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527B1 -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 Google Patents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527B1
KR100447527B1 KR10-2002-0003416A KR20020003416A KR100447527B1 KR 100447527 B1 KR100447527 B1 KR 100447527B1 KR 20020003416 A KR20020003416 A KR 20020003416A KR 100447527 B1 KR100447527 B1 KR 100447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grain
underground
storage system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901A (ko
Inventor
윤영재
Original Assignee
윤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재 filed Critical 윤영재
Publication of KR2003005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02Clamps; P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으로서, 지하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실; 지상으로부터 저장실 각각의 상부로 연결된 저장물 반입통로; 저장실 아래에 형성된 터널; 및 저장실 각각의 하부에 설치되어 터널로 저장물을 반출하는 저장물 반출장치를 포함하여 저장물의 변질을 억제하고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입선출이 가능하며 대량저장과 자동화가 가능한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이다.

Description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An Underground Storage System for Grain}
본 발명은 지하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합한 저장 조건의 유지가 요구되는 곡물에 대한 지하저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또는 양곡)의 저장은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 창고(1)에 저장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지상의 대지 위에 건축된 기존의 일반적인 창고(1)는, 도 1a에서와 같이, 내부 환기를 위해 상,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환기공(5)과, 곡물의 반입, 반출을 위한 출입문(2)을 구비한 단순한 형태이다. 또한 그에 저장되는 곡물은 도 1b와 같이 단순히 포대로 포장된 상태이거나, 도 1c와 같이 벌크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곡물 저장고 및 저장 방식은, 저장 창고가 지상에 있는 관계로 저장물에 따른 저장 환경, 이를테면 내부 온도 및 습도 등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에 필요한 설비를 추가적으로 갖추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며, 또한 그러한 설비들은 성능 한계가 있으므로 저장공간의 크기에 주요한 제약 요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곡물을 위한 기존의 일반적인 저장 방식은 도난이나 쥐 등에 의한 멸실은 차치하고라도 불량한 저장 환경에 따른 상당한 멸실률을 그대로 감수하는 것이 현실이다. 더욱이 지상 창고를 이용하는 기존의 일반적인 저장 방식은 반입과 반출을 단순히 인력으로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 선입선출의 준수가 쉽지 않고, 장비를 이용할 경우에도 다단계의 동작을 거쳐야 하는 번잡함이 따르게 된다. 이는 상당한 비용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저장기간을 단축시키고 품질을 저하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
상술한 원시적인 지상 곡물 저장고에서 보다 자동화된 기존의 지상 저장고 형태가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지상 사일로(silo)이다. 지상 사일로(11)는 지상의 대지 위에 설치된 수직형으로서, 상부에 반입구(14-1)과 상부컨베이어(14-2)로 구성된 반입장치(14)를 구비하고 하부에 스크류컨베이어장치(12-1)와 배출피더장치(12-2)로 구성된 반출장치(12)를 구비하므로써 상부에서 반입하고 하부에서 반출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사일로(11)의 외측부에 수직버킷컨베이어(16)가 설치되며, 수직버킷컨베이어(16)는 상부에 각각 형성된 곡물의 투입구(16-1)와 배출구(16-2)를 구비한다. 도면부호(13)은 집진덕트이다. 따라서 반입되는 곡물은 수직버킷컨베이어(16-2)에 의해 상부로 이송되어 투입구(16-1)을 통해 상부컨베이어(14-2)로 적재되어 반입구(14-1)를 통해 사일로(11) 내부로 자연 낙하하여 반입된다. 반출되는 곡물은 반출장치(12)를 통해 수직버킷컨베이어(16)로 이송되고 수직버킷컨베이어(16)에 의해 상부로 이송되어 배출구(16-2)를 통해 운반 차량 등에 적재된다. 또한, 기존의 지상 사일로 저장고는 지붕에 형성된 집진덕트(13)와 사일로(11) 외부에 형성되어 저장물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온풍버너송풍장치(15) 및 사일로 내부에 형성되어 곡물로 바람을 불어 넣으며 곡물을 교반하는 스큐류교반장치(15-1)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지상 사일로(11)는 고가의 장비들을 채용하여 곡물의 저장환경을 어느 정도 개선하기는 하나, 본질적으로 사일로가 지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온도 및 기온 등의 지상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완전히 탈피할 수는 없다. 따라서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가 쉽지 않고, 종종 곡물의 변질이 발생할 뿐만아니라 장기저장에 애로가 있다. 즉 소요되는 비용에 비해 저장환경의 개선도가 떨어지는, 즉 설비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저장고의 저장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장비들 역시도 일정한 성능 한계를 가지므로써 저장용량의 확대에도 제약이 따르게 된다.
