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873B1 -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873B1
KR100454873B1 KR10-2000-0044948A KR20000044948A KR100454873B1 KR 100454873 B1 KR100454873 B1 KR 100454873B1 KR 20000044948 A KR20000044948 A KR 20000044948A KR 100454873 B1 KR100454873 B1 KR 100454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mark
category
user
variabl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3771A (ko
Inventor
안형준
김진호
Original Assignee
황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용 filed Critical 황의용
Priority to KR10-2000-0044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873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3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Internet or website rat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북마크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설정값에 따라 인기있는 인터넷 사이트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잘 정리하여 효율적인 북마크 제공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북마크 추천을 통해 유용한 인터넷 사이트 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북마크 정보 교환을 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컴퓨터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북마크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서버를 이용하는 북마크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북마크 관련 변수를 전송받는 제 1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송받은 북마크 관련 변수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유효성 판단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클릭수가 적은 북마크의 삭제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할 북마크 개수를 파악하는 제 3단계; 상기 전송받은 북마크 관련 변수를 이용해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인기 북마크를 정리하는 제 4단계; 및 제 3단계에서 파악된 개수의 북마크를 제 4단계에서 정리된 인기 북마크에서 추출하여 서버 푸쉬기법을 이용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에 있다.

Description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omitted}
본 발명은 북마크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 설정값에 따라 인기있는 인터넷 사이트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잘 정리하여 효율적인 북마크 제공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북마크 추천을 통해 유용한 인터넷 사이트 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인터넷 서핑을 할 때 주소를 인지하고 있어 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해당 인터넷 주소로 접근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입력하거나 검색엔진을 통해 색인된 웹 페이지의 부분을 찾아 접근하였다. 그리고, 이처럼 한 번 방문했던 사이트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다시금 주소를 치거나 아니면 검색 엔진을 통해 재검색을 하여 색인된 부분을 찾아내야만 한다. 따라서, 한 번 찾은 인터넷 사이트를 다시 쉽게 찾기 위해 일종의 색인법인 즐겨찾기라고도 불리는 북마크를 하게 된다. 이를 후술에서는 북마크란 이름으로 통일하여 언급하겠다. 북마크는 주소값과 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내포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해당 주소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북마크에 의해 생성되어진 북마크 파일에는 주소와 간단한 설명만이 들어있고, 사용자가 찾으려는 관련 사이트에 대한 주소는 사용자가 느린 통신속도를 감내하며 직접 별도의 검색절차를 거친 후 북마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또한, 이러한 불편을 차치한다 하더라도 검색사이트를 살펴보면 대체적인 검색사이트의 검색결과는 인기순위에 의한 사이트가 아니다. 사용자에 의한 이른바 랭킹(Ranking) 기법이라 불리는 것이 있어, 홈페이지를 만들 때 검색 엔진이 인덱스하는 방식을 연구하여 검색시 검색페이지의 상위로 랭크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므로, 실속 있는 정보라 할 수 없는 것이 상위로 올라오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검색엔진의 검색결과도 사용자들의 서핑 관심사와 습관을 적용하지 않은 부정확한 검색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유용한 정보 찾기를 검색 사이트에만 의존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그리고, 사용자가 어떤 유용한 사이트를 알고 있을 때, 이를 타 사용자에게 추천(제공)하기 위해서는 주소를 외우거나, 옮겨 써야 하는 불편한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한편, 본 발명에 이용되는 종래 기술인 푸쉬(Push)기법을 살펴보면, 이는 포인트 캐스트(http://www.pointcast.com)사에서 최초로 시도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면 선택한 채널로 웹을 통해 TV와 같이 정보를 지속적으로 받아볼 수 있다. 또한, 채널은 클라이언트측 사용자에 의한 선택이 가능하며, 임의의 사이트 접속시 해당 사이트와 일회의 접촉으로 끝나게 되나 푸쉬 기법을 사용하면 지속적으로 TV채널처럼 연결되어 다양한 정보를 받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파일 용량이 큰 영화 같은 것들을 인터넷을 통해 틈틈이 받아 사용자가 원할 때 볼 수도 있다. 실제로 푸쉬기법이라 불리는 것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를 체크하여 데이터를 가지고 오는 폴링(Polling)방식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설정값에 따라 인기있는 인터넷 사이트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잘 정리하여 효율적인 북마크 제공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북마크 추천을 통해 유용한 인터넷 사이트 정보를 타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도 6을 제외한 도 2 ∼ 도 9의 부분 도면의 관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북마크 파일 추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천 북마크 파일 수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기법을 이용한 북마크 파일 다운로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및 관련사이트의 출력 및 북마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북마크 데이터의 변수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천받는자의 북마크파일 수신창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및 관련사이트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주 광고등록 및 입금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북마크 정보 교환을 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컴퓨터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북마크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서버를 이용하는 북마크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북마크 관련 변수를 전송받는 제 1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송받은 북마크 관련 변수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유효성 판단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클릭수가 적은 북마크의 삭제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할 북마크 개수를 파악하는 제 3단계; 상기 전송받은 북마크 관련 변수를 이용해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인기 북마크를 정리하는 제 4단계; 및 제 3단계에서 파악된 개수의 북마크를 제 4단계에서 정리된 인기 북마크에서 추출하여 서버 푸쉬기법을 이용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에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사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카테고리(Category) : 카테고리란 일반 검색엔진들에서 사용되는 사이트 분류법으로, 같은 범주의 사이트들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등으로 분류하는 방식이다. 검색 사이트 접속시 최초로 보이는 카테고리 메뉴들이 있는데, 이들 중 예로서 컴퓨터와 인터넷이란 카테고리를 클릭 하여 1차 카테고리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가 붙지 않은 것은 최종 카테고리로서 이곳을 클릭하면 바로 주소들이 나오게 된다. 만약 '@'가 붙은 것을 클릭 하게 되면 이 안에는 또 다른 카테고리가 나오게 된다. 이 1차 카테고리 내부에 있는 분류들을 2차 카테고리라 하며 '@'를 클릭하고 들어갔을 때 나오는 또 다른 카테고리들을 3차 카테고리라 한다.
