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722B1 -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722B1
KR100455722B1 KR10-2001-0040771A KR20010040771A KR100455722B1 KR 100455722 B1 KR100455722 B1 KR 100455722B1 KR 20010040771 A KR20010040771 A KR 20010040771A KR 100455722 B1 KR100455722 B1 KR 100455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performance
achievement
indicato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181A (ko
Inventor
이학규
이길수
백동현
권재홍
금순혜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ublication of KR20020020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722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하나 또는 2 이상의 지표구성항목에 의해 측정지표가 결정되고, 하나 또는 2 이상의 측정지표에 의해 전략목표가 결정되는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 각각의 가중치를 할당받는 단계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받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와 할당받은 가중치를 이용하여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소정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표시장치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러 레벨을 갖는 경영지표들이 경영 환경의 변화를 신속하고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METHOD AND DEVICE FOR CALCULATING OUTCOME ATTAINMENT DEGREE IN A OUTCOME MANAGEMENT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BEING READED BY COMPUTER SYSTEM}
본 발명은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균형 잡힌 성과기록표(Balanced Score Card : 이하, "BSC"라고 함) 시스템에서 성과 관리를 위해 필요한 여러 지표들을 최소한의 입력만으로 자동으로 산출하는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BSC 시스템은 기업의 비전과 전략을 조직 내의 주요활동과 연결시켜 주는 활동지향적인 경영의 도구이다. BSC 시스템은 비전 달성 및 전략 수행을 위해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목표들을 재무, 고객, 내부 비즈니스 프로세스, 학습과성장 등 네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여 성과를 측정한다. 각 관점의 성과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전략목표에 의해 결정되며, 각 전략목표의 성과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측정지표에 의해 결정되고, 각 측정지표의 성과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지표구성항목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재무라는 관점의 성과는 수익성 제고, 매출 증대, 원가 절감 등의 전략목표들의 성과에 의해 결정된다. 이 3가지 전략목표 중에서 수익성 제고라는 전략목표의 성과는 영업이익, 매출총이익 등의 측정지표들의 성과에 의해 결정되며, 매출증대라는 전략목표의 성과는 매출액이라는 측정지표의 성과에 의해 결정되고, 원가절감이라는 전략목표의 성과는 매출원가율 등의 측정지표들의 성과에 의해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관점, 전략목표, 측정지표, 지표구성항목을 총칭해서 편의상 경영지표라고 한다.
그런데 지금까지 구축된 BSC 시스템은 관점의 성과를 결정하는데 전략목표들간에 중요성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전략목표의 성과를 결정하는데 측정지표들간에 중요성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제의 경영 환경은 시시때때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변화하는 경영 환경에 맞추어 경영 성과를 산출할 때 전략목표들 또는 측정지표들간의 중요성에 차이를 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수익성 제고라는 전략목표의 성과를 산출할 때 매출총이익이라는 측정지표보다는 영업이익이라는 측정지표가 훨씬 중요한 경영 환경이라면 영업이익의 성과가 매출총이익의 성과에 비해 수익성 제고의 성과를 산출할 때 훨씬 비중 있게 반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BSC 시스템은 이를 위한 어떠한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의 BSC 시스템은 실제 경영 환경의 변화를 유연하고 신속하게 반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BSC 시스템은 다양한 특성을 갖는 수많은 경영지표들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매출액과 같은 경영지표는 수치화하기에 용이하나, 고객 만족도와 같은 경영지표는 수치화하기에 용이하지 않은 특성을 갖는다. 또한 영업이익과 같은 경영지표는 실적과 계획의 차이가 의미를 갖으며, 납기준수율과 같은 경영지표는 실적과 계획의 비율이 의미를 갖는다. 실적에서 계획을 뺀 차이가 의미를 갖는 경우에도 수율과 같이 차이가 클수록 바람직한 망대특성을 갖는 경우와, 재고보유일수와 같이 차이가 정해진 어떤 값에 근접할수록 바람직한 망목특성을 갖는 경우와, 매출원가율과 같이 차이가 작을수록 바람직한 망소특성을 갖는 경우가 있다. 더욱이 BSC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경영지표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관점", "전략목표", "측정지표", "지표구성항목"이라는 복수의 레벨(level)로 서로 인과관계를 가지고있다. 경영지표들간에 특성이 상이하고, 또한 서로간에 어떠한 인과관계가 있다는 것은 BSC 시스템에서 모든 경영지표의 성과를 일관성 있게 표시하는 것을 무척 곤란하게 만든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여러 BSC 시스템은 경영지표의 성과를 표시할 때 부분적으로 상태표식(status sign)을 사용하고 있으나 주로 숫자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여러 다양한 종류의 경영지표들을 표시할 때 충분한 식별성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유기적으로 연결된 많은 개수의 경영지표를 사용해야 하는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적절한 사실에 대한 인식을 어렵게 만든다.