저장 환경을 개선하고 유지관리비의 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농수축산물용 지하 저장시설이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6526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는 냉장시설을 갖춘 상태에서 지하의 단열성, 축열성을 이용하는 한편, 저장물의 신선도 유지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할 수 있도록 저장실 내부에 온/습도 유지용 배수로를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보관된 저장물의 품질 및 그에 따르는 비용은 기본적으로는 저장 시설이 제공하는 온/습도 및 환기 등의 저장 환경에 영향을 받지만 그에 못지 않게 저장물의 출하방식, 즉 선입선출 원칙의 준수 여부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다시 말해서, 먼저 반입된 저장물이 먼저 반출(출하)되는 것이 전제되어야만, 그리고 선입선출 행하는데 드는 비용이 적절해야만 하는 것이다. 특히 저장물이 농수산물과 같이 유효 저장기간이 보다 제한적일 경우에는 선입선출은 저장물의 품질에 있어서 다른 어떤 조건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상술한 기존의 지하저장시설은 저장 환경의 개선과 그에 따르는 유지비용의 절감만을 언급하고 있을 뿐 효율적인 출하방식에 대해서는 제안하고 있는 바가 없다. 또한, 단지 지하의 단열성, 축열성만을 이용하는 냉장 저장시설로서, 환기에 있어서는 비효율적인 구조이고 이 역시 적절한 환기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장비를 채용해야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저장 환경이 뛰어난 지하 저장고의 장점을 가지면서도 지상과 지하의 온도차에 따른 대류현상을 이용한 자연적인 환기 및 별도로 시설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효율적인 환기를 도모하고, 곡물의 온도와 습도를 자동 제어하는 냉·온풍 장치를 설치하여 저렴한 유지비용으로 최적의 저장환경을 갖는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도 1a는 종래의 일반적인 저장 방식에 따른 지상저장시설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b는 도 1a에 곡물을 포대 형태로 저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c는 도 1a의 곡물을 벌크 형태로 저장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a는 종래의 지상 사일로 저장 방식에 따른 지상 저장시설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에서 동절기 자연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에서 하절기 자연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c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에서 인위적인 환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저장실 및 반출터널의 굴착을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터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c는 도 5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d는 도 5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5e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저장실 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f는 도 5e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반입야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b는 도 6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반입야드, 환기공, 반입통로 및 저장실 상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반입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b는 도 7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반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b는 도 8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자연 환기 파이프라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저장실 내부의 개략적인 도면.
도 9b는 도 9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9c는 도 9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9d는 도 9a에 설치된 메인환기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9e는 도 9a에 설치된 중간환기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9f는 도 9a에 설치된 지선환기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9g는 도 9b에 설치된 비기공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9h는 도 9a에 설치된 자연 환기 파이프라인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9i는 도 9a에 설치된 반출 슈트판과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j는 도 9i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압축공기 공급을 위한 송풍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저장실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냉·온풍 순환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저장실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완전 밀폐형 냉·온풍 순환 파이프라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저장실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c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완전 밀폐형 냉·온풍 순환 파이프라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저장실 일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1d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관로 일부 개방형 냉·온풍 순환 파이프라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저장실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e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관로 일부 개방형 냉·온풍 순환 파이프라인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저장실 일부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저장환경 유지 시설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b는 본 발명의 파이프라인의 배관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반입터널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저장실 내부에 온도, 습도 및 가스 분석장치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장실의 단면도.
도 14a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4b는 도 14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c는 도 14a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1, 102 : 저장실 200 : 반출장치
300 : 반입야드 410 : 반입통로
500 : 배기장치 700 : 반출터널
220 : 반출용 슈트판 230 : 반출용 피더장치
511 : 상부 환기공 512 : 하부 환기공
520 : 자연 환기 파이프라인 570 : 송풍 파이프라인
580 : 냉·온풍 파이프라인 810 : 감시카메라
820 : 온도센서 830 : 습도센서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은, 지하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실; 지상으로부터 저장실 각각의 상부로 연결된 저장물 반입통로; 저장실 아래의 지하에 형성된 터널; 저장실 각각의 상부로부터 위쪽 지상으로 개구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부 환기공; 저장실 각각의 하부로부터 터널로 개구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하부 환기공; 및 저장실 각각의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실 각각의 저장물을 터널로 반출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물 반출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환기공에는 배기장치가 추가로 연결된다.