HOT(핫) : 본 발명에서는 도 6에 나와 있는 변수들을 기록한 데이터를 통틀어 HOT이라 부른다. 사용자 개개인의 도 6에 나오는 변수에 기록되는 서핑 데이터를 MiniHOT이라 하며 전체 사용자의 서핑 데이터를 BigHOT이라 한다.
LB : 최종 카테고리에 북마크 할 수 있는 카테고리별 최종한계(Limited Bookmark) 기본적으로는 북마크 최종 카테고리에 북마크할 수 있는 파일의 최종 개수를 말하며, 이는 사용자의 인터넷 관심 및 취향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이는 푸쉬기법에 의해 자동으로 서버로부터 북마크 파일을 전송 받을 때 무한대로 받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지정한 일정 개수만 받아 북마크 자체를 정보의 홍수로 만들거나 시스템에 부담을 주는 사태를 막기 위한 것이다.
B : 현재 각각의 카테고리에 북마크되어 있는 각각의 북마크 파일의 개수이며, 이는 사용자의 북마크 최종 카테고리에 현재 북마크 되어있는 파일의 개수를 말한다. 자동으로 북마크 되는 경우 LB값과 이 수치가 같아질 때, 푸쉬 북마크 행위는 자동으로 중지되며, 사용자의 수동 북마크에 의해 북마크 공간이 필요할 시에는 LB가 자동으로 수동 북마크 요청 공간만큼 증가하게 된다(LB = LB + 1).
LV : 한계 클릭횟수 측정기준(Limited visited).
V : 현재 각 북마크 파일을 클릭하여 일정 사이트에 접속한 횟수. 즉, LV값이란 북마크 되어있는 파일들 중에 사용자에게 인기가 없는 사이트는 자동으로 삭제하고, 새로운 주소를 받기 위한 기준으로 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질 수 있다. V값은 LV값보다 커질 수 있으며, 단지 V값이 LV값보다 작을 경우 해당 북마크를 지우고, 새로운 주소를 전송 받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사용자에 의한 수동 북마크를 하게 되는 경우는 동적으로 주소 변수 공간이 생성되며, 이곳에서 수동북마크인지 푸쉬 기법에 의한 자동북마크인지를 표시하여 수동북마크가 지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북마크 파일 : 기존의 기술로는 주소 값과 간단한 설명이 들어있는 파일로서 이는 브라우저에서 북마크로 실행되어질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북마크 파일이란 도면 6과 그에 대한 상세설명에서 정의하는 변수를 포함하고 있는 북마크 파일이다.
필터링 : 가입자(회원)에게는 아래에서 설명할 핫(인기) 과정을 거친 북마크 파일을, 비가입자(비회원)에게는 사이트에 관한 일반적인 북마크 파일을 푸쉬 기법으로 보내는 것을 말한다. 즉, 회원 여부에 따라 핫기능을 이용하여 일반 정보와는 달리 고급화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필터링이란 언어를 사용하게 된다. 이른바 깨끗한 물을 마시기 위해 필터에 물을 걸러 마시는 과정을 생각하면 될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LB값 및 LV값에 의한 사용자의 관심사, V값에 의한 개인의 인기사이트 등을 구별하고 이 정보들을 바탕으로 광고에서 관심 사항을 반영하며, 또한, 이 정보들을 바탕으로 이용 가입자들에게 클릭 값이 높은 즉, 인기도 순서에 따른 북마크파일들을 각 북마크 카테고리에 보내주게 된다. 또한, 개인의 클릭값에 따라 사용자의 서핑정보는 좀더 고급화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광고 및 관련 사이트들을 사용자에 제공하는 것이다.
랜덤(ramdom)방식 : 이는 '무작위로'란 뜻의 우리말과 같은 말로서 일반적으로 쓰인다. 프로그래밍에서 역시 무작위로 어떤 순서를 지니지 않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이유는 가입자와 비가입자 기반에 따라 서비스를 하기 때문이다. 도면 4에서 행해지고 가입자에게 제공되어지는 고급정보인 hot에 의한 정보를 비가입자에게 전송하기 전에 서버에서 후술되어지는 카테고리별 주소들과 섞어서 고급정보(Hot에 의한)에 비해 특성화 되지 못한 일반적인 수준의 정보로 제공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 6을 제외한 도 2 ∼ 도 9의 부분 도면의 관계도이다.
도시된 [단계(102)=도 3] 및 [단계(104)=도 4],[단계(105)=도 5]는 기본적으로 동시에 진행되며 사용자 선택에 의해 단계[(102)=도 3]는 언제든 실행되어질 수 있다.
[단계(101)=도 2]에서 추천자는 자신이 추천할 사람을 지정하여 자신이 원하는 카테고리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여 북마크파일을 보낼 수 있다. 이렇게 서버를 경유하여 보내진 북마크 파일은 [단계(102)=도 3]에서 북마크 추천받은자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브라우저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보내지게 된다. 이 때, 추천받은 사용자는 [단계(103)=도 7]에서 디스플레이 되어지는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안에서 수신된 북마크 파일을 열람하고 자신의 클라이언트 시스템내에 있는 브라우저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북마크 파일로서 허용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단계(104)=도 4]에서는 푸쉬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카테고리별 최종한계량(LB)에 비해 부족한 북마크 파일을 서버에 있는 각각의 카테고리에 관한 인터넷 주소 DB로부터 전송받아 사용자의 시스템에 있는 해당 카테고리에 저장한다.