또한 기존의 BSC 시스템에서는 주요 경영지표의 관련 데이터가 여러 프레임(frame)으로 분산되어 있었다. 따라서 구체적인 데이터를 참고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경로를 거쳐야 하고, 서로 비교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데이터를 표시장치에서 한 화면으로 표시하기 어려웠으므로 총체적인 모니터링 및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과관리시스템에서 경영 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자동적으로 수많은 경영지표들의 달성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서로 인과관계를 갖는 여러 다양한 특성들의 경영지표들에 대해 식별성이 뛰어난 성과 표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성과관리시스템에서 관련 데이터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성과 달성도 산출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측정지표 자체에 계획값 또는 실적값이 있는 경우의 측정지표 달성도를 계산하는 과정의 세부 흐름도.
도 4는 측정지표 자체에 계획값 또는 실적값이 없는 경우의 측정지표 달성도를 계산하는 과정의 세부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측정지표들간의 인과관계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과정의 세부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략목표들간의 인과관계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성과 달성도 산출 방법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여러 레벨의 경영지표의 달성도를 표시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매출액의 달성도를 표시한 도면.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과 관련하여 본 발명은 하나 또는 2 이상의 지표구성항목에 의해 측정지표가 결정되고, 하나 또는 2 이상의 측정지표에 의해 전략목표가 결정되는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 각각의 가중치를 할당받는 단계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받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와 할당받은 가중치를 이용하여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소정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표시장치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측정지표의 성질상 측정지표 자체에 목표값 또는 실적값이 있는 경우에는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을 할당받는 과정과,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할당된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과 계산된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여기서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계산하는 과정은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을 목표값 및 실적값에대하여 각각 합함으로써 수행되거나, 또는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소정의 지표구성항목으로 각각 환산하여 합하므로써 수행된다.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은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의 차이가 의미를 갖는 경우와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의 비율이 의미를 갖는 경우를 구분하여 선택된다. 또한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은 측정지표가 망대 특성(larger the better characteristics)을 갖는 경우와 망소 특성(smaller the better characteristics)을 갖는 경우와 망목 특성(nominal the best characteristics)을 갖는 경우를 구분하여 선택된다.
한편 측정지표의 성질상 측정지표 자체에 목표값 또는 실적값이 없는 경우에는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가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를 이용하여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은 3가지 종류의 성과점수(A>B>C)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를 이용하여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가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동일한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로 결정하는 스텝과,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지표구성항목이 2가지 종류의 성과점수를 가지며 2가지 종류의 성과점수가 서로 동수(同數)인 경우에는 A, B가 동수로 존재하면 B로, A, C가 동수로 존재하면 B로, B, C가 동수로 존재하면 C로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스텝과,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지표구성항목이 2가지 종류의 성과점수를 가지며 2가지 종류의 성과점수가 서로 동수(同數)가 아닌 경우에는 A가 B보다 많으면 A로, B가 A보다 많으면 B로, A가 C보다 많거나 C가 A보다 많으면 B로, B가 C보다 많으면 B로, C가 B보다 많으면 C로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스텝과,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가 3가지 종류의 성과점수를 가지는 경우에는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중간 레벨의 성과점수(B)로 결정하는 스텝을 통해 수행된다. 또한 대안으로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를 이용하여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측정지표에 대한 지표구성항목의 가중치를 할당받는 스텝과,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에 대해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에 지표구성항목의 가중치를 곱한 값을 더하는 스텝을 통해 수행된다.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전략목표를 결정하는 모든 측정지표에 대해 측정지표 성과점수에 측정지표 가중치를 곱한 값을 더함으로써 수행된다.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측정지표 성과점수에 따라 선택된 상태등(status lamp)을 함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측정지표들간의 인과관계를 표시하는 측정지표 인과관계도(因果關係圖)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측정지표 인과관계도에 표시된 각 측정지표는 결정된 측정지표의 상태등과 동일한 색깔로 표시된다.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지표구성항목 또는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를 차별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해당 그래프를 하나의 화면으로 동시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략목표의 종류에 따라 전략목표 성과 기준값을 할당받는 단계와, 입력받은 전략목표 성과 기준값과 전략목표 달성도를 비교하여 전략목표의 상태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전략목표의 상태등을 함께 출력한다. 전략목표들간의 인과관계를 표시하는 전략목표 인과관계도(因果關係圖)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전략목표 인과관계도에 표시된 각 전략목표는 결정된 전략목표의 상태등과 동일한 색깔로 표시된다.
