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176B1 -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176B1
KR100455176B1 KR10-2002-0087040A KR20020087040A KR100455176B1 KR 100455176 B1 KR100455176 B1 KR 100455176B1 KR 20020087040 A KR20020087040 A KR 20020087040A KR 100455176 B1 KR100455176 B1 KR 100455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power amplifier
comparato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1231A (ko
Inventor
이창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1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6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전원의 변동에 관계 없이 송신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21)와; 상기 전력 증폭기(21)에 공급되는 배터리전압을 감지하여 일정치 이상을 유지하면 고정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집적소자(24)와; 상기 배터리전압을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과 비교하여 그 차에 해당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기(25)와; 상기 비교기(25)의 출력전압을 소정의 비율로 하강시키는 레벨변환기(26)와; 상기 아날로그 집적소자(24)의 출력전압과 상기 레벨변환기(26)의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그들의 차에 해당되는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21)의 출력 제어전압으로 공급하는 비교기(27)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CIRCUIT FOR STABILIZING OUTPUT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 출력을 안정화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사용으로 인하여 배터리 전압이 낮아져 전력 증폭기의 출력 레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출력 레벨이 안정화되도록 한 휴대폰의출력 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GSM용 전력 증폭기(11)와; 배터리전원단자(V_BAT)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11)에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베이스밴드 칩셋(13)의 제어에 따라 그 전력 증폭기(11)의 출력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출력레벨 조절신호(V_CS)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집적소자(1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GSM용 전력 증폭기(11)는 입력단자(Vin)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고, 이 증폭된 송신 신호는 GSM/DCS 전환스위치(12)를 통해 단말출력 측정단자(MS)(MS: Mobile Switch)에 공급된다.
상기 전력 증폭기(11)는 배터리전원단자(V_BAT)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전압을 이용하여 송신 신호를 증폭하게 되므로, 그 배터리전압이 하강되면 그에 비례하여 출력 레벨(dBM)이 하강된다.(도 2 참조)
하지만, 이상적인 경우 상기 전력 증폭기(11)의 출력 레벨은 33dBM을 유지하여야 한다. 설령, 사용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배터리 전압이 어느 정도 하강되는 경우(4V∼3.4V)에도 일정한 출력 레벨을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아날로그 집적소자(14)는 저항(R1)을 통해 배터리전원단자 (V_BAT)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11)에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고, 베이스밴드 칩셋(13)에 저장된 캘리브레이션 소프트웨어(Calibration Software)의 제어에 따라 그 전력 증폭기(11)에 출력레벨 조절신호(V_CS)를 출력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출력을 안정화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기술에 있어서는 배터리 전압 레벨을 아날로그 칩에서 감지하고, 캘리브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전력 증폭기 출력 레벨을 보상하는 방식으로 출력 레벨을 안정화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메모리 공간을 필요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메모리 공간을 이용하지 않고, 레벨 변환기와 비교기를 이용하여 회로적으로 직접 출력 레벨의 편차를 보상해 주는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배터리전압과 출력 레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도 1에서 출력 제어전압과 출력 레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블록도.
도 5는 도 4에서 각부의 전압을 나타낸 표.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전압과 출력 레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전력 증폭기 22 : GSM/DCS 전환스위치
23 : 베이스밴드 칩셋 24 : 아날로그 집적소자
25,27 : 비교기 26 : 레벨변환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의 일실시 구현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GSM용 전력 증폭기(21)와; 배터리전원단자(V_BAT)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21)에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일정치 이상을 유지하면 고정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집적소자(24)와; 상기 배터리전압(V_BAT)을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V_A)과 비교하여 그 차에 해당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기(25)와; 상기 비교기(25)의 출력전압을 소정의 비율로 하강시키는 레벨변환기(26)와; 상기 아날로그 집적소자(24)의 출력전압과 상기 레벨변환기(26)의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그들의 차에 해당되는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21)의 출력 제어전압(V_F)으로 공급하는 비교기(27)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GSM용 전력 증폭기(21)는 입력단자(Vin)를 통해 입력되는 송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고, 이 증폭된 송신 신호는 GSM/DCS 전환스위치(22)를 통해 단말출력 측정단자(MS)에 공급된다.
이때, 아날로그 집적소자(24)는 저항(R1)을 통해 배터리전원단자(V_BAT)로부터 상기 전력 증폭기(21)에 공급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전압이 일정치 이상을 유지하면 도 5의 표에서와 같이 고정된 제어전압(1.7V)을 출력한다.
