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842B1 - 급수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급수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842B1
KR100448842B1 KR10-2001-0073030A KR20010073030A KR100448842B1 KR 100448842 B1 KR100448842 B1 KR 100448842B1 KR 20010073030 A KR20010073030 A KR 20010073030A KR 100448842 B1 KR100448842 B1 KR 100448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ston
case
discharge por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304A (ko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김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진 filed Critical 김동진
Priority to KR10-2001-0073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84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6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ing after a predetermined quantity of fluid has been deli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hand-operated valves or for combined motor and hand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48Mechanical actuating means actuated by mechanical timing-device, e.g. with dash-p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급수밸브조립체가 개시된다. 그러한 급수밸브조립체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입수구, 토수구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공간에서 토수구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인입되는 물이 선택적으로 토수구로 배출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며, 상기 입수구의 물이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관로를 구비하는 피스톤 어셈블리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공간으로 인입되는 물을 상기 토수구로 배출하기 위한 구동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외주에 배치되어 감지부재의 신호 값을 입력받아 그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의 외주에 내주 측이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공간 내에서 상기 입수구와 연결되는 제1 쳄버 및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의 관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쳄버와 연통되며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의 내측에 제공되는 제2 쳄버로 분리하는 다이어프램과, 그리고 상기 토출구에 장착되어 수동적으로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를 작동시킴으로써 물을 배출하는 수동전환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급수 밸브 조립체{WATER SUPPLY VALVE ASSEMBLY}
본 발명은 급수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작동방식의 자동급수밸브에 수동전환밸브를 장착함으로써 센서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수동조작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수밸브는 수도꼭지, 세면기, 소변기 등에 장착되어 필요시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급수밸브는 자동방식과 수동방식으로 구분되는데, 근래에는 자동방식에 의한 급수밸브가 개발되고 있다.
자동 급수 밸브는 밸브와 센서를 연결하여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물을 공급혹은 차단함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절수 효과가 있다.
이러한 자동 급수 밸브는, "센서를 이용한 자동 수도꼭지" 라는 명칭으로 출원되어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87-4236호에도 게시된다.
상기 실용신안공보에는 센서와 솔레노이드 밸브를 장착함으로써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수도꼭지가 기술된다. 이러한 수도꼭지는 손 등의 피검출물이 센서에 감지되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수도꼭지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지나거나 피검출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수도꼭지를 폐쇄함으로써 물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도꼭지는 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물을 공급/차단함으로 사용상의 편리점은 있으나, 센서가 고장나는 경우에는 수도꼭지를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동 급수 밸브는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면 감지되는 동안 계속하여 작동하거나 일정 시간만 작동하게 됨으로 밸브의 작동시간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선행기술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동전환밸브를 장착함으로서 센서의 고장시에도 수동방식에 의하여 작동 할 수 있는 자동급수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급수밸브에 타이머를 장착함으로써 작동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자동급수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 밸브조립체의 일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사시도.
도2 는 도1 에 도시된 밸브조립체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확대 사시도.
도3 은 도2 에 도시된 밸브조립체의 측면도.
도4 은 도2 에 도시된 밸브조립체의 정면도.
도5 는 도1 에 도시된 밸브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6 은 도4 의 "A-A선" 단면도.
도7 은 도1 에 도시된 밸브조립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조립도.
도8 은 도7 에 도시된 밸브조립체의 밸브몸체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9 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자동모드에서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10 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조립체의 수동모드에서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11 은 본 발명의 밸브조립체의 블럭도.