지표구성항목 또는 측정지표에 대한 목표값과 실적값 사이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차이값을 소정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일별 또는 월별로 소정 기간에 대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이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차이값의 누적값을 함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지표는 매출액이고, 지표구성항목은 출하량과 단위판매가격을 포함한다. 소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기간 동안의 출하량과 단위판매가격을 하나의 그래프에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또는 2 이상의 지표구성항목에 의해 측정지표가 결정되고, 하나 또는 2 이상의 측정지표에 의해 전략목표가 결정되며, 하나 또는 2 이상의 전략목표에 의해 관점이 결정되는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 각각의 가중치와 관점에 대한 전략목표 각각의 가중치를 할당받는 단계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받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와 할당받은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전략목표에 대한 달성도와 할당받은 관점에 대한 전략목표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관점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 또는 관점의 달성도를 소정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의 가중치와 관점에 대한 전략목표의 가중치는 변경 가능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관점에 대한 달성도를 상태표식(status sign)을 사용하여 함께 출력한다. 또한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관점을 차별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또는 2 이상의 지표구성항목에 의해 측정지표가 결정되고, 하나 또는 2 이상의 측정지표에 의해 전략목표가 결정되는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과, 저장 수단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저장 수단은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 각각의 가중치를 할당받는 단계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받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와 할당받은 가중치를 이용하여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사용자의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달성도 출력 단계에 의해 출력된 내용을 다른 사용자의 표시장치로 보내는 수단과, 사용자의 영상을 다른 사용자에게 보내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그램은 웹 기반으로 구축된다.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차별적으로 지표구성항목 또는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를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또는 2 이상의 지표구성항목에 의해 측정지표가 결정되고, 하나 또는 2 이상의 측정지표에 의해 전략목표가 결정되는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프로그램은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 각각의 가중치를 할당받는 단계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받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와 할당받은 가중치를 이용하여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사용자의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여러 레벨을 갖는 경영지표들이 경영 환경의 변화를 신속하고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시스템 사용자들은 변화하는 경영 환경에 대해서도 엄청난 개수의 경영 관련 데이터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경영 현장에서 신속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다양한 특성들을 갖는 경영지표의 달성도를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엄청난 개수의 경영지표들을 고려할 때 신속한 사실 확인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관련된 데이터들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오스 시스템(source system)과 BSC 시스템과 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BSC 시스템은 다시 데이터 가공부와 데이터 저장부와 데이터 분류부로 구별된다.
소오스 시스템은 소오스 데이터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생산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생산통합 DB(101)와, 영업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영업정보 DB(103)와, 회계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회계 DB(105), 원가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제조원가 DB(107)와, 인사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인사 DB(109)와, 교육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교육관리 DB(111)와, 품질정보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품질정보 DB(113)를 구비하고 있다.
BSC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가공부와 운영 데이터 저장부(operational data store : 이하 "ODS"라고 함)와 데이터 분류부로 크게 구별된다. 데이터 가공부는 소오스 시스템의 DB(101, 103, 105, 107, 109, 111, 113)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와서 적당한 형태로 변형하여 운영 데이터 DB(119)에 쌓는 역할을 한다. 메타 데이터 DB(115)에는 데이터 가공부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에 대한 추출/정재/적재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참조부호 117은 데이터 가공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데이터 분류부는 운영 데이터 DB(119)에 축적된 데이터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별도의 분류 데이터 DB(123)에 저장한다. 메타 데이터 DB(121)는 본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각종 기준정보, 사용자 액세스 등급 등의 시스템 관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이렇게 데이터를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요청에 대해 빠르게 원하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클라이언트 시스템은 현업 담당자, 시스템 사용자, 시스템 관리자로 분류될 수 있다. 현업 담당자(125)는 예를 들어 엑셀 등으로 작성된 시장 점유율, 고객 만족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BSC 시스템에 입력한다. 이렇게 현업 담당자(125)에 의해 BSC 시스템에 입력된 데이터는 먼저 운영 데이터 DB(122)에 저장된 후, 메타 데이터 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시스템 관리 데이터에 따라 적당히 가공되어 분류 데이터 DB(123)에 저장되어 시스템 사용자(127)에 의해 사용된다. 시스템 관리자(129)는 분류 데이터 DB(123)의 이용 현황 등을 모니터링 한다. 통신 모듈(124)은 본 발명에서 웹 서버로 구축되었다. 따라서 BSC 사용자(127)는 단지 익스플로러(explorer) 등과 같은 웹 검색 엔진만 시스템에 가지고 있어도 본 발명에 의한 BSC 시스템에 접근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분류 데이터 DB(12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웹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127)는 하이퍼링크를 이용하여 하위 레벨의 데이터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이는 수많은 경영지표를 갖는 성과관리시스템에서 큰 장점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성과 달성도 산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 각각의 가중치를 할당받는다(201). 예를 들어 재무 관점에서 수익성 제고라는 전략목표를 고려할 때 수익성 제고의 성과를 결정하는 측정지표는 영업이익과 매출총이익이다. 수익성 제고라는 전략목표에 대해 영업이익이 매출총이익보다 중요한 경우, 예를 들어 영업이익에 대해 가중치를 0.6을, 매출총이익에 대해 0.4를 할당할 수 있다. 어떠한 전략목표를 결정하는 측정지표는 그때 그때의 경영 환경에 따라 그 중요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변경하므로써 실제 경영 환경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중치는 보통 시스템 관리자(129)에 변경되어져서 메타 데이터 DB(121)에 저장된다.
다음에는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각각의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입력받는다(203). 지표구성항목은 통상적으로 그 소오스 데이터가 소오스 시스템에서 생성되어진 후, BSC 시스템에 의해 적당히 가공되어 분류 데이터 DB(123)에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영업이익이라는 측정지표를 고려할 때 메모리 부분의 영업이익과, LCD 부분의 영업이익이 지표구성항목이 된다.