반출장치는 저장실의 바닥에 형성되고, 저장실은 바닥이 반출장치를 향해 하향 테이퍼진다. 또한, 반출장치는, 중앙 부위에 반출문이 설치되고 반출문을 향해 하향 테어퍼진 반출용 슈트판; 반출용 슈트판에 설치되어 반출되는 저장물을 계량하는 저울; 및 저울과 반출문에 연결되어 계량값에 따라 반출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반출문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슈트판에는 바이브레이터가 추가로 설치될 수있다. 또한, 슈트판에는 컨베이어형 반출 피더장치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반입통로에 연결되는 반입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반입장치는, 반입통로의 지상 개구 부위에 설치되는 반입통로문; 반입통로문의 개폐 작동을 하는 실린더; 및 반입통로로 연결되는 반입 피더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실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고, 몸통에 다수개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부 환기공의 적어도 한 개와 하부 환기공의 적어도 한 개에 각각 연결된 자연 환기 파이프라인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저장실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며 몸통에 다수개의 기공이 형성된 송풍 파이프라인; 및 송풍 파이프라인에 연결되는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송풍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저장실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냉·온풍 파이프라인; 및 냉·온풍 파이프라인에 연결되는 냉풍 및 온풍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냉풍 및 온풍 순환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환기, 송풍 및 냉·온풍 파이프라인들은 저장된 곡물을 통과하게 되는 격자형 구조이다.
또한, 환기 및 송풍 파이프 라인의 몸통에 형성된 기공들은 간격을 갖고 배열되며, 간격은 저장실 상부로 갈수록 커진다.
또한, 냉·온풍 파이프라인은 저장실 내부에서 관로 무개방형이고, 이 경우 일부 파이프가 저장실 상부에서 관로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저장실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가스분석기와, 저장실외부에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가스분석기의 측정값 및 분석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가스분석기와 연결되어 그들의 측정값 및 분석치에 따라 컴프레서, 냉풍 및 온풍 순환장치, 및 배기장치를 제어하는 저장조건 유지 시설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바람직하기로는 비탈지(地)의 견고한 지하암반에 저장실을 형성하여 약 18℃의 온도와 약 80%의 습도를 가지므로써 특히 곡물 등에 우수한 저장특성을 제공하는 지하 동굴을 이용한다. 특히 본 발명의 지하저장시스템은 저장실의 아래에 반출을 위한 터널을 설치하여 지상과 지하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자연스러운 공기 소통을 유도하므로써 온도차를 이용한 대류 현상으로 자연적이고 효율적인 저장 환경 유지가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지하 저장시스템은 저장실 내에 온도와 환기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들을 설치하여 곡물과 같은 저장물에 대하여 보다 바람직한 저장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저장실 및 터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로서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3c는 도 3a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우선,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에는 곡물이 저장되는 저장실(100)이 지하에 설치되어 있다. 저장실(100)은 바람직하게는, 도 3c와 같이, 병렬(101, 102)로 다수 개 설치되는데 이렇게 하면 각기 다른 곡물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b와 같이 각 저장실(101)은 필요에 따라 분리벽(110)으로 나누어 설치할 수 있다.
각 저장실(100)에는 위쪽 지상에는 반입야드(300)와 비탈지 아래부위에 반출야드(310)가 조성되어 있다. 반입야드(300)에서 저장실(100)까지 보링된 반입통로(410)가 바람직하게는 각 저장실 마다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어 있다. 각 저장실 (101, 102) 아래에는 반출야드(310) 및 외부 도로와 연결된 반출터널(700)이 굴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장실 내부의 환기를 위해 저장실로부터 지상으로 개구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부 환기공(511)이 설치된다. 여기서 반입통로(410)와 상부 환기공(511)은 필요에 따라 각각 별도로 설치하거나 겸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장실(101) 하부에, 바람직하게는 저장실 바닥에 곡물 반출장치(20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저장실(100)의 바닥은 반출장치(200)를 향해 하향 테이퍼진 형태를 가지므로써 반출이 용이해진다.
