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109B1 - 디지털필터 - Google Patents

디지털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109B1
KR100455109B1 KR1019960040256A KR19960040256A KR100455109B1 KR 100455109 B1 KR100455109 B1 KR 100455109B1 KR 1019960040256 A KR1019960040256 A KR 1019960040256A KR 19960040256 A KR19960040256 A KR 19960040256A KR 100455109 B1 KR100455109 B1 KR 100455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ulse response
output
delayers
signal
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016A (ko
Inventor
유지 야마다
키요후미 이나나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19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4Recursive 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7/00Networks using digital techniques
    • H03H17/02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17/0283Filters characterised by the filter structure
    • H03H17/0286Combinations of filter structures
    • H03H17/0288Recursive, non-recursive, ladder, lattic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 Analogue/Digital Conversion (AREA)

Abstract

디지털필터는 피드백부를 갖추어 구성되는 유한탭길이의 FIR필터로 이루어지며, 음향재생장치는 상기 디지털필터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피드백부에 있어서, FIR필터에 포함되는 다수 지연기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의 출력을 계수곱셈기의 효과에 의하여 감쇠시킨다. 감쇠출력을 출력 이송용 지연기 앞에 배열된 인접지연기들 사이에 놓인 가산기로 피드백시킨다. 피드백부는 무한히 계속되는 임펄스응답을 발생하기 위해서 피드백작동을 반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필터
본 발명은 디지털필터에 관한 것이며, 특별히 임펄스응답을 콘벌루션(convolution)시키기 위한 유한 임펄스응답형 필터를 갖는 디지털필터와, 디지털필터의 효과를 통하여 음향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호처리부에 조립되어 있는 도 1에 도시된 유한 임펄스응답형 필터(이하FIR필터라 칭함)를 갖추어 구성되는 다수의 전자기기가 제안되어왔다. 이들 전자기기는 시스템의 임펄스응답을 측정하고, FIR필터의 효과를 통하여 응답을 재생한다.
도 1에 있어서, 입력단자(81)에 이송된 신호는 직렬로 접속된 다수의 지연기(82)로 전송된다. 이들 지연기(82)에 의해 지연된 신호가 샘플링주기와 동기화된 클럭신호로 연속적으로 전송된다. 이들 지연기(82)는 그들 I/O단자에서 도출되는 탭을 공급한다. 이들 탭으로부터의 신호는 계수곱셈기(83)로 전송되어, 여기서 이들 신호와 계수가 곱해진다. 곱해진 값은 가산기(84)에 의해 연속적으로 더해진 후, 출력단자(85)로부터 꺼내지게 된다. 따라서, FIR필터에서, 임펄스응답용 계수를 각 계수곱셈기(83)에 세팅함으로써, 이 임펄스응답을 콘벌루션하는 작동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들어 상기 설명된 FIR필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잔향을 가산하기 위한 장치는, 방의 임펄스응답을 측정하고 FIR필터를 통하여 그 응답을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기능을 가지므로, 음향이 실제적으로 측정되는 방안에서 들리는 재생음의 잔향특성과 동일한 잔향특성을 갖는 재생음을 들 수 있게 된다. 즉, 재생음은 방의 실제 측정음의 잔향특성과 동일한 잔향특성을 갖는다.
FIR필터를 갖추어 구성되며 헤드 바깥의 음상을 위치시키기 위한 헤드폰시스템의 유형은, 스피커로부터 청취자 양쪽 귀로의 전달특성을 나타내는 임펄스응답을 측정하여 FIR필터의 효과를 통하여 그 응답을 재생하도록 작동된다.
FIR필터가 실제 측정된 임펄스응답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수렴시간 및 주파수응답을 정밀하게 실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면, FIR필터는 긴 탭길이를 가져야만 하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고가이며 대규모가 된다.
상기의 조건 때문에, 비교적 짧은 탭길이를 갖는 FIR필터가 제안된다. 이러한 FIR필터는 실제음의 주파수특성과 비슷한 특성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FIR필터는 청취자에게 충분히 고감도의 헤드 바깥의 청취음을 제공할 수 없다. 또는, 이러한 유형의 FIR필터는 분명한 음상을 형성하지 못하므로, 결과 재생신호는 고질의 음상정위를 갖지 못한다.
