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212B1 - 밸브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밸브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212B1
KR100454212B1 KR10-2002-0017797A KR20020017797A KR100454212B1 KR 100454212 B1 KR100454212 B1 KR 100454212B1 KR 20020017797 A KR20020017797 A KR 20020017797A KR 100454212 B1 KR100454212 B1 KR 10045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disk
lever
flow path
valve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9039A (ko
Inventor
임원섭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스탠다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스탠다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메리칸 스탠다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2-0017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212B1/ko
Publication of KR20030079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9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sealing faces shaped as surfaces of solid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2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providing a continuous small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slide valves with flat obtur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 레버 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에, 제어 레버가 구비된 레버 지지부, 레버 디스크, 상부 디스크, 하부 디스크, 밀봉부가 순차적으로 밀착 설치되어, 밀봉부와 하부 디스크의 제1 및 제2유입구를 통해 각각 유입된 유입수가 상부 디스크의 요홈부 내에서 혼합되어 하부 디스크와 밀봉부의 혼합수 배출구를 통해 다시 배출되는 구조로 형성된 밸브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하부 디스크의 제1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유입수가 상부 디스크의 상부에 형성된 유로부를 더 통과하여 요홈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제2유입구를 통해 요홈부로 직접 유입된 유입수보다 상대적으로 감압된 상태로 혼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단일 핸들형 혼합 밸브의 사용시 압력차가 있는 2 종류의 유입수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데 있어서, 유입수의 압력차가 그 내부에서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혼합수의 온도 또는 유량 등의 상태가 사용에 적절한 조건으로 용이하게 형성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밸브 카트리지{VALVE CARTRIDGE}
본 발명은 밸브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엌 싱크대 또는 욕실 및 세면기 등에서 사용되는 단일 핸들형 혼합 밸브에 적용되는 밸브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력차가 있는 2 종류의 유입수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데 있어서 유입수의 압력차가 그 내부에서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에 적절한 조건의 혼합수를 용이하게 형성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부엌 싱크대 또는 욕실 및 세면기 등에서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여 적절한 온도의 혼합수를 사용하기 위하여 단일 핸들형 혼합 밸브가 상당수 사용되고 있다.
단일 핸들형 혼합 밸브는 냉온수의 혼합량의 조절과 유수의 개폐를 하나의 핸들로 모두 조작할 수 있도록 한 혼합 밸브로서, 그 내부에 냉수와 온수의 혼합 배출을 위한 밸브 카트리지가 내장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밸브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밸브 카트리지의 상부 디스크의 평면도 및 단면도, 저면도이다.
종래의 밸브 카트리지는, 상부에 레버 구멍(6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개구부(64)가 형성된 하우징(60)의 내부에, 제어 레버(52)가 구비된 레버 지지부(50), 레버 디스크(40), 상부 디스크(30), 하부 디스크(20), 밀봉부(10)가 순차적으로 밀착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각 디스크의 밀착면 사이에는 그리스층을 형성시켜 각 디스크가 보다 확실하게 밀착되면서 마찰시의 윤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부 디스크(20)와 밀봉부(10)에는 제1유입구(22,12) 및 제2유입구(24,14), 혼합수 배출구(26,16)가 각각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와 온수를 카트리지 내로 유입시키고 혼합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데, 밀봉부(10)에 형성된 유입구와 배출구의 상부 테두리에는 패킹(18)이 부착되어 하부 디스크(20)와의 밀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부 디스크(30)의 하부면에는 요홈부(34)가 형성되어 하부 디스크(20)의 제1유입구(22)와 제2유입구(24)를 통과하여 유입된 냉수와 온수가 요홈부(34) 내에서 혼합되어 하부 디스크(20)의 혼합수 배출구(26)를 통해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데, 요홈부(34)의 유입구 측에는 충격 흡수망(36)이 부착되어 고압의 유수의 유입시 충격 발생이나 이에 따른 소음 발생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유수 개폐시의 작동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R 방향으로 제어 레버(52)를 조작하면, 레버 지지부(50)가 하우징(60)의 레버 구멍(62) 내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구속된 상태이므로, 하부의레버 디스크(40)가 F 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레버 디스크(40)의 하부 돌기에 맞물려 구속된 상부 디스크(30)가 함께 F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상부 디스크(30)가 F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하부 디스크(20)에 형성된 제1유입구(22)와 제2유입구(24)가 상부 디스크(30)의 요홈부(34) 일측(충격 흡수망 설치 측)과 유통되어 냉수와 온수가 각각 유입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므로, 하부로부터 유입된 냉수와 온수가 요홈부(34)로 유입되어 그 내부에서 혼합된 후, 요홈부(34)의 타측을 통과하여 하부 디스크(20)의 혼합수 배출구(26)를 통해 혼합수가 배출되게 된다.