또한, 각 저장실(101, 102)의 하부에는 반출터널(700)로 개구되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실의 바닥에 하부 환기공(도 4a 내지 도 4c 참조; 512)이 저장실마다 적어도 한 개 이상씩 설치된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도면부호 (680)은 도정장치이며, (590)은 건조장치이며, (241)은 계량장치로써, 이들 장치들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부호 (710)은 저장실(100)이 될 동굴을 굴착하기 위한 굴질터널로서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설치과정에서 후술되며, 도면부호(600)은 기계실 및 통제실로서 이 또한 후술된다.
따라서 곡물의 반입 시에는 곡물 적재 차량이 반입야드(300)로 진입하여 반입통로(410)를 통해 곡물을 낙하 반입시키며, 저장된 곡물의 반출 시에는 적재 차량이 반출터널(700) 내 저장실(101, 102) 아래까지 진입한 상태에서 반출장치(200)를 통해 곡물을 낙하하여 차량에 직접 상차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은 도 4a 내지 도 4c에서 보인 바와 같이, 지상과 지하의 온도차에 의한 대류현상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적절한 내부 저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4a는 동절기, 도 3b는 하절기의 자연환기를 나타내며, 동절기에는 고온의 지하 공기가 저온의 지상으로 유출되고, 하절기에는 고온의 상부 지상 공기가 저온의 하부 지하로 유입되며,자연적인 대류 환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4c와 같이 배기장치(500)를 이용하여 인위적인 환기를 유도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후술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보면서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구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바람직하게는 도로교통이 편리하고 견고한 암반으로 분포된 산과 같은 비탈지를 선택하여 먼저 도로와 반입 야드(300) 및 반출 야드(310)를 조성한다. 이어, 굴진터널(710)을 굴착하여 저장실이 되는 동굴 즉 겔러리터널을 굴착한다. 다음에, 반출터널(700)의 일부가 되는 진입터널을 굴착하고, 겔러리터널의 하부의 벤치터널을 굴착한다. 슈트판 및 분리벽 등으로 저장실을 구축하면 저장실 아래까지 연장되는 반출터널(700)이 자연스럽게 완성된다. 반출터널의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풍수해가 발생되었을 때 하천수가 범람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에다 외부 도로에서 수평으로 진입할 수 있는 높이면 좋다. 또한 반출터널(700)은, 형성될 저장실(101, 102)의 개수에 대응하여 내부에서 분기되도록 형성되어 저장실 아래까지 연장된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출터널(700)의 규격은 차량이 원활히 통행할 수 있는 규격으로 하되 저장실(101, 102)의 저장용량에 따라서 편도차선으로 할 것인지 양방향차선으로 할 것인지가 결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편도차선은 4m(폭) × 4m(높이) 내지 5m × 5m로 하고 양방향차선은 9m × 5m로 한다. 터널의 커브지점(701)은 차량이 원활히 통행할 수 있는 반경으로 하고 저장실(101, 102)과 지표암반과의 안전거리(120)는 저장실의 높이(110)와 저장실 상부의 암반의 조건과 안전거리에 따라 결정되고 도5a와 같이 통상적으로 저장실 폭(130)의 2.0배 이상으로 하며 저장실 옆에 다른 저장실을 연결하여 굴착할 때, 저장실간의 중심거리(140)는 굴착된 저장실 폭(130)의 2배 이상으로 한다.
저장실(101, 102)의 규격(130 ×110)은 저장용량에 따라 다르나 최소 8m(폭) × 8m(높이) 로 하고 최대 18m ×30m로 할 수 있으며 저장실의 연장길이(m)에 따라 저장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반출터널(700) 및 저장실(101, 102)을 형성한 후에는 부석을 정리하고 록볼트(rock bolt)(161)를 일정하게 장착하고 숏크리트(shotcrete:170)를 타설한다.
록볼트(161)의 규격은 반출터널(700)에서 2m(Ø25mm)로 하고 저장실(101, 102)은 3m 내지 4m(Ø25mm)의 규격을 사용하며, 숏크리트(170)는 50mm 내지 200mm의 두께로 타설하되 연약암반에서는 철망이나 강섬유를 혼합하여 타설한다. 반출터널(700) 및 저장실(101, 102) 내에는, 도 5b 및 5d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바닥보다 낮게 배수로(180)를 시공하고 바닥은, 도 5c에서 보인 바와 같이, 콘크리트(191)로 포장한다. 반출터널(700) 및 저장실(101, 102) 내부에는 지하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시트(192)와 내부철판(도 10 참조; 193)을 설치하게되는데 방수시트와 내부철판을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용 앵커볼트(anchor bolt:162)로 고정시킨다. 방수시트(192)를 고정시킬 때에는 누수가 되지 않도록 누수방지장치(미도시)를 한다.
