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057B1 -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 - Google Patents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057B1
KR100454057B1 KR10-2001-0083898A KR20010083898A KR100454057B1 KR 100454057 B1 KR100454057 B1 KR 100454057B1 KR 20010083898 A KR20010083898 A KR 20010083898A KR 100454057 B1 KR100454057 B1 KR 100454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in body
closing device
kimchi storag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3873A (ko
Inventor
이영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3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05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4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deep-froz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개폐식 도어(50)가 구비된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50)가 모터(69)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저장실(30)에 보관된 내용물을 넣고 빼낼 때 편리성과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refrigerator having apparatus for door auto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본체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저장실에 보관된 내용물을 넣고 빼낼 때 편리성과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최근에는 김치만을 위한 전용으로 냉장고의 원리를 이용하여 김치를 숙성시키고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김치저장고가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김치저장고는 계절의 변화 및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김치를 적당히 숙성시킨 다음, 적정온도로 유지하여 잘 익은 김치의 맛을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김치저장고는 일반적인 냉장고가 측면으로 도어를 여닫도록 구성된 것에 반하여, 그 전체적인 크기가 작으면서 개폐식 도어가 본체의 상부면에 힌지식으로 고정되어 상부로 젖혀서 여닫도록 구성된 상부 개폐식 도어가 구비된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김치저장고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김치저장고의 본체(6)내부에 두 개의 저장실(30)이 구획되어 있고, 이 두 개의 저장실(30)을 상측으로 들어서 개폐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도어(5)가 본체(6)의 배면 상단에 힌지결합 되어 있다.
상기 김치저장고의 모든 작동에 대한 제어는 본체(6)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판넬(7)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어(5)가 본체(6)의 배면 상단에 힌지결합 되는 방법으로는, 도어(5)의 후방영역과 본체(6)의 배면 상단에 각각 힌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각 힌지부를 관통하여 힌지축이 끼워지는 방식과, 상기 도어(5)가 별도의 힌지조립체를 매개로 본체(6)의 배면 상단에 결합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먼저 도어(5)의 손잡이를 잡고 상부로 젖혀 저장실(30)을 개방한 다음 저장실(30)에 구비된 내용물을 꺼내거나, 저장실(30)에 내용물을 넣은 뒤에 다시 도어(5)를 아래로 내려 저장실(30)을 폐쇄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수동으로 도어(5)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사용자가 저장실(30) 내부에 보관 중인 내용물을 꺼내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어(5)를 손으로 열어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용물을 꺼낸 다음, 상기 내용물을 바닥이나 기타 다른 장소에 놓은 뒤에 다시 도어(5)를 폐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는 내용물을 저장실(30) 내부에 넣고자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며, 사용자의 입장에서 상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개폐식 도어가 구비된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저장실에 보관된 내용물을 넣고 빼낼 때 편리성과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김치저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모터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저장실 40 : 본체
50 : 도어 60 : 도어 자동개폐장치
62 : 회전축 64 : 도어기어
66 : 감속기어 68 : 구동축
69 : 모터 70 : 버튼
80 : 음성입력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본체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본체를 연결하는 회전축에 연계하여 감속모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감속모터수단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감속모터수단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거나, 외부의 음성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모터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저장고는 도어(50)가 결합되는 본체(40)의 배면 상단부에 도어 자동개폐장치(6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자동개폐장치(6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감속모터수단이 도어(50)와 본체(40)를 연결하는 회전축(62)에 연계됨으로써 자동으로 상기 도어(50)가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속모터수단는 도어(50)와 본체(40)를 연결하는 회전축(62)에 결합된 도어기어(64)와, 모터(69)의 구동축(68)에 결합되어 구동축(68)의 회전을 상기 도어기어(64)에 전달하는 감속기어(66)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기어(64)와 감속기어(66)는 동일 수직선상에 배열되어 일정 기어비를 형성하면서 서로 맞물린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모터(69)는 김치저장고의 일측에 구비된 컨트롤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컨트롤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69)가 작동되어 구동축(68)이 정, 역회전하게 되면 그 회전력이 감속기어(66)를 통해 도어기어(64)로 전달되어 도어(50)와 본체(40)를 연결하는 회전축(62)의 정,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어기어(64)를 생략하고 상기 감속기어(66)가 직접 회전축(62)에 접촉되어 모터(69)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조도 가능하게 되며, 이때에는 상기 회전축(62)의 둘레를 따라 상기 감속기어(66)와 맞물릴 수 있도록 기어이가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회전축(62)은 도어(50)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어, 회전축(62)이 회전함에 따라 도어(50)가 본체(40)에 대해 회동 개폐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어 자동개폐장치(60)는 모터(69)의 구동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데, 상기 모터(69)를 구동시키는 구조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버튼의 의한 작동구조와 음성인식을 통한 작동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장치(60)는 본체(40) 외부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7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버튼(70)은 본체(40)의 내부를 통해 컨트롤부와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버튼(7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컨트롤부가 모터(69)를 제어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버튼(70)의 조작에 의해 어떤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연결이나 구성 등은 다양한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것으로, 여기에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도어 자동개폐장치(60)의 모터(69)를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버튼(70)은 본체(40)의 적당한 위치에 임의로 