또한, 잔향시간특성과 초기반사특성을 재생하기 위해서 긴 지연시간을 갖는 지연기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지연기는 임펄스응답의 대표적인 펄스만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를 구성한다. 도 2는 잔향부가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그러한 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단자(91)에 입력된 신호는 지연기(92)의 입력단자(W)에 입력된다. 이 지연기(92)는 출력단자(R1, R2, R3)를 거쳐서 신호(SR1, SR2, SR3)를 다른 지연시간으로 출력하도록 작동한다. 이들 신호(SR1, SR2, SR3)는 계수곱셈기(93, 94, 95)에 의해 감쇠된다. 그후, 이들 신호는 가산기(96)에서 가산된다. 이 가산기(96)는 출력으로써 신호(SR0)를 공급한다. 이 신호(SR0)는 도 3에 도시된 임펄스응답에 있어서 초기반사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거친 펄스간격을 갖는 임펄스응답으로써 재생된다.
다음으로, 지연기(92)의 출력단자(R4)로부터 가산기(97)를 거쳐서 지연기(98)로 공급되는 신호(SR4)는 지연기(98)에 의해서 지연신호로써 지연된다. 지연신호는 계수곱셈기(99)에 의해 감쇠된다. 감쇠신호는 가산기(97)에 의해 신호(SR4)에 가산된다.
지연신호는 또한 계수곱셈기(100)에 의해 감쇠된 후 가산기(109)에 공급된다. 또한, 지연기(92)로부터 가산기(101)를 거쳐서 지연기(102)로 공급되는 신호(SR4)는 지연기(102)에 의해 지연신호로써 지연된다. 지연신호는 계수곱셈기(103)에 의해 감쇠된 후 가산기(101)에 의해 신호(SR4)에 가산된다. 지연신호는 또한 계수곱셈기에 의해 감쇠된 후 가산기(109)에 공급된다. 또한, 지연기(92)로부터 가산기(105)를 거쳐서 지연기(106)로 공급되는 신호(SR4)는 이 지연기(106)에 의해서 지연신호로써 지연된다. 그후, 지연신호는 계수곱셈기(107)에 의해 감쇠된 후, 가산기(105)에 의해 신호(SR4)에 가산된다. 지연신호는 또한 계수곱셈기(108)에 의해 감쇠된 후, 가산기(109)에 가산된다.
가산기(109)의 가산출력은 가산기(110)를 거쳐서 지연기(111)로 공급된다. 그후, 지연신호는 계수곱셈기(114)에 의해 감쇠된 후, 가산기(110)로 되돌아간다. 또한, 가산기(109)의 가산출력은 가산기(110)를 거쳐서 계수곱셈기(112)로 공급된다. 곱셈기(112)에 의해 감쇠된 신호는 가산기(113)에 공급된다. 가산기(113)의 가산출력은 가산기(115)를 거쳐서 지연기(116)로 공급된다. 지연출력은계수곱셈기(119)에 의해 감쇠되고, 그후 가산기(115)로 되돌아간다. 또한, 가산기(113)의 가산출력은 가산기(115)를 거쳐서 계수곱셈기(117)로 공급됨으로써, 그 출력이 곱셈기(117)에 의해 감쇠된다. 그 감쇠신호가 가산기(118)에 공급된다.