도 5e 및 도 5f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장실(101)은 이미 언급했던 바와 같이 분리벽(110)으로 나뉘어지는 다수 개로 설치된다. 분리벽(110)은 철판으로 형성하고 저장실(101) 상면까지 연장되는 형태거나(미도시) 도 5f와 같이, 저장실 상면보다 아래까지 연장된 형태로 설치된다. 분리벽(110)은 분리벽지지대(111)로 지지하여 견고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저장실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출입문(112)을 설치하고, 저장실 내부에는 사다리(113) 설치한다. 또한, 곳곳에 바이브레이터(미도시)를 설치하여 잔곡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도 6a는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반입야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b는 도 6a의 A-A′선에 따른 본 발명의 저장실 상부의 일부 단면도로서, 반입야드, 환기공, 반입통로를 나타낸다.
도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실의 수직 상부의 지표에는 진입도로를 연장하여 저장실 위 지상의 도로(301)를 개설하고 기반암(암반)이 나올 때까지 절개하여 반입야드(300)를 조성한다.
이어, 반입통로(410)를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직하 하부의 저장실과 관통시킬 수 있는 보링지점을 설정하고 보링을 실시한다. 이때 암질지수(보링을 하였을 때 10cm이상의 암심이 깨지지 않고 연속해서 나오는 비율)가 90이하가 될 때에는 그라우팅(grouting)을 실시하고 모르터(mortar)가 양생이 다 되었을 때 다시 보링을 실시한 후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압력이 누출될 때에는 그라우팅 작업을 반복한다. 수압시험에서 압력이 걸리면 상부 환기공(511)과 반입통로(410)로 사용하기 위해 하부의 저장실 천장과 관통시킨다. 관통시킨 후 보링지점에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조성된 야드의 높이보다 높게 방수콘크리트(302)를 실시하고 야드에 포장을 실시한다.
반입통로(410)와 환기공(511)의 보링규격은 직경100mm 내지 500mm로 하고 그 길이는 저장실과 지상의 반입야드(300)와의 길이에 따라 정하고 필요에 따라 보링공을 확장 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0mm 내지 2000mm로 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반입장치를 설명한다. 저장실 위에 설치되는 반입장치(400)은 반입통로(410)를 기준으로 하여 반입용피더장치(420)를 바람직하게는 이동식으로 설치한다. 피더장치 위쪽에는 반입 적재용 슈트(430)를 설치하고 그 규격은 2m × 2m 내지 3m × 3m의 규격으로 한다. 반입통로(410)에는반입통로문(440)이 설치되는데, 반입통로문의 개폐는 실린더(450)에 의해 작동된다. 바람직하게는 반입통로문(440) 밑에 수동식의 이중문(미도시)을 설치하되 각각 잠금장치를 한다. 또한,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지붕(460)을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도면 부호 470은 반입용 슈트을 나타내고, 480은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동력장치를 나타낸다. 또한 미설명 도면 부호 320와 33은 각각 암반의 지반과 콘크리트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반출장치(200)을 설명한다. 저장실(101) 하부, 바람직하게는 저장실 바닥에 설치되는 반출장치(200)는 곡물운반차량의 적재함 높이에 다라 적재 슈트까지의 높이를 정하되 그 높이는 2.5m 내지 5m로 하고 통로의 폭은 4m 내지 9m로 한다. 적재 슈트와 적재시설을 설치할 때에는 철제 H빔(210)을 사용하여 곡물의 중량에도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저장실내에서 저장곡물이 이동하여 운반되는 슈트에는 반출용 슈트판(220)을, 바람직하게는 슈트철판으로 설치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반출용 슈트판(220)이 저장실(101)의 바닥을 구성하는 형태이지만, 저장실(101)의 크기에 따라 반출용 슈트판(220) 외에 다른 부재, 이를테면 콘크리트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바닥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반출장치(200)를 향해 하향 테이퍼진 형태로 하면 보다 원할한 반출이 도모될 수 있다.