즉, 밸브 카트리지 내에서 밸브의 폐쇄시에는 제1 및 제2유입구(22,24)가 밀폐되어 유수가 배출되지 않지만, 밸브의 개방시에는 제1 및 제2유입구(22,24)가 개방되어 유수가 배출되는 구조이며, 혼합수 배출구(26)는 상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혼합수의 온도 조절시의 작동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밸브 카트리지가 상기와 같은 조작에 의해 개방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H 방향으로 제어 레버(52)를 선회 조작하면, 하부의 레버 디스크(40)와 이에 구속된 상부 디스크(30)도 함께 H 방향으로 선회된다.
상부 디스크(30)가 H 방향으로 선회되면, 하부 디스크(20)에 형성된 제1유입구(22) 측 유로는 좁아지고 제2유입구(24) 측 유로는 넓어지게 되므로, 냉수의 유입량은 감소하고 온수의 유입량은 증대되므로 혼합수의 온도가 상승된다.
이와 반대로 C 방향으로 제어 레버(52)를 선회 조작하면, 상기의 작동 관계와 반대 방향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혼합수의 온도는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의 구조로 된 밸브 카트리지는 냉온수의 혼합량의 조절과 유수의 개폐를 위하여 상부 디스크와 하부 디스크의 마찰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구조이므로, 상하부 디스크의 재질로서 일반적으로 내마모성이 뛰어난 세라믹 재질이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밸브 카트리지는 유입되는 냉수와 온수의 압력이 같거나, 큰 차이가 없는 경우에는 사용에 별다른 문제가 없었지만, 냉수와 온수의 압력차가 큰 경우에는 실제 사용상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온수의 압력이 냉수의 압력보다 큰 차이로 작은 값을 갖는 경우에는, 압력이 큰 냉수의 유입량이 증대되어 제어 레버(52)를 정상적인 상태보다 H 방향으로 과도하게 선회 조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혼합수가 40℃ 정도의 온도를 갖는 경우에 적절한 온도인 것으로 체감하게 되는데, 이러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 레버(52)에 연결 설치되는 밸브 핸들이 사용자의 시각에서 볼 때 중앙 위치에 와야 정상적임에도 불구하고, H 방향으로 과도하게 선회 조작된 위치에 있어야 원하는 수온의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온수의 공급이 적절하게 가압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가압 설비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물론 별 문제가 없지만, 온수가 거의 저장조의 수두압에 의해서만 가압 공급되는 일부 설비에서는 특히 이러한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혼합수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제어 레버(52)를 과도하게 선회 조작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혼합수의 유량이 적게 배출된다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 핸들형 혼합 밸브에 적용되는 밸브 카트리지로서, 특히 압력차가 있는 2 종류의 유입수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데 있어서 유입수의 압력차가 그 내부에서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에 적절한 조건의 혼합수를 용이하게 형성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브 카트리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밸브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의 밸브 카트리지의 상부 디스크의 평면도 및 단면도,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의 상부 디스크의 평면도 및 A-A' 부분의 단면도, 저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의 하부 디스크의 평면도 및 B-B' 부분의 단면도,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의 부분 절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밀봉부 112,122: 제1유입구
114,124: 제2유입구 116,126: 혼합수 배출구
118: 패킹 120: 하부 디스크
130: 상부 디스크 132: 유로부
132a: 상승구 132b: 하강구
134: 요홈부 140: 레버 디스크
150: 레버 지지부 152: 제어 레버
154: 레버 축 160: 하우징
162: 레버 구멍 164: 하부 개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레버 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에, 제어 레버가 구비된 레버 지지부, 상기 레버 지지부의 하부면에 밀착되며 제어 레버의 회동 조작시 전후진 방향의 상대운동을 하고 제어 레버의 선회 조작시 선회운동을 하는 레버 디스크, 상기 레버 디스크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일체로 움직이되 하부로부터 유입된 유입수를 혼합하여 다시 하부로 배출하는 요홈부가 하부면에 형성된 상부 디스크, 상기 상부 디스크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제어 레버의 조작시 밀착면에서의 상대운동이 이루어지되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 혼합수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상대 운동에 의해 유입구의 개폐 및 유로 조절이 이루어지는 하부 디스크, 상기 하부 디스크의 하부면에 