지연기(92)의 출력단자(R4)로부터 가산기(97, 101, 105)로 공급되는 신호(SR4)는 신호(SR4)가 가산기(118)에 도달할때까지 도 3에 도시된 분산음에 상당하는 임펄스응답을 구성한다. 각 지연기는 지연시간으로써 선택되는 수 msec의 값을 갖는다. 특히 분산음의 시작부에서 분산음은 가청대역을 확보하기 위해서 보통 선택되는 신호처리장치의 샘플링시간간격인 20여 μsec의 값 보다 훨씬 더 거친 임펄스응답으로 된다. 그러므로, 재생되는 특성은 주파수축에서 조차도 실제 전송특성보다 더 크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짧은 탭길이의 FIR필터를 이용함으로써 크기를 줄이고 비용을 절약하는 동시에, 긴 임펄스응답을 고정밀도로 재생하는데 적용되는 디지털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디지털필터를 갖추어 구성됨으로써, 장치의 크기와 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헤드 바깥 음상을 위치시키는 센스나 음상을 위치시키는 전방의 센스를 상당히 개선할 수 있게 되는 음향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FIR필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잔향부가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종래 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은 잔향부가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종래 장치의 임펄스응답을 나타내는 특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필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지털필터에 의해 실현되는 임펄스응답을 나타내는 특성도.
도 6은 피드백부를 갖추지 않은 종래 디지털필터의 임펄스응답을 나타내는 특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필터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재생장치의 일 실시예인 헤드 바깥의 음상(音像)을 위치시키기 위한 헤드폰시스템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헤드 바깥의 음상을 위치시키기 위한 헤드폰시스템에 이용되는 신호처리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재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인 스피커시스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지털필터 4. 계수곱셈기
31,32,…,3n. 지연기 71,72,…,7m. 계수곱셈기
81,82,…8n. 가산기 20. 디지털필터
23,26. 계수곱셈기 221,222,…,22n. 지연기
25,28. 피드백부 40. 헤드폰시스템
46a. 헤드밴드 46L,46R. 사운딩본체
43. 신호처리회로 M. 청취자
S1,Sr,S0. 음원 H11,H01,H1r,H0r,Hrr. 전달함수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미리 측정된 음원으로부터 측정점까지의 임펄스응답을 구성하기 위해 유한탭길이로 되며 다수의 지연기를 갖는 FIR필터를 갖추어 구성된 디지털필터는, 계수곱셈기와 가산기를 갖춘 피드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계수곱셈기는 다수 지연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출력을 감쇠시키며, 이 감쇠출력을 다수 지연기 중 어느 하나의 앞에 놓이는 지연기들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가산기로 피드백시킨다. 여기서, 다수의 피드백수단이 설치되어도 좋다.
피드백수단은 짧은 탭길이를 갖는 FIR필터가 긴 임펄스응답을 보다 충실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신호처리규모를 상당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신호처리기가 디지털신호처리(ICÆs)로 구성된다면, ICÆs의 수는 상당히 감소된다. 따라서 장착면적과 ICÆs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전체유니트의 비용과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2개 이상의 피드백수단은 더 긴 임펄스응답을 보다 충실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음향재생장치에서는, 미리 측정된 음원에서 측정점까지의 임펄스응답을 구성하기 위해서 유한탭길이로 되며 다수의 지연기를 갖는 FIR필터를 갖추어 구성되는 디지털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필터는 계수곱셈기와 가산기를 갖춘 피드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계수곱셈기가 다수 지연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출력을 감쇠시키고, 이 감쇠출력을 상기 어느 하나의 지연기 앞에 놓이는 다수 지연기들 사이에 설치되는 가산기에 피드백시킨다. 다수의 피드백수단이 설치되어도 좋다.
그러므로, 음향재생장치가 단순한 구성을 필요로 하고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지라도, 그러한 장치는, 샘플링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동일한 수의 탭과 동일한 총 탭길이를 갖는 종래의 FIR필터와 비교해서, 헤드 바깥의 음상을 위치시키는 센스, 어코스틱(acoustic) 음상을 앞쪽에 위치시키는 센스, 어코스틱 음상의 질 또는 음상을 위치시키는 센스를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필터와 음향재생장치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필터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미리 측정된 음원에서부터 측정점까지의 임펄스응답이 유한탭길이를 갖는 FIR필터의 효과를 통하여 구성되도록 적용되는 디지털필터(1)에 관한 것이며, 이 임펄스응답은 디지털음성입력신호에 콘벌루션되며, 그 결과의 신호가 출력된다. 디지털필터(1)는 피드백부(6)를 포함한다. 피드백부(6)에서, 임의 지연기(3n)로부터의 출력은 계수곱셈기(4)에 의해 감쇠된다. 감쇠출력은 지연기(3n) 앞에 배치된 지연기(32)와 지연기(33)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가산기(5)로 피드백된다.
