항체의 정제
HIVRT-10-1-a 하이브리도마로부터 취한 마우스 복수액을 단백질 G 칼럼에 얹었다. 단백질 G-세파로즈 4B(상품번호 54H0145)는 Sigma로부터 구입하였다. 모든 단백질 G 과정은 제조업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4℃에서 실시하였다. 모노클로날 항체 분획에서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Bradford 검정(Bradford, M., 1976)을 이용하였다. 이 검정의 마이크로 버전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Bio-Rad(no.500-0006)(BioRad, 1984)에서 구입하였다. 최종 항체의 순도는 SDS 폴리아크릴아미드 전기영동을 사용하여 점검하고, 순도가 95% 이상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8
면역독소 합성 과정
면역독소의 합성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단계에 의해 실행된다: (1) 링커에 독소의 결합(도 1A); (2) 링커에 모노클로날 항체의 결합(도 1B); (3) 독소+링커의 환원(도 1 C); 및 (4) 독소와 모노클로날 항체의 연결(도 1D). 이용된 일반 화학은 도 1 에서 설명하고 있다. 상기 설명된 각 단계는 전반적인 합성이 만족할 수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량의 고순도 생성물로 실행하여야 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식물 독소는 이황화 결합에 의해 N-숙신이미딜 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오네이트(SPDP)와 모노클로날 항체를 연결시켜 항체와 독소의 평균 비율을 1 내지 2:1로 만들었다. 이와 같은 기술은 균일하게 결합된 면역독소를 제공하는데 있어 효과적이고 반복성이 있음이 증명되었다.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결합체를 제조하는 상세한 방법은 하기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9
2-피리딜티오프로피오닐-PAP(PDP-PAP)의 제조
PDP-PAP는 40mM 인산나트륨(pH 7.0)으로 완충된 최종 용적 0.200㎖에서 0.16mM PAP와 0.48 SPDP를 반응시켜 만들었다. 37℃에서 1시간 배양 후에 혼합물은 50mM 인산 완충액(pH 6.0)으로 평형화시킨 HPLC 단백질 Pak 300SW에서 분리하였다. 1㎖씩 분취액을 25분간 받았다. Speedvac으로 피크 분취액을 농축하였다. PDP-PAP 농축된 분취액은 순도 검사를 위해 겔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PDP-항체의 제조
모노클로날 항체는 40mM 인산나트륨(pH 7.0)에서 3배 몰 과량의 SPDP와 1 시간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시료는 50mM 인산 칼륨(pH 6.0)으로 평형화 시킨 크기 분류 HPLC 컬럼을 통해 분별한다. 1㎖씩 25회 분취액을 25분간 받았다. Speedvac으로 피크 분취액을 농축하였다. 소량의 PDP-MAb 시료를 순도 검사를 위해 SDS 겔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PDP-항체의 제조
모노클로날 항체는 40mM 인산나트륨(pH 7.0)에서 3배 몰 과량의 SPDP와 1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하였다. 시료는 50mM 인산 칼륨(pH 6.0)으로 균등화시킨 크기 분류 HPLC 칼럼을 통해 분별한다. 1㎖씩 25회 분취액을 25분간 받았다. Speedvac으로 피크 분취액을 농축하였다. 소량의 PDP-MAb 시료를 겔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방법에서 모노클로날 항체를 독소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매우 다양한 가교 결합된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적절한 가교 결합제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m-말레이미도벤조일-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MBS), N-숙신이미딜-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오네이트(SPDP), 알파-이미노티올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메틸 3-머캅토프로피온이미데이트, 숙신이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카복실레이트(SMCC), 4-숙신이미딜옥시카보닐-알파-메틸-알파-(2-피리딜디티오)-톨루엔(SMPT), N-숙신이미딜(4-요오도아세틸)아미노벤조에이트(SIAB) 및 설포숙신이미딜 4-(p-말레이미도페닐)부티레이트(SMPB)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기술된 모노클로날 항체에 매우 다양한 독소가 화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적절한 독소의 대표적인 예로는 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겔로닌, 리신, 아브린, 모데신, 도데칸드린, 사포린, 볼켄신과 비큐민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면역결합체(immunoconjugate)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유전공학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융합 단백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융합 단백질에는 항체분자의 항원 인지 부위와 독소의 세포독성 잔기를 포함한다.