밀착되며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 혼합수 배출구가 형성되어 카트리지 내로 유입수의 공급 및 혼합수의 배출을 하는 밀봉부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형성된 밸브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하부 디스크의 제1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유입수가 상부 디스크의 상부에 형성된 유로부를 더 통과하여 요홈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제2유입구를 통해 요홈부로 직접 유입된 유입수보다 상대적으로 감압된 상태로 혼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디스크는, 상기 요홈부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하부 디스크의 제1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유입수가 상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상승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승구를 통과한 유입수가 통과하는 유로부가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부를 통과한 유입수가 상기 요홈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하강구가 관통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로부는 상부 디스크의 상부면에 형성된 또다른 요홈부와 그 상부에 밀착되는 레버 디스크의 하부면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디스크의 제1유입구와 상부 디스크의 상승구가 형성하는 유로의 단면적을 상기 하부 디스크의 제2유입구와 상부 디스크의 요홈부가 형성하는 유로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되도록 형성하여, 제1유입구를 통과하는 유입수가 더욱 감압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디스크의 제1유입구를 제2유입구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1유입구를 통과하는 유입수가 더욱 감압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부는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보다 고압이 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의 상부 디스크의 평면도 및 A-A' 부분의 단면도, 저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의 하부 디스크의 평면도 및 B-B' 부분의 단면도,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의 부분 절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종래의 밸브 카트리지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는, 상부에 레버 구멍(16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개구부(164)가 형성된 하우징(160)의 내부에, 제어 레버(152)가 구비된 레버 지지부(150), 레버 디스크(140), 상부 디스크(130), 하부 디스크(120), 밀봉부(11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60)의 양측면 하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걸림 구멍이 각각 형성되는데, 최저단을 구성하는 상기 밀봉부(110)의 양측 상부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가 각각 걸림 고정되어, 카트리지의 전체 요소가 하우징(160) 내에 밀착 설치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160)의 레버 구멍(162)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레버 지지부(150)에는 제어 레버(152)가 레버축(154)에 의해 회동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 레버축(154)을 중심으로 제어 레버(152)가 회동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회동에 의해 상기 제어 레버(152)의 하단부가 맞물린 하부의 레버 디스크(140)와 그 하부면에 밀착된 상부 디스크(130)가 도면의 F 또는 R 방향으로 전후진 방향의 상대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레버(152)가 H 또는 C 방향으로 선회 조작되면, 레버 디스크(140)와 그 하부면에 밀착된 상부 디스크(130)는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상부 디스크(1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레버 디스크(14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일체로 움직이는데, 그 하부면에는 하부로부터 유입된 유입수를 혼합하여 다시 하부로 배출하는 요홈부(134)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밸브 카트리지에서는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의 단면적의 크기가 동일하며 동일한 유로를 거쳐 상부 디스크의 요홈부로 공급되어 혼합 배출되는 구조였기 때문에, 일측(본 실시예에서는 제1유입구 측) 유입수의 압력이 과도하게 큰 경우에는 압력이 작은 측(본 실시예에서는 제2유입구 측)의 유입수가 압력이 큰 측의 유입수에 의해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도록 방해를 받거나, 심한 경우에는 압력이 작은 측의 유입구로 역류가 발생하는 경우마저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 