도 4에서, 입력단자(2)에 입력된 신호는 지연기(31, 32, 33, …, 3n-2, 3n-1, 3n)와, 계수곱셈기(71, 72, 73, 74, …, 7m-3, 7m-2, 7m-1, 7m)와, 가산기(81, 82, 83, …, 8n-3, 8n-2, 8n-1, 8n)를 통과하며, 여기서 모든 지연기의 총 지연시간에 대응하는 임펄스응답이 신호에 콘벌루션된다.
반면, 피드백부(6)에서, 최종 지연기(3n)로부터 빠져나온 신호는 계수곱셈기(4)에 의해 감쇠되며, 그후 지연기(32, 33) 사이에 놓인 가산기(5)로 피드백된다. 이 신호는 지연기(31, 32, 33, …, 3n-2, 3n-1, 3n)로 구성된 일군의 지연기에 의해 지연된다. 그후, 계수는 계수곱셈기(74, …, 7m-3, 7m-2, 7m-1, 7m)의 효과를 통해서 신호에 콘벌루션된다. 이 디지털필터(1)에 있어서, 피드백부(6)는 무한히 계속되는 임펄스응답을 발생하기 위해서 상기 피드백처리를 반복한다. 그후,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임펄스응답특성에 대응하는 음성신호가 출력단자(9)에서 출력된다. 도 5에서, 반복부분은 피드백부(6)에 의해 형성된다. 이 도면은 제 1 및 제 2반복파형을 설명한다. 실제적으로, 파형은 무한히 감쇠되면서 반복된다. 반면, 비교하기 위해서 도 6은 피드백부(6)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의 임펄스응답특성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구성에 의하면, 가산될 응답부분은 상승구간 주위 부분이 제거된 임펄스응답이다. 예를들어 방의 잔향특성에 있어서, 임펄스응답의 상승구간 주위의 부분은 초기반사가 차지한다. 그러나, FIR필터의 탭길이에 의한 제약에 의해 임펄스응답의 후반부가 제거된다. 임펄스응답의 후반부는 주로 분산음에 기초하며, 임펄스응답의 상승구간 주위부분과 다른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응답의 상승구간 주위부분이 제거된 임펄스응답을 가산한다는 것은 분산음에 근접한 임펄스응답부분을 가산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 결과의 응답은 듣기에 더욱 자연스럽게 된다.
그러므로, 이 디지털필터(1)는 짧은 탭길이의 FIR필터를 갖더라도 긴 임펄스응답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신호처리의 규모를 상당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만일 신호처리부가 디지털신호용 ICÆs로 구성된다면, 필요한 ICÆs의 수는 상당히 감소된다. 따라서, 이는 장착면적 및 전력소비를 감소하게 되며 전체시스템의 비용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온다.
다음으로, 이하에는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필터(20)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본 실시예는 미리 측정된 음원으로부터 측정점까지의 임펄스응답이 유한탭길이를 갖는 FIR필터의 효과를 통하여 구성되도록 적용되는 디지털필터(20)에 관한 것이며, 이 임펄스응답은 디지털음성입력신호에 콘벌루션되며, 그후 결과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게, 2개의 피드백부(25, 28)가 설치된다. 피드백부(25)에서, 어떤 지연기(22n-1)의 출력은 계수곱셈기(23)에 의해 감쇠된다. 이 감쇠출력이 지연기(22n-1) 앞에 배치된 인접지연기들 사이에 놓인 가산기(24)로 피드백된다. 피드백부(28)에 있어서, 어느 지연기(22n)의 출력은 계수곱셈기(26)에 의해 감쇠된다. 이 감쇠출력은 지연기(22n) 앞에 배치된 지연기(222, 223) 사이에 놓인 가산기(27)로 피드백된다.