슈트판(220)에는 자연낙하가 잘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바이브레이터(미도시)를 설치하고 슈트판의 경사도는 10도 내지 45도로 하며, 규격은 1.5m내지 3m로 한다. 또한, 슈트판의 경사도에 따라 벽면과 연결될 때에는고정용앵커볼트(164)를 사용하여 벽면에 고정시킨다. 반출 및 적재용 슈트판(220)에는 반출용 컨베이어형 피더장치(230)와 저울, 바람직하기로는 전자저울(240)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물의 반출량을 자동으로 무게 계량할 수 있도록 하고 반출문 제어부(미도시)로 연결하여 반출문(미도시)의 개폐를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반출문은 전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반출문 이동실린더(미도시)를 설치한다. 또한, 반출량을 계량하는 저울 등의 계량장치(241, 242)를 차량이 진입하는 바닥에 설치하여 진입 시 차량 무게를 미리 계량하고 적재시 무게를 계량할 수도 있으며 이때 저울(241, 242)는 반출문제어부에 연결되는 계량값을 전달함은 물론이다.
도 9a 내지 도 9j를 참조하여 환기시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환기시설은 바람직하게는 자연 환기 파이프라인(520) 및 배기장치(500)를 포함한다. 먼저 자연 환기 파이프라인(520)에 대해 설명하면, 자연 환기 파이프라인은 메인 환기파이프(521)를 연결하고 중간 환기파이프(522)와 지선 환기파이프(523)를 격자형태로, 바람직하기로는 저장실 상부에서 하부까지 전체에 걸쳐서 설치하여 자연 환기 파이프라인(520)을 설치한다. 각 환기 파이프(521, 522, 523)들의 연결간격은 3m 내지 30m로 한다. 메인환기파이프(521)의 규격은 유효직경77mm 내지 204mm로 하고, 중간환기파이프(522)는 유효직경 51mm 내지 160mm로 하고, 지선환기파이프(523)는 25mm 내지 102mm로 한다. 저장실 벽면과 근접한 메인환기파이프(521)는 벽면에 고정용 앵커볼트(163)를 설치하여 고정시키며 파이프간의 연결 및 상부 및 하부 환기공들과의 연결은, 도 9h 및 도 9j와 같이, 소켓트(524)를 사용한다. 또한, 도 9b 및 도 9g에서 보인 바와 같이, 하부 환기공에 연결되는 몸통에 구멍이 없는 비기공파이프(560)를 저장실 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는 넓은 저장실 공간을 감안하여 저장실 상부를 공기 유통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도 9d 내지 도 9f에서와 같이, 각 환기 파이프(521, 522, 523)는 다수개의 구멍(525)을 바람직하게는 일정간격으로 뚫어 저장실 하부의 공기를 저장실 안으로 골고루 통과하게 하는 역할을 하게 한다. 환기 파이프(521, 522, 523)에 뚫린 구멍(525)의 간격은 0.3m 내지 2m로 하고, 직경은 2mm 내지 20mm로 하되 바람직하게는 곡물이나 양곡이 파이프 안으로 들어올 수 없도록 망(미도시)을 설치한다.
도 9i 및 도 9j의 미설명 도면 부호 210은 후술할 반출장치의 구성요소인 슈트 철판이며, 하부 환기공에 각 환기 파이프(521, 522, 523) 및 비기공파이프(560)가 연결될 경우도 소켓트(524)로 연결하면 된다.
자연 환기 파이프라인(520)은, 도 9b 및 도 9c에서와 같이, 상부 환기공(511)으로 연결되어 환풍기와 같은 배기장치(500)에 연결되고, 하부 환기공 이를테면 슈트판을 관통하는 하부 환기공에 연결되므로써 터널쪽으로 개구된다.
배기장치(500)는 후술되는 저장환경 유지 시설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저장실의 온도와 습도 등 저장 환경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센서들의 측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그 상부에는 우천시에 물이 상부 환기공(511)에 스며들지 않도록 지붕 등을 설치하면 좋다. 또한, 상부 환기공(511)에는 배기장치(500) 작동 시 효율적으로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밀폐용 밸브(528)을 설치하고 이 역시 상술한 제어부에 연결하여 배기장치 동작과 연동하여 자동으로 밀폐 작동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저장실(101) 내부의 먼지의 배출은 밀폐용 밸브(528)를 적절히 개폐하면서 배기장치(500)로 밖으로 배출하거나,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저장실(101) 하부에서 반출터널(700) 쪽으로 배출파이프를 별도로 설치하여 배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동절기와 하절기에는 지상과 지하의 온도 차를 이용한 대류현상으로 자연환기를 위주로 하고 환절기(봄,가을)에는 배기장치(500)를 통하여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송풍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보다 바람직한 내부 환기와 저장물의 호흡을 위한 신선한 공기의 공급을 위해, 저장실 각각의 내부로 압축공기를 불어넣는 송풍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송풍 장치는 각각의 저장실(101)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 파이프라인(570)과 송풍 파이프라인에 연결된 컴프레서(571)를 포함한다. 송풍 파이프라인(570) 저장실(101) 아래의 반출터널(700) 쪽에서 송풍하는 컴프레서(571)와 연결된다. 또한 송풍 파이프라인(570)은 몸통에 다수개의 기공(575)이 형성되며, 도 8a에서는 수직 막대형이지만 다르게는 파이프 간 간격이 0.5∼1m이 되는 격자형태로 저장실(101) 상 하부 전체에 걸쳐서 균형있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수직 막대형의 경우는 필요에 따라 각기 높이가 다르게 설치하여 고른 송풍을 유도할 수도 있다.