디스크(120)의 제1유입구(122)를 통해 공급된 유입수가 상부 디스크(130)의 상부에 형성된 유로부(132)를 더 통과하여 요홈부(134)로 유입되도록 하여, 제2유입구(124)를 통해 요홈부(134)로 직접 유입된 유입수보다 상대적으로 감압된 상태로 혼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디스크(130)에는 상기 요홈부(134)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하부 디스크(120)의 제1유입구(122)를 통해 공급된 유입수가 상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상승구(132a)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승구(132a)를 통과한 유입수가 통과하는 유로부(132)가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부(132)를 통과한 유입수가 상기 요홈부(134)로 공급되도록 하는 하강구(132b)가 관통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로부(132)가 상부 디스크(130)의 상부면에 형성된 또다른 요홈부와 그 상부에 밀착되는 레버 디스크(140)의 하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는데, 유로부(132)를 형성하는 상부의 또다른 요홈부의 형상은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상승구(132a)와 하강구(132b)를 연결하면서 제1유입구(122)측의 유입수를 적절하게 감압시킬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유로부(132)는 상기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한 형태로 변형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로부(132)를 형성하는 또다른 요홈부가 레버 디스크(140)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상부 디스크(130)의 상부면에는 요홈부를 형성시키지 않는 구조일 수도 있으며, 레버 디스크(140)의 하부면과 상부 디스크(130)의 상부면 모두에 요홈부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레버 디스크(140)와 상부 디스크(130) 사이에 유로부(132)가 형성된 별도의 디스크를 삽입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의한 구조에서는 레버 디스크(140)의 하부면에 패킹(도면 미도시)을 설치하여 상부 디스크(130)와의 밀착에 의해 형성된 유로부(132)의 누설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 디스크(130)의 하부면에는 제1유입구(122) 및 제2유입구(124), 혼합수 배출구(126)가 형성된 하부 디스크(120)가 밀착되는데, 하부 디스크(120)에서는 상기 제어 레버(152)의 조작(회동 조작 또는 선회 조작)시 상부 디스크(130)와의 밀착면에서 발생하는 상대운동에 의해 제1 및 제2유입구(122,124)의 개폐 및 유로 조절이 이뤄지게 된다. 제어 레버(152)의 조작에 의한 제1 및 제2유입구(122,124)의 개폐 및 유로 조절 작용은 종래의 밸브 카트리지와 거의 동일하게 이뤄지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하부 디스크(120)의 하부면에는 밀봉부(110)가 밀착 설치되는데, 하부 디스크의 각 유입구 및 배출구와 일치하는 위치에 제1유입구(112) 및 제2유입구(114), 혼합수 배출구(116)가 각각 형성되어 카트리지 내로 유입수의 공급 및 혼합수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각 유입구 및 배출구의 접속부에는 패킹(118)이 각각 설치되어 유입수 및 배출수의 누설이 확실하게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유로부에 의한 감압과 함께 본 발명에서는 압력이 높은 측 유로의 단면적을 압력이 낮은 측 유로의 단면적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하여, 유로부에 의한 감압 전에 1차적인 감압이 먼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디스크(130)의 상승구(132a)의 단면적을 요홈부(134)의 제2유입구(124)측 유입부(134a)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고, 또한 하부 디스크(120)의 제1유입구(122)를 제2유입구(124)보다 작게 형성한다.
즉, 하부 디스크(120)의 제1유입구(122)와 상부 디스크(130)의 상승구(132a)가 형성하는 유로의 단면적을 하부 디스크(120)의 제2유입구(124)와 상부디스크(130)의 요홈부(134)가 형성하는 유로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되도록 형성하여, 제1유입구(122) 측을 통과하는 유입수가 더욱 감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로부의 형상 및 크기 또는 유로 단면적의 크기비 등은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가 적용되는 유입수 설비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조건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밀봉부(110)는 보다 고압인 상태로 공급되는 유입수가 제1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고, 상대적으로 저압인 상태로 공급되는 유입수가 제2유입구(114)를 통해 유입되도록 외부 유입수 라인과 연결 설치된다.
사용자가 밸브의 핸들을 도면의 R 방향으로 조작하면 밸브가 개방되며, 밀봉부(110)의 제1유입구(112)를 통과한 유입수는 하부 디스크(120)의 제1유입구(122)를 통과하여 상부 디스크(130)의 상승구(132a)로 공급되고, 밀봉부(110)의 제2유입구(114)를 통과한 유입수는 하부 디스크(120)의 제2유입구(124)를 통과하여 상부 디스크(130)의 요홈부(134)의 유입부(134a)로 공급된다.