도 7에서, 입력단자(21)에 입력된 신호는, FIR필터를 구성하는 지연기(221, 222, 223, …, 22n-x, …22n-2, 22n-1, 22n)와, 계수곱셈기(291, 292, 293, 294, …, 29m-y, …,29m-2, 29m-1, 29m)와, 가산기(301, 302, 303, …, 30n-x, …, 30n-3, 30n-2, 30n-1,30n)를 통과한다. FIR필터를 통하여, 모든 지연기의 총 지연시간에 상당하는 임펄스응답이 입력신호에 콘벌루션된다.
반면, 피드백부(25)에서, 지연기(22n-1)로부터 꺼내진 신호는 계수곱셈기(23)에 의해 감쇠된다. 그후, 신호는 가산기(24)에 인가된다. 피드백부(28)에서, 지연기(22n)로부터 꺼내진 신호는 계수곱셈기(26)에 의해 감쇠된다. 그후 감쇠신호는 가산기(27)에 인가된다.
신호가 입력단자(21)에 입력된 때부터 그 신호가 피드백부(25, 28)에서 꺼내지는 때까지의 지연시간 경과 후에, 가산기(24, 27) 다음에 배치되는 계수곱셈기는 계수를 이들 신호에 콘벌루션하도록 작동한다. 계수가 콘벌루션된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므로, 임펄스응답에 있어서, 반사부분은 피드백부(25, 28)의 겹쳐진 신호로 구성된다. 반사부분의 내용은 다른 임펄스응답이 감쇠되면서 무한히 반복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구성에 의하면, 가산될 응답부분은 상승구간 주위부분이 제거된 임펄스응답이다. 여기서, 방의 잔향특성에 있어서, 임펄스응답의 상승구간 주위 부분은 초기반사가 차지한다. 그러나, 임펄스응답의 후반부는 FIR필터의 탭길이에 의한 제약에 의해 제거되며, 주로 분산음에 기초한다. 후반부는 임펄스응답의 상승구간 주위 부분과 다른 특성을 갖는다. 상승구간 주위부분이 제거된 응답을 가산하는 것은 분산음 근처의 임펄스응답을 가산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 결과의 응답은 청감상 더욱 자연스럽게 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디지털필터(20)는 짧은 탭길이를 갖는 FIR필터를 갖더라도 긴 임펄스응답을 재현할 수 있도록 된다. 이 필터(20)는 신호처리규모를 상당히 작게 할 수 있다. 만일 신호처리기가 디지털신호용 ICÆs로 구성된다면, 필요한 ICÆs의 수는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장착면적 및 소비전력을 감축할 수 있으며, 전체 시스템의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재생장치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신호처리회로(42)의 내측에 디지털필터(51L, 51R, 52L, 52R)를 포함하는 헤드 바깥의 음상을 정위하기 위한 헤드폰시스템(40)에 관한 것이다. 이들 디지털필터(51L, 51R, 52L, 52R)는 상기 설명된 디지털필터(1)와 동일하다.
도 8에서, 음성입력단자(41)에 입력된 아날로그음성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기(42)의 효과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신호는 신호처리회로(43)에 인가되어서, 여기서 헤드 바깥 음상을 위치시키기 위해서 신호를 필터링한다.
헤드 바깥의 음상을 위치시키기 위해서 신호처리회로(43)에 의해 필터링된 음성디지털신호는 스테레오신호로써 2개의 시스템(L, R)으로 분할된다. 이 디지털신호는 디지털/아날로그(D/A) 변환기(44L, 44R)의 효과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다. 그 아날로그신호는 증폭기(45L, 45R)에 의해 전력증폭되고, 그후헤드밴드(46a)에 장착된 사운딩본체(46L, 46R)에 공급된다.
예를들어, 신호처리회로(43)는 청취자의 정면에 위치하는 2개의 음원으로부터 청취자의 양쪽 귀까지 전체 4개의 시스템의 임펄스응답을 미리 측정하여, 임펄스응답의 특성을 콘벌루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는 도 6에 도시된 구성에 의해 실행된다.
