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071B1 - 창의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창의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071B1
KR100454071B1 KR10-2002-0011689A KR20020011689A KR100454071B1 KR 100454071 B1 KR100454071 B1 KR 100454071B1 KR 20020011689 A KR20020011689 A KR 20020011689A KR 100454071 B1 KR100454071 B1 KR 100454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indow
pair
horizontal fram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119A (ko
Inventor
장영호
Original Assignee
장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호 filed Critical 장영호
Priority to KR10-2002-0011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0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7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0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6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의 내부에 그 일부가 매입되고 나머지는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이 외곽에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 설치되며 그 상측은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구동수단의 구동 동작에 의해 승강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과, 상기 본체와 분리 구성되되 전선에 의해 일 단부는 상기 구동수단과 전기 접속되고 타 단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접속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창의 승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 장착되며 그 축에 스프라켓 휠이 장착된 구동모터;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라켓 휠과 체인에 의해 연결 설치된 한쌍의 연동 휠을 갖춘 한쌍의 회동부; 및 하측은 상기 연동 휠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측은 상기 수평 프레임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관통 설치된 한쌍의 승강 안내봉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창문을 직접 개폐하지 않고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한다.

Description

창의 승강 장치{Ascent and descent apparatus of window}
본 발명은 창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장애인등 사용자들이 창문을 직접 개폐하지 않고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창의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창문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창문은 벽체(W)에 개구를 형성하고 그 개구된 부분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10)과, 상기 고정 프레임(10)에 분리 및 설치 가능하게 구비된 창틀(20)로 구비되며 창틀(20)에는 유리(30)가 끼워진다.
상기 고정 프레임(10)과 창틀(20)은 목재와 금속 그리고 합성수지 등 여러 가지 재질의 것이 선택적으로 적용되며 방음 및 방풍의 기능을 하는 다양한 형상의 것이 다수 제안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창문은 채광 및 통풍을 위해 일반 주택이나 빌딩 등 건축물에서 사용되는데 창문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개폐를 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창문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창문을 직접 개폐하지 않고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창의 승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창이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창이 설치된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보인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다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의 a 내지 b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8의 a 내지 b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구동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본체 41;고정 프레임
42;레일 43;가이드 바
50;구동수단 51;구동모터
52;구동기어 53;래크
54;가드 55;유압펌프
56;유압실린더 57;피스톤 로드
58,59;입, 출관 60;수평 프레임
61;홀 70;창
71;보강 테두리 80;제어부
81;전선 91;제1 센서
92;제2 센서 151;스프라켓 휠
152;체인 153;연동 휠
154,254;회동부 155,255;승강 안내봉
251;구동 풀리 252;벨트
253;연동 풀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의 내부에 그 일부가 매입되고 나머지는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이 외곽에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 설치되며 그 상측은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구동수단의 구동 동작에 의해 승강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과, 상기 본체와 분리 구성되되 전선에 의해 일 단부는 상기 구동수단과 전기 접속되고 타 단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접속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창의 승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 장착되며 그 축에 스프라켓 휠이 장착된 구동모터;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라켓 휠과 체인에 의해 연결 설치된 한쌍의 연동 휠을 갖춘 한쌍의 회동부; 및 하측은 상기 연동 휠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측은 상기 수평 프레임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관통 설치된 한쌍의 승강 안내봉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 승강장치를 제공한다.본 발명의 변형 예로는,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 장착되며 그 축에 구동풀리가 장착된 구동모터;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 설치된 한 쌍의 연동 풀리를 갖춘 한쌍의 회동부; 및 하측은 상기 연동 풀리를 관통하여 상기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측은 상기 수평 프레임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관통 설치된 한쌍의 승강 안내봉으로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창의 승강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전체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보인 단면도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창의 승강 장치 본체(40)는 벽체(W)의 내부에 그 일부가 매입되고 나머지는 벽체(W)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되는고정 프레임(41)이 외곽에 장착된다.