[단계(105)=도 5]에서는 사용자가 푸쉬된 북마크 파일을 이용하여 인터넷 서핑을 시작하면, 클릭된 북마크 파일이 속한 카테고리와 관련된 광고 및 사이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적립금 누적과 북마크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단계(106)=도 8]은 [단계(105)=도 5]를 사용자가 실제 실시예에서 열람하게 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 곳에 디스플레이되는 베너광고 및 추천자 북마크 파일의 표시(아이콘 및 착색법 등)는 광고주(107)의 광고의뢰비 입금(108)에 의해 이루어지며, 광고 의뢰후 입금이 이루어지지 않을시 단계(109)와 같이 입금을 촉구하는 E-mail을 전송하게 된다.
이하 도면간의 설명에서 도면 몇 번의 어떤 단계 수행후 종료되고 다른 도면 몇 번으로 진행된다는 것은 컴퓨터 내부에서 일어나는 일을 다루었기에 실제 도면의 관계를 설명의 편의상 이어진다는 표현으로 기술한 것이며 실제로는 도 1과 같은 관계를 지니고 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북마크 파일 추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의 추천하는 과정과 도 3의 추천 받는 과정은 상호 연관되며, 이 추천하는 과정과 추천받는 과정은 가입자 기반으로 제공되어진다.
추천자는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북마크 추천 기능을 선택하고 추천자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추천자 수행영역 화면에서 추천할 북마크 파일의 카테고리가 있는 곳으로 들어가서 디스플레이된 북마크 파일의 원하는 사이트 설명을 마우스로 지정할 수 있다(201).
추천하고자 하는 카테고리와 주소지정이 완료되면 추천받을 사람의 ID 및 E-mail주소 등을 지정한다(202). ID로 지정하게 되는 경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추천받는자 수행영역 화면에서 도 7과 같이 보여지게 되며, E-mail로 발송되는 경우 추천되어지는 주소의 도메인에 해당되는 회사의 광고DB를 거쳐 광고가 있는 경우 광고와 함께 발송되며 광고 DB에 없는 경우 기타 광고와 함께 발송되어지게 된다.
단계(203)에서 추천자는 인터넷 페이지의 html 문법의 title 태그부분과는 별도로 북마크 파일의 용도를 기입한다. 이는 도 7의 용도 부분에 디스플레이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부분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은 추천자의 수동입력 및 title 태그에서 읽어들인 부분일 수도 있다.
단계(204)는 추천자에 의해 설정되어진 카테고리 정보와 해당 주소의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부분으로 해당 주소값 및 추천자의 지정 카테고리 클릭 횟수정보와 사이트의 설명부분 및 용도부분을 전송하게 된다.
단계(205)는 서버내 수행과정으로 추천자로부터 수신된 주소가 도메인(또는 IP) 부분인지 아닌지를 비교 검토하게 된다.
예를 들어 http://www.yahoo.co.kr이나 http://www.yahoo.co.kr/index.htm 이라면 도메인 부분에 해당되며 index.htm 및 main.htm, default.htm 등도 도메인으로 인식되어 수행되어질 수 있다. 도메인일 경우는 단계(207)로 진행되고, http://www.netian.com/~emidyeon/index.htm과 같이 도메인으로만 이루어진 주소가 아닐 경우에는 단계(206)으로 진행된다.
단계(206)에서는 http://www.netian.com/~emidyeon/index.htm 등의 긴 주소와 함께 서버에서 자동으로 도메인 부분인 http://www.netian.com을 추가 생성하여 저장한다.
단계(207)에서는 이렇게 얻어진 주소들에 추천자 북마크 파일임을 알리는 추천자 표식을 추가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는 도 7에서 추천받은자가 북마크 단추를 클릭하게 되는 경우, 이때 브라우저의 북마크 디스플레이시 북마크 추천자 표식을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추천자 북마크의 표식은 광고주 입금 여부에 따라 착색법 및 아이콘 등으로 표시되며, 입금이 확인되는 경우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내의 추천자 표식으로 사용자 북마크파일의 착색법을 지원하거나 해지하고 경우에 따라 아이콘 추가 등의 방법으로 적립금을 지원하게 된다.
이후 서술되는 도 5의 과정에서 ID 확인 후 서버에서 추천자 표식 추가 작업한 내용을 검출하고, 사용자가 추천자 표식과 관련되는 사이트를 방문할 경우 관련사이트 팝업창내의 소정영역에 이 표식을 첨가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단계(208)에서는 상기 추천 주소에 대한 추천자의 북마크 클릭수를 읽어들여 중요도로 표시하게 되며, 이 데이터를 저장한다. 추천받은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209)을 하면 단계(210)에서 서버 푸쉬(push)기법을 사용하여 추천자가 보낸 데이터를 추천받은자의 시스템내에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송하며, 추천받은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이를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추천 북마크 파일 수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상기 도 2의 단계 209 ∼ 210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며, 추천 과정과 추천받는 과정을 가입자 기반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추천받은자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로그인 과정을 통해 가입자 여부를 확인(301)받는다. 가입자가 아닌 경우 이는 도 3의 종료로 진행되어지며, 가입자인 경우 단계(302)를 수행하게 된다.
단계(302)에서 서버에 수신된 추천 마크가 부여된 북마크가 있는지 내부적으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 확인하고, 추천 마크 부여된 것이 없거나 단계(302)가 수행되기 전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사용자로부터 추천 북마크 파일의 수신 거부 요청이 있는 경우(303)에는 수행 없음을 알리고, 바로 서버로 신호를 보내 푸쉬기법에 의한 파일의 전송 요청을 하게 된다. 이는 이하 도 4에서 후술하도록 하며, 상기 확인(302)결과 추천 마크 부여된 북마크가 있는 경우에는 단계(304)로 진행된다.
