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507B1 - 비수세식변기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수세식변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507B1
KR100453507B1 KR1019960704712A KR19960704712A KR100453507B1 KR 100453507 B1 KR100453507 B1 KR 100453507B1 KR 1019960704712 A KR1019960704712 A KR 1019960704712A KR 19960704712 A KR19960704712 A KR 19960704712A KR 100453507 B1 KR100453507 B1 KR 100453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fluid
cup
water
toilet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엥 수-키
Original Assignee
엥 수-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엥 수-키 filed Critical 엥 수-키
Priority to KR101996070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507B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변기는 프레임, 기울어지는 컵 및 기울어짐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폐수배출공이 형성된 변기용기를 지지하며, 변기용기 아래에 놓인 중공챔버를 이루게하며 폐수바닥 배출공이 형성된다. 기울어지는 컵은 변기용기의 폐수 배출공위로 연장하도록 하여 변기용기밑의 중공챔버에 장착된다.
컵의 기울어짐 동작은 폐수 배출공을 통해 변기용기와 도통되는 물을 수용하도록된 컵이 기울어 지지 않은 제 1위치와, 폐수바닥 배출공을 통해 최종적으로 폐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중공챔버에서 각 컵및 변기용기에서 폐수를 배출시키도록 컵이 기울어진 제 2위치 사이에서 제어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Description

비수세식 변기 시스템
본 발명은 어떤 사이펀도 포함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변기에 관한것이다.
첨부 도면에서:
제 1도는 기울어지는 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변기 용기의 제 1양태의 단면 사시도;
제 1a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용기의 선택적 구성의 단면 사시도 ;
제 2도는 기울어진 위치에서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 컵을 지연 복귀시키기 위해, 제 1도의 변기 용기의 피스톤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 ;
제 3도는 제 1도의 변기 용기의 순차 밸브의 분해 사시도 ;
제 4도는 변기 용기로의 물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장치와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에서 본 기울어지는 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용기의 제 2의 바람직한 양태의 확대 단면도 ;
제 5도는 기울어진 위치에서 기울어지는 컵을 보이는, 제 4도의 변기 용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 ;
제 6도는 제 4도의 변기 용기의 기울어지는 컵의 단면 사시도 ;
제 7도는 제 4의도의 변기 용기의 제어밸브장치의 확대 단면도 ;
제 8도는 제 7도의 제어밸브 장치의 트리거 동작을 위해, 외주링을 회전시키도록 푸시 보턴을 누를때 작동되는 연결로드, 톱니바퀴 76 및 링의 회전력을 톱니바퀴로 전달시키는 멈춤쇠(pawl)를 포함하는, 푸시보턴 구조의 평면도 ;
제 9a도는 제 7도의 제어밸브 장치의 부분 톱니 캠 바퀴의 평면도 ;
제 9b도는 제 9a도의 부분 톱니 캠바퀴의 측면 확대 단면도 ;
제 10도는 제 7도의 제어밸브장치의 물분배 디스크의 평면도,
제 11도는 변기용기 프레임의 전면에 놓인 폐수 바닥 배출 공을 가지는, 제 4 및 5도의 변기 용기의 부분 측면 확대도 ;
제 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두 가지 양상의 기울어지는 컵의 측면 확대도 ;
세 13도는 3개의 부품으로 만들어진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용기의 단면 사시도 ;
제 14도는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 지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버 및 시트를 포함하는 변기 용기의 측면 확대도 ;
제 15도는 제 14도의 변기 시트의 제 1구성을 보이는 저면도 ;
제 16도는 제 14도의 변기 시트의 제 2구성을 보이는 저면도 ; 및
제 17도는 반전시트, 커버, 및 선택적 중간 살균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변기시트의 제 3구성의 측면확대도이다.
바람직한 양태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바람직한 제 1양태는 제 1도에 도시되며 참조번호 1로써 주로 나타낸다.
변기 1는 프레임 2을 포함한다. 프레임 2은 도자기로 만드는 것이 유익하다. 그러나, 플라스틱 및 파이버 그라스 같은 다른 재질도 예상될 수 있다.
프레임 2은 일반적인 순방향 흐름에서 용기 3로부터 폐수 5를 순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된 폐수 배출공 4이 형성된 변기용기 3를 포함한다.
변기 용기 3 아래에는, 프레임 2이 중공챔버 6를 이루게 한다. 중공 챔버 6는 일반 배수관 (도시하지 않음)에 연결가능한 폐수 바닥 배출공 7을 포함한다.
제 1도에 보인 바와 같이, 중공 챔버 6는 배출공 7을 향해 경사진 바닥벽 8을 경계로 하며, 중공 챔버로 배출되는 폐수는 상기 바닥벽 8 위로 떨어져 배출공 7 및 거기에 연결된 배수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배출되도록 배출공 7으로 흐른다.
용기 3와 중공챔버 6 사이에는 플라스틱, 도자기, 파이버그라스, 수지재, 금속등과 같은 어떤 적절한 재질로 부터 만들어 지는 기울어지는 컵이 놓여진다. 더욱 상세히는, 기울어지는 컵 9은 수평횡축 10 주위로 프레임 2에 피봇장착된다.
기울어지는 컵 9은 프레임 2보다는 지지체 표면에 피봇 장착 될수도 있음은 이해될 것이다. 제 1도의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에서, 컵 9은 변기용기 3의 일반 형상을 따르고 그러므로 변기용기3의 폐수배출공 4 위를 지나도록 연장된다.
컵 9이 기울어지지 않으면, 바닥 폐수배출공 4을 통해 변기용기로 전달되는 물을 보유할 수 있다. 물론 컵 9은 변기 용기 3에서 소망되는 레벨 11을 유지하도록 충분히크며, 그 레벨 11은 화장실이 위치되는 방에서 하수개스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기에 충분한것이다.
기울어지는 9은 평형추 14가 안치되는 상부 공간 13을 가지도록 형성된 반대로 연장된 테두리 12를 포함한다. 축 10의 위치와 평형추 14의 질량은 평형추 14가 폐수 5의 질량과 균형을 이루도록 선택되어 컵 9을 제 1도의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 유지시킨다.
변기 1를 작동시키려면, 사용자는 레버 17와 체인 18을 통해 테두리 12의 뒷면 여유단 16을 들어 올리도록 핸들 15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컵 9은 제 5도에 보인바와 같이 경사진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화살표 19방향으로 기울어진다. 그때 용기 3의 폐수 5는 배출공 4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공 7및 거기에 연결된 배수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최종 배출 되도록 컵 9에서 중공챔버 6로 배출된다 (제 5도의 화살표 20참조).
컵 9의 기울어진 위치에서 (예를들어 제 5도를 참조).
평형추 14는 제 1도의 본래의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 기울어진 컵을 복귀시키려는 레버힘을 여전히 생성한다. 그러나, 제 1도의 본래의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 기울어진 컵을 복귀시킴은 피스톤 장치 21에 의한 주어진 시간지연을 두고 지연된다.