도1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풋스위치가 장착된 급수밸브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입수구 토수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공간에서 토수구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인입되는 물이 선택적으로 토수구로 배출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피스톤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공간으로 인입되는 물을 상기 토수구로 배출하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케이스의 외주에 배치되어 감지부재의 신호 값을 입력받아 그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의 일측에 상기 토수구와 반대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공간 내부를 상기 입수구와 연결되는 제1 쳄버 및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의 관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쳄버와 연통되며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쳄버로 분리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토출구에 장착되어 수동적으로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를 작동시킴으로써 물을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수동전환밸브;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시간을 설정가능한 타이머를 포함하는 급수밸브조립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에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급수밸브조립체가 도시되며, 이러한 급수밸브조립체는 수도꼭지(1)와, 상기 수도꼭지(1)에 연결되어 자동 혹은 수동모드에 의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 조립체(2)와, 손 등의 피검출물을 감지하여 상기 밸브 조립체에 신호를 전달하는 감지부재(3)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도꼭지(1)는 일반적인 형태의 꼭지로서 온수 및 냉수구역이 설정되어 있어 필요시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서 온수 및 냉수를 선택할 수 있고,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른 형태의 수도꼭지(1)도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수도꼭지(1)는 온수 및 냉수용 플렉시블 호스(4)에 의하여 밸브 조립체(2)와 연결된다.
상기 밸브 조립체(2)는 온수용 밸브(5)와 냉수용 밸브(6)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들은 입수호스(7;도2)가 각각 연결됨으로서 수도꼭지(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2 내지 도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용 밸브(5)와 냉수용 밸브(6)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온수용 밸브(5)에 의하여 설명한다.
상기 온수용 밸브(이하, 급수밸브조립체;5)는 밸브몸체(100)와, 상기 밸브몸체(100) 일측에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수단(8)과, 이 구동수단(8)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9)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0)와, 상기 밸브몸체(100)의 선단부에 장착되어 수동모드로 전환가능한 수동전환밸브(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급수 밸브조립체에 있어서, 도5 내지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몸체(100)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101)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01)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입수 파이프(7)와 연결되는 입수구(113)를 구비하고, 입수구(113)에서 케이스(101) 내의 공간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배출될 수 있는 토수구(11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1)는 그 후방에 상기 토수구(115)와 반대 방향으로 개구부(117;도8)가 형성되어 내부공간과 연결된다.
이러한 케이스(101)의 내부공간에는 도6 및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 어셈블리(103)가 장착되어 수압의 차이에 의하여 전후진 함으로써 물의 배출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103)는 상기 케이스(101) 내부에 장착되는 피스톤 가이드(121)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 가이드(121)를 따라 전,후진 하게 된다.
이러한 피스톤 가이더(121)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103)가 케이스(101)의 공간 내에서 이동을 할 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 가이더(121)의 측면에는 입수구(113)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어, 입수구(113)를 통하여 인입되는 물이 피스톤 가이더(121)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103)는, 제1 피스톤(201), 제2 피스톤(203), 개폐부재(205), 연결부재(207) 그리고 탄성부재(20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피스톤 어셈블리(103)의 제1 피스톤(201)은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케이스(101)의 토수구(115)와 연통되는 배출구(201a)를 구비하며, 측면에 내부의 공간과 연통되는 관로를 구비한다. 또한, 제1 피스톤(201)은 상술한 피스톤 가이더(121)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피스톤(203)은 제1 피스톤(201)의 배출구(201a) 반대측에 결합되며, 후술하는 다이어프램(109)의 내주 측을 고정한다.
상기 개폐부재(205)는 제1 피스톤(201)의 공간에 수납되며 제1 피스톤(201)의 배출구(201a)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삽입되며,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7)는 개폐부재의 중심에 긴 막대 형상의 스틸재로 결합되어 있으며, 토수구(115) 측의 배출구(201a)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구동수단(8)이 작동하는 경우, 구동수단(8)에 일체로 연결된 캠(27)에 의하여 좌, 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209)는 제1 피스톤(201)의 배출구(201a)에 상기 개폐부재(205)를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일단이 개폐부재(205)와 밀착되며, 타단이 제2 피스톤(203)에 밀착되어 반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피스톤 어셈블리(103)의 외주에는 다이어프램(109)의 내주측이 결합된다.