실시예 12
면역결합체의 세포독성
시험관내에서 다양한 세포주에 대해 감염 안된 세포 대비 감염된 세포를 특이적으로 죽이는 결합체의 효과를 설명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면역독소를 감염 안된 세포와 이에 상응하는 만성적으로 감염된 세포의 하나 이상의 배양물에 첨가하였고, 감염 세포의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세포 병인 효과로부터 회복되었다. 프로피디움 요오다이드 배제와 EPICS 프로파일 유동 혈구계산기에서 광 분산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능와 세포 생장을 매일 모니터하였다.
이와 같은 세 가지 별도의 세포독성 검사는 전술한 것과 같이 제조된 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과 겔로닌의 디설파이드 연결된 면역결합체를 사용하여 실행하고, 여러 다른 세포주에 대해 및/또는 다른 HIV 균주에 대해 검사하였다. 이와 같은 세포독성 검사의 대표적인 예는 아래와 같다.
도 2와 표 1은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면역독소에 세포를 노출시켜 H9 세포에 감염시킨 HIV 균주(HIV-AC-1)에 대한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면역독소의 양을 다양하게 한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24 시간 배양 후에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면역독소는 약 65%의 HIV-감염된 세포를 죽이나, 감염 안된 세포(대조군)는 단지 15%만을 죽였다. 또한 48시간 배양 후에는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면역독소는 약 95%의 HIV-감염된 세포를 죽이나, 감염 안된 세포(대조군)는 단지 20%만을 죽였다. 따라서, 면역 독소는 HIV 감염된 세포에 대해 높은 특이성을 지님을 알 수 있다.
Figure pct00001
도 3과 표 2에서는 24, 48 또는 72시간 동안 면역독소에 세포를 노출시킨 후에 HIV 세포주 H-9와 HIV 균주, PM-213에 미치는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면역독소의 효과를 나타낸다. 72시간 배양 후에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면역독소는 실제 100%의 HIV-감염된 세포를 죽이나, 감염 안된 세포(대조군)는 단지 20%만을 죽였다.
Figure pct00002
이와 같은 연구에 사용된 H-9 세포주는 특이적인 HUT 78 세포주로부터 수득한 하나의 T-세포 클론으로부터 유도하여 HIV-1와의 고도 허용 생장에 대해 선별하였다. 이와 같은 세포주에 대한 추가 정보는 문헌[참조: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IDS Reference Research Reagent Catalog(Jan. 1995)]에서 얻을 수 있다. 도 2와 3에서 실시한 실험에 사용된 면역독소를 만드는데 이용된 모노클로날 항체는 엠. 지. 산가다란 박사(Dr. M.G. Sarngadharan)에게서 구하였다. 세포는 37℃의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생장 및 유지시킨다.
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PAP)과 겔로닌을 포함하는 면역결합체를 이용하여 일련의 테스트를 실행하였다. 이 경우에 이용된 모노클로날 항체(HIVRT 10-1-a)는 전술한 것과 같이 오스틴에 있는 텍사스 대학에서 만들었다. 사용된 세포주는 H-9이고, HIV 균주는 PM213이고, 세포독성 테스트는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하였다. 도 4에서는 하루 배양 후에 본 발명의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면역독소 작제물의 면역독소에 대한 투여량 반응 관계를 나타낸다. 면역독소의 농도가 증가될 때 HIV 감염된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유사하게, 도 5 에서는 본 발명의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겔로닌 면역독소에 대한 세포독성과 투여량 반응과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PAP와 겔로닌을 포함하고 있는 면역독소 둘다가 HIV-감염된 세포를 선택적으로 죽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실험에서 이용된 것과 같은 동일한 세포독성 테스트 방법으로 동일한 PAP와 겔로닌 함유 작제물을 이용하여 세 번째 및 추가 일련의 실험을 실행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실험에서 H-9 세포주에서는 HIV 균주 HIV-IIIB와 HIV-MN이 이용되었고, 배양은 3일간 실시하였다. HIV-IIIB와 MN 바이러스 주는 문헌[참조: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IDS Reference Research Reagent Catalog(Jan. 1995)]에 기술되어 있다.
도 6과 표 3은 H9 세포 +HIV-IIIB에 미치는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면역독소의 효과를 나타낸다. 1 ng/㎖ 투여량에서, 3일 후에 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면역독소는 세포의 약 77%를 죽였다. 세포의 약 90%가 10ng/㎖의 투여량에서 죽었다. 감염 안된 세포에 대해서는 거의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Figure pct00003
H9는 감염 안된 세포주이다. 면역독소의 투여량은 ㎍/㎖로 나타낸다.