송풍 파이프라인(570)의 몸통에 형성되는 기공(575)은 저장량에 따라 크기와 간격을 정하되, 5∼15mm의 사이즈와 0.2∼1m 의 간격을 갖도록 하고, 저장실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간격이 커지도록 한다. 상술한 자연 환기 파이프라인에서와 마찬가지로 기공은 망 등으로 양곡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풍 파이프라인의 상단부(572)는 밀폐시켜서 압축 공기의 압력 저하 및 불필요한 송풍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서, 송풍 파이프라인(570)은 슈트판(220)을 관통하여 터널 쪽으로 연결하되 각 파이프에는 밸브(574)를 설치하여 적절히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파이프라인(570)의 기공(575)을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가 세어 나와 곡물이나 양곡 등의 저장물이 신선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내부 건조는 물론 몰려 있는 곡물 등을 이동시키기도 하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컴프레서(571)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는 스크류타입으로 설치하고, 송출 압력은 3kg/cm2내지 8kg/cm2가 되도록 한다.
또한, 이경우에도 상부 환기공에 연결된 배기장치(500)를 적절히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내부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193)은 내부철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은, 도 11a 내지 도 11e와 같이, 저장실 각각의 내부로 온풍 및 냉풍 순환시키는 냉·온풍 순환 장치가 설치된다. 냉·온풍 순환 장치는 냉·온풍 파이프라인(580)과 그 라인에 연결되는 냉풍 및 온풍 공급장치(581, 582)를 포함한다. 이 역시 상술한 송풍 장치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반출터널(700) 쪽에 냉풍 및 온풍 공급장치(581, 582)를 설치하고 파이프를 슈트판을 관통시켜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냉풍 장치(581)와 온풍 장치(582)에서 각 저장실 당 2선(line)을 1조로 한 냉·온풍 파이프라인(580)을 설치한다. 규격은 직경 51mm(2") 내지 330mm(6")로 하고 저장실 내부에서는 격자 형태로 저장실 내부 전체에 걸쳐서 배분되도록 한다.
또한, 냉·온풍 파이프라인은 저장실 내부에서 도 11b 및 도 11c와 같이, 완전밀폐 순환형(580a)이거나, 도 9d 및 도 9e와 같이 일부 개방형(580b)으로 설치할 수 있다. 완전밀폐 순환형(580a)은 저장실 내부에 위치한 파이프라인의 관로가 비개방형인 것을 말하는 것이고, 일부 개방형(580b)은 저장실 상부에 위치한 일부의 파이프의 관로가 개방된 형태이다. 따라서 완전밀폐 순환형(580a)일 경우에는 파이프 라인 내부에서만 냉풍 또는 온풍이 순환하므로써 저장실(10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며, 일부 개방형(580b)인 경우는 개방된 관로를 통해 저장실(101) 내부로 냉 또는 온기를 불어넣어 순환시키고 다시 배출시키게 된다. 완전밀폐순환형(580a)과 일부개방형(580b)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냉·온풍 파이프라인(580)은 마찬가지로 격자형으로 설치한다. 이 경우 파이프 간 연결 규격은 05.m 내지 3m로 설치하되 상부로 갈수록 간격이 커지게 된다.
또한, 냉풍 장치(581)는 적어도 1℃ 내지 25℃의 온도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는 시설이고, 온풍 장치(582)는 25℃ 내지 60℃의 온도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는 시설이면 바람직하다.
도 12a은 냉풍 장치(581), 온풍 장치(582) 및 상술한 컴프레서(571)과 각기 대응되는 파이프 라인들(570, 580)을 보여준다. 각 파이프 라인(570, 580)에는 밸브(574, 584)를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히 개폐하도록 한다.