다이어프램(109)은 피스톤 어셈블리(103)의 외주측에 내주측이 결합되고, 피스톤 가이더(121)의 일측과 폐쇄부재(111) 사이에 외주측이 끼움 결합되어 있다. 물론, 다이어프램(109) 역시 케이스(101)의 개구부(117)를 통하여 케이스(101)의 공간 내에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다이어프램(109)은, 입수구(113)와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연결되며, 피스톤 어셈블리(103)의 외측, 피스톤 가이더(121)의 내주측, 그리고 다이어프램(109)이 이루는 제1 쳄버(105) 및 피스톤 어셈블리(103)의 관로를 통하여 제1 쳄버(105)와 연통되는 피스톤 어셈블리(103)의 내측부인 제2 쳄버(107)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폐쇄부재(111)는 상술한 케이스(101)의 개구부(117) 측에 결합되어 피스톤 어셈블리(103)와 함께 제2 쳄버(107)의 공간을 형성한다. 폐쇄부재(111)는 케이스(101)의 개구부(117)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며, 하나 이상의 볼트(112)로 케이스(101)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103)의 타측에는 가스켓(119)이 장착되어 피스톤 어셈블리(103)와 케이스(101) 내측의 밀착력을 높인다.
이 가스켓(119)은 고무재 또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 관통 구멍(119a)이 형성된다. 이 관통 구멍(119a)은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토수구(115)와 연결된다. 그리고 가스켓(119a)은 양단에 플랜지(119b)를 구비하고, 이 플랜지(119b) 사이에 홈이 마련되어, 이 홈과 대응하는 케이스(101)의 돌출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가스켓(119a)은 케이스(101)의 돌출부에 끼워질 때 어느 정도 유격을 가지고 끼움 결합되어 급격한 충격을 어느 정도 예방하여 소음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1)는 내부의 공간에 원통형의 매쉬부재(155)가 삽입된다. 매쉬부재(155)는 피스톤 어셈블리(103)의 외주에 배치되어 입수구(113)로 인입되는 물을 토수구(115)로 배출시킬 때 이물질을 걸러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9)은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재(3;도1)와 연결되는 제어유닛(도시안됨)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유닛(도시안됨)은, 별도의 PCB(Printed Circuit Board) 케이스에 수용되며, 구동수단(8)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센서부재(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구동수단(8)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구동수단(8)은 상술한 제어유닛(도시안됨)의 제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으로,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19)와, 모터(19)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모터(19)의 회전 속도를 줄이는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21,23,25)와, 그리고 감속기어(21,23,25)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캠(27)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구동수단(8)은 제어수단(9)의 신호에 의하여 모터(19)가 구동하게 되고, 회전력이 감속기어(21,23,25)에 전달되어 캠(27)이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캠(27)은 급수 밸브조립체의 밸브몸체(100) 일측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연결부재(207)와 접촉함으로써 연결부재(207)를 상하로 작동하게 된다.
한편, 도5 내지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1)의 일단부에는 수동전환바디(180)가 장착되며, 이 수동전환바디(180)에는 수동전환밸브(300)가 장착되어 급수밸브를 수동 및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동전환밸브(300)는 노브(301)와, 상기 노브(301)에 나사결합되어 노브(301) 외전시 상기 수동전환바디(180)의 내부에서 전,후진하는 부시(303)와, 상기 부시(303)에 일체로 고정되어 전,후진시 상기 연결부재(207)를 가압하는 샤프트(305)를 포함한다.
상기 노브(301)는 그 내부에는 나사홀(309)이 형성되어 샤프트 고정용 나사(307)가 체결된다. 그리고, 그 외부에는 노브캡(311)이 장착됨으로서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상기 부시(303)는 원통형상이며 일단부에는 플랜지(313)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관통홀(3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부시(30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317)이 형성되어 상기 수동전환바디(180)의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도시안됨)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노브(301)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부시(303)가 수동전환바디(180)의 내부로 전,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315)의 내부에는 턱(319)이 형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두 구역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관통홀(315)에는 상기 샤프트(305)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샤프트(305)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형축이며 그 중간부에는 테두리(321)가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나사홈(323)이 형성된다. 이러한 샤프트(305)는 상기 부시(30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305)의 테두리(321)가 상기 관통홀(315)의 턱(319)에 걸리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305)의 일단부는 상기 노브(301)의 내측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고정용 나사(307)를 샤프트(305)의 나사홈(323)에 체결함으로써 샤프트(305)가 노브(301)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305)에는 오링 및 패킹(325,327) 등이 장착됨으로써 방수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수동전환밸브(300)는 도9 및 도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노브(30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부시(303)가 전진함으로써 상기 샤프트(305)의 선단부(306)가 상기 연결부재(207)의 단부(329)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07)가 가압되어 상기 개폐부재(205)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배출구(201a)를 개방함으로써 물이 유출된다.