설치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무릎 또는 발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본체(40)의 하단부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70)은 본체(40)가 아닌 도어(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손이나 팔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그 설치위치는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설계 변경될 수 있는 사항에 지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장치(60)는 외부의 음성을 인식하여 작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0)의 일측에는 음성입력부(80)가 구비되고, 상기 음성입력부(80)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모터(69)를 구동하도록 하는 음성인식장치(미도시)가 본체(40)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음성인식장치는 본체(40)내부에서 컨트롤부와 연계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입력된 음성을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처리하는 DSP칩과, 상기 DSP칩에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A/D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공급하는 A/D변환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의 음성을 인식하여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나 연결관계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널리 공지된 기술로서 여기에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에도, 상기 음성입력부(80)는 당업자의 설계에 의해 본체 또는 도어의 적당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하겠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치저장고는 도어(50)와 본체(40)의 결합부에 상기 도어(50)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자동개폐장치(6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 자동개폐장치(60)는 도어(50)와 본체(40)를 연결하는 회전축(62)에 연계하여 감속모터수단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감속모터수단은 회전축(62)에 결합된 도어기어(64)와, 모터(69)의 구동축(68)에 결합되어 구동축(68)의 회전을 상기 도어기어(64)에 전달하는 감속기어(66)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자동개폐장치(6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또는 도어의 외부에 설치된 버튼(70)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외부음성을 인식하여 동작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먼저 버튼(70)의 조작에 의한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가 버튼(70)을 조작하게 되면 이와 연계되어 컨트롤부의 제어에 의해 모터(69)가 정, 역회전하여 도어(50)와 본체(40)를 연결하는 회전축(62)이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62)은 도어(50)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62)의 회전에 의해 도어(50)가 본체(40)에 대해 자동으로 개폐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저장실(30) 내부로부터 내용물을 인출하거나 저장하기 위해 양손에 내용물을 들고 있는 경우 다른 신체부위를 이용한 버튼(70)조작에 의해 도어(5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음성인식에 의해 상기 도어 자동개폐장치(60)가 작동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음성 제어 명령이 외부 일측에 구비된 음성입력부(80)를 통해 입력되어 본체(40)의 내부에 장착된 음성인식장치에 의해 모터(69)가 정, 역회전되면서 도어(50)가 자동으로 개폐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음성 제어 명령만으로 도어(50)를 개방시킨 다음 내용물을 꺼내거나 저장실(30)내에 내용물을 저장한 다음 다시 음성 제어 명령으로 도어(50)를 개방시켜 더욱더 편리하게 김치저장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에 의하면, 상부 개폐식 도어가 구비된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저장실에 보관된 내용물을 넣고 빼낼 때 편리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부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어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50)와 본체(40)를 연결하는 회전축(62)에 결합된 도어기어(64) 및 모터(69)의 구동축(68)에 결합되어 구동축(68)의 회전을 상기 도어기어(64)에 전달하는 감속기어(66)로 이루어지는 감속모터수단이 구비된 김치저장고에 있어서,
    상기 감속모터수단은 상기 본체(40)의 일측에 음성입력부(80)가 구비되고, 이 음성입력부(80)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처리하는 DSP칩(82)과, 이 DSP칩(82)에서 출력되는 음성데이터를 A/D변환시키는 A/D변환부(84)와, 이 A/D변환부(84)에서 변환시킨 음성데이터에 의해 상기 모터(69)를 동작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86)가 형성되어 외부 음성인식에 의해 작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1-0083898A 2001-12-24 2001-12-24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 KR100454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898A KR100454057B1 (ko) 2001-12-24 2001-12-24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898A KR100454057B1 (ko) 2001-12-24 2001-12-24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873A KR20030053873A (ko) 2003-07-02
KR100454057B1 true KR100454057B1 (ko) 2004-10-26

Family

ID=3221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898A KR100454057B1 (ko) 2001-12-24 2001-12-24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515A (ko) 2014-07-24 2016-02-0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861A (ko) * 1994-10-26 1996-05-22 배순훈 냉장고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19990021527U (ko) * 1997-11-29 1999-06-25 전주범 냉장고 도어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861A (ko) * 1994-10-26 1996-05-22 배순훈 냉장고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KR19990021527U (ko) * 1997-11-29 1999-06-25 전주범 냉장고 도어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515A (ko) 2014-07-24 2016-02-03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873A (ko)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6472B2 (en) Door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615980B1 (ko) 오토 폴더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모듈 및 그 제어 방법
US20080296298A1 (en) Induction actuated container
KR100454057B1 (ko) 도어 자동개폐장치가 구비된 김치저장고
KR102055770B1 (ko) 휴대용 비누 케이스
KR100443931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자동개폐장치
CN215777616U (zh) 一种智能调味料收纳盒
CN210152955U (zh) 塔扇及其主体结构
KR20050056696A (ko) 냉장고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JP2004325051A (ja) 冷蔵庫の扉装置
JPH10258902A (ja) ダスターボックス
CN110131196A (zh) 塔扇及其主体结构
KR20070020705A (ko) 냉장고의 도어 닫음장치
KR100539300B1 (ko) 차량용 도어포켓
CN215422179U (zh) 可自动开盖的宠物厕所
KR100765187B1 (ko) 스탠드형 김치냉장고
KR100409239B1 (ko) 회전 저장식 김치냉장고
KR960013953B1 (ko) 콘트롤판넬의 자동개폐장치
CN216751993U (zh) 具有收纳结构的蓝牙音箱
JP4966168B2 (ja) 冷蔵庫
KR200195066Y1 (ko) 씨디 보관함과 그 씨디 보관함 구동장치
CN210479750U (zh) 一种智能垃圾桶自动开盖结构
KR0142733B1 (ko) 냉장고용 도어의 셔터장치
KR0122524Y1 (ko) 냉장고의 자동도어 닫음장치
KR200345430Y1 (ko) 수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