상기 본체(40)는 그 하측에 벽체(W)에 매입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금속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체(40)는 벽체(W)에 매입되는 부분은 내부가 중공체인 함체 형상으로 제작하고, 그 상측은 개방되어 후술하는 수평 프레임의 상측이 일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 프레임(41)은 통상적인 창틀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창문이 가이드 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레일(4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40)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창의 승강 장치 특징부인 구동수단(50)이 설치되며, 구동수단(50)의 상측에는 구동수단의 동작에 의해 상, 하측으로 상승되거나 하강하는 수평 프레임(60)이 장착된다.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본체(40)의 내부 일 측에 장착되며 그 축에 구동기어(52)가 장착된 구동모터(51)와, 상기 구동기어(52)에 이 맞물림 되며 그 상측은 상기 수평 프레임(60)에 고정 설치되는 래크(53)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래크(53)는 좌, 우로 유동되지 않으며 정 위치에서 상승 및 하강되도록 본체(40)의 내부에 일체로 장착된 가드(54)에 활주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40)의 내부 양측에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가이드 바(43)가 수직으로 장착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6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바(43)가 관통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홀(61)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치되지않아도 본 발명의 동작과는 무관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50)의 다른 실시 예로는, 상기 구동모터(51)를 대신하여 상기 본체(40)의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유압펌프(55)를 장착하고, 상기 유압 펌프(55)의 동작에 의해 출몰되는 피스톤 로드(57)를 갖춘 유압 실린더(56)를 고정 설치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피스톤 로드(57)는 수평 프레임(60)의 중앙부와 고정 설치되고 유압 실린더(56)와 유압펌프(55)는 적어도 한 쌍의 입, 출관(58)(59)으로써 상기 피스톤 로드(57)가 출몰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 로드(57)는 다단으로 입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본체(40)의 내부 바닥에 장착되며 그 축에 스프라켓 휠(151)이 장착된 구동모터(51)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40)의 내부 양측에는 상기 스프라켓 휠(151)과 체인(152)에 의해 연결 설치된 한쌍의 연동 휠(153)을 갖춘 한쌍의 회동부(154)를 구비하며, 하측은 상기 연동 휠(153)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부(154)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측은 상기 수평 프레임(60)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승강 안내봉(155)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수단(50)은 상기 본체(40)의 내부 바닥에 장착되며 그 축에 구동풀리(251)가 장착된 구동모터(51)와, 상기 본체(40)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풀리(251)와 벨트(252)에 의해 연결 설치된 한 쌍의 연동 풀리(253)를 갖춘 한쌍의 회동부(254) 그리고 하측은 상기 연동 풀리(253)를 관통하여 상기 회동부(254)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측은 상기 수평 프레임(60)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관통 설치된 한쌍의 승강 안내봉(25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승강 안내봉(155)(255)은 그 길이 방향으로 전역에 걸쳐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안내봉(155)(255)이 관통되는 상기 수평 프레임(60) 역시 내주면에 승강 안내봉(155)(255)이 나사산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승강 안내봉(155)(255)은 각각 그 상단부가 상기 창(70)을 통하여 외부에서 식별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40)의 상측의 하방에 위치될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60)의 상측에는 창(70)이 설치되는데 상기 창(70)은 단일의 유리가 수평 프레임(60)의 상측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지만 유리의 각 테두리에 보강테두리(71)를 설치함으로써 그 보강테두리(71)를 수평 프레임(60)에 대해 장착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보강테두리(71)에 유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40)와 분리 구성된 외측에는 전선에 의해 일 단부는 상기 구동수단(50)과 전기 접속되고 타 단부는 상기 본체(4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접속되는 제어부(8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80)는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에 의해 상기 구동수단(50)을 정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동작시키도록 전선(81)을 매개로 구동수단과 연결된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40)의 상측에 배치된 고정프레임(41)에는 상기 창(70)이 상승 동작하게 되면 창(70)의 상단부 또는 일측 상단부와 접촉되어 동작되며 상기 구동수단(5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1 센서(91)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40)의 내측에는 상기 창(70)의 하강 동작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2 센서(9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센서(91)(92)는 그 설치위치가 고정프레임(41)과 본체(40)의 내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출몰되는 상기 수평 프레임(60)의 상측 면과 하측 면이 접촉되어 동작되도록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제1,2 센서(91)(92)들 역시 전선에 의해 상기 제어부(80)와 전기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에는 별도의 감지수단이 설치되어 리모트 컨트롤에 의해 원격으로 동작을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창(70)을 개방시키기 위해 제어부(80)에 구비된 어느 하나의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상기 구동모터(51)는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모터(51)가 회전되면 그 구동모터(51)의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52)는 회전되며 이 맞물린 래크(53)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래크(53)의 상측에 설치된 수평 프레임(60)은 하측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수평 프레임(60)에 설치된 창(70)도 하측으로 이동되며 창이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구동모터(51)는 창을 완전히 개방시키지 않고 부분적으로 개방시킬 경우 제어부(80)에 구비된 다른 스위치를 동작시켜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창문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창(70)을 완전히 개방시킬 경우에는 동작되는 구동모터(51)의 구동을 단속하지 않고 방치하면 래크(53)는 완전히 하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수평 프레임(60)은 그에 따라 본체(40)의 하측으로 이동된 후 본체(40)의 내부 적소에 설치된 제2 센서(92)를 접촉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2 센서(92)는 접촉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80)로 전달하여 구동모터(51)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프레임(60)이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승강될 때에는 본체(40)의 내부에 구비된 가드(54)와 또는 수평 프레임(60)을 관통하며 설치된 가이드 바(43)에 의해 에 의해 좌, 우로 흔들림이 없이 승강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창(70)의 폐쇄동작은 상기의 동작과 역순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구동수단이 유압펌프(55)일 경우 제어부(80)의 동작에 의해 입, 출관(58)(59)으로 유압을 공급함으로써 피스톤 로드(57)를 돌출시키거나 인입시킴으로써 상기와 대동소이하게 창(70)이 설치된 수평 프레임(6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것으로 그에 대한 동작과 정지동작은 상술한 구동모터(51)의 동작과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7의 a,b 내지 도 8의 a,b와 같이 구동모터(51)가 회전되면 그 축에 설치된 스프라켓 휠(151)(또는 구동풀리:251)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그 회전력은 상기 체인(152)(또는 상기 벨트;252)을 매개체로 상기 연동휠(153)(또는 상기 연동풀리;253)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연동휠(153)(또는 상기 연동풀리:253)에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승강 안내봉(155)(255)은 상기 수평 프레임(60)과 상기 회동부(154)(254)에 지지된 상태에서 공회전하게 된다.