첨부도면의 제 2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피스톤 장치 21는 브라켓 24을 통해 변기 1의 프레임 2에 피봇 연결되는 하부 단벽 23을 가지는 실린더 22를 포함한다. (제 1도의 점선 25으로 보인바와 같은 기계적 링크를 참조). 피스톤 26은 실린더 22내에서 미끄럼 가능토록 장착되며, 피스톤 26의 외주면과 실린더 22의 내벽 사이를 결합할 때의 방수는 동적인(dynamic)0-링 27에 의해 보장된다.
피스톤 로드 29는 실린더 22의 하단 23에 대향하여 피스톤 26표면 중앙에 안착되는 일단과, 컵 9의 테두리 12의 뒷면여유단 16에 피봇 연결되는 제 2단 36을 가진다.
피스톤 로드 29는 실린더 22의 상단벽 30의 구멍 32을 관통하며, 피스톤 로드 29와 구멍 32사이의 결합시의 방수는 동적 0-링 31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제 2도에서 볼수있는바와 같이, 피스톤 26은 실린더 22의 내부 체적을 상부 챔버 33와 하부챔버 34로 구분한다. 대경의 도관 35은 핸들 15, 레버 17 및 체인 18의 구동에 따라 트리거되는 컵 9의 기울어짐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챔버 33에서 챔버 34로의 공기 이동을 쉽게한다.
밸브 37는 상부 챔버 33에서 하부챔버 34로만 공기 흐름을 가능케하도록 도관 35에 장착된다. 조정가능한 쵸커(39)가 장착된 소경의 도관 38은 실린더 22의 상부챔버 33및 하부챔버 34를 또한 상호 연결시킨다.
평형추 14에 의해 생성된 레버힘을 사용하여 제 1도의 원래의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 복귀되면, 공기는 실린더 22의 하부챔버 34에서 상부 챔버 33로 이송된다. 이러한 공기 이송은 소경의 도관 38을 통하여서만 수행될수 있다.
소경의 도관 38 및 쵸커 39의 결합동작에 의해 생기는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은 컵 9의 피봇 움직임을 느리게하여 피봇움직임을 방해하며, 쵸커 39의 조정을 통하여 조정가능한 주어진 시간구간에 따라 제 1도의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 컵 9이 복귀된다.
물론, 이러한 시간 구간은 용기 3로 부터의 폐수 5가 배수되도록 하고 용기 3 및 컵 9을 세척할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 한다.
명백히, 피스톤 장치 21는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대체될 수있다. 유사하게, 핸들 15, 레버 17 및 체인 18의 결합은 전기, 전자 또는 기체 시스템과 같은 다른 구동 시스템에 의해 쉽게 대체 될수있슴은 또한 이해 될것이다.
제 1도로 돌아가, 변기 용기 3는 용기 3의 내측에 놓여진 환상의 바닥 프랜지 41를 한정하는 상부 중공림 40를 갖는다.
프랜지 41에는 변기용기 3의 내벽을 향하도록된 외주 분산노즐 42이 있다.
컵 9이 제 5도에 보인바와 같이 제 1도의 위치에서 기울어진 위치로 기울어지면, 연속밸브 43 (제 1도)는 입력튜브 44를 통한 물을 출력튜브 45를 통하여 노즐 42로 순차 제공한다.
연속밸브의 예는 제 3도에 설명한다.
제 3도의 연속밸브 43는 하우징 46과 이 하우징 46을 덮으며 수밀담(Water-tight enclosure)을 이루는 덮개 47를 포함한다. 입력 튜브 44를 통해 연속 밸브로 제공되는 물은 물터빈 48을 구동시킨다. 하우징 46의 반원벽 49은 터빈 48을 효과적으로 구동시키도록 도관 44을 통해 하우징 46으로 들어가는 물의 흐름을 방해한다. 터빈 48의 회전운동은 대경의 톱니 바퀴 51에 기어결합된 소경의 톱니 바퀴 50로 전달된다.
톱니 바퀴 51의 회전운동은 최종적으로 물분배 디스크 52로 제공된다. 물분배 디스크 52는 하우징 46의 바닥면 53에 인가된다.
물 분배 디스크 52에는, 각각이 출력튜브들 45의 대응 개소에 연결된 여러 쌍의 직경 대향 구멍 55이 하우징 46의 바닥면 53에 제공될때, 적어도 한쌍의 직경대향 구멍 54이 제공된다.
디스크 52를 회전시키면, 구멍 54쌍은 연속적으로 직경대향 구멍 55의 각 쌍과 순차 정렬된다. 노즐 42은 그러므로 컵 9의 내부와 변기용기 3의 내벽을 세척하기 위한 기능의 연속물 분사를 이룰수 있도록 하우징 46에서 쌍으로 물을 제공받는다.
분배 디스크 52내의 구멍(54) 수 및 배치와 하우징 46내의 구멍 55 수 및 배치는 노즐 42을 통해 물을 분사시키는 갯수와 어떤 소망하는 순서를 얻기위하여 가변 될 수 있슴은 이해될 것이다. 물론 물 분배디스크는 피아노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밸브에 의해 수행될수 있다.
이 기술에 숙달된자는 노즐 42의 방향이 컵 9의 내면과 변기용기 3의 내벽 세척을 최적화시키도록 선택 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같은 목적으로, 노즐 42은 호형, 타원형 및/또는 평면 물분사를 이룰수 있도록 설계될수 있다. 또한 변기에는 고정, 이동, 변환, 피봇 및/또는 회전노즐 42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입력튜브 44로 물을 공급하는 것은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으로 각각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어, 프로트밸브 56는 용기3 외측의 컵 9 내부에 장착되고, 제 5도의 위치를 향해 컵 9을 기울이면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물의 레벨에 민감히 반응하여, 물 공급구 57에서 연속밸브 43의 입력튜브 44로 물을 공급한다. 같은 방법으로, 컵 9이 제 1도의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 복귀되면, 프로트밸브 56는 물공급구 57에서 입력튜브 44로의 물공급을 중단 시키기위하여 물 5 레벨에 도달하였는지를 검출한다. 물론, 동일한 물공급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전기적 및/또는 기계적장치에 의하여 프로트밸브 56를 대신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내에 속한다. 유사하게, 대기시 과잉물 공급 레벨을 보상하기 위하여는, 과잉 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컵 9에 적절한 레벨의 소형구멍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도의 변기 작동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포함한다.