다음에는 입력받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를 계산한다(205).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상세한 과정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다음에는 이렇게 계산된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와 이미 할당받은 가중치를 이용하여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한다(207).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전략목표를 결정하는 모든 측정지표에 대해 측정지표 성과점수에 측정지표 가중치를 곱한 값을 더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렇게 계산된 측정지표 및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포함한 여러 경영지표들이 사용자로부터의 소정의 제어신호의 입력에 의해 사용자 표시장치에 출력된다(209).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측정지표 성과점수에 따라 선택된 상태등(status lamp)을 함께 출력하는 것이 식별력 제고라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성과관리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소정 제어신호의 입력(통상적으로 마우스를 이용한 클릭)되면 여러 레벨의 숫자화된 경영지표(지표구성항목, 측정지표, 전략목표 등)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숫자화된 경영지표를 출력할 때 본 실시예는 해당 그래프를 하나의 화면으로 동시에 출력한다. 이는 경영지표의 추세에 대한 식별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의 흐름도에서 측정지표의 성질상 측정지표 자체에 목표값 또는 실적값이 있는 경우의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205)의 상세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측정지표의 종류에 따라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을 할당받는 과정이 수행된다(301).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은 측정지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며, 각 측정지표의 상태등(status lamp)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다음의 [표 1]은 본 실시예에 사용된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을 측정지표의 종류에 따라 구별하여 표시한 것이다. [표 1]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은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의 차이가 의미를 갖는 경우와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의 비율이 의미를 갖는 경우를 구분하여 선택된다. 또한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은 차이값 또는 비율값이 크면 클수록 바람직한 망대 특성(larger the better characteristics)을 갖는 경우와 작으면 작을수록 바람직한 망소 특성(smaller the better characteristics)을 갖는 경우와 소정 값에 근접하면 근접할수록 바람직한 망목 특성(nominal the best characteristics)을 갖는경우를 구분하여 선택된다. 본 실시예는 각 측정지표의 달성도 또는 성과를 표시하기 위하여 3개의 램프 색깔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은 통상 시스템 관리자(129)에 의해 관리된다.
구분 측정지표 명칭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
차이값(비율값) 녹색 노랑 빨강
차이 영업이익매출총이익 실적값-계획값 0 이상 -10% 이내 -10% 초과
망대 수율신제품 Ramp-UP 실적값-계획값 0 이상 -5% 이내 -5% 초과
망목 재고보율일수 실적값-계획값 ±2일 이내 ±4일 이내 ±4일 초과
망소 매출원가율 실적값-계획값 0% 이하 5% 이하 5% 초과
비율 망대 매출액생산량정보화수준고객만족도인당생산성임직원만족도 실적값/계획값*100 100% 이상 90% 이상 90% 미만
납기준수율 이행건수/약속건수*100 90% 이상 80% 이상 80% 미만
납품율 출하실적/출하계획*100 90% 이상 80% 이상 80% 미만
망목 투자실적 실적값/계획값*100 100±10% 이내 100±20%이내 100±20%초과
Loading율 실적값/계획값*100 100±10%이내 100±20%이내 100±20%초과
망소 COMTAT출하품질 계획값/실적값*100 100% 이상 90% 이상 90% 미만
총투입비용 실적값/계획값*100 100% 이하 110% 이하 110% 초과
기타 망대 혁신참여도 80점 이상 70~79점 70점 미만
다음에는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복수의 지표구성항목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계산한다(303). 예를 들어 매출액과 같은 측정지표의 경우에는 금액을 기준으로 하므로 단순히 해당하는 지표구성항목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각각 더함으로써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생산량과 같은 측정지표의 경우에는 해당하는 지표구성항목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단순히 더하는 것으로써는 정확한 생산량을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128M DRAM을 100개 생산하고, 256M DRAM을 100개 생산한 경우 DRAM의 생산량이 200이라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이는 지표구성항목에 따라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비중에 있어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64M DRAM으로 환산하여 생산량을 결정한다. 즉 128M DARM을 100개 생산했다는 것은 64M DRAM을 200개 생산한 것에 해당하고, 256M DRAM을 100개 생산했다는 것은 64M DRAM을 400개 생산한 것에 해당하므로 총 생산량은 64M DRAM을 기준으로 600개라고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렇게 계산된 측정지표의 목표값과 실적값을 가지고서 [표 1]의 상태등(또는 성과점수) 로직에 의해 각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표시하는 상태등 또는 성과점수를 결정한다(305). 상태등의 색깔은 예를 들어, 녹색은 2점, 노랑은 1점, 빨강은 0점이라는 성과점수에 대응된다. 이러한 성과점수 또는 상태등의 색깔을 통하여 각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표시한다. 이로써 성질이 천차만별인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등의 색깔로 모든 측정지표에 대해 3가지의 색깔을 사용했으나, 더 많거나 더 적은 가지 수의상태등 색깔을 사용할 수 있고, 심지어는 측정지표마다 다른 가지 수의 색깔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선택의 문제이나, 모든 측정지표에 대해 일관되게 동일한 가지 수의 색깔을 사용하는 것이 혼동의 여지가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측정지표의 성질상 측정지표 자체에 목표값 또는 실적값이 없는 경우에는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를 이용하여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한다. 도 4는 측정지표의 성질상 측정지표 자체에 목표값 또는 실적값이 없는 경우 지표구성항목의 상태등 로직을 이용하여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지표구성항목과 측정지표가 3가지 색깔의 상태등을 사용하여 달성도를 표시하는 경우이다. 더 많은 가지 수의 색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의 흐름도에 약간의 변경이 가해져야 할 것이다. 도 4에서 A는 상태등이 녹색을 갖는 경우를 가리키며, 지표구성항목 또는 측정지표가 가장 바람직한 달성도를 갖는 경우를 표시한다. B는 상태등이 노랑을 갖는 경우를 가리키며, 지표구성항목 또는 측정지표가 중간 레벨의 달성도를 갖는 경우를 표시한다. C는 상태등이 빨강을 갖는 경우를 가리키며, 지표구성항목 또는 측정지표가 가장 좋지 않은 달성도를 갖는 경우를 표시한다. A, B, C에 대한 상태등의 색깔은 변경될 수 있으나, A를 녹색에, B를 노랑에, C를 빨강에 대응시키는 것은 통상 사용되는 신호등의 색깔 체계와 유사하기 때문에 시스템 사용자로 하여금 상태등의 색깔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직감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므로 바람직하다.