도 9에서, 제 1 및 제 2입력단자(501, 502)에 입력된 신호는 디지털필터(51L, 51R, 52L, 52R)에 각각 공급된다. 디지털필터(51L, 52L)의 출력은 가산기(53L)에 의해 가산된다. 디지털필터(51R, 52R)의 출력은 가산기(53R)에 의해 가산된다. 가산기(53L)로부터의 가산출력은 출력단자(54L)에 출력된다. 가산기(53R)로부터의 가산된 출력은 출력단자(54R)에 출력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디지털필터(51L, 51R, 52L, 52R)의 각각은 상기의 디지털필터(1)와 같은 FIR필터로 구성된다. 디지털필터는 피드백부를 포함하며, 이 피드백부에서 FIR필터의 임의 지연기로부터의 출력이 계수곱셈기에 의해 감쇠되고, 그 감쇠출력은 출력이 꺼내지는 지연기 앞에 배치된 인접지연기들 사이에 놓이는 가산기로 피드백된다.
FIR필터가 단순화되고 그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헤드 바깥의 음상을 위치시키기 위한 헤드폰시스템(40)은 그 크기에 있어서 작아지며 저렴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필터(51L, 51R, 52L, 52R)의 각각은 도 7에 도시된디지털필터(20)와 동일한 구성을 갖추어도 좋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헤드폰시스템(40)은, 음원으로부터 양쪽 귀로 신장되는 임펄스응답을 콘벌루션하기 위한 디지털필터가 계수곱셈기의 효과를 거쳐서 임의의 지연기의 출력을 감쇠하고, 이 감쇠출력을 출력이 꺼내진 지연기 앞에 배치되는 인접지연기 사이에 놓이는 가산기로 피드백시키기 위한 피드백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간단한 구성을 가지며 낮은 비용으로, 헤드 바깥 음상을 위치시키는 센스나 음상을 전방에 위치시키는 센스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재생장치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음상을 다른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시스템에 관련된다.
이 스피커 시스템의 원리는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음원(S0)과 등가인 음상을 청취자(M)의 양쪽 귀에 재생하기 위하여 음원(S1, Sr)을 이용하는 경우에, 음원(S1, Sr)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H11및 H1r은 음원(S1)으로부터 청취자(M)의 양쪽 귀로의 전달함수이며, Hr1및 Hrr은 음원(Sr)으로부터 청취자(M) 양쪽 귀로의 전달함수이며, Ho1및 Hor은 음원(So)으로부터 청취자(M) 양쪽 귀로의 전달함수이다.
만일 전달함수를 시간축으로 변환함으로써 야기되는 임펄스응답이 음원(S1, Sr)으로 출력된 신호에 콘벌루션된다면, 음상은 음원(So)의 위치에 정위된다. 만일 임펄스응답이 디지털필터를 통하여 구성된다면, 디지털필터는 긴 탭길이를 갖는 FIR필터이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시스템은 상기 디지털필터(1, 20)와 동일한 디지털필터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단순한 구성을 갖추며 낮은 비용을 갖는 2개의 스피커의 외측까지 음상을 정위할 수 있다.
만일 디지털필터를 음장 시뮬레이션시스템에 적용하면, 적은 수의 탭으로 긴 응답시간을 재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임펄스응답을 거시적으로 보면서 특성펄스를 획득하는 단계를 취하고, 샘플링시간보다 더 거친 시간간격을 취함으로써 잔향을 발생한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각 샘플링시간마다 분포하는 더욱 조밀한 펄스를 취함으로써 잔향을 발생한다. 따라서 보다 충실하게 음장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디지털필터에 의하면, 피드백수단은 짧은 탭길이를 갖는 FIR필터가 긴 임펄스응답을 보다 충실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신호처리규모를 상당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신호처리기가 디지털신호처리(ICÆs)로 구성된다면, ICÆs의 수는 상당히 감소된다. 따라서 장착면적과 ICÆs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전체유니트의 비용과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2개 이상의 피드백수단은 더 긴 임펄스응답을 보다 충실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음향재생장치에 의하면, 음향재생장치가 단순한 구성을 필요로 하고 낮은 비용으로 제조될지라도, 그러한 장치는, 샘플링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동일한 수의 탭과 동일한 총 탭길이를 갖는 종래의 FIR필터와 비교해서, 헤드 바깥의 음상을 위치시키는 센스나, 음상을 전방에 위치시키는 센스, 음상의 질이나 또는 음상을 위치시키는 센스를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Claims (8)

  1. 디지털필터에 있어서,
    디지털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와;
    상기 디지털오디오신호의 임펄스응답을 콘벌루션하며, 다수의 지연기와, 다수의 제 1가산기 및 다수의 제 1계수곱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임펄스 응답은, 소스(source)로부터 측정점까지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유한 임펄스응답 필터와;
    제 2계수곱셈기를 통해 상기 다수의 지연기중 선택된 하나의 지연기로부터 공급된 출력을 감쇠하여 감쇠출력을 생성하고, 상기 감쇠출력을, 상기 출력이 공급되는 상기 다수의 지연기중 상기 선택된 하나의 지연기 앞에 배열되어 있고 한 쌍의 선택된 인접한 지연기 사이에 접속된 제 2가산기로 상기 감쇠출력을 피드백하기 위한 피드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펼터.