(a) 제 1도의 위치에서 제 5도와 같은 기울어진 위치로 컵 9이 기울어지도록 핸들 15을 수동으로 돌린다 ;
(b) 용기 3 및 컵 9으로 부터의 폐수는 중공챔버 6로 배출되고 배출공 7 및 배수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배설된다 ;
(c)레벨 11이하로 물 5의 레벨을 낮게 하면 프로트밸브 56가 이를 검출하고 ; 그러면 프로트밸브 56는 입력튜브 44를 통해 물 공급구 57에서 연속밸브 43로 물을 공급한다 ;
(d)연속밸브 43는 컵 9 및 변기용기 3의 내벽을 세척하기위하여 연속 물분사를할 수 있도록 출력튜브 45를 통해 연속적으로 물을 쌍으로된 노즐 42로 공급한다.
(e) 평형추에 의한 레버힘에 따라 제 1도의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 기울어지는 컵은 복귀하며, 이러한 피봇 움직임은 피스톤 장치 21의 작동에 따라 느리게 움직인다;
(f) 기울어지는 컵 9은 축 10주위를 피봇 작용하여 제 1도의 위치로 복귀하므로, 컵은 노즐 42로부터의 물로 점차 채워진다 ; 및
(g)컵 9이 제 1도의 위치로 복귀되고, 노즐 42로부터의 물이 레벨 11까지 컵 9에 채워지면, 프로트밸브 56는 차단되고, 연속밸브 43는 더이상 물을 공급하지 않는다.
변기 1는 그때 핸들 15의 수동 작동을 통하여 다시 동작되도록 대기한다.
이제 제 1a도를 참조하면, 전기적 트리거 시스템을 사용하는 손잡이 15, 레버 17 및 체인 18 조립체로 대체 시킨것도 본 발명의 사상내에 있다. 그러한 시시템에서, 컵 9의 테두리 12에는 제 1의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 컵9을 바이어스시키는 평형추 14를 사용하여 적절히 중량을 가한다. 컵이 물과 변으로 충분히 차면 (약3/4충만), 컵 9의 중량과 그 내용물이 평형추 14의 중량을 초과하므로 중력에 의해 컵 9이 자동으로 기울어지기 시작 할 것이다.
결국,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손잡이 15, 레버 17 및 체인 18이, 물공급구 57에서 연속밸브 43의 입력튜브 44로 물을 공급하도록 밸브를 차례로 작동시키는 전자제어 유니트 17'를 구동하는 선택적 원격제어 유니트(도시하지않음) 또는 단일 푸시보턴 트리거 15'로, 대체된다. 연속적 물분사는 변기용기 3의 내벽 내부와 컵 9을 3/4 충만레벨로 점차 채우도록 컵 9의 내부로 제공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자동적으로 기울어 지게된다. 기울어질때, 컵 9은 제 2위치 즉 제5도와 같은 기울어진 위치를 이룰 것이다. 이러한 컵 9의 기울어짐 이동을 통하여, 노즐 42은 용기 3 및 컵 9의 내면으로 물을 지속적으로 배출 시킬 것이다.
상술한 피스톤 장치 21와 같은 지연수단은 그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의 컵 9 복귀를 지연시키도록 제공된다. 지연수단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으면, 컵 9은 평형추 14때문에 기울어지지 않은 제 1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한다. 전자 제어유니트 17'는 물론 용기 3및 컵 9의 철저한 세척을 이루고 노즐 42의 연속 및 시간을 둔 분사를 이루도록 프로그램된다.
선택적 구성으로, 전자제어 유니트(17')는, 제 1도와 관련하여 설명한바와 같이 배출공 7으로부터 하수개스의 유입을 방지하기위하여, 상술한 사이클 즉 제 5도에보인 제 2위치로 다시 기울어질 용기 3및 컵 9을 철저히 세척하는 세정수를 용기의 약 3/4가 되게 다시채워, 제 1a도에 보인 기울어지지않은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최종적으로 현재의 레벨로 물이 채워지도록 하는 사이클을 반복하도록 프로그램 될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바람직한 제 2양태로는, 참조부호 60으로 나타내며, 첨부도면 제 4∼8도를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바람직한 제 1및 제 2양태의 대응 요소들은 동일참조부호를 써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낸다.
제 4도를 참조하면, 변기 60는 프레임 2을 포함한다. 프레임 2은 도자기로 만드는것이 유익하다. 그러나 플라스틱 및 파이버그라스와 같은 다른 재질도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2은 일반적으로 순방향 흐름으로 용기 3에서 폐수 5를 방출 시키도록 하는 방향을 갖는 폐수 바닥 배출공 4이 형성된 변기용기 3를 포함한다.
변기 용기 3밑에, 프레임 2에는 중공챔버 6가 형성된다. 중공챔버는 6는 일반 배수관(도시하지 않음)에 연결가능한 폐수바닥 배출공 7을 포함한다. 제 4도에 보인바와 같이, 중공챔버 6는 배출공 7쪽으로 경사진 바닥벽 8을 한정하며 중공챔버 6로 배출되는 폐수가 그 바닥벽 8에 떨어져서 배출공 7및 거기에 연결되는 배수관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배출되도록 배출공 7을 향해 흐르게 한다.
용기 3및 중공챔버 6사이에는 기울어지는 컵 9이 위치된다. 특히 기울어지는 컵 9은 수평횡축 61 주위의 프레임 2에 피봇장착 된다. 제 4도의 기울어지지않은 위치에서, 컵 9은 변기 용기 3의 일반 형태를 이루므로 변기용기의 배출공 4보다 높도록 연장된다. 컵 9이 기울어지지 않으면, 바닥 배출공 4을 통해 변기용기 3로 전달되는 물 5을 수용할 수 있다. 물론 컵 9은 변기용기 3 내에서 물 5의 레벨 62을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다.
제 4도및 6도를 참조하면, 기울어지는 컵9은 단지 왼쪽 용기 63만 나타낸 대칭, 수평 및 일체로된 한쌍의 물 수용 용기와 함께 이루어진다. 용기 63에는 제 4도에 점선으로 보인 튜브 64를 통해 물이 공급된다. 용기 63는 또한 바닥 구멍 65을 포함한다.
제 4도의 바람직한 구성은 스프링에 바이어스되는 부구 작동 래치 메카니즘 66을 사용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에서, 기울어지는 컵 9은 뒤로연장하는 테두리(tongue)가 아닌 뒷면 에지 67를 포함한다. 메타니즘 66은 기울어지는 컵 9의 뒷면에지 67에 피봇장착되는 V-형 암 68을 포함한다. 컵 9 내부에 놓이는 V형암 68단부에는 프로트 69가 장착된다. 컵 9의 외측에 놓인 V형암 68의 다른 단부에는 래치 70가 형성된다.
래치 70는 제 4도 위치에서 컵9을 유지시키도록 변기 60의 프레임 2과 일체로 형성한 래치 결합후크 71와 결합한다. 스프링 72은 후크 71에 래치 70를 주로인가한다.