반대로, 상기 노브(301)를 역회전 시키는 경우, 상기 부시(303)가 후진함으로써 상기 샤프트(305)의 선단부(306)가 상기 연결부재(207)의 단부(329)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09)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205)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배출구(201a)를 폐쇄시킴으로써 물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밸브는 자동모드로 전환되어 모터(19)의 구동에 의하여 캠(27)이 작동함으로써 물의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써, 도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를 대신하여 풋 스위치(Foot Switch;40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풋 스위치(400)는 바람직하게는 싱크대의 하부에 장착됨으로, 발 등에 의하여 작동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풋 스위치(400)는 스위치 콘넥터(401,403)를 통하여 제어부(405)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 등에 의하여 상기 풋 스위치(400)를 누르게 되면, 신호가 제어부(405)에 전달됨으로서 급수밸브로부터 물이 유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타이머(407;도11)가 장착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물 공급시간을 설정하게 되면, 설정한 시간만큼만 물이 공급된다. 물론, 자동모드에서 작동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조립체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급수밸브조립체를 자동모드로한 경우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상태에는 입수구(113) 및 피스톤 가이더(121)의 관로를 통하여 제1쳄버(105)에 물이 유입되어 있고, 제1 피스톤(201)의 관로를 통하여 제2 쳄버(107)에 제1 쳄버(105)와 동일한 압력의 물이 채워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탄성부재(209)는 개폐부재(205)를 제1 피스톤(201)의 배출구(201a) 측으로 가압하여 배출구(201a)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 등이 수도꼭지(1)에 접근하게 되면, 센서(13)가 물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수단(9)에 전송한다. 제어수단(9)은 이 신호에 의하여 모터(19)에 구동 신호를 보낸다. 그러면 모터(19)는 회전하고, 감속기어(21, 23, 25)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면서 모터(19)의 구동 속도가 감속된다. 그리고 감속기어(25)의 회전에 따라 캠(27)이 회전한다. 캠(27)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재(207)가 일측으로 기울어진다. 연결부재(207)가 기울어짐에 따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개폐부재(205)가 기울어져 제1 피스톤(201)의 배출구(201a)를 오픈시킨다.
이때, 제2 쳄버(107)에 채워져 있는 물이 제1 피스톤(201)의 배출구(201a)를 통하여 토수구(115)로 배출된다. 그러면 제2 쳄버(107)의 압력이 제1 쳄버(105)의 압력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제1 쳄버(105)의 수압은 제2 피스톤(107) 및 다이어프램(109)을 토수구(115) 반대측으로 밀게된다.
그러면, 제1, 2 피스톤(105, 107)은 토수구(115) 반대측으로 피스톤 가이더(121)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제1 피스톤(201)이 가스켓(119)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가 해제되어 입수구(113)와 토수구(115)를 연통시키게 된다. 따라서 입수구(113)를 통하여케이스(101)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물은, 토수구(115)로 빠져나간다. 이것은 물을 급수하는 상태이다.
한편, 센서부재(13)의 감지 상태가 해제되면, 센서부재(13)는 감지 해제 신호 값을 제어수단(9)에 전송한다. 그러면 제어수단(9)은 모터(19)를 제어하는 구동신호를 보낸다. 모터(19)는 제어수단(9)의 신호를 받아 회전축이 회전되고, 이 회전 동력을 감속기어(21, 23, 25)에 전달한다. 감속기어(21, 23, 25)에 전달된 회전 동력은 캠(27)을 회전시킨다. 이때 캠(27)은 동일한 방향으로 90°씩 회전한다. 그러면 캠(27)은 초기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방향으로 캠(27)이 회전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초기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제어 상태 및 설계에 따라 적절하게 할 수 있으며,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
캠(27)이 원위치 되면, 연결부재(27) 역시 원위치 된다. 그러면 탄성부재(209)의 탄성력에 의하여 폐쇄부재(111)가 제1 피스톤(201)의 배출구(201a)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구(201a)를 폐쇄하게 된다.