먼저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 또는 상태등의 색깔이 모두 동일한가 여부를 판단한다(401). 모두 동일하면 측정지표 상태등의 색깔을 지표구성항목의 상태등의 색깔로 결정한다(403). 모두 동일하지 않으면 지표구성항목 상태등의 색깔로 2가지 종류인가 여부를 판단한다(405). 2가지 종류가 아닌 경우에는 지표구성항목 상태등의 색깔이 3가지 종류를 갖는 경우로서, 측정지표 상태등의 색깔을 중간 레벨의 달성도를 표시하는 B로 결정한다(407). 지표구성항목 상태등의 색깔이 2가지 종류인 경우에는 각각의 색깔에 해당하는 지표구성항목의 수가 동수(同數)인가 여부를 판단한다(409). 2가지 색깔에 해당하는 지표구성항목의 수가 동수인 경우에는 A, B가 동수로 존재하면 B로, A, C가 동수로 존재하면 B로, B, C가 동수로 존재하면 C로 상기 측정지표 상태등의 색깔을 결정한다(411). 서로 동수(同數)가 아닌 경우에는 A가 B보다 많으면 A로, B가 A보다 많으면 B로, A가 C보다 많거나 C가 A보다 많으면 B로, B가 C보다 많으면 B로, C가 B보다 많으면 C로 측정지표 상태등의 색깔을 결정한다(413).
측정지표 자체에 계획값 또는 실적값이 없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등 로직이 아니라 다음 [수학식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측정지표의 성과점수 또는 상태등의 색깔을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1]에서w i 는 i 번째 지표구성항목의 가중치이고,p i 는 i 번째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이다. [수학식 1]을 통해 측정지표의 성과점수 또는 상태등 색깔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N가지의 성과점수 또는 상태등 색깔을 이용하는경우 (N-1)개의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이 필요하다.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 S를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과 비교하여 측정지표의 성과점수 또는 상태등 색깔을 결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가지 종류의 상태등 색깔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2개의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녹색, 노랑, 빨강이라는 3가지 종류의 색깔이 상태등에 이용되고, 녹색에 2, 노랑에 1, 빨강에 0의 성과점수가 대응되는 경우,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은 1.34, 0.67이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S가 1.34보다 크거나 같으면 측정지표 상태등의 색깔을 녹색으로 결정하고, S가 0.67보다 크거나 같으며 1.34보다 작으면 측정지표 상태등의 색깔을 노랑으로 결정하며, S가 0.67보다 작으면 측정지표 상태등의 색깔을 빨강으로 결정한다.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측정지표의 성과점수 또는 상태등 색깔을 결정하는 방법에서는 측정지표에 대한 지표구성항목의 가중치와,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을 할당받을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할당은 통상적으로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경영 환경을 잘 반영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값이 선택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측정지표들간의 인과관계를 표시한 측정지표 인과관계도이다. 본 발명은 소정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측정지표 인과관계도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인과관계도의 특징은 각 측정지표를 표시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측정지표 상태등의 색깔을 사용하므로써 식별력을 높였다는 것이다.
기존의 성과관리시스템에 도입된 측정지표 인과관계도에서 단순히 측정지표들간의 인과관계만을 표시하거나, 별도의 기호를 사용하여 각 측정지표의 달성도를표시하였으나, 이는 시스템 사용자로 하여금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직감케 하는 측면에서 부족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한 측정지표 인과관계도에서는 측정지표들간의 인과관계를 표시하면서도, 측정지표의 달성도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신호등 체계와 유사하게 녹색, 노랑, 빨강을 사용하여 측정지표를 표시함으로써 시스템 사용자로 하여금 수많은 측정지표들의 달성 정도를 한눈에 직감케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애초에 세운 경영 계획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떠한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높이는 노력을 해야 하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성과관리시스템은 웹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어 각 측정지표를 클릭 하면 그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지표구성항목의 계획값과 실적값이 정리된 웹 페이지가 사용자의 표시장치에 출력된다. 따라서 시스템 사용자는 어떠한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높이고자 할 때 구체적으로 어떤 지표구성항목의 달성도를 높여야 되는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통상의 성과관리시스템이 수많은 경영지표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문제가 되는 항목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데이터에 바로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다.