도 7과 표 3은 본 발명의 항-역전사효소 모노클로날 항체-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 면역독소로 3일간 H9+MN 세포를 처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1ng/㎖ 투여량에서, 3일 후에 PAP 면역독소는 세포의 약 50%를 죽였다. 이기간 동안에 세포의 약 68%가 10ng/㎖의 투여량에서 죽었다. 감염 안된 세포에 대해서는 낮은 독성을 나타내었다.
도 8과 표 4는 3일간 배양한 후 H9 세포 + HIV-IIIB 세포에 미치는 본 발명의 겔로닌 면역독소의 효과를 나타낸다. 3일째, 1ng/㎖ 투여량의 겔로닌 면역독소는 세포의 약 80%를 죽였다. 세포의 약 90%가 3.4ng/㎖의 투여량에서 죽었다.
도 9 및 표 4는 H9 세포 + HIV-MN에 미치는 본 발명의 겔로닌 면역독소의 효과를 설명한다. 1ng/ml의 투여량에서, 3일 후에 겔로닌 면역독소는 약 80%의 세포를 죽였다. 10mg/ml 투여량의 겔로닌 면역독소는 약 93%의 세포를 죽였다.
Figure pct00004
H9는 감염 안된 세포주이다. 면역독소의 투여량은 ㎍/㎖으로 나타낸다.
요약하면, 이와 같은 세포독성 실험에서는 HIV 역전사효소에 대한 2개의 상이한 모노클로날 항체가 2개의 상이한 형태의 식물 독소와 복합되어 여러 가지 상이한 HIV 균주에 감염된 세포를 선택적으로 죽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HIV 역전사효소에 대한 다양한 모노클로날 항체와 다양한 독소의 면역결합체를 이용하면 HIV 감염된 세포를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모든 특허와 공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숙지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언급된 모든 특허와 공보는 각각 개별적으로 특정하게 참조 문헌으로 첨부된 것이다.
본 기술 분야의 공지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을 채택하여 전술한 목적과 장점들을 실행하고 수득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상술하고 있는 방법, 과정, 처리, 분자 및 특정 화합물을 제시한 본 실시예는 대표적인 바람직한 양태로써 본 발명의 영역을 이에 한정하는 의도는 아니다. 본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임의 변화나 다른 것을 이용하는 것 또한 특허청구 범위에서 한정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Claims (2)

  1. HIV-바이러스 역전사효소에 대한 모노클로날 항체에 화학적으로 결합되고, 포키위드 항바이러스 단백질(pokeweed antiviral protein), 겔로닌, 리신, 아브린, 모데신, 도데칸드린, 사포린, 볼켄신 및 비큐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독소를 포함하는 면역독소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 또는 사람 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면역독소가 m-말레이미도벤조일-N-하이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MBS), N-숙신이미딜-3-(2-피리딜디티오)-프로피오네이트(SPDP), 알파-이미노티올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메틸 3-머캅토프로피온이미데이트, 숙신이미딜 4-(N-말레이미도메틸)사이클로헥산-1-카복실레이트(SMCC), 4-숙신이미딜옥시카보닐-알파-메틸-알파-(2-피리딜디티오)-톨루엔(SMPT), N-숙신이미딜(4-요오도아세틸)아미노벤조에이트(SIAB) 및 설포숙신이미딜 4-(p-말레이미도페닐)부티레이트(SMPB)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가교-결합제를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가교 결합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19970707271A 1995-04-14 1996-04-11 신규한 항-aids 면역독소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04579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22,578 US5645836A (en) 1995-04-14 1995-04-14 Anti-AIDS immunotoxins
US08/422578 1995-04-14
US8/422,578 1995-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871A KR19980703871A (ko) 1998-12-05
KR100457992B1 true KR100457992B1 (ko) 2005-04-08

Family

ID=2367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271A KR100457992B1 (ko) 1995-04-14 1996-04-11 신규한 항-aids 면역독소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5645836A (ko)
EP (1) EP0820470A4 (ko)
JP (1) JPH11503730A (ko)
KR (1) KR100457992B1 (ko)
CN (1) CN1154659C (ko)
AU (1) AU697418B2 (ko)
CA (1) CA2216210A1 (ko)
IL (1) IL117870A (ko)
NZ (1) NZ306768A (ko)
RU (1) RU2191596C2 (ko)
WO (1) WO1996032416A1 (ko)
ZA (1) ZA9629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0393A1 (en) 2000-02-16 2001-08-23 Bechtel Bwxt Idaho, Llc Selective destruction of cells infected wit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US7135173B2 (en) * 2000-07-13 2006-11-14 Idaho Research Foundation, Inc. Antiviral activity of Shiga toxin
WO2003106479A2 (en) * 2002-06-17 2003-12-24 Parker Hughes Institute Pokeweed antiviral protein polypeptides with antiviral activity
EA009332B1 (ru) * 2004-12-14 2007-12-28 Александр Павлович Францев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иммунного состояния организма у больных спидом