단계(304)에서는 푸쉬기법을 이요하여 서버로부터 수신되어진 파일을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저장한 후 자동으로 사용자 시스템내에 있는 북마크파일과의 일치여부 및 유사한 북마크 파일이 있는지를 점검하고, 유사 카테고리에 북마크 파일이 있는 경우에는 도 7과 같은 출력화면을 활성화시키고 추가로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일치파일 및 유사파일이 있는 경우 카테고리 위치를 저장하여 사용자 요구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단계(305)에서 사용자의 추천북마크 파일 확인 요청이 있으면 단계(306)으로 진행된다.
단계(306)에서 추천 마크를 도 7과 같이 디스플레이 하게 되는데, 이는 3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존에 주소가 일치하는 북마크 파일이 있고 추천자 북마크 파일 표식이 있는 경우는 단계(307)을 경유하여 이후 작업을 수행하며, 기존에 주소가 일치하는 북마크 파일이 있고 추천자 북마크 표식이 없는 경우는 단계(312)로 경유하여 이후 작업을 수행하며, 북마크 파일이 없고 추천자 마크가 없는 경우는 단계(315)로 경유하여 이후 작업을 수행한다.
단계(307)의 이후 단계(308)에서는 추천자로부터 전송되어진 카테고리가 추천받은자의 기존 브라우저내에 있는 카테고리와 일치하는지 검토한다. 카테고리가 일치할 경우 도 3의 종료로 진행되어지며, 카테고리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계(309)로 진행된다. 단계(309)에서는 북마크를 할 카테고리의 한계북마크값과 현재 해당 카테고리내 포함되어진 북마크 파일 개수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한계북마크 파일의 개수가 현재 북마크파일 내포개수보다 많을 때는 단계(311)로 진행되며 한계북마크 파일의 개수가 현재 북마크파일 내포개수보다 적을 경우는 단계(310)으로 진행되어 한계 북마크 파일의 개수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조절하게 된다. 이후(320)에서 추천자 지정 카테고리와 서비스 제공자 지정 카테고리에 자동으로 북마크 파일을 더할 수 있으면 더하게 된다.
단계(312)이후 단계(313)에서는 추천받은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사용자가 추천자 북마크 표식을 추가할 것인지 사용자에의해 결정하게 된다. 추천받은자가 북마크 단추를 클릭 하게 되는 경우 기존의 북마크 파일이 추천자지정 카테고리 및 서비스사 지정 카테고리외의 다른 카테고리가 있는지를 자동으로 검토한 후 추천자 표식을 추가(314)하고 저장(320)하게 된다.
북마크가 없고 추천자 마크 표식이 없는 경우 단계(315)를 경유하여 단계(316)에서 북마크할 것인지를 질의한 후 사용자가 지정하려는 카테고리 및 서비스사 지정 및 추천자 지정 카테고리에 저장하기 위해 단계(317)에서는 LB 〉 B 즉, 각각의 카테고리의 한계 북마크 파일 개수가 현재 각각의 카테고리에 내포하고 있는 북마크 파일 개수보다 큰지를 비교하여 큰 경우 단계(319)로 진행되고 작은 경우는 단계(318)로 진행되어 해당 카테고리의 한계 북마크 파일 개수(LB)를 증가 시킨 후 북마크 파일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단계(319)에서 사용자가 수동 북마크를 할 것인지 선택하도록 하고, 수동 북마크를 선택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카테고리에 저장하게 되며, 사용자에 의해 삭제되기 전에는 자동으로 삭제되지 않는 영구 북마크 변수를 취득하게 된다. 그렇지 않고 자동 북마크를 할 경우에는 자동으로 추천자 지정 카테고리와 서비스제공자 위치에 저장(320)되게 된다.
단계(320)이 완료되면 이후 도 4의 수행과정을 거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기법을 이용한 북마크 파일 다운로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가입자인 경우와 비가입자인 경우를 차별화하여 고급정보 필터링 과정을 거쳐 제공되어지는 과정이다.
단계(401)에서는 회원과 비회원의 서비스 차별화를 위해 분기되는 부분이며, 단계(402)는 일반정보의 필터링을 통한 고급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회원으로부터 도 6의 북마크 관련 변수 즉, 각 북마크 파일들이 지니고 있는 변수값과 각 카테고리들이 지니고 있는 변수값을 검출해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이며, 단계(403)은 회원이 아닌 경우 도 6의 북마크 관련 변수 중 각 카테고리들이 지니고 있는 변수값을 검출해서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이다.상기 북마크 파일과 연관되는 변수값이란 URL변수, 설명변수, 카테고리변수, 클릭변수, 수동북마크 변수 및 친구추천마크 변수를 말하며, 상기 카테고리들이 지니고 있는 변수값이란 LB값과 LV값을 말한다.
상기 402, 403과정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단계 404로 진행된다.
단계(404)에서 각각의 카테고리의 한계북마크 개수(LB)와 해당 카테고리들이 포함하고 있는 북마크 파일의 개수(B)를 비교하여 분기한다. LB 〉 B이면 더 많은 파일을 얻기 위해 단계(405)로 진행되고, LB ≤B인 경우는 단계 (406)으로 진행한다. LB 〉 B면 현재 해당 카테고리에 북마크를 다섯 개까지 할 수 있다(LB)고 가정할 때 카테고리 내에 포함하고있는 북마크 파일의 개수를 세 개(B)라면 아직 북마크 파일 두 개를 더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북마크 파일을 더얻기 위해 단계(405)로 진행되어지는 것이다. LB ≤B이면 단계(406)으로 진행되어지는 이유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푸쉬 기법에 의한 자동 북마크에 관해서 지정한 해당 카테고리에는 북마크 파일을 다섯 개만 받도록 지정되었는데 내포하고 있는 파일의 개수도 역시 다섯 개로 체크되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LB 〉 B일 때는 단계(404)를 거쳐 단계(405)로 진행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LB - B를 각각의 카테고리마다 연산하여 각각의 카테고리에서 부족한 북마크 파일의 개수를 검출하게 된다. 이렇게 검출된 부족한 북마크 파일의 개수와 카테고리를 단계(409)로 보내어 저장하는데, 이 값은 단계 (406)을 통해 (408)까지 거치는 과정에서 검출되는 값과 단계(409)에서 더해지게 된다. 역시 LB ≤B인 경우는 B를 저장할 공간의 과부족이기 때문에 푸쉬 기법에 의한 자동저장 용량의 한계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한계에 달한 카테고리에서는 더 이상 푸쉬 기법에 의한 자동 북마크가 수행되어지지 않는다.