제 4도에 설명된 바와같이, 변기용기 3는 용기 3 내측에 형성된 바닥 환상의 프랜지 41를 이루게하는 상부 중공림 40을 가진다. 프랜지 41에는 변기용기 3의 내벽을 향하며 제어밸브 74의 각 출력관 73을 통해 물을 공급하는 외주 분산 노즐들 42이 있다.
다음 설명에서 나타내어질 것이지만, 변기 60의 작동은 밸브 74에 의해 제어될 것이다.
변기 60를 작동시키려면 사용자는 단지 푸시보턴 75을 누르면 된다(제 4도).
이제 제 7도 및 8도를 참조하면, 제어밸브 74는 단면상 일반적으로 구형인 링 77에 의해 둘러 쌓인 톱니바퀴 76를 포함한다. 링 77의 내부공간 78에는 스프링에 바이어스된 폴 79이 피봇장착된다. 특히, 폴 79은 톱니바퀴 76의 회전축 80과 일반적으로 나란한 어떤 축 주위에 피봇장착되는 근접단을 가진다. 공간 78의 바닥과 피봇폴 79사이에 놓여진 스프링 81은 톱니바퀴 76의 82같은 톱니에서 이 폴 79의 여유거리단 83을 민다.
푸시보턴 75은 프레임 2의 상부벽 89을 관통하고 제어밸브 74를 향하도록 연장된 로드 84를 포함한다.
연결로드 85(제 8도)는 푸시보턴 75에 대향하는 로드 84단부에 피봇연결된 제 1단 86과, 링 77의 외주단면 88에 피봇연결된 제 2단 87을 가진다.
푸시보턴 75을 하강시키면, 로드 84의 길이방향이동은 화살표 방향 90의 축 80둘레로 링 77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로드 85를 통해 전달된다. 링 77의 회전운동은 여유거리단 83이 하나의 톱니 82와 결합하는 폴 79을 통해 톱니바퀴 76로 전달된다. 푸시보턴 75을 해제시키면, 이푸시보턴은 눌러지지않은 위치로 복귀한다(예를 들어 스프링(도시하지않음)의 작동에 의함). 링 77은 그때 방향 9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프링에 바이어스된 폴 79은 다른 다음번 톱니 82와 결합하도록 톱니 82위로 미끄러진다.
푸시보턴 75의 해제어 따른 톱니바퀴 76의 회전운동은 축 92을 통하여 다른 톱니바퀴 91로 전달된다. 제 9a 및 9b도에 설명되는바와 같이, 톱니바퀴 91는 매끄러운 환상의 축부 95 및 기어가 형성된 환상의 축부 96로 나누어지는 외주 환상 모서리면 94을 포함한다. 매끄러운 환상의 축부 95는 캠부 97 및 반원부 121로 이루어진다(제 9a도)
제 8도에 보인바와 같이, 바퀴 76 및 링 77은, 바퀴 91가 그 하우징 93 내측에 놓여될때, 제어밸브장치 74의 수밀 하우징 93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은 물공급구 98에서 입력 튜브 99(제 4도) 및 스프링 바이어스 밸브 100를 통해 제어 밸브 장치 74로 제공된다(제 7도의 화살표 101참조).
밸브 100는 원추형 시트 103를 이루는 관상부재 102, 및 스프링 106에 의해 시트 103로 인가되며 원추형 시트 103 내부에 끼워지는 원추형 표면 105을 이루는 플럭 104을 포함한다. 0-링 107은 시트 103와 원추면 105 사이에서 결합시의 방수를 제공한다. 플럭 104은 바퀴 91의 매끄러운 축부 95에서 미끄러지며 인가된 둥근 여유단 109을 가지고 하우징 93내부로 연장하는 일체형 가는 연장부 108를 포함한다.
초기에, 연장부 108의 둥근 여유단 109은 제 9a도에 보인 위치, 즉 캠단면 97의 모서리에 있다. 푸시보턴 75의 누름에 의한 방향 111(제 9a도)으로의 휠 91 회전운동은 스프링 106에 의해 생성된 힘에 대향하도록 연장부 108의 축방향 움직임 및 캠부 97에서의 여유단 109을 갖게하거나 슬라이딩을 가능케 한다. 원추면 105은 원추형 시트 103와 떨어져서 움직이므로 물은 밸브를 침투하여 터빈 113을 구동시키도록 하우징 93내에 형성된 도관 112을 통해 흐른다. 도관 112은 터빈 113을 효과적으로 구동하도록 물의 흐름을 벗어나지 않게하는 반원 벽 114을 포함한다.
터빈 113의 회전 움직임은 축 116을 통하여 속도 감속기어 시스템 115으로 전달된다. 기어 시스템 115은 하우징 93의 수밀 격실 117에 안치되어, 어떤 물도 기어 시스템 115의 톱니바퀴에 도달치 않게 한다.
속도-감속 기어 시스템 115은 회전이 터빈 113의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톱니바퀴 118를 포함한다. 톱니바퀴 118는 방향 111으로 주어진 속도로써 톱니바퀴를 회전시키도록 바퀴 91의 톱니가 있는 환상의 축부 96의 톱니와 결합하는 미늘 톱니바퀴부 120를 회전시키는 바퀴를 구동하도록 회전하는 축 119에 장착된다.
이러한 형태의 마늘 톱니바퀴부는 이기술에 통상 숙달된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톱니바퀴 118가 미늘 톱니바퀴부 120 및 톱니바퀴 91를 방향 111으로 구동시키도록 회전하므로, 플럭 104의 둥근 여유단 109은 먼저 바퀴 91의 환상 모서리면 94의 매끄러운 환상축부 95의 캠부97에서 미끄러지면서 점차 밸브 100를 개방시키고, 그때 밸브 100는 반원부 121에서 충분히 개방된다.
반면, 터빈 113을 구동시킨 도관 112을 통한 물은 하우징 93을 채우며 구간벽 124(제 7도참조)의 구멍 123을 통해 하우징 93의 격실 122로 인가된다.
또한 속도-감속기어 시스템 115은 회전이 터빈 113의 회전에 의해 제공되는 톱니바퀴 125를 포함한다. 톱니바퀴 125는 격실 117 및 122사이에 놓이는 구간벽 127을 통하여 회전하는 관체형축 126에 장착된다. 톱니바퀴 125의 회전운동은 축 126을 통하여 격실 122에 장착되는 바퀴 128 및 129와, 대경의 톱니바퀴 129와 기어결합하는 소경의 톱니바퀴 128로 전달된다. 톱니바퀴 129의 회전운동은 최종적으로 물분배디스크 130로 전달된다.
제 7도 및 10도를 참조하여, 물 분배디스크 130는 격실 122의 벽면 131에 인가된다. 격실 122의 벽면 131에 제어밸브 74의 출력 관들 73중의 대응하는 하나와 각각 연결되는 여러쌍의 직경 대응 구멍 133이 제공될때 물 분배디스크 130에는 한쌍의 직경대응 구멍 132이 제공된다. 디스크 130의 회전에 따라, 한쌍의 구멍들 132은 직경적으로 대향하는 구멍 133의 각 쌍과 연속적으로 순차 정렬된다.
