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433B1 - 헤어스프레이조성물 - Google Patents

헤어스프레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433B1
KR100448433B1 KR1019970020345A KR19970020345A KR100448433B1 KR 100448433 B1 KR100448433 B1 KR 100448433B1 KR 1019970020345 A KR1019970020345 A KR 1019970020345A KR 19970020345 A KR19970020345 A KR 19970020345A KR 100448433 B1 KR100448433 B1 KR 100448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hair
comparative example
hair spray
spra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4520A (ko
Inventor
김왕기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19970020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433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양쪽 이온성 레진 또는 음이온성 레진에 비이온성 레진을 중량비로 5 ∼100 : 1이 되도록 배합함으로써, 헤어의 고정 능력을 강하게 유지하면서 플레이킹 현상을 개선시킨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 { Hair spray composition }
본 발명은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쪽 이온성 레진 또는 음이온성 레진에 비이온성 레진을 중량비로 5 ∼100 : 1이 되도록 배합함으로써, 헤어의 고정 능력을 강하게 유지하면서 플레이킹 현상을 개선시킨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헤어 스프레이는 헤어 무스나 헤어 젤 등으로 손질한 머리 모양 또는 사전에 다른 정발제로 손질을 하지 않은 머리 모양을 최종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헤어 스프레이의 고정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헤어 고정용 고분자를 사용한다.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로 사용되는 헤어 고정용 고분자, 즉 레진은 양이온성 레진, 음이온성 레진, 비이온성 레진, 양쪽 이온성 레진 등이 있다. 각각의 레진들은 특징적인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음이온성 레진은 헤어의 고정 능력은 매우 뛰어나지만 끈적임이 심하고 모발에 부착되어 얇은 막을 형성하고 있던 수지가 박편으로 떨어져 나오는 플레이킹 현상을 많이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양이온성 레진은 끈적임은 덜하나 헤어의 고정 능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떨어지며, 양쪽 이온성 레진은 헤어의 고정 능력은 약간 떨어지기는 하나 음이온성 레진에 비해서 플레이킹이 적고 내수성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성을 지닌 레진들을 사용하여 헤어의 고정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레진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레진의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플레이킹 현상이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플레이킹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수지에 유연성을 부여하여 필름이 부서지는 것을 줄이도록 가소제를 사용하거나 수지의 사용량을 적게 하였으나, 플레이킹 현상이 감소하는 대신 헤어 스프레이의 주목적인 모발 고정능력이 떨어지는 또다른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헤어의 고정 능력을 강하게 유지시키면서, 플레이킹 현상을 줄일 수 있는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에 대한 연구를 거듭한 바,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고 양쪽 이온성 레진 또는 음이온성 레진에 비이온성 레진을 특정의 중량비로 배합하는 경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헤어의 고정 능력을 유지하면서 플레이킹 현상이 개선된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은 양쪽 이온성 레진 또는 음이온성 레진과 비이온성 레진을 중량비로 5∼100 : 1이 되도록, 조성물 총량을 기준으로 양쪽 이온성 레진 또는 음이온성 레진을 5.0∼10.0 중량%, 비이온성 레진을 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에 사용되는 양쪽 이온성 레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이 있다. 양쪽 이온성 레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0∼10.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에 사용되는 음이온성 레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이 있다. 음이온성 레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에 사용되는 비이온성 레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이 있다. 비이온성 레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의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을 제품으로 제형화할 경우에는, 에어로졸형과 비에어로졸형의 제형이 가능한데, 중화제 용매, 분사제 및 사용 목적에 따른 각종 첨가제 등을 첨가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헤어 스프레이류로 제형화할 경우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구체적으로 알코올이나 물 또는 메틸알,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이 있다. 또한, 중화제로는 레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지만, 예를 들면, 음이온 관능기를 가진 경우에는, 2-아미노-2-메틸 프로판올(AMP), 트리에탄올아민(TEA), 디에탄올아민(DEA), 모노에탄올아민(MEA),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TIPA), 디메틸스테아르아민, 수산화칼륨, 수산화암모늄 등이 있다. 또한, 내용물을 용기밖으로 분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분사제로는 프레온 가스가 오존층 파괴로 사용이 규제되면서 프로판, 부탄, 펜탄 등 탄화수소계와 물과의 상용성이 있는 디메틸에테르, 액화질소, 액화 탄화 가스 및 압축 공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성 분 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원액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National Search사의 암포머) 5.0 5.0 5.0 5.0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BASF사의 루비스콜 VA 64P) 0.1 1.0 2.0 ­