  2. 디지털필터에 있어서,
    디지털오디오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단자와;
    상기 디지털오디오신호의 임펄스응답을 콘벌루션하며, 다수의 지연기와, 다수의 제 1가산기 및 다수의 제 1계수곱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임펄스 응답은, 음원(audio source)으로부터 측정점까지 측정함으로써 얻어지는 유한 임펄스응답 필터와;
    제 2계수곱셈기를 통해 상기 다수의 지연기중 선택된 하나의 지연기로부터 공급된 출력을 감쇠하여 감쇠출력을 생성하고, 상기 감쇠출력을, 상기 출력이 공급되는 상기 다수의 지연기중 상기 선택된 하나의 지연기앞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지연기중 선택된 인접한 지연기들 사이에 접속된 제 2가산기로 상기 감쇠출력을 피드백하기 위한 피드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인접한 지연기들로 구성된 선택된 쌍들 사이에 각각 접속된 다수의 제 2가기에 접속된 다수의 피드백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지털필터.
  4. 제 2항에 있어서,
    인접한 지연기들로 구성된 선택된 쌍들 사이에 각각 접속된 다수의 제 2가산기에 접속된 다수의 피드백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지털필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연기의 수는 상기 다수의 제 1가산기의 수와 동일하게 되어 있는 디지털필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연기의 수는 상기 다수의 제 1가산기의 수와 동일하게 되어 있는 디지털필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 응답에 대응하는 계수는 상기 다수의 제 1계수곱셈기의 각각에 공급되는 디지털필터.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펄스 응답에 대응하는 계수는 상기 다수의 제 1계수곱셈기의 각각에 공급되는 디지털필터.
KR1019960040256A 1995-09-28 1996-09-16 디지털필터 KR100455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097795A JP4023842B2 (ja) 1995-09-28 1995-09-28 ディジタルフィルタ及び音響再生装置
JP95-250977 1995-09-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948A Division KR100402283B1 (ko) 1995-09-28 2003-05-20 디지털필터를 이용하는 음향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016A KR970019016A (ko) 1997-04-30
KR100455109B1 true KR100455109B1 (ko) 2005-01-15

Family

ID=172158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256A KR100455109B1 (ko) 1995-09-28 1996-09-16 디지털필터
KR1020030031948A KR100402283B1 (ko) 1995-09-28 2003-05-20 디지털필터를 이용하는 음향재생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948A KR100402283B1 (ko) 1995-09-28 2003-05-20 디지털필터를 이용하는 음향재생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17727A (ko)
EP (1) EP0766387B1 (ko)
JP (1) JP4023842B2 (ko)
KR (2) KR100455109B1 (ko)
CN (1) CN1134890C (ko)
DE (1) DE69610966T2 (ko)
MX (1) MX960427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45623C1 (de) * 1995-12-07 1997-07-17 Akg Akustische Kino Geraet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Filterung eines Audiosignals
US6058404A (en) * 1997-04-11 2000-05-0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 class of IIR/FIR filters
WO1999050960A1 (en) * 1998-03-31 1999-10-07 Lake Technology Limited Novel equalizer using box-car filters
JPH11331992A (ja) * 1998-05-15 1999-11-30 Sony Corp デジタル処理回路と、これを使用したヘッドホン装置およびスピーカ装置
AU5009399A (en) * 1998-09-24 2000-05-04 Sony Corporation Impulse response collecting method, sound effect ad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N100391102C (zh) * 2001-09-10 2008-05-28 神经网路处理有限公司 音质调整装置以及滤波器装置
JP4300272B2 (ja) * 2001-09-10 2009-07-22 Nsc株式会社 デジタルフィルタおよびその設計方法
US20030169887A1 (en) * 2002-03-11 2003-09-11 Yamaha Corporation Reverberation generating apparatus with bi-stage convolution of impulse response waveform