그러면, 제1 쳄버(105)의 물은 제1 피스톤(201)에 제공되어 있는 관로로 유입되고, 제2 쳄버(107)는 제1 쳄버(105) 보다 수압이 높아지게 되어 피스톤 어셈블리(103)를 토수구(115) 측으로 이동시킨다. 물론 피스톤 어셈블리(103)는 피스톤 가이더(121)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가스켓(119)은 케이스(101)에 밀착되어 입수구(113) 측에서 토수구(115) 측으로 배출되는 물을 신속하게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토수구(115)를통하여 나오는 물은 일시에 잠김 상태가 되어 잔여 물방울이 나오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되어 상품성을 증대시키며, 절수할 수 있다.
이는 초기 상태의 피스톤 어셈블리(103) 위치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작용을 반복하여 자동적으로 급수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타이머(407)를 작동시킴으로써 물공급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즉, 30초, 1분, 2분 등 시간을 설정하게 되면, 이러한 신호값이 제어수단(9)에 전달되어 제어수단(9)은 모터를 상기 시간만큼만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시간만큼만 급수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밸브 조립체는 센서의 고장 등으로 인한 경우에는 수동전환밸브(300)에 의하여 수동모드로 작동할 수도 있다. 수동모드 상태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수동전환밸브(300)의 노브(301)를 회전시키게 된다. 노브(301)를 회전시키면 상기 수동전환바디(180)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기 부시(303)가 토출구(115)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부시(303)에 일체로 연결된 샤프트(305)가 토출구(115)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05)의 선단부(306)가 일정거리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207)의 단부(329)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207)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개폐부재(205)가 토수구(115)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구(201a)가 개방됨으로써, 제2 챔버(107)에 저장된 물이 배출구(201a)를 통하여 토수구(115)로 유출된다. 결국은, 토수구(115) 및 플렉시블 호스를 통하여 밸브조립체(5)로 공급된다.
반대로, 상기 노브(301)를 역회전 시키는 경우, 상기 부시(303)가 후진함으로써 샤프트(305)가 노브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샤프트(305)의 선단부(306)가 상기 연결부재(207)의 단부(329)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09)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205)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배출구(201a)를 폐쇄시킴으로써 물의 공급이 차단된다. 그리고, 밸브는 자동모드로 전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캠이 작동함으로써 물의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조립체는 센서의 고장시 수동전환밸브에 의하여 수동모드로 전환함으로서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급수밸브조립체에 타이머를 장착함으로써 급수시간을 임으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정정)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는 입수구 토수구를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공간에서 토수구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인입되는 물이 선택적으로 토수구로 배출되거나 차단되도록 하는 피스톤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입수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공간으로 인입되는 물을 상기 토수구로 배출하기 위한 구동수단;
    상기 케이스의 외주에 배치되어 감지부재의 신호 값을 입력받아 그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의 일측에 상기 토수구와 반대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공간 내부를 상기 입수구와 연결되는 제1 쳄버 및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의 관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쳄버와 연통되며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쳄버로 분리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토출구에 장착되어 수동적으로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를 작동시킴으로써 물을 배출하거나 차단하는 수동전환밸브;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시간을 설정가능한 타이머를 포함하는 급수밸브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의 입수구와 연결되는하나 이상의 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원통형상의 피스톤 가이더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내부에 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케이스의 토수구와 연통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측면에 제1 챔버와 연통되는 관로를 구비하고 있는 제1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의 배출구 반대측에 결합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내주 측을 고정하고 있는 제2 피스톤;
    상기 제1 피스톤의 공간에 수납되며 상기 제1 피스톤의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개폐부재의 중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구동수단에 의하여 좌, 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 그리고
    상기 제1 피스톤의 배출구에 상기 개폐부재를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개폐부재와 일단이 밀착되며, 타단이 상기 제2 피스톤에 밀착되어 반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급수 밸브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전원에 의하여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 그리고
    상기 감속기어 중 하나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토수구측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캠을포함하는 급수 밸브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전원과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재;
    상기 감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감지부재의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상기 구동수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급수 밸브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재는 적외선 센서 혹은 풋 스위치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급수밸브조립체.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전환밸브는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와 연결되어 물의 이동통로가 되는 수동전환바디와;
    상기 수동전환바디의 상기 토출구 반대방향에 나사결합됨으로써 회전시 전,후진이 가능한 부시와;
    상기 부시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부시를 회전시키는 노브와; 그리고
    상기 부시의 타단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부시의 전,후진시 상기 연결부재를 가압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급수밸브조립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동전환바디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서로 다른 내경의 두구역으로 구분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급수밸브조립체.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중간부에 테두리가 형성되어 상기 부시의 관통홀에 형성된 턱에 걸리며, 그 일단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부시를 관통한 고정나사가 상기 나사홈에 체결되는 급수밸브조립체.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오링 및 패킹 등이 장착되는 급수밸브조립체.