이때, 상부 디스크(130)의 상승구(132a)로 공급된 고압측 유입수는 상부에 형성된 유로부(132)를 통과한 후, 하강구(132b)를 통해 요홈부(134)로 공급되어 요홈부(134)로 직접 공급된 저압측 유입수와 혼합되고, 하부 디스크(120)와 밀봉부(110)의 혼합수 배출구(126,11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배출측 라인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압측 유입수는 상부 디스크(130)의 상부에 형성된 유로부(132)를 통과한 후 요홈부(134)로 공급되므로, 유입시의 압력보다 상당히 감압된 상태로 저압측 유입수와 혼합되게 되며, 이때 요홈부(134)로 향하는 유로의 단면적이 저압측 유로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이러한 감압 효과는 더욱 높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유로부(132)에 해당되는 부분을 형성시키지 않고 요홈부(134)로 향하는 고압측 유로의 단면적을 단순히 감소시켜 고압측 유입수를 감압시키는 구조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유속의 증가 및 급격한 감압 현상으로 인하여 충격 및 소음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유로부(132) 형성 구조는 그 자체로서 고압측 유입수를 감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나, 다른 측면으로는 고압측 유로의 단면적을 감소시켜 감압시키는 구조를 적용한 상태에서 고압측 유입수의 급격한 감압을 방지하여 충격이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구조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밸브 카트리지는 일측 유입수(예를 들어, 온수)의 압력이 또다른 일측 유입수(예를 들어, 냉수)의 압력보다 큰 차이(예를 들어, 10배 정도의 압력차)로 작은 값을 갖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혼합수를 적절한 온도(예를 들어, 40℃ 정도의 온도)가 되도록 밸브 핸들을 조작할 때에, 사용자의 시각에서 볼 때 거의 중앙 위치로 조작한 상태에서 개방 조작(R 방향 조작)만 하면 되므로, 과도한 선회 조작이나 온도 조절을 위한 불필요한 조작없이 적절한 조건(온도, 유량)의 혼합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의 각각은 상기한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에서 권리로서 청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 물론 포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밸브 카트리지는, 단일 핸들형 혼합 밸브의 사용시 압력차가 있는 2 종류의 유입수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데 있어서, 유입수의 압력차가 그 내부에서 적절하게 조절되도록 하여, 혼합수의 온도 또는 유량 등의 상태가 사용에 적절한 조건으로 용이하게 형성되어 공급되도록 한다.

Claims (6)

  1. 상부에 레버 구멍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에,
    제어 레버가 구비된 레버 지지부,
    상기 레버 지지부의 하부면에 밀착되며 제어 레버의 회동 조작시 전후진 방향의 상대운동을 하고 제어 레버의 선회 조작시 선회운동을 하는 레버 디스크,
    상기 레버 디스크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일체로 움직이되 하부로부터 유입된 유입수를 혼합하여 다시 하부로 배출하는 요홈부가 하부면에 형성된 상부 디스크,
    상기 상부 디스크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제어 레버의 조작시 밀착면에서의 상대운동이 이루어지되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 혼합수 배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상대 운동에 의해 유입구의 개폐 및 유로 조절이 이루어지는 하부 디스크,
    상기 하부 디스크의 하부면에 밀착되며 제1유입구 및 제2유입구, 혼합수 배출구가 형성되어 카트리지 내로 유입수의 공급 및 혼합수의 배출을 하는 밀봉부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형성된 밸브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하부 디스크의 제1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유입수가 상부 디스크의 상부에 형성된 유로부를 더 통과하여 요홈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제2유입구를 통해 요홈부로 직접 유입된 유입수보다 상대적으로 감압된 상태로 혼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디스크는, 상기 요홈부와 중복되지 않는 위치에 하부 디스크의 제1유입구를 통해 공급된 유입수가 상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상승구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상승구를 통과한 유입수가 통과하는 유로부가 상부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로부를 통과한 유입수가 상기 요홈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하강구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부 디스크의 상부면에 형성된 또다른 요홈부와 그 상부에 밀착되는 레버 디스크의 하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카트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디스크의 제1유입구와 상부 디스크의 상승구가 형성하는 유로의 단면적을 상기 하부 디스크의 제2유입구와 상부 디스크의 요홈부가 형성하는 유로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되도록 형성하여, 제1유입구를 통과하는 유입수가 더욱 감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디스크의 제1유입구를 제2유입구보다 작게 형성하여, 제1유입구를 통과하는 유입수가 더욱 감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카트리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가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보다 고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카트리지.