US20050120067A1 (en) * 2002-07-15 2005-06-02 Neuro Solution Corp. Digital filter designing method, digital filter designing program, digital filter
CN101162895B (zh) * 2006-10-11 2010-06-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fir滤波器实现装置
JP4702392B2 (ja) 2008-04-28 2011-06-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共鳴音発生装置および電子楽器
EP2315353B1 (en) 2008-06-10 2020-07-29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Filter
JP5035388B2 (ja) * 2010-05-18 2012-09-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共鳴音発生装置および電子楽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5969A (en) * 1984-12-17 1987-09-22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At&T Bell Laboratories Equalizer with improved performance
JP2646210B2 (ja) * 1987-05-27 1997-08-27 ヤマハ株式会社 電気音響的残響支援装置
EP0508805B1 (en) * 1991-04-12 1997-11-26 Sony Corporation Cyclic digital filter
US5432856A (en) * 1992-09-30 1995-07-11 Kabushiki Kaisha Kawai Gakki Seisakusho Sound effect-creating device
EP0637191B1 (en) * 1993-07-30 2003-10-2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Surr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WO1995010167A1 (fr) * 1993-10-04 1995-04-13 Sony Corporation Dispositif de reproduction audi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66387A1 (en) 1997-04-02
KR100402283B1 (ko) 2003-10-22
US5717727A (en) 1998-02-10
KR970019016A (ko) 1997-04-30
JP4023842B2 (ja) 2007-12-19
DE69610966T2 (de) 2001-04-12
CN1134890C (zh) 2004-01-14
MX9604270A (es) 1997-08-30
JPH0990967A (ja) 1997-04-04
EP0766387B1 (en) 2000-11-15
CN1155783A (zh) 1997-07-30
DE69610966D1 (de) 200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7931A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acoustic reproducing apparatus
JP3565908B2 (ja) 立体感および/または音響特性感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装置
KR100455109B1 (ko) 디지털필터
US5173944A (en)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pseudo-stereophony
CA2325482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6658117B2 (en) Sound field effec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950035508A (ko) 헤드폰의 사운드 이미지 포지션을 크로스 패딩시키기 위한 장치
US4873722A (en) Multi-channel reproducing system
KR100410794B1 (ko) 사운드 이미지 정위 처리 장치
US5974152A (en) Sound image localization control device
JPH09505702A (ja) バイノーラル信号処理装置
MXPA96004270A (en) Digital filter and apparatus to play sound with the digi filter
KR100630436B1 (ko) 디지털 신호처리회로와 이것을 사용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JPH0157880B2 (ko)
KR101170445B1 (ko) 디지털 신호처리장치 및 디지털 신호처리방법과 헤드폰 장치
CN100444695C (zh) 一种实现串音消除的方法及滤波器生成装置和播放装置
US6370256B1 (en) Time processed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in a headphone spatialization system
JPH05199596A (ja) 音場再生装置
US6721426B1 (en) Speaker device
JP2006323395A (ja) 信号処理装置並びに音響再生装置
KR19980031979A (ko) 머리전달 함수를 이용한 두 채널에서의 3차원 음장 재생방법 및 장치
EP0833302A2 (en) Sound field reproducing device
JPH0937397A (ja) 音像定位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6276883A (ja) 信号処理装置並びに音響再生装置
JPH0746700A (ja) 信号処理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音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