단계(406)에서는 각각의 카테고리마다의 한계 방문(클릭)횟수(LV)와 각 북마크 파일, 즉 북마크 파일화 되어있는 각 사이트 서버로의 접근 횟수인 클릭수(V)를 비교 처리하게 된다. 이곳에서 언급되어지는 값은 실제 V가 LV보다 클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단지 LV의 값은 V가 지정 방문횟수(LV)의 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푸쉬 기법에 의한 자동 북마크 중에 그 LV 〉 V에 따라 해당 주소 및 그 해당 변수 값을 삭제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세히 서술하면 사용자가 yahoo.co.kr의 LV를 3으로 지정했을 때 LV 〉 V하다는 것은 사용자가 yahoo.co.kr에 3번 이상 방문치 않으면 이 해당 주소값 및 해당되는 변수들의 삭제작업을 수행하라는 것이며, LV ≤V면 3번 이상 방문하였다는 뜻으로 그만큼 해당 프로그램 사용자에게는 중요하거나 관심주소라는 말이므로 지우지 말라는 뜻이다. 즉, 이는 푸쉬기법을 이용한 자동 북마크에 의한 삭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한정짓는 작업이다.
한마디로 단계(406)은 이 삭제할 파일과 삭제할 파일의 카테고리 위치 등을 검출해내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 수동으로 북마크한 파일이 함께 포함될 수도 있으므로, 수동북마크 변수가 있는지를 비교 검토하여 수동북마크인 경우 검출에서 제외한다. 일정기간 동안 LV ≤V인 카테고리가 있다면 단계(407)로 진행된다. 단계 (407)에서는 이 검출된 카테고리값과 북마크 파일 개수값을 저장하고 변수들을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내의 휴지통(윈도우의 휴지통과 같은 개념)으로 보내고 해당 카테고리내에서 가장 하위에 위치하고 있는 북마크 밑에 착색되어진 또는 아이콘 등으로 표현되어진 공간을 마련한다.
단계(408)에서 이 삭제되어진 파일들로 인해 생성된 빈 공간들을 기존에 그 카테고리내의 북마크 파일의 원래 위치 순서대로 올려준다. 이렇게 단계(407)과 단계(408)을 경유하고 나면 기존의 인기 없는 사이트에 대한 주소값 및 변수값들(사용자가 지정한 LV 〉 V인 주소에 해당되는 변수 값들)만 지워지고 빈틈없이 채워진 후 맨 아래에는 일정 아이콘, 즉 new라는 기호가 뜨거나 또는 착색되어진 방법 등으로 빈 공간이 마련된다.
이렇게 단계(407),(408)을 경유후 단계(409)로 이 지워진 카테고리값 및 지워진 개수에 관한 데이터를 보내주게 된다. (409)에서는 이 값을 받아 각각의 카테고리마다의 LB - B의 값과 카테고리별로 정리 취합하여 이 값을 서버로 전송한다. 그 후 서버에서는 동시에 이 개수 값을 토대로 단계(410)부터 (412)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작업한다.
단계(410)에서는 사용자(클라이언트 프로그램)로부터 요청된 각각의 카테고리와 각각의 파일 개수를 검출한다. 이어지는 단계(411)에서는 전체 가입자중 이 북마크 요청이 들어온 카테고리 값들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용자의 카테고리들(LB가 가장큰) 및 각각의 해당 카테고리에서 클릭 값이 가장 많은 사용자들의 카테고리를 뽑아내게 된다.
이후 단계(412)에서는 전체 사용자중 검출되어진 사용자들의 각각의 카테고리들의 클릭값이 큰 주소 값들을 취합 정리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들에게서 각각의 카테고리에 관한 방문횟수로 측정한 각 사이트(분야) 주 방문자 전문가들(이른바 정보전문가)에게서 인기 있는 사이트를 전달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단계(413)에서는 회원과 비회원의 서비스에 차별을 두게 되는데 회원인 경우 단계(412)에서 얻어진 정보를 그대로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되며 회원이 아닌 경우 필터링을 거쳐서 해당 카테고리들에 집어넣을 주소를 서버내 동일 카테고리에 있는 기타 주소와 무작위로 섞는 필터링 작업을 하여 인기순이 아닌 카테고리내의 일반 북마크 파일들을 취합하는 작업을 단계(414)에서 하게 된다. 회원의 경우는 필터링(HOT)을 통한 고급 정보를 가지고 곧장 단계(415)를 거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전송한다. 단계(416)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전송 받은 주소를 카테고리값별로 분류하여 정리하며 위치는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단계(408)에서 빈 공란으로 남겨둔 공간에 주소값 및 기타 변수값들을 채워주게 된다.
단계(417)에서는 단계(410)에서 요청했던 북마크 개수들을 모두 채웠는지 검토하고 모두 채워졌으면 도 4의 종료로 진행되고 채워지지 않았다면 해당 카테고리 값과 모자라는 개수값을 프로그램내에서 취합 정리한 후 단계(412)로 진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및 관련사이트의 출력 및 북마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가입자 뿐만아니라 비가입자도 추천자북마크와 관련된 추천북마크 파일 송신, 추천받은 북마크 열람 및 기타 선택 확인사항의 작업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도 5로 곧장 넘어오게 된다.