KR10-2002-0017797A 2002-04-01 2002-04-01 밸브 카트리지 KR100454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797A KR100454212B1 (ko) 2002-04-01 2002-04-01 밸브 카트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797A KR100454212B1 (ko) 2002-04-01 2002-04-01 밸브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039A KR20030079039A (ko) 2003-10-10
KR100454212B1 true KR100454212B1 (ko) 2004-10-26

Family

ID=4169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797A KR100454212B1 (ko) 2002-04-01 2002-04-01 밸브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38847B2 (ja) 2005-08-17 2011-12-14 コオ キム,ジョン 給水弁カートリッジ
KR100797519B1 (ko) 2005-08-17 2008-01-24 김종구 수도 밸브 카트리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7175U (ko) * 1979-03-03 1980-09-08
JPH084919A (ja) * 1994-06-17 1996-01-12 Kitamura Gokin Seisakusho:Kk 湯水混合栓
JPH0821543A (ja) * 1994-07-05 1996-01-23 Inax Corp 水栓におけるディスク弁体のシール構造
JPH08200526A (ja) * 1995-01-23 1996-08-06 Sanei Suisen Seisakusho:Kk シングルレバー式の混合栓
JPH09178008A (ja) * 1995-12-26 1997-07-11 Kitamura Gokin Seisakusho:Kk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に於ける安全装置
EP0886013A1 (en) * 1997-06-19 1998-12-23 Emhart Inc. Anti-scald faucet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27175U (ko) * 1979-03-03 1980-09-08
JPH084919A (ja) * 1994-06-17 1996-01-12 Kitamura Gokin Seisakusho:Kk 湯水混合栓
JPH0821543A (ja) * 1994-07-05 1996-01-23 Inax Corp 水栓におけるディスク弁体のシール構造
JPH08200526A (ja) * 1995-01-23 1996-08-06 Sanei Suisen Seisakusho:Kk シングルレバー式の混合栓
JPH09178008A (ja) * 1995-12-26 1997-07-11 Kitamura Gokin Seisakusho:Kk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に於ける安全装置
EP0886013A1 (en) * 1997-06-19 1998-12-23 Emhart Inc. Anti-scald fauce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9039A (ko) 200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1814B2 (en) Water supply valve cartridge
US5329958A (en) Single-control mixer cartridge for hot and cold water
US7841362B2 (en) Water control valve
US5931374A (en) Flow control ports for a thermostatic mixing faucet
CN108071822B (zh) 水阀盒
US8978700B2 (en) Valve cartridge with improved flow rate
JP7434345B2 (ja) 任意方向タッチスイッチ
US20060207664A1 (en) Water valve assembly for bathroom faucets
KR20080075417A (ko) 수도밸브용 슬라이딩 카트리지
DK163738B (da) Blandingsbatteri med stoejreducerende spalter og flige i forud lukkende aabninger
WO2007021064A1 (en) Cartridge of water supply valve
KR100454212B1 (ko) 밸브 카트리지
KR200445553Y1 (ko) 수격방지를 위한 수도밸브 카트리지
JP3882192B2 (ja) 湯水混合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湯水混合水栓
KR101039732B1 (ko) 수도밸브 카트리지
US3428087A (en) Anti-hammer faucet device
GB2234327A (en) Valve
JPH0314608Y2 (ko)
US11326714B2 (en) Multi-directional touch valve
RU2175735C1 (ru) Кран
KR200316427Y1 (ko) 좌변기용 비데의 개폐밸브
JPH06213340A (ja) シングルレバー水栓
JPH06300156A (ja) 水 栓
KR200351932Y1 (ko) 수도콕
KR200223334Y1 (ko) 탕수혼합수전의 역류방지장치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