노즐 42은 그러므로 변기용기 3의 내벽 및 컵 9의 내측을 세척시키는 기능의 연속 물분사를 순차 수행하고 쌍으로 하우징 93에서 물을 공급한다.
물 분배 디스크 130에는 또한 벽면 131의 구멍 135과 결합하는 반원의 장방형 구멍 134이 제공된다. 구멍 135은 컵 9의 양측에 물용기(그릇) 63를 제공하는 튜브 64(제 4도)와 연결된다.
그러므로, 푸시보턴 75의 누름에 의한 방향 113(제 9a도)으로의 바퀴 91 회전운동은, 스프링 106에 의해 생성된 힘에 대향한 연장부 108의 축방향 움직임과 캠부 97위의 여유단 109의 미끄러짐이, 도관 112을 통해 물이 흐르도록하여 터빈 113을 구동시킨다. 터빈 113의 회전 운동은 톱니바퀴 125를 회전시키도록 속도 감속기어 시스템 115에 제공 되며, 그 톱니바퀴 125의 회전운동은 용기 3 및 컵 9을 세척하는 연속분사수를 순차 생성하고 쌍으로 하우징 93에서 노즐 42로 물을 공급하도록 물분배디스크 130로 전송된다.
노즐 42을 통과한 물은 초기 레벨 136에서 레벨 62로 변기용기 3내의 물 5의 레벨을 상승시키며, 레벨 136은 변기가 안치되는 방으로 하수개스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레벨이다. 반면에, 물분배 디스크 130의 장방형 구멍 134이 벽면 131의 구멍 131과 정렬될때, 물은 64와 같은 결합된 관을 통하여 63와 같은 두개의 수평용기로 인가된다. 관 64은 자신이 컵 9의 기울어지는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유연하며 축 61에 밀접히 통과한다.
물 5이 레벨 62에 도달되었을때, 63과 같은 수평용기는 물로 충만하다. 또한 부구 69는 V형암 68을 피봇시키는 물의 레벨에 대응되며 후크 71에서 래치 70의 결합을 해제 시킨다. 컵 9은 그때 제 5도의 기울어진 위치에 이를때까지 화살표 137방향 (제 4도)으로 기울어진다. 용기 3로부터의 폐수 5는 구멍 4을 통해 배출되며, 배출공 7 및 거기에 연결된 배수관 (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최종배수 되도록 컵 9에서 중공챔버 6로 배출된다(제 5도의 화살표 20를 보세요).
한편, 노즐 42에는 연속분사를 위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63과 같은 두개의 용기로 부터의 물은 대응 바닥 구멍 65을 통해 점차 방출된다. 63과 같은 용기의 바닥구멍 65을 통해 물이 방출 되므로, 컵 9 및 그내용물의 무게중심 은 뒤로 옮겨지고 컵 9은 스프링 바이어스래치 70가 후크 71를 결합할때 까지 원래의 기울어지지않은 제 4도 위치를 향해 축 61 주위를 서서히 피봇 동작한다. 이러한 동작은 용기 3 및 컵 9의 세정과 폐수의 적절한 배수를 가능케 하는 설정시간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 컵 9이 복귀하는것을 지연시킨다. 이컵 9은 무게중심의 이러한 변화를이룰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평형추는 이러한 작용을 하는데 필요하면 부가될 수 있다.
제 4도의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 컵 9을 복제시키는 동안 및 제 4도의 기울어지지 않은 위치로 컵 9이 복귀된 다음에는, 노즐 42로 부터 물을 분사하여 컵 9 및 변기용기 3의 물 레벨을 상승시킨다. 감속 기어 바퀴 118, 축 119및 미늘 톱니바퀴부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 91의 회전속도는 물공급구 98에서 용기 3 및 컵 9을 제 4도의 레벨 136로 채우기위한 물의 압력으로 조정된다. 더욱 특별히, 물 5의 레벨이 레벨 136에 도달하면, 플럭 104의 연장부 108의 둥근 여유단 109은 모서리 110로 떨어지도록 톱니바퀴 91의 환상 모서리면 94의 매끄러운 환상축부 95의 반원부 121의 단부 139(제 9a도)를 떠난다. 그때 O링 107은 원추형시트 103 및 원추면 105 사이의 결합을 시일 (seal) 하여 물이 밸브 100를 통해 하우징 93으로 더이상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푸시보턴 75이 변기 60의 상술한 주기 동작을 이루기위해 다시눌려질 때까지 변기 60 작동 및 터빈 113작동을 멈추케 한다.
제 11도는, 용기 3 및 컵 9에서 폐수의 배수를 용이 하게 하도록 중공챔버 6의 전면에 놓여진 폐수바닥 배출공 7을 나타낸다. 제 11도 구성의 단점은 현재 실행되는 표준 구성과 일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새 건물에서는 제 11도의 전면 폐수바닥 배출공 7을 수용하는 배수관 (도시하지 않음)을 배치시키는 것은 쉬울것이다.
제 12도는, 컵 9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다. 폐수를 방출시키기 위하여 점선으로 보인바와 같이 각각 기울어지는 두개의 반쪽컵 167 및 168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단점은 컵 9내에 물을 수용하도록 두개의 반쪽컵 167 및 168 사이에 수밀실링(water -tight seal)169을 필요료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수세식 변기의 유지 및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위하여는, 제 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3 부분으로 만들수 있다:
-배수관(도시하지않음)을 연결하는 폐수배출공 171을 가지는 중공챔버 172 및 상부림 173이 형성된 프레임 170;
-림 173 및 프랜지 176사이에서 러버가스켓 177을 사용하여 상부림 173에 장착되는 외주프랜지 176를 갖도록 형성된 변기용기 175 ; 및
- 프레임 179 또는 용기 175에 피봇장착된 기울어지는 컵 174.
본발명의 다른 양태는 시트커버지를 자동공급하도록 된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변기 140는 제 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지(pre-shaped seat-covering paper sheets)를 내부에 수용하는 얕은 환상의 홈 143을 갖도록 형성된 바닥면 142을 갖는다.
다음 설명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변기 140의 환상 시트 145에 커버지를 놓기위하여는, 커버 141를 시트 145에 놓도록 하는 방향 144으로 커버 141를 피봇 작동케하고 점선 146으로 보인 일반적인 휴식 위치로 피봇커버 141를 단지 복귀시킨다.