한편 단순히 전략목표의 달성도만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달성도에 대한 식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전략목표의 성과점수 또는 상태등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는 이를 위한 과정의 상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전략목표의 종류에 따라 전략목표 성과 기준값을 할당받는다(601). 이러한 할당은 통상 시스템 관리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에는 도 2의 단계 207에서 결정된 전략목표의 달성도와 할당받은 전략목표 성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전략목표의 상태등을 결정한다(603). 전략목표의 상태등 역시 측정지표와 마찬가지로 신호등 체계와 유사하게 녹색, 노랑, 빨강을 사용하여 달성 정도를 사용자로 하여금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전략목표의 상태등은 그것만 출력됨으로써 전략목표의 달성 등급을 표시하거나,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전략목표의 달성도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정지표들간의 인과관계도는 물론 전략목표들간의 인과관계도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략목표들간의 인과관계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측정지표의 인과관계도에 대해 설명한 바와 같이, 시스템 사용자로 하여금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직감토록 하기 위하여 각 전략목표는 그 전략목표의 상태등의 색깔로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성과관리시스템은 웹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다. 따라서 어떤 경영지표와 관련된 하위레벨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표시장치에 표시된 경영지표를 마우스로 단순히 클릭 함으로써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다고 하여 모든 경영지표에 대해 모든 시스템 사용자가 동일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시스템 사용자마다 한 기업에서 책임지는 업무 범위가 다르므로, 그 범위 안에서 경영지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성과관리시스템에 사용자를 등록할 때 그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경영지표의 범위를 결정하여 DB(121)에 저장해 둔다. 그리고 이렇게 저장해 둔 범위 안에서 시스템 사용자가 경영지표와 관련된 데이터의 출력을 요구할 때 본 성과관리시스템은 사용자의 요구에 응하며, 범위 밖의 경영지표에 대하여 시스템 사용자가 요구하는경우에는 그 요구에 응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지표구성항목, 측정지표, 전략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값 또는 실적값, 달성도, 상태등 등을 차별적으로 출력하는 것은 기업의 경영 비밀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자마다 일정 범위의 데이터만 출력되도록 하는 것은 수많은 경영지표를 갖는 성과관리시스템에서 데이터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이를 위해 메타 데이터 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등급에 따라 구성이 다른 웹 페이지를 미리 작성하여 분류 데이터 DB(123)에 저장해 둔다. 이렇게 미리 웹 페이지를 작성하여 저장해 두는 것은 시스템의 응답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이다.
본 실시예는 또한 지표구성항목 또는 측정지표에 대한 목표값과 실적값 사이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이 차이값을 소정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일별 또는 월별로 소정 기간에 대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차이값의 누적값을 함께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측정지표가 매출액이면, 지표구성항목은 출하량, 단위판매가격(또는 판가) 등이 된다. 이 경우 소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기간 동안의 출하량과 단위판매가격을 하나의 그래프에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월 단위로 출하량만 표시하거나 또는 단위판매가격의 변동만 기록하는 것보다는 출하량과 단위판매가격을 하나의 그래프로 표시하면 매출액 변동에 대해 더욱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 추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성과 달성도 추출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것에 비해 관점이라는 경영지표를 하나 더 가지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의 가중치(wi) 뿐만 아니라, 관점에 대한 전략목표의 가중치(wi')도 할당받는다(801). 지표구성항목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입력받는 단계(803)와,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805)와,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807)는 도 2에 도시된 성과 달성도 추출 방법의 해당 단계와 동일하다. 그러나 단계(807)에서 계산된 전략목표에 대한 달성도와 단계(801)에서 할당받은 관점에 대한 전략목표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관점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가 더 추가된다(809). 관점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전략목표의 경우와 동일하다.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811)는 지표구성항목, 측정지표, 전략목표이라는 경영지표는 물론 관점이라는 경영지표까지 포함한다.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라는 경영지표에 대해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그 달성도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신호등 체계와 유사한 상태등(status lamp)을 사용하였으나, 관점이라는 경영지표에 대해서는 반원 모양의 눈금판을 상태표식(status sign)으로 사용하여 그 달성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상태등은 몇 가지 상태 중에서 어느 상태에 있음을 표시함으로 불연속적이나, 눈금판은 어느 정도의 상태에 있음을 표시함으로 연속적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해 관점과 전략목표와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상태등 또는 상태표식을 사용하여 표시한 웹 페이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점이라는 경영지표에는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성장 등이 있으며, 반원 모양의 눈금판을 상태표식으로 사용하여 그 달성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반면 각 관점에 대한 전략목표와, 각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는 상태등을 사용하여 그 달성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성과 달성도 추출 방법은 웹 기반으로 구축되므로 하이퍼링크를 통하여 하위 레벨의 데이터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화면에서 매출액이라는 측정지표를 마우스로 클릭한 경우 표시되는 웹 페이지이다. 도 10에 도시된 웹 페이지에는 어느 지역의 사업장의 각 공장(FAB2, FAB4, FAB5, FAB7)마다의 2월 월간 매출액의 기본값 및 실적값과, 소정 기간 동안의 누적값이 표로 정리되어 있다. 또한 해당 그래프가 하나의 웹 페이지(또는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단지 숫자화된 데이터는 식별력이 떨어지므로 시각화된 그래프를 함께 표시하면 사용자는 표시된 경영지표의 추세를 더욱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관점이라는 경영지표를 포함하여 모든 구체적인 데이터가 모든 사용자에게 차별 없이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기업 비밀 누출의 염려가 있으므로 출력되는 내용이 사용자의 액세스 등급에 따라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지금까지는 주로 성과관리시스템의 성과 달성도를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이라는 관점에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나, 또는 그러한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 등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어 프로세서가 그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역시 본 발명의 범위 안에포함된다. 이러한 기록매체나 장치는 당업자라면 누구나 지금까지의 기재를 통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으로 여기서 기술하지는 않는다. 단지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의 경우, 넷미팅(Net Meeting) 등의 기능을 사용하여 현재의 사용자가 보는 웹 페이지(또는 화면)를 다른 사용자의 표시장치로 보내거나, 또는 현재 사용자의 이미지를 PC용 디지털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의 표시장치로 보내는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온라인(online)을 이용한 화상회의를 더 현실감 있게 하므로 바람직하다.