무수 에탄올 94.08 93.18 92.18 94.18
2-아미노-2-메틸 프로판올 0.82 0.82 0.82 0.82
소 계 100.0 100.0 100.0 100.0
상기 원액 65.0 65.0 65.0 65.0
분 사 제(액화석유가스) 35.0 35.0 35.0 35.0
총 량 100.0 100.0 100.0 100.0
?? 제조방법 : 에탄올에 순차적으로 원액처방의 원료를 넣고 교반을 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다음, 분사용 용기에 65%의 양을 취하여 밀봉시켰다. 그 후에, 분사제 주입 장치를 이용하여 분사제를 35% 비율로 주입하여 헤어 스프레이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6 및 비교예 2>
성 분 명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2
원액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National Search사의 암포머) 8.0 8.0 8.0 8.0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BASF사의 루비스콜 VA 64P) 0.1 1.0 2.0 ­
무수 에탄올 90.59 89.69 88.69 90.69
2-아미노-2-메틸 프로판올 1.31 1.31 1.31 1.31
소 계 100.0 100.0 100.0 100.0
상기 원액 65.0 65.0 65.0 65.0
분 사 제(액화석유가스) 35.0 35.0 35.0 35.0
총 량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7∼9 및 비교예 3>
성 분 명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3
원액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National Search사의 버사틸-42) 5.0 5.0 5.0 5.0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BASF사의 루비스콜 VA64P) 0.1 1.0 2.0 ­
무수 에탄올 93.62 92.72 91.72 93.72
2-아미노-2-메틸 프로판올 1.28 1.28 1.28 1.28
소 계 100.0 100.0 100.0 100.0
상기 원액 65.0 65.0 65.0 65.0
분 사 제(액화석유가스) 35.0 35.0 35.0 35.0
총 량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10∼12 및 비교예 4>
성 분 명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비교예 4
원액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National Search사의 버사틸-42) 8.0 8.0 8.0 8.0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BASF사의 루비스콜 VA 64P) 0.1 1.0 2.0 ­
무수 에탄올 89.85 88.95 87.95 89.95
2-아미노-2-메틸 프로판올 2.05 2.05 2.05 2.05
소 계 100.0 100.0 100.0 100.0
상기 원액 65.0 65.0 65.0 65.0
분 사 제(액화석유가스) 35.0 35.0 35.0 35.0
총 량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13∼15 및 비교예 5>
성 분 명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비교예 5
원액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마이드 공중합체(BASF사의 울트라홀드-8) 5.0 5.0 5.0 5.0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BASF사의 루비스콜 VA 64P) 0.1 1.0 2.0 ­
무수 에탄올 94.49 93.59 92.59 94.59
2-아미노-2-메틸 프로판올 0.41 0.41 0.41 0.41
소 계 100.0 100.0 100.0 100.0
상기 원액 65.0 65.0 65.0 65.0
분 사 제(액화석유가스) 35.0 35.0 35.0 35.0
총 량 100.0 100.0 100.0 100.0
<실시예 16∼18 및 비교예 6>
성 분 명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비교예 6
원액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BASF사의 울트라홀드-8) 8.0 8.0 8.0 8.0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BASF사의 루비스콜 VA 64P) 0.1 1.0 2.0 ­
무수 에탄올 91.24 90.34 89.34 91.34
2-아미노-2-메틸 프로판올 0.66 0.66 0.66 0.66
소 계 100.0 100.0 100.0 100.0
상기 원액 65.0 65.0 65.0 65.0
분 사 제(액화석유가스) 35.0 35.0 35.0 35.0
총 량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본 발명의 실시예 1∼18 및 비교예 1∼6에서 수득한 헤어 스프레이 제품의 분사상태, 물방울 맺힘, 플레이킹 및 모발 고정력을 비교 관찰함으로써, 최적의 혼합 레진 체계를 확인하였다. 결과는 실시예 1∼3과 비교예 1, 실시예 4∼6과 비교예 2, 실시예 7∼9와 비교예 3, 실시예 10∼12와 비교예 4, 실시예 13∼15와 비교예 5 및 실시예 16∼18과 비교예 6을 각각 상대적으로 비교한 것으로, 표 1에 나타내었으며, 각각의 시험항목에 대한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① 분사상태
1 : 미세입자 분사 2 : 약간 굵은 입자 분사 3 : 뭉침 분사
② 물방울 맺힘
1 : 거의 없음 2 : 약간 있음 3 : 심함
③ 플레이킹
1 : 거의 없음 2 : 약간 있음 3 : 많음
④ 모발 고정력
1 : 우수함 2 : 무난함 3 : 나쁜 편임
실험번호 평 가 항 목
분사상태 물방울 맺힘 플레이킹 모발 고정력
실시예 1 1 1 1 2
실시예 2 1 1 1 1
실시예 3 1 2 2 1
비교예 1 1 2 2 2
실시예 4 2 1 1 3
실시예 5 1 2 2 2
실시예 6 2 2 2 1
비교예 2 2 2 3 3
실시예 7 1 1 1 3
실시예 8 1 1 1 2
실시예 9 2 2 2 1
비교예 3 1 1 2 3
실시예 10 2 1 1 3
실시예 11 1 2 2 2
실시예 12 2 2 2 1
비교예 4 2 3 2 2
실시예 13 1 1 1 2
실시예 14 1 1 1 2
실시예 15 1 2 2 1
비교예 5 1 1 2 1
실시예 16 1 1 1 3
실시예 17 1 1 1 2
실시예 18 2 2 2 1
비교예 6 1 2 3 3
상기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이온성 레진 또는 음이온성 레진에 비이온성 레진을 배합한 실시예들의 경우, 레진의 함량 증가에 따라 모발 고정력이 향상되었으며, 비교예와 비교하여 플레이킹 현상은 동일하거나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은 양쪽 이온성 레진 또는 음이온성 레진에 비이온성 레진을 5∼100 :1 의 중량비로 배함함으로써, 헤어의 고정 능력을 강하게 유지하면서도 플레이킹 현상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2)