제 15도에 나타낸 바람직한 제 1 양태에 따르면, 147과 같은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지 적재물 156이 얕은 홈 143에 장착된다. 각 시트지 147는 적절한 압력인가 패스너 150 및 150에 의해 홈 143에 수용된 직경상 반대위치의 두개의 플랩 148 및 149를 가진다. 각 시트지 147의 노출된면에는 시트 145의 표면 155에 그 시트지를 외관상 최적접착 상태로 최적화시킬수 있는 위치에 복수의 접착 스트립 152이 또한 제공된다. 플랩 148은 공선 (절취선)153을 따라서 절취함으로써 커버지 147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같은 방식으로 플랩 149은 절취선 154을 따라 절취함으로써 커버지 147로 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작동시, 변기시트 145의 표면 155을 이미 덮고 있는 커버지 147를 먼저 제거시킨다. 적재물 156로 부터 새로운 커버지 147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표면 155에 스트립 152을 부착 시킬수 있도록 시트 145의 표면 155으로 커버지 147의 노출면을 제공할수 있게 방향 144으로 커버 141를 피봇시킨다. 그때, 피봇커버 141는 자신을 일반휴식 위치 146로 복귀시키도록 화살표 144 반대방향으로 피봇작동한다. 커버 141가 시트 145를 떠나면서 스트립 152은 시트 145의 표면에 접착되고 절취선 153 및 154을 따라서 커버지 147를 절취시킴으로 시트 145에는 커버지 147만 남게하는 유지력을 갖게하며, 이때 커버지 147는 시트 145의볼록한 표면 155에 맞도록 미리 성형된다.
물론, 적재물 156의 다음 커버지 147의 접착 스트립 152에 인가된 각 커버지 147표면은 스트립 152의 접착제가 가능한한 많이 묻는것을 방지하도록 매끄럽게 처리된다.
또한 시트 145의 표면 155에 커버지 147의 노출면을 좀더 잘 인가하기위하여는, 157과 같은 평편한 스프링이 커버지 147의 적재물 156과 얕은 홈 143의 바닥 사이에 놓여질수 있다.
제 16도에 나타낸 제 2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얕은홈 143이 말발굽 형상이고 159와 같은 미리 성형된 시트 커버지의 적재물 158이 얕은 홈 143에 장착된다.
각 커버지 159의 노출된면은 시트 145의 표면 155에 그러한 커버지의 최적 접착을 위해 최적화된 위치에 있는 복수의 접착 스트립 160이 제공된다. 제 16도의 바람직한 구성으로, 커버지 159의 적재물 158은 압력에 민감한 센서 165 및 166에 의해 압력방향에 대응하여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피봇 플래퍼 161∼164를 사용하여 얕은 홈 143에 고정된다. 피봇플래퍼 161∼164는 또한 수작업으로 동작될수 있다.
작동시, 변기 시트 145의 표면 155을 덮은 미리 성형된 커버지 159를 먼저 제거시킨다.
적재물 158에서 새로운 미리 성형된 시트 커버지 159를 설치하기 위하여는, 표면 155에 스트립 152을 접착시키도록 시트 145의 표면 155에 커버지 159의 노출된면을 인가하는 방향 144으로 커버 141를 피봇시킨다. 그러면 센서 165 및 166는 플래퍼 161∼164를 철회시키기 위한 압력을 검출한다. 그후 피봇커버 141는 커버 141를 자신의 일반 휴식위치 146로 복귀 시키도록 화살표 144반대 방향으로 피봇된다. 커버 141가 시트 145를 더날때, 스트립 160은 시트 145의 표면 155에 접착되므로 센서 165 및 166는 시트 145에 접착된 커버지 159와 적재물 158의 다음 인접 커버지 159사이에 삽입되는 플래퍼 161∼164를 해제시키기 위한 어떤 압력도 검출치 못한다. 이는 상술한 설명에서 동작 및 기능이 설명된 압력에 따라 구동하며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플래퍼 161∼164를 설계하는 기술에 숙달된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의 능력 범위내에 있는것으로 믿어진다.
물론, 각 커버지 159는 시트 145의 볼록 표면 155에 맞도록 미리성형되고, 각 커버지 159의 표면은 적재물 158의 인접한 다음 커버지 159의 접착 스트립 160에 인가되는 각 커버지 159 표면은 스트립 160의 접착이 가능한 많이 못되도록 매끄럽게 처리된다.
물론 커버지 159의 제조에는 다른 적절한 재질로써 종이를 대신할 수 도 있다.
사용자의 편리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전기 히팅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커버지 147또는 159를 따뜻하게 하도록 커버 141에 제공될 수 있다.
이제 제 14도를 참조한 본발명의 다른 양태는, 변기시트커버 141 및 /또는 변기시트 145 밑에 바로 안치되는 변기 용기링 166에 제공되는 자동 시트 살균 시스템을 갖는 변기에 관한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커버 141 및 시트 145는 수평 위치나 올려진 뒷면위치로 선회할 수 있는 능력및 일반적 형상의 관용 디자인과 유사하다. 커버 141의 내부는 여러가지 세정 및/또는 살균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이 제공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고체 또는 액체 세정제, 초음파 발생기, 열 발생기, 적외선 또는 자외선광 발생수단, 레이져, 공기흐름, 냉각제, 세정제 공급기, 와이퍼, 시트 145상의 제거가능한 커버지 내부로 순간 경화시키는 비닐코팅 또는 화학층 등이 있다.
물론 세정/살균은 시트 145와 누르는 커버 141가 접촉하여 놓여질때 발생한다.
선택적 구성으로, 세정/살균 시스템은 용기링 166에 놓여질수 있거나 단순히 변기 시트 145와 용기링 166사이에 놓여지는 층 167이 될 수 있다.
제 17도를 참조하면, 시트 145는 볼 169이 시트 145와 일체로 되는 볼죠인트 168를 사용하여 변기 1의 프레임 2에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시트 145의 반대측면과 쉽게 부착 가능한 슬롯 구멍(도시하지 않음)과 로타리 말단캡 (도시하지 않음)같은 다른 장착수단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볼죠인트가 바람직하다.
시트 145는 볼죠인트 168내에서 시트 145를 회전시킴으로써 쉽게 반전 될 수 있다. 반전 시트의 일측은 항상 세정/살균될 것이며 층 167이나 용기링 166과 접촉하여 고정 될 때마다 사용을 위해 대기한다. 사용자는 세정/살균면을 취하기위해 시트 145를 단지 반전시키는것만 필요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상기에 설명 하였으나, 이들구성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성에서 벗어남없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관점 내에서, 쉽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 9의 기울어지는 작동 및/또는 컵 9을 대기 위치로 위치시킴은 다음에 의해 효과를 얻을수 있다 :
-유연한 러버로 만들고 물이(수압에 의해) 제공되는 피스톤을 사용함;
- 컵 9 및 그 내용물의 중심을 바꾸기 위해 물로 컵 9을 채워 그 컵을 기울이게함 ;
-자석 또는 자력을 사용함 ;
-스프링을 통함 ;
-전기모터를 구동시키고 용기내의 물레벨을 검출함 ;
-기어배열을 통함 ;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함 ;
-원격제어등에 의함.