지금까지의 기재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안에서 상기 실시예에 관련된 구성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여러 레벨을 갖는 경영지표들이 경영 환경의 변화를 신속하고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시스템 사용자들은 변화하는 경영 환경에 대해서도 엄청난 개수의 경영 관련 데이터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경영 현장에서 신속한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사용자로 하여금 여러 다양한 특성들을 갖는 경영지표의 달성도를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엄청난 개수의 경영지표들을 고려할 때 신속한 사실 확인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관련된 데이터들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31)

  1. 하나 또는 2 이상의 지표구성항목에 의해 측정지표가 결정되고, 하나 또는 2 이상의 측정지표에 의해 전략목표가 결정되는 성과관리시스템에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성과 달성도를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략목표에 대한 상기 측정지표 각각의 가중치를 할당받는 단계와,
    상기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와 상기 할당받은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소정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사용자의 표시장치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전략목표에 대한 상기 측정지표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가중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지표의 성질상 측정지표 자체에 목표값 또는 실적값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을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된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과 상기 계산된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을 목표값 및 실적값에 대하여 각각 합하므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계산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의 목표값 및 실적값을 소정의 지표구성항목으로 각각 환산하여 합하므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은 상기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의 차이가 의미를 갖는 경우와 상기 측정지표의 목표값 및 실적값의 비율이 의미를 갖는 경우를 구분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표 성과 기준값은 상기 측정지표가 망대 특성(larger the better characteristics)을 갖는 경우와 망소 특성(smaller the better characteristics)을 갖는 경우와 망목 특성(nominal the best characteristics)을 갖는 경우를 구분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지표의 성질상 측정지표 자체에 목표값 또는 실적값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은 3가지 종류의 성과점수(A>B>C)를 가지며,
    상기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가 모두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상기 동일한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로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지표구성항목이 2가지 종류의 성과점수를 가지며 상기 2가지 종류의 성과점수가 서로 동수(同數)인 경우에는 A, B가 동수로 존재하면 B로, A, C가 동수로 존재하면 B로, B, C가 동수로 존재하면 C로 상기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지표구성항목이 2가지 종류의 성과점수를 가지며 상기 2가지 종류의 성과점수가 서로 동수(同數)가 아닌 경우에는 A가 B보다 많으면 A로, B가 A보다 많으면 B로, A가 C보다 많거나 C가 A보다 많으면 B로, B가 C보다 많으면 B로, C가 B보다 많으면 C로 상기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가 3가지 종류의 성과점수를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중간 레벨의 성과점수(B)로 결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표의 성과점수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측정지표에 대한 상기 지표구성항목의 가중치를 할당받는 스텝과,
    상기 측정지표를 결정하는 모든 지표구성항목에 대해 상기 지표구성항목의 성과점수에 상기 지표구성항목의 가중치를 곱한 값을 더하는 스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10.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전략목표를 결정하는 모든 측정지표에 대해 상기 측정지표 성과점수에 상기 측정지표 가중치를 곱한 값을 더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11.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지표 성과점수에 따라 선택된 상태등(status lamp)을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정지표들간의 인과관계를 표시하는 측정지표 인과관계도(因果關係圖)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정지표 인과관계도에 표시된 각 측정지표는 상기 결정된 측정지표의 상태등과 동일한 색깔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략목표의 종류에 따라 전략목표 성과 기준값을 할당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전략목표 성과 기준값과 상기 전략목표 달성도를 비교하여 전략목표의 상태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전략목표의 상태등을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략목표들간의 인과관계를 표시하는 전략목표 인과관계도(因果關係圖)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략목표 인과관계도에 표시된 각 전략목표는 상기 결정된 전략목표의 상태등과 동일한 색깔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상기 지표구성항목 또는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를 차별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구성항목 또는 측정지표에 대한 목표값과 실적값 사이의 차이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차이값을 소정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일별 또는 월별로 소정 기간에 대해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차이값의 누적값을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표는 매출액이고, 상기 지표구성항목은 출하량과 단위판매가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소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기간 동안의 상기 출하량과 단위판매가격을하나의 그래프에 동시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영지표의 산출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해당 그래프를 하나의 화면으로 동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영지표의 산출방법.