도 5에서는 북마크를 통해 서핑을 하면 사용자가 접근하려는 사이트 옆의 소정영역에서 광고 및 추천사이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열람하게 하며, 이를 통한 적립금 적립과 북마크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북마크를 통한 사용자의 서핑이 시작(501)되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한 로그인 과정을 통해 회원 여부를 확인(502)하여 서비스 내용을 구분하게 된다.
비회원의 경우와 회원의 경우를 따로 분류하여 설명하겠다.
비회원의 경우는 광고 DB 서버를 거치며 사용자가 접근한 해당 카테고리에 맞는 광고 데이터를 로드(503)하고, 이후 단계(504)로 진행하여 관련사이트 DB서버를 경유하면서 해당 카테고리에 맞는 사이트들을 취합하게 된다. 이 때 도 4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랜덤방식 또는 회원 인증여부에 의한 제외 등에 의해 HOT DB의 접근이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관련사이트 역시 카테고리와 관련된 사이트일 뿐 인기 사이트 순서는 아니다.
이후 단계(505)에서 상기 로드된 광고와 취합된 관련 사이트를 팝업창 등을 이용하여 소정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단계(506)에서는 이후 설명할 회원과는 달리 광고를 팝업 또는 클릭 하든지에 상관없이 클릭한 사이트로 접근하는 경로만 제공해준다.
단계(507)에서 사용자가 북마크 단추를 누르게 되면 수동 북마크로 진행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수동 북마크를 할 경우 사용자가 북마크할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접근하게 되며, 자동 북마크를 할 경우에는 광고주가 원하는 카테고리 및 본 발명의 실시사가 기본으로 지정하는 카테고리에 북마크(511)된다. 북마크 시 LB 〉 B인지 판단(508)하여 LB ≤B 일 경우에는 LB = LB + 1 과정(509)을 통해 각각의 카테고리 내에 포함할 수 있는 북마크 파일의 개수를 필요한 만큼 자동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이후 단계(510)로 진행되어 북마크(510) 되어진다. LB 〉 B의 경우는 상기 LB = LB + 1 과정(509) 없이 북마크(510)되게 된다.
회원의 경우에는 북마크를 통한 접근 시 고급정보 제공을 위한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카테고리 정보를 얻고 이를 바탕으로 HOT DB서버를 경유(512)한다. 여기서, MiniHOT DB에 쌓인 개인의 클릭값 및 카테고리값들을 분석하여 정리하고, 사용자 접근 카테고리정보를 바탕으로 BigHOT DB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접근하려는 사이트를 이용했던 다른 사용자들의 카테고리내 북마크 클릭값을 검출한다. 이후, 광고 DB 서버로부터 상기 분석된 값에 따른 카테고리 관련 광고와 카테고리와 별개인 개인의 취향에 맞는 광고를 검출(513)해내고, 관련사이트 DB 서버 및 추천사이트 DB 서버로부터 인기순위별 관련 사이트를 취합(514, 515)한다. 상기 513 ~ 515를 경유하며 얻어진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관련 사이트 및 관련 광고들을 팝업창 등을 이용하여 화면의 소정영역내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단계(517)에서는 베너광고가 다 떴는지를 확인하며, 베너광고가 뜨지 않았을 경우 뜰 때까지 지연된다. 이후 베너 광고가 다 뜨게되면, 단계(518)로 진행하여 가입자 아이디로 일정 비율의 팝업광고비가 누적되게 된다. 이후, 단계(519)로 진행되어 사용자의 광고클릭 여부를 판단하고, 광고를 클릭하지 않을 시는 단계(521)로 진행되며 클릭할 경우 단계(520)으로 진행되어 광고 클릭 적립금이 누적된다. 이 때, 클릭한 광고 중 추천자 북마크 표식을 이용한 광고 사이트를 클릭 하게 되는 경우 적립금의 일정 비율에 따라 추천받은자(즉, 클릭한자)와 추천한자의 양쪽 ID로 적립금이 누적되는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단계(521)에서 북마크를 원할 경우 단계(522)로 진행되어 북마크 할 수 있는 카테고리별 최종한계(LB)와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 될 수 있는 북마크 파일의 개수(B)와 비교하여 LB 〉 B일 경우는 단계(52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필요한 만큼 상기 카테고리별 최종한계값을 증가(523)시켜 북마크 과정(524)을 수행하게 된다.이 때의 북마크 과정은 어떤 내용에 대해 북마크 단추를 클릭 했느냐(525)에 따라 다음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볼수 있다.첫째, 광고에 대한 북마크 클릭(526)일 경우는 광고주 지정 카테고리 및 서비스 제공자 지정 카테고리에 자동 저장되게 된다. 이 경우는 수동의 경우거나 아니거나 상관없이 진행되어진다.둘째, 추천자 표식이 있는 북마크 파일에 대해 북마크를 수행(528)하게 되는 경우는 추천자 지정 카테고리와 서비스 제공자 지정 카테고리 및 추천자 디렉토리 세 군데에 북마크하게 되며 이것 또한 사용자 수동 북마크 지정에 상관없이 북마크 단추를 누름과 동시에 북마크 되어지는 것이다.셋째, 수동으로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북마크(527)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북마크 데이터의 변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서 도 5에 걸치는 작업을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변수들에 대한 설명이다.각 북마크 파일들이 지니고 있는 변수로는 기본적으로 북마크 파일에 존재하는 변수인 URL변수, 설명변수, 카테고리변수, 클릭변수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생성되고 정적으로 저장되는 변수인 수동북마크변수, 친구추천마크변수가 있다.