컵 9을 기울기위해 어떤 수동, 전기, 전자, 기계, 자동, 자석, 중력 구동을 사용하는 것은 본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같은 방식으로, 밸브 21, 43 및 74는 수동, 전기, 전자, 기계, 자동, 자석, 원격제어 또는 중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용기 3내의 물 레벨은 제어밸브 74또는 연속벨브 43의 내측또는 외측에 놓인 독자적 밸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나타낸 개념을 포함하는 휴대용 변기를 제공하는것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또한 휴대용 변기는 절첩 물공급용기와 선택적으로 절첩 폐수용기를 갖도록 제공하는것을 고려 할 수 있다.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사용중인 대부분의 변기는 변기용기에서 폐수를 배설시키는 사이펀 및 용기를 포함한다.
이들 일반 용기들의 주요 단점은 변기 용기를 세척하고 폐수를 사이펀을 통해 배출 시키도록 상당히 높은 압력을 생성시키는 물펌프나 물탱크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떤 사이펀도 포함하지 않는 변기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종래 개술의 단점을 제거하려는 것이다.
연관된 목적은 일반적인 변기보다 소음이 적고 물을 적게 사용하는 변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다른 연관 목적은 물펌프나 물탱크의 필요성을 없앰으로써 공간을 줄일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기용기 내에서 소망하는 물의 레벨을 고정시키는 컵을 포함하는 변기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이 컵은 변기 용기로부터 폐수를 방출시키기 위해 기울어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동으로 변기시트 위생커버쉬트를 제공하는 변기시트 장치와 자동살균 변기시트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폐수 배출공이 형성된 변기용기를 지지하며, 폐수바닥배출공이 형성되며, 변기용기 밑에 구획되는 중공챔버를 제공하는 프레임;
변기용기의 상기폐수배출공 위로 연장 하도록 변기용기 밑에서 중공챔버에 장착되는 기울어지는 컵수단 ; 및
상기 폐수 배출공을 통해 변기 용기와 통하는 물을 수용하도록 컵이 기울어지지 않는 제 1 위치와, 상기 바닥 배출공을 통해 폐수를 최종 배설하는 중공챔버내에서 각각의 변기 용기 및 컵 수단으로부터 폐수를 배설시키도록 컵수단이 기울어지는 제 2위치 사이에서 컵 수단의 기울어짐 동작을 제어하는 기울어짐 제어시스템을 포함하는 변기가 제공된다.
기울어지는 컵이 제공되면, 사이펀은 더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상술한 사이펀에 관련된 단점은 그러므로 제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
-컵수단은 일반적인 수평축 주위로 피봇장착되는 하나의 컵을 포함하고 ;
-컵수단은 주어진 축에 적어도 하나가 피봇장착되어 그 축주위로 기울이도록 하는 두개의 상보 컵부를 포함하고 ;
-변기는 기울어짐 제어 시스템을 구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기울어짐 제어 시스템은 중공챔버에서 각 변기 용기 및 컵수단으로부터 폐수를 배출시키도록 상기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컵을 기울이도록 상기 구동 수단에 대응하는 수단 및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제 1위치로 컵수단을 순차 복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변기는 변기용기 및 컵수단을 세정시키도록 컵수단이 기울어질때 변기 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수단 및 컵수단이 제 1위치로 복귀하였을때 설정된 레벨로 변기 용기의 물을 상승시키고/또는 컵수단이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제 1위치로 복귀하여 물을 변기용기로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물공급시스템을 포함하며 ;
-변기 용기의 물은 초기에 제 1하부 레벨에 있고, 변기는 또한 변기 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시스템 및 제 1하부 레벨에서 제 2높은 레벨로 변기용기 내의 물을 상승시키도록 변기용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시스템을 구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기울어짐 제어 시스템은 중공챔버에서 각각의 컵수단 및 변기용기로부터의 폐수를 방출시키도록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컵수단을 기울이기 위해 물의 제 2높은 레벨에 대응하는 수단과 제 2위치에서 제 1위치로 컵수단을 복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물 공급시스템은 변기 용기 및 컵수단을 세척하도록 컵수단이 기울어지게 물을 변기용기에 제공하는 수단 및 변기 용기의 물을 제 1하부레벨로 상승시켜 컵수단이 상기 제1위치로 복귀하였을때 및/또는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제 1위치로 컵수단이 복귀할때 변기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제 2위치에서 제 1위치로 컵수단을 복귀시키는 수단은 변기용기 및 컵수단을 적절히 세척할 수 있게 상기 제 2위치에서 상기 제 1위치로 컵수단의 피봇 움직임을 방해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
-컵수단이 기울어질때 변기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수단은 변기용기 및 컵수단을 효과적으로 세척하도록 변기용기 및 컵수단의 내벽면으로 분사되어 각각 물분사를 생성시키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고 ;
-변기는 표면을 가지는 환상의 시트 및 바닥면을 가지는 피봇 커버를 포함하고, 피봇 커버는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지를 고정시키는 수단 및 환상의 시트에 피봇커버를 단순히 인가시켜 환상의 시트 표면에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지를 하나씩 안치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
-피봇커버의 바닥면에는 미리성형된 시트커버지의 적재물을 수용하는 얇은 홈이 형성되고 ;
-적재물은 피봇커버를 환상의 시트에 인가시킬때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지의 노출면을 시트표면에 접착시키도록 접착제 수단이 부가된 노출면을 가지는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지를 포함하고 ;
-각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지는 복수의 플랩을 가지며, 피봇커버는 앝은홈에 상기 플랩을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각 플랩은 절취선에 의해 대응되는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지와 분리되어 피봇커버가환상의 시트로부터 멀어질때, 노출면이 절취선을 따라서 환상의 시트표면에 접착된 미리 성형된 시트 커버지는 플랩을 분리시켜 상기 적재물과 상기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지를 분리시킴으로 환상의 시트 표면에 놓여지고;
-피봇커버는 피봇 커버의 바닥면의 앝은 홈에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지를 고정시키도록 각각 제 1위치에 안치되는 복수의 플래퍼 수단 및
(a) 피봇커버가 환상의 시트에 인가될때, 노출된면이 환상의 시트 표면에 접착되는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를 분리시키도록 자신들의 제 1위치에서 각 제 2 위치로 상기 플래퍼수단을 이동시키고, 및
(b) 피봇커버가 환상의 시트에서 멀어지게 움직일때, 노출된 면이 상기 환상의 시트 표면에 접착된 미리 성형된 시트커버지외의 미리 형성된 시트커버지는 앝은 홈에 보유시키도록 제 2위치에서 다시 제 1위치로 플래퍼수단을 복귀시키는 압력에 민감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잇점 및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주어진 실예에 의해 바람직한 양태의 비제한적 설명을 읽으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Claims (13)

  1. 챔버를 규정하는(defining) 프레임,
    상기 챔버 내의 상부챔버영역과 하부챔버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챔버영역과 상기 하부챔버영역 간에 연통되는 하부방출개구가 마련된 제 1 유체수용체적을 규정하는 변기부(toilet bowl),
    상기 프레임의 상기 하부챔버영역에 일반적으로 배치되며, 제 2 유체수용체적을 규정하는 경사변기부(tilting bowl)를 구비하며,
    상기 제1유체수용체적과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면서 상기 하부 방출개구를 내포하고 있는 상기 제 2 유체수용체적의 제1위치와, 상기 제1 유체수용체적으로부터 상기 하부방출개구를 통해 그리고 상기 제2유체수용체적으로부터 상기 하부챔버영역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하는 제2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경사변기부가 상기 변기부에 대하여 상대적인 선회운동을 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경사변기부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하부방출개구를 통해 기체가 흐르는 것을 제한하는 식으로 상기 하부방출개구가 파묻히게 하는데 충분한 제 1 유체체적을 보유하며,