  22. 하나 또는 2 이상의 지표구성항목에 의해 측정지표가 결정되고, 하나 또는 2 이상의 측정지표에 의해 전략목표가 결정되는 성과관리시스템에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성과 달성도를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략목표에 대한 상기 측정지표 각각의 가중치와 상기 관점에 대한 상기 전략목표 각각의 가중치를 할당받는 단계와,
    상기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와 상기 할당받은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전략목표에 대한 달성도와 상기 할당받은 관점에 대한 전략목표의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관점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 또는 관점의 달성도를 소정 제어신호의 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전략목표에 대한 측정지표의 가중치와 상기 관점에 대한 전략목표의 가중치는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관점에 대한 달성도를 상태표식(status sign)을 사용하여 함께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상기 관점을 차별적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성과 달성도의 산출 방법.
  25. 하나 또는 2 이상의 지표구성항목에 의해 측정지표가 결정되고, 하나 또는 2 이상의 측정지표에 의해 전략목표가 결정되는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며,
    상기 저장 수단은
    상기 전략목표에 대한 상기 측정지표 각각의 가중치를 할당받는 단계와,
    상기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와 상기 할당받은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사용자의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과 달성도의 자동 산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달성도 출력 단계에 의해 출력된 내용을 다른 사용자의 표시장치로 보내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과 달성도의 자동 산출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상기 다른 사용자에게 보내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특징으로 하는 성과 달성도의 자동 산출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웹 기반으로 구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과 달성도의 자동 산출 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달성도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차별적으로 상기 지표구성항목 또는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과 달성도의 자동 산출 장치.
  30. 하나 또는 2 이상의 지표구성항목에 의해 측정지표가 결정되고, 하나 또는 2 이상의 측정지표에 의해 전략목표가 결정되는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전략목표에 대한 상기 측정지표 각각의 가중치를 할당받는 단계와,
    상기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입력받은 지표구성항목에 대한 목표값 및 실적값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측정지표에 대한 달성도와 상기 할당받은 가중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지표 또는 전략목표의 달성도를 사용자의 표시장치에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웹 기반으로 구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1-0040771A 2000-09-08 2001-07-09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4557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53504 2000-09-08
KR1020000053504 2000-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181A KR20020020181A (ko) 2002-03-14
KR100455722B1 true KR100455722B1 (ko) 2004-11-12

Family

ID=1968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771A KR100455722B1 (ko) 2000-09-08 2001-07-09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8312B1 (ko) * 2004-11-13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룹 구성을 통한 목표달성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157549B1 (ko) * 2005-12-21 2012-06-18 주식회사 케이티 유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5784B1 (ko) * 2007-05-09 2013-06-24 주식회사 케이티 Kpi 비교 분석을 통하여 무선망 경영을 효율적으로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42231B1 (ko) * 2007-12-27 2008-07-01 대한민국 통합 성과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181A (ko) 200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60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posite scoring, classification, and decision making based on machine learning
US5909669A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knowledge worker productivity assessment
US8458065B1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tent-based financial database indexing, searching, analysis, and processing
US87319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signing effective business policies via business rules analysis
Miragaia et al. The role of stakeholders in the efficiency of nonprofit sports clubs
US20170032463A1 (en) Systems and user interfaces for holistic, data-driven investigation of bad actor behavior based on clustering and scoring of related data
US20020184130A1 (en) Intellectual capital risk analysis system
US20140025605A1 (en) Database for risk data processing
US7945496B2 (en) Reference price framework
US201401292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Dimensional Average-Weighted Banding Status and Scoring
US20030233339A1 (en) Data analysis system
US2014006771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investments
US9607274B2 (en) Enterprise value assessment tool
US20100070427A1 (en) Dynamic indexing
US20090157465A1 (en) Method for mapping anticipated future events in a domain
US200901874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ndor Management
JAFARI et al. BANKS'PERFORMANCE EVALUATION MODEL BASED ON THE BALANCED SCORE CARD APPROACH, FUZZY DEMATEL AND ANALYTIC NETWORK PROCESS
KR100455722B1 (ko) 성과관리시스템에서 성과 달성도를 산출하는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77835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hedge strategy stock market forecasts
CA2404258A1 (en) Internet-based system for identification, measurement and ranking of investment portfolio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 fund supermarket, including "best investor" managed funds
KR20010009718A (ko) 3차원 증권 투자 검색 시스템의 표시 방법
US20240005435A1 (en) Supply chain risk information generation device and supply chain risk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US20210049698A1 (en) Program and process for real-time dealer assessment of service customer vehicle ownership efficiency
Diantimala et al. Value Relevance of Asset Revaluation Disclosure
US20160042091A1 (en)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n Inde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