  1. 가소제를 함유하지 않은 스프레이 조성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음이온성 레진을 5~10중량% 및 비이온성 레진을 0.2~2.0중량% 함유하며, 상기 음이온성 레진과 비이온성 레진의 비는 5~50:1이며, 상기 음이온성 레진은 아크릴레이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이킹 현상억제용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레진은 폴리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이킹 현상억제용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
KR1019970020345A 1997-05-23 1997-05-23 헤어스프레이조성물 KR100448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345A KR100448433B1 (ko) 1997-05-23 1997-05-23 헤어스프레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345A KR100448433B1 (ko) 1997-05-23 1997-05-23 헤어스프레이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520A KR19980084520A (ko) 1998-12-05
KR100448433B1 true KR100448433B1 (ko) 2005-08-05

Family

ID=37303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345A KR100448433B1 (ko) 1997-05-23 1997-05-23 헤어스프레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43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107A (ko) * 1990-01-25 1991-08-31 원본미기재 실리콘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JPH0578227A (ja) * 1991-09-20 1993-03-30 Sunstar Inc 頭髪用ポンプ式スプレー化粧料
JPH0769842A (ja) * 1993-08-31 1995-03-14 Kao Corp 毛髪化粧料
KR0163532B1 (ko) * 1996-06-18 1998-12-01 이능희 모발화장료 조성물
KR0166391B1 (ko) * 1994-01-14 1999-01-15 쟝-마리 까제 에어로졸 화장품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0236859B1 (ko) * 1996-04-05 2000-02-01 조지안느 플로 고정 중합체 및 양쪽이온성 스타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0375576B1 (ko) * 1995-07-19 2003-07-23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모발화장재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4107A (ko) * 1990-01-25 1991-08-31 원본미기재 실리콘 헤어스프레이 조성물
JPH0578227A (ja) * 1991-09-20 1993-03-30 Sunstar Inc 頭髪用ポンプ式スプレー化粧料
JPH0769842A (ja) * 1993-08-31 1995-03-14 Kao Corp 毛髪化粧料
KR0166391B1 (ko) * 1994-01-14 1999-01-15 쟝-마리 까제 에어로졸 화장품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100375576B1 (ko) * 1995-07-19 2003-07-23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모발화장재료
KR100236859B1 (ko) * 1996-04-05 2000-02-01 조지안느 플로 고정 중합체 및 양쪽이온성 스타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0163532B1 (ko) * 1996-06-18 1998-12-01 이능희 모발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520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1700B1 (ko) 특정 특성을 갖는 중합체 및 비이온성 중합체를 함유하는헤어스타일링 조성물
US4913893A (en) Aerosol hair sett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alginate
AU621007B2 (en) Water based two phase aerosol hairsprays
WO1996006592A1 (en) Low voc hair spray resin composition of improved spray properties
US3981987A (en) Hair setting compositions containing easily removable neutralized copolymers
JPH0834712A (ja) ヘアセット剤組成物
US5126124A (en) Hair spray resin composition
US6083494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non-ionic polymer dispersion and process of using
US4164562A (en) Aerosol hair spray containing an ethyl or butyl monoester of a copolymer of maleic acid and a vinyl monomer
US5723113A (en) Sprayable hair treatment composition
KR100448433B1 (ko) 헤어스프레이조성물
US5223247A (en) Hair spra composition containing water soluble alkylated PVP copolymers as hair fixative therein
KR102613458B1 (ko) 헤어 스타일링 조성물 및 스프레이 시스템
JPH06504792A (ja) エアゾールヘアラッカー
US4261972A (en) Hydroalcoholic aerosol hair sprays
US5853700A (en) Hydro-alcoholic aerosol hair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 hydrolytically stable silicone glycol block copolymer dispersion
US5587145A (en) Aqueous aerosol lacquer for setting hair
JPH0313275B2 (ko)
US6464960B1 (en) Water-containing aerosol hair spray with a reduced cont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KR0163531B1 (ko)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
CA2176458A1 (en) Foaming Agent for Leave-On Foaming Cosmetic Compositions
US6432390B1 (en) Low VOC methyl acetate hair sprays
US5326555A (en) Clear hair spray composition capable of forming low tack films which dry rapidly
JP2003137739A (ja) スプレー式毛髪化粧料
KR0184079B1 (ko) 에어졸 헤어 스프레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