    상기 경사 변기부는, 상기 제 2유체수용체적 내의 유체가 제1소정의 유체 파라미터값 이하로 존재 시, 상기 제 1 위치에서 유지되며,
    상기 제 2 유체수용체적내의 유체가 상기 제 1 소정의 유체 파라미터 값 이상인 제 2 유체 파라미터 값을 초과할 때, 추가적인 유체가 상기 제 2 유체수용체적으로 도입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경사 변기부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향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toilet).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정의 유체 파라미터 값은 유체 중량이며, 상기 제 2 소정의 유체 파라미터 값은 유체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소정의 유체 파라미터 값은 유체레벨이며, 상기 제 2 소정의 유체 파라미터 값은 유체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
  4.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향하는 상기 경사변기부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향하는 상기 경사변기부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수단은 래치 조립체 및/또는 자기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
  6.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변기부는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를 향해 복귀하도록 바이어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상기 경사 변기부가 복귀하는 것을 저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체레벨에 도달하는 때를 검출하여 상기 경사변기부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향하는 움직임을 하도록 상기 경사 변기부를 해제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검출 및 상기 움직임 해제를 위한 수단은 플로우트 래치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세척 작용을 위해 상기 변기부에 부딪히는 물 흐름을 유도하도록 배치 배열된 복수개의 출구들과, 상기 복수의 출구를 통해 물을 전달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전달수단은 개선된 세척작용을 위해 상기 복수개의 출구들의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출구들로 된 연속적인 그룹을 통해 물을 차례차례로 전달하는 순서정리수단(sequencing means)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
  12. 제 10항 또는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출구는 상기 하부방출개구 및/또는 상기 하부챔버영역 안의 폐수배출공 윗쪽에 일반적으로 배치되는 포위영역(enclosure region)을 규정하며, 상기 포위영역은 상기 하부방출개구의 수직투사도 및/또는 상기 폐수배출공의 수직투사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수직투사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
  13. 제 1항,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방출개구는 상기 폐수배출공 윗쪽에 일반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폐수배출공의 수직투사도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수직투사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시스템.
KR1019960704712A 1994-02-28 1995-02-28 비수세식변기시스템 KR100453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704712A KR100453507B1 (ko) 1994-02-28 1995-02-28 비수세식변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403776.9 1994-02-28
CA2,101,913 1994-03-01
KR1019960704712A KR100453507B1 (ko) 1994-02-28 1995-02-28 비수세식변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3507B1 true KR100453507B1 (ko) 2005-04-06

Family

ID=4366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4712A KR100453507B1 (ko) 1994-02-28 1995-02-28 비수세식변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8288A (zh) * 2019-03-21 2021-12-03 玛格太空工业有限责任公司 用于飞行器马桶冲洗阀门的磁性位置传感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8740A (ko) * 1973-03-02 1975-05-01
US3905049A (en) * 1972-10-30 1975-09-16 Elsan Ltd Toilets
JPS50144255A (ko) * 1974-05-10 1975-11-20
JPS5180948U (ko) * 1974-12-21 1976-06-28
US4155129A (en) * 1978-03-23 1979-05-22 Russell Harold J Pan type bottom discharge toilet
US4246666A (en) * 1978-11-17 1981-01-27 Stansbury Jr Benjamin H Flush toilet
JPS61229042A (ja) * 1985-04-01 1986-10-13 リンフオ−ス工業株式会社 簡易水洗トイレ装置
JPS61250237A (ja) * 1985-04-25 1986-11-07 リンフオ−ス工業株式会社 簡易水洗トイレ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049A (en) * 1972-10-30 1975-09-16 Elsan Ltd Toilets
JPS5048740A (ko) * 1973-03-02 1975-05-01
JPS50144255A (ko) * 1974-05-10 1975-11-20
JPS5180948U (ko) * 1974-12-21 1976-06-28
US4155129A (en) * 1978-03-23 1979-05-22 Russell Harold J Pan type bottom discharge toilet
US4246666A (en) * 1978-11-17 1981-01-27 Stansbury Jr Benjamin H Flush toilet
JPS61229042A (ja) * 1985-04-01 1986-10-13 リンフオ−ス工業株式会社 簡易水洗トイレ装置
JPS61250237A (ja) * 1985-04-25 1986-11-07 リンフオ−ス工業株式会社 簡易水洗トイレ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8288A (zh) * 2019-03-21 2021-12-03 玛格太空工业有限责任公司 用于飞行器马桶冲洗阀门的磁性位置传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4948A (en) Combination toilet seat and bidet attachment
US6317899B1 (en) Dual flush toilet
US5183035A (en) Oral hygiene device
US6003159A (en) Apparatus for automatic washing, sanitizing and drying toilet seats
JP3545607B2 (ja) ボウル傾倒式便器
US4642820A (en) Bidet
TWI316579B (ko)
JPS601460B2 (ja) ビデ便座
US6000070A (en) Combination toilet and bidet
US5802627A (en) Fluid operated tilting bowl toilet
US4407025A (en) Water-conserving toilet
US20060021121A1 (en) Self-cleaning toilet with an optional self flushing system
US20070011801A1 (en) Toilet with spinning bowl and water jet
US5319811A (en) Closet seat for a water closet as well as an apparatus for cleaning the posterior on a water closet having a seat
US8037553B2 (en) Tankless ventilated toilet with bidet
US6076200A (en) Fluid-operated tilting-bowl toilet
KR100453507B1 (ko) 비수세식변기시스템
CA2184158C (en) Fluid operated tilting bowl toilet
JPS59228541A (ja) 便器
EP0495017A1 (en) Lavatory assembly
US6442771B1 (en) Flushing device
WO2013190547A1 (en) Ecological system and method for toilet flushing
MXPA96003716A (en) Unfinished toilet system
JPH0566450B2 (ko)
US5671486A (en) Decorative cover for a toilet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