상기 URL변수는 인터넷 주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해당 주소로 접근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명변수는 HTML내에 있는 title태그를 읽어들여 저장된 기본 설명 및 /또는 사용자들에 의해 수동으로 저장된 설명이다.
상기 카테고리 변수는 푸쉬기법에 의해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사용자의 북마크 부분에 지정된 각각의 카테고리별로 밀어주기위한 것이며, 이는 또한 가입자에게 HOT DB를 이용하여 고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변수이다.
상기 클릭변수는 클릭변수를 통해 인기도를 평가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통해 고급정보를 가입자에게 밀어주게 된다.
상기 수동북마크 변수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북마크된 북마크 파일에 일정 변수를 첨가하는 것이며, 이 북마크 파일이 일정기간내에 LV 〉 V인 경우에도 지워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동적으로 공간이 생성되며 정적으로 저장된다.
상기 친구추천 마크변수는 사용자에 의해 친구추천 마크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며 변수는 동적으로 생성되어 정적으로 저장된다.
각각의 카테고리들이 지니고 있는 변수로는 LB 및 LV에 대한 변수가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임의로 북마크 할 파일개수 및 자동북마크로 삭제하고 새로운 주소 북마크 파일들을 지워진 공간에 채우게 하기 위한 값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천받는자의 북마크파일 수신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이디 : 아이디는 어느 사람으로부터 왔는지를 판별하여 스펨메일 등을 구별해내기 위한 것이다.
주소창 : 주소창은 추천자로부터 온 주소 그대로를 보여주는 곳이다.
주소창옆 체크창 : 이 체크창을 선택 또는 체크 창을 해제함에 따라 사용자는 북마크와 삭제 등을 행할 수 있다.
도메인창 : 이는 친구 추천창 광고주를 위한 것이며 이는 광고주의 입금시 나타나게 된다. 이는 광고주의 추천 주소에 포함되어 있는 도메인 부분을 서버에서 검출해낸 것이며, 이 과정은 상기 도 2(추천자 북마크 파일 송신부)에서 설명하였다.
도메인 체크창 : 이 체크 창을 선택 또는 체크 창을 해제함에 따라 사용자는 북마크와 삭제 등을 행할 수 있다
설명창 : 이곳은 추천자가 수동으로 입력한 설명이거나 홈페이지 내에 내포 되어있는 HTML의 title부분을 읽어들인 결과이다.
인기도 : 인기도는 추천자의 클릭 값에 따라서 보낸 사이트의 중요도를 내포하고 있다.
받은 일시 : 추천자가 북마크 파일을 보낸 일시를 표시한다.
북마크하기, 삭제 및 기존북마크내 포함여부 및 추천자 북마크 표식 유무사항으로 분류되어 진행된다. 삭제할 경우는 사용자에 의해 추천자 마크로 온 것만을 삭제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고 및 관련사이트 출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두 광고창중의 한곳에는 사용자가 접근하려는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카테고리 광고가 뜬다. 또한, 광고창중의 한 곳에는 카테고리가 아닌 HOT DB에 의한 사용자 개인의 취향에 맞는 광고가 뜨게 된다.
관련사이트부에는 가입자에게는 hot DB를 거쳐 전체 사용자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필터링된 관련사이트가 뜨게 되며, 비가입자에게는 카테고리에 따른 일반적인 관련사이트가 뜨게 된다.
친구 추천 북마크에는 추천자 표식을 포함한 사이트 설명 또는 사이트 이름 및 주소가 뜨게 된다. 이 표식은 두 가지 상태로 나뉘어 있다. 광고주 입금시 활성 상태로 광고주 비 입금시 비활성 상태 등으로 표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주 광고등록 및 입금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901)에서 광고주의 사이트 방문이 있을 때, 단계(902)에서는 광고주의 광고등록 신청이 시작된다. 단계(903)에서 광고주는 자신의 사이트의 IP를 입력하고, 단계(904)에서 BigHOT DB의 광고주 사이트의 카테고리별 클릭분포만을 보고 자사 사이트의 인지 분야를 열람한다.
또한, 단계(905)에서 광고주는 북마크 파일 추천자들의 용도를 통해 자사 사이트의 다른 용도에 대한 인식을 하게된다.
단계(906)에서는 (904)와 (905)를 거쳐 광고주 회사의 인기 카테고리를 검출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한다.
단계(907)에서는 세가지중 원하는 광고부분을 선택하게 된다. 단계(908)에서는 북마크 추천자 표식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909)에서는 관련 카테고리별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910)에서는 HOT DB를 통한 개인 취향 광고를 할 수 있다.
단계(911)에서 광고주는 상기 세가지 중 선택한 광고를 전송한다. 그리고, 결제수단을 입력한다.
단계(912)에서 입금여부를 확인하고, 광고주가 일정 기일내 입금하지 않았을 경우 단계(913)으로 진행하여 입금요청 E-mail을 보낸다. 광고주가 입금했을 시 단계(914)로 진행하여 광고를 광고 DB에 올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HOT DB를 경유하면서 각 개개인에 적합한 북마크 및 관련 사이트 그리고 광고가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 개개인에 적합하고 정확한 그리고 자신이 인터넷에서 찾고자 하는 정보의 주소를 앉은 자리에서 인기 순서대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북마크의 설명부를 통한 인터넷 검색이 가능하다.