한편, 비교기(25)는 상기 전력증폭기(21)에 공급되는 배터리전압(V_BAT)을 레귤레이터의 고정 출력전압(V_A)과 비교하여 그 차에 해당되는 전압(예: 0.7∼0.1V)을 출력한다. 상기 비교기(25)의 출력전압은 레벨변환기(26)에서 소정의 비율(예: 1/5)로 하강 처리되어 이의 출력단자(V_D)에 0.14∼0.02V의 전압이 출력된다.
비교기(27)는 상기 아날로그 집적소자(24)로부터 입력되는 고정된 제어전압(1.7V)과 상기 레벨변환기(26)의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그들의 차에 해당되는 전압(예: 1.56∼1.68V)을 상기 전력 증폭기(21)의 출력 제어전압(V_F)으로 공급한다.
결국, 상기 배터리전압(V_BAT)이 하강되면, 이에 반비례하여 상기 전력 증폭기(21)의 출력 제어전압(V_F)이 도 5에서와 같이 상승되고, 이에 의해 전력 증폭기(21)의 출력 레벨이 보상되므로, 도 6에서와 같이 배터리전압(V_BAT)의 변동에 관계없이 안정된 출력 레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벨 변환기와 비교기를 이용하여 하드웨어적으로 전력 증폭기의 출력 레벨의 편차를 보상해 줌으로써, 별도의 메모리 공간을 이용하지 않고도 보다 편리하고 확실하게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말기의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전력 증폭기(21)와; 상기 전력 증폭기(21)에 공급되는 배터리전압을 감지하여 일정치 이상을 유지하면 고정된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아날로그 집적소자(24)와; 상기 배터리전압을 레귤레이터의 출력전압과 비교하여 그 차에 해당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기(25)와; 상기 비교기(25)의 출력전압을 소정의 비율로 하강시키는 레벨변환기(26)와; 상기 아날로그 집적소자(24)의 출력전압과 상기 레벨변환기(26)의 출력전압을 비교하여 그들의 차에 해당되는 전압을 상기 전력 증폭기(21)의 출력 제어전압으로 공급하는 비교기(27)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전력 증폭기(21)는 GSM용 전력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전력 증폭기(21)는 비교기(27)로부터 입력되는 출력 제어전압에 의해 배터리 전압이 소정 범위 내에서 변동되는 것에 관계없이 안정화된 출력 레벨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
KR10-2002-0087040A 2002-12-30 2002-12-30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 KR100455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040A KR100455176B1 (ko) 2002-12-30 2002-12-30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040A KR100455176B1 (ko) 2002-12-30 2002-12-30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231A KR20040061231A (ko) 2004-07-07
KR100455176B1 true KR100455176B1 (ko) 2004-11-06

Family

ID=3735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040A KR100455176B1 (ko) 2002-12-30 2002-12-30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8273B (zh) * 2016-12-29 2020-08-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手机功率放大器的vbat值的调整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231A (ko)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489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공급방법 및 장치
US9240760B2 (en) Power amplifier module
CN1938942A (zh) 功率放大装置、通信终端装置及功率放大装置的控制方法
TW200601658A (en) Overcurrent detecting circuit and regulator having the same
KR102029490B1 (ko) 로우 드롭 출력 타입의 전압 레귤레이터 및 이를 갖는 고주파 스위치 제어 장치
US11073853B2 (en) Power supply with low variation of total radiated power
US11177772B2 (en) Power control circuit and power amplification circuit
KR100455176B1 (ko) 휴대폰의 출력 안정화 회로
US20100127676A1 (en) Power source apparatus
CN116699296A (zh) 负载检测电路和电子设备
CN109525223B (zh) 一种获取晶体振荡器工作电流的系统、方法、芯片
CN111209712B (zh) 一种获取晶体振荡器工作电压的系统、方法、芯片
US6483371B1 (en) Universal temperature compensatio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EP1120902A2 (en) Transmitter and mobile station
KR10042113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 신호 전력 레벨 제어 장치 및 그방법
CN114911297A (zh) 用于ldo电路的驱动控制电路、ldo电路及其芯片
JP2583350B2 (ja) 出力自動制御機能を有するパワーアンプの立上り特性改善回路
EP1160995B1 (en) Mobile terminal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40078321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전력증폭기 제어방법 및 장치
KR2006003112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온도에 따른 송신전력 보상 장치
US20090243691A1 (en) Signal output circuit
KR2005003103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출력 보상 장치
JP2552031B2 (ja) 送信出力自動制御機能を有するフルパワー調整回路
KR930005120B1 (ko) 카폰의 출력제어장치
JP2002280853A (ja) 高周波用パワーアンプのapc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