결국 승강 안내봉(155)(255)은 공회전하게 되지만 그 승강 안내봉(155)(255)에 축설된 수평 프레임(60)은 승강 안내봉(155)(255)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물론, 승강이 완료된 상태의 모든 동작은 상기한 동작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의 승강 장치에 의하면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장애인들이 편하게 누운 자세에서 창문을 쉽게 개폐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특징이 있다.
또 지금까지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의 구동수단을 도면 표현하고 또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수의 링크가 관절식으로 교차 설치되고, 그 링크들이 접혔다 펴졌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구비하여도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써 수평 프레임에 창이 설치된 것을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별도의 구동수단을 더 설치하여 그 구동수단에 의해 방충망이 승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벽체의 내부에 그 일부가 매입되고 나머지는 벽체에 형성된 개구부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이 외곽에 장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 설치되며 그 상측은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되어 구동수단의 구동 동작에 의해 승강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에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장착되는 창과, 상기 본체와 분리 구성되되 전선에 의해 일 단부는 상기 구동수단과 전기 접속되고 타 단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접속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창의 승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 장착되며 그 축에 스프라켓 휠이 장착된 구동모터;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스프라켓 휠과 체인에 의해 연결 설치된 한쌍의 연동 휠을 갖춘 한쌍의 회동부; 및
    하측은 상기 연동 휠을 관통하여 상기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측은 상기 수평 프레임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관통 설치된 한쌍의 승강 안내봉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의 승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부 바닥에 장착되며 그 축에 구동풀리가 장착된 구동모터;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에 의해 연결 설치된 한 쌍의 연동 풀리를 갖춘 한쌍의 회동부; 및
    하측은 상기 연동 풀리를 관통하여 상기 회동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상측은 상기 수평 프레임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관통 설치된 한쌍의 승강 안내봉으로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는 창의 승강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02-0011689A 2002-03-05 2002-03-05 창의 승강 장치 KR100454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689A KR100454071B1 (ko) 2002-03-05 2002-03-05 창의 승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689A KR100454071B1 (ko) 2002-03-05 2002-03-05 창의 승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406U Division KR200279548Y1 (ko) 2002-03-05 2002-03-05 창의 승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119A KR20030072119A (ko) 2003-09-13
KR100454071B1 true KR100454071B1 (ko) 2004-10-28

Family

ID=32223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689A KR100454071B1 (ko) 2002-03-05 2002-03-05 창의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0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419A (en) * 1987-06-13 1989-02-28 Kiyun Yun Yuu Liftable washstand apparatus
JP2000027557A (ja) * 1998-07-10 2000-01-25 Kyoritsu Sash Kogyo Kk 開閉窓付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419A (en) * 1987-06-13 1989-02-28 Kiyun Yun Yuu Liftable washstand apparatus
JP2000027557A (ja) * 1998-07-10 2000-01-25 Kyoritsu Sash Kogyo Kk 開閉窓付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119A (ko) 2003-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8566B1 (en) Vertically adjustable spa cover assembly
US7614093B2 (en) Vertically actuable roof cover for a spa
KR200279548Y1 (ko) 창의 승강 장치
US20110042017A1 (en) Electrical control mechanism for built-in sunshade products for hollow glass
KR100454071B1 (ko) 창의 승강 장치
WO2007012176A1 (en) Vertically actuable roof cover for a spa
KR100538412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1960386B1 (ko) 유리창문과 방충창문이 구비되는 차량용 창문 승강 장치
KR101180883B1 (ko) 상하, 좌우, 전동식 무대 모형막
WO2006090161A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sash windows
AU754102B2 (en) A window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2003128364A (ja) 階段用椅子昇降機におけるレールカバー装置
EP3318712A1 (en) Improved, vertically-slidable window
KR200302946Y1 (ko) 자동 대문
KR200278469Y1 (ko) 커튼
JPH0643430Y2 (ja) 建物用窓
AU2006200251B2 (en) Vertically actuable roof cover for a spa
KR20040028236A (ko) 창의 승강 장치
JP2007169916A (ja) 出窓の自動開閉装置
KR20040028235A (ko) 창의 승강 장치
JP4355840B2 (ja) 開閉装置及びその開閉装置を備えたショーケース
KR20040080478A (ko) 무선으로 작동되는 자동 커튼
KR940007617Y1 (ko) 비닐하우스의 장막 자동개폐장치
KR940007555Y1 (ko) 차양막 승강용 구동장치
CA2532429C (en) Vertically actuable roof cover for a sp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