Claims (13)

  1. 북마크 정보 교환을 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구비된 사용자 컴퓨터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북마크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서버를 이용하는 북마크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컴퓨터의 북마크 관련 변수를 전송받는 제 1 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전송받은 북마크 관련 변수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 2단계;
    제 2단계의 유효성 판단에 따라 상기 서버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클릭수가 적은 북마크의 삭제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할 북마크 개수를 파악하는 제 3단계;
    상기 전송받은 북마크 관련 변수를 이용해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인기 북마크를 정리하는 제 4단계;
    제 3단계에서 파악된 개수의 북마크를 제 4단계에서 정리된 인기 북마크에서 추출하여 서버 푸쉬기법을 이용해 상기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는 제 5단계;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북마크를 추천받을 사용자 정보와 추천 사이트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서버에서 상기 입력된 사이트에 대한 카테고리와 클릭값을 상기 사용자 컴퓨터에서 판독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와 함께 추천 북마크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받은 사용자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추천 북마크를 수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북마크 추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2단계의 유효성 판단은
    상기 북마크 관련 변수 중 LB(카테고리별 북마크 최종한계)가 B(북마크 파일개수)보다 큰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북마크 관련 변수 중 LV(한계 클릭횟수 측정기준)가 V(북마크 클릭수)보다 큰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북마크 관련 변수는 URL변수, 설명변수, 카테고리변수, 클릭변수, 수동북마크변수 및 친구추천마크변수로 이루어진 북마크 파일들이 지니고 있는 변수; 및
    LB(카테고리별 북마크 최종한계)와 LV(한계 클릭횟수 측정기준)로 이루어진 카테고리들이 지니고 있는 변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LB(카테고리별 북마크 최종한계)값은 추천 북마크 및 수동 북마크 시 필요한 개수만큼 자동으로 늘어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북마크는 추천된 북마크임을 나타내는 일정 표식이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5단계는 사용자가 비회원일 경우 상기 인기 북마크와 일반 북마크를 섞은 랜덤한 북마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제 5단계를 통해 이루어진 북마크를 사용자가 클릭할 경우, 상기 서버의 해당 북마크 관련 광고 데이터베이스 및 관련 사이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클릭된 북마크 사이트의 소정 화면 영역에 광고 및 관련 사이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출력에 대한 적립금 및 출력된 광고에 대한 클릭 적립금을 일정비율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0-0044948A 2000-08-02 2000-08-02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KR100454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948A KR100454873B1 (ko) 2000-08-02 2000-08-02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948A KR100454873B1 (ko) 2000-08-02 2000-08-02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771A KR20000063771A (ko) 2000-11-06
KR100454873B1 true KR100454873B1 (ko) 2004-11-08

Family

ID=1968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948A KR100454873B1 (ko) 2000-08-02 2000-08-02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7228A2 (ko) * 2010-01-14 2011-07-21 Mun Sangkon 사용자별 풋마크 기반의 컨텐츠 검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070A (ko) * 2001-07-30 2001-09-07 노화용 인터넷 상에서의 북마크 제공방법
KR100442944B1 (ko) * 2001-11-17 200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접속방법
KR20030085622A (ko) * 2002-04-29 2003-11-07 이세룡 사용자의 입력이나 조작이 필요 없는 인터넷 웹페이지즐겨찾기 공유와 이를 이용한 검색 데이타베이스화 방법
KR20020075320A (ko) * 2002-07-23 2002-10-04 주식회사 고고투아이 인터넷 사이트의 맞춤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맞춤서비스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40040145A (ko) * 2002-11-06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접속정보를 갖는 북마크 생성 방법
KR100822106B1 (ko) * 2006-04-17 2008-04-15 김재량 북마크전용서버를 이용한 북마크 추가 및 링크 방법과 그시스템
KR100742303B1 (ko) * 2007-03-22 2007-07-24 피알프로모션 주식회사 인터넷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분석을 이용한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44795B1 (ko) * 2022-01-26 2022-09-19 주식회사 아무랩스 북마크 공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455A (ko) * 1997-11-21 1999-06-25 포만 제프리 엘 명명된 북마크 셋트
KR20000036976A (ko) * 2000-04-03 2000-07-05 박종규 인터넷을 통한 광고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5455A (ko) * 1997-11-21 1999-06-25 포만 제프리 엘 명명된 북마크 셋트
KR20000036976A (ko) * 2000-04-03 2000-07-05 박종규 인터넷을 통한 광고 서비스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7228A2 (ko) * 2010-01-14 2011-07-21 Mun Sangkon 사용자별 풋마크 기반의 컨텐츠 검색 장치
WO2011087228A3 (ko) * 2010-01-14 2011-10-13 Mun Sangkon 사용자별 풋마크 기반의 컨텐츠 검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771A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908B1 (ko)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 모니터링 시스템
US8473855B2 (en) Enhanced search results
US70998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internet search by providing web document layout image
US711123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document objects available to users of a network
US200600369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links associated with a requested website
US20050198068A1 (en) Keyword recommendation for internet search engines
US73867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storing, managing and providing categorized information related to a document object
US9519715B2 (en) Personalized search
US20080288588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using image based tagging
US201100472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nd accessing resources
US20020062323A1 (en) Browser apparatus, server apparatus, computer-readable medium, search system and search method
US20070276803A1 (en) Inline search results from user-created search verticals
US74443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relevant content based on user preferences indicated by user actions
KR20010086259A (ko) 인터넷 검색 엔진
US20130086081A1 (en) Dynamic client side name suggestion service
EP2507734A1 (en) A method for managing a plurality of electronic books on a computing device
US200800160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atent examiners
JP4457471B2 (ja) ブックマークシステム及びブックマークを利用したドキュメント提案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0454873B1 (ko) 푸쉬기법을 이용한 인기순위도별 북마크검색/제공 방법
Lewandowski Understanding search engines
JP2002304568A (ja) 相関アイテム検出方法および装置、お薦めアイテム紹介方法および装置、相関アイテム検出プログラム、お薦めアイテム紹介プログラム
JP5000801B2 (ja) インターネット補助システム
KR100273775B1 (ko) 정보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EP1293907A1 (en) Method for displaying browser screen, display system, and recording medium
JP2001195422A (ja) ブックマーク情報管理による趣味嗜好調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