EP2550362B1 (en) 2010-03-25 2017-01-04 Oregon Health&Science University Cmv glycoproteins and recombinant vectors
PT2691530T (pt) 2011-06-10 2018-05-10 Univ Oregon Health & Science Glicoproteínas e vectores recombinantes cmv
US20130189754A1 (en) 2011-09-12 2013-07-25 International Aids Vaccine Initiative Immunoselection of recombinant vesicular stomatitis virus expressing hiv-1 proteins by broadly neutralizing antibodies
US9402894B2 (en) 2011-10-27 2016-08-02 International Aids Vaccine Initiative Viral particles derived from an enveloped virus
ES2631608T3 (es) 2012-06-27 2017-09-01 International Aids Vaccine Initiative Variante de la glicoproteína Env del VIH-1
US20150065381A1 (en) 2013-09-05 2015-03-05 International Aids Vaccine Initiative Methods of identifying novel hiv-1 immunogens
EP2873423B1 (en) 2013-10-07 2017-05-31 International Aids Vaccine Initiative Soluble hiv-1 envelope glycoprotein trimers
EP3069730A3 (en) 2015-03-20 2017-03-15 International Aids Vaccine Initiative Soluble hiv-1 envelope glycoprotein trimers
EP3072901A1 (en) 2015-03-23 2016-09-28 International Aids Vaccine Initiative Soluble hiv-1 envelope glycoprotein trimers
TWI746473B (zh) * 2015-11-02 2021-11-21 美商辛分子醫藥有限公司 針對細胞內抗原之單域抗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0457A1 (en) * 1989-03-14 1990-09-20 New York University Method of treating hiv infections using immunotoxi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10457A1 (en) * 1989-03-14 1990-09-20 New York University Method of treating hiv infections using immunotoxi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Biol Chem Vol.267(21), pp14654-14661 (1992. 7. 2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91596C2 (ru) 2002-10-27
NZ306768A (en) 2001-03-30
JPH11503730A (ja) 1999-03-30
CN1154659C (zh) 2004-06-23
CA2216210A1 (en) 1996-10-17
USRE36866E (en) 2000-09-12
AU5541396A (en) 1996-10-30
EP0820470A4 (en) 2001-03-28
IL117870A (en) 2001-12-23
WO1996032416A1 (en) 1996-10-17
IL117870A0 (en) 1996-08-04
KR19980703871A (ko) 1998-12-05
AU697418B2 (en) 1998-10-08
EP0820470A1 (en) 1998-01-28
CN1184484A (zh) 1998-06-10
US5645836A (en) 1997-07-08
ZA962911B (en)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992B1 (ko) 신규한 항-aids 면역독소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US6235714B1 (en) Methods for identifying inducers and inhibitors of proteolytic antibodies, compositions and their uses
Bera et al. Specific killing of HIV-infected lymphocytes by a recombinant immunotoxin directed against the HIV-1 envelope glycoprotein
CA2116359A1 (en) Anti-hiv proteins gap 31, dap 30, and dap 32, dna coding therefor and therapeutic uses thereof
US5919457A (en) TXU-5/B53-PAP antiviral biotherapeu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AIDS
WO1997025071A9 (en) Immunoconjugate for the treatment of aids
Kim et al. Immunoconjugates that neutralize HIV virions kill T cells infected with diverse strains of HIV-1.
EP1085908B1 (en) Recombinant immunotoxin directed against the hiv-1 gp120 envelope glycoprotein
JPH05506142A (ja) Hiv蛋白質の非免疫支配エピトープに特異的なモノクローナル抗体
EP0441917B1 (en) Pokeweed antiviral protein - monoclonal antibody conjugates
CA1339775C (en) Antibody 0.5b to hiv-i gp 120 modified with toxic substance
RU2769223C1 (ru)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терапии и экстренной профилактики заболеваний, вызываемых вирусом SARS-CoV-2 на основе рекомбинантного антитела и гуманизированного моноклонального антитела
JP2813630B2 (ja) ヒト免疫不全ウイルスのエンベロープポリペプチドおよびその抗体
US7960364B2 (en) Methods for modulating the efficacy of nucleic acid based therap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