  10. 삭제
KR10-2001-0073030A 2001-11-22 2001-11-22 급수 밸브 조립체 KR100448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030A KR100448842B1 (ko) 2001-11-22 2001-11-22 급수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030A KR100448842B1 (ko) 2001-11-22 2001-11-22 급수 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304A KR20030042304A (ko) 2003-05-28
KR100448842B1 true KR100448842B1 (ko) 2004-09-16

Family

ID=2957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030A KR100448842B1 (ko) 2001-11-22 2001-11-22 급수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8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4520A (en) * 1988-09-14 1991-12-24 Lee Chang H Automatic mixing faucet
JPH04211778A (ja) * 1990-07-20 1992-08-03 Toto Ltd 自動水栓
JPH08302774A (ja) * 1995-05-10 1996-11-19 Toto Ltd 自動水栓装置
KR19980064080U (ko) * 1997-04-24 1998-11-25 김동진 자동수도전 개폐밸브의 피스톤구조
JP2000265511A (ja) * 1999-03-12 2000-09-26 Inax Corp 自動・手動切替機能付の自動水栓
KR20020080786A (ko) * 2001-04-17 2002-10-26 김동진 급수 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4520A (en) * 1988-09-14 1991-12-24 Lee Chang H Automatic mixing faucet
JPH04211778A (ja) * 1990-07-20 1992-08-03 Toto Ltd 自動水栓
JPH08302774A (ja) * 1995-05-10 1996-11-19 Toto Ltd 自動水栓装置
KR19980064080U (ko) * 1997-04-24 1998-11-25 김동진 자동수도전 개폐밸브의 피스톤구조
JP2000265511A (ja) * 1999-03-12 2000-09-26 Inax Corp 自動・手動切替機能付の自動水栓
KR20020080786A (ko) * 2001-04-17 2002-10-26 김동진 급수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304A (ko) 200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2560A (en) Automatic flow control water tap with manual control function
US5653260A (en) Flow-rate limiting valve for inserting between a shower hose and a hand shower
US5025511A (en) Human private parts washing apparatus
US8549677B2 (en) Automatic water flushing control device and its faucet
KR20040024530A (ko) 세라믹 디스크 디버터 밸브
US5050249A (en) Human private parts washing apparatus
US6123844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0448842B1 (ko) 급수 밸브 조립체
KR100995955B1 (ko) 급수 밸브
US6634618B2 (en) Water saving automatic valve
JP2006169949A (ja) 自動水栓
WO2005080840A1 (en) Water-saving valve system
JP2007247735A (ja) 洗浄装置用排水バルブユニット
KR100436725B1 (ko) 급수 밸브
CA2415679A1 (en) Laundry faucet
JP5465687B2 (ja) 自動水栓
KR100964331B1 (ko) 급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수전
AU2006100932A4 (en) Improved sealing structure for the rotary valve of squirting gun
KR910009541B1 (ko) 물의 자동공급.차단장치
JP3170469B2 (ja) 自動水栓ユニット
KR0127641Y1 (ko)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KR19990054009A (ko) 정수기용 농축수조절밸브
JPH0762709A (ja) 衛生洗浄装置
EP0878654A3 (de) Geräuscharmes Ventil für Sanitärarmaturen
KR200327579Y1 (ko) 자폐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