또한, 도 12b와 반출터널(700)에서 배관지지빔(588)을 설치하여 천장 부위에서 배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도 13에서와 같이, 저장실(101)의 내부에는 온도센서(820), 습도센서(830) 및 가스분석기(840)를 설치하고, 이들 센서를 저장환경 유지시설 제어부(800)로 연결하여 측정값 및 분석치에 따라 상술한 바람직하기로는 감시카메라(810)를 저장실(101) 내부에 설치하여 와, 상기 저장실 외부에서 상기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가스분석기의 측정값 및 분석치를 표시하는 표시부(850)를 설치한다.
또한, 상술한 센서 및 측정값 및 분석치에 따라 상기 컴프레서(571), 냉풍 및 온풍 공급장치(581,582), 및 상기 배기장치(500)를 제어하는 저장조건 유지 시설 제어부(800) 설치하여 자동으로 내부 환경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컴프레서(571), 냉풍 및 온풍 공급장치(581, 582), 및 저장조건 유지 시설 제어부(800) 등을 수용하는 기계실 및 통제실(600)을 설치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완성된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a는 평면도이고, 도 14b는 도 14a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c는 도 14b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곡물의 반입 시에는 곡물 적재 차량(미도시)이 반입야드(300)로 진입하여 반입통로(410)를 통해 곡물을 낙하 반입시기며, 도면에서는 곡물이 반입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저장된 곡물의 반출 시에는 적재 차량이 반출터널(700) 내 저장실(101, 102) 아래까지 진입한 상태에서 반출장치(200)를 통해 곡물이 낙하하여 차량에 직접 적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은 지상과 지하를 관통시키는 형태로써 지상과 지하의 온도차에 따른 대류현상으로 자연적 환기를 유도함과 더불어 저장실 내부에 설치된 온도, 습도 및 가스분석장치와 연결된 저장조건 유지시설 제어부로 자연 환기 파이프라인, 송풍 파이프라인과 컴프레서(571)로 구성된 송풍장치, 냉·온 파이프라인과 냉풍 및 온풍 공급장치(581, 582)로 구성된 냉풍 및 온풍 순환장치를 자동 제어하여 저장실 내부의 저장 환경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양곡건조장치(590)과 도정장치(680)을 추가하여 양곡을 일괄처리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의 경제성을 설명하기 위한 표로서,표 1은 지상 사일로 저장과 본 발명의 지하저장시스템의 시설비 비교(저장용량 : 10,000톤)이며, 표 2는 지상 사일로 저장과 본 발명의 지하저장시스템의 유지 관리비 비교(저장용량 : 10,000m3/년간)이다.
구분 규격 단위 수량 단가(천원) 금액(천원) 비고
지상사일로 토지구입비 대지 3,000 50 150,000
건축비 1,400 1,500 2,100,000
도로개설비 m 50 500 25,000
저장시설 1,400 600 840,000
환기시설 10 3,000 30,000
적하시설 10 5,000 50,000
적입시설 10 5,000 50,000
온풍시설 10 5,000 50,000
감시시설 10 3,000 30,000
합계 3,325,000 332,500(원/톤)
본 발명지하저장시스템 토지구입비 임야 5,000 10 50,000
터널굴진비 굴착보강 m3 22,000 40 880,000
보링비 φ150mm m 200 500 100,000
φ350mm m 200 1,000 200,000
저장시설 m3 1,900 45 855,000
야드 및 도로개설비 1 100,000 100,000
환기시설 1 120,000 120,000
적재시설 1 250,000 250,000
적입시설 1 70,000 70,000
저온시설 1 150,000 150,000
감시시설 1 60,000 60,000
합계 2,835,000 283,500(원/톤)
대 비 -490,000
구분 규격 단위 수량 단가(천원) 금액(천원) 비고
지상사일로 적재비 500대/회(20톤차량) 3 10,000 30,000
적하비 500대/회(20톤차량) 3 7,000 21,000
전기료 농어촌용(저장용) k조 700,000 0.038 26,600
인건비 관리인원 1 18,000 18,000
시험비 6 200 1,200
기타 비용의 10% 15,080
합계 111,880 11,188(원/m3)
본 발명 지하저장시스템 적재비 500대/회(20톤차량) 3 2,000 6,000
적하비 500대/회(20톤차량) 3 4,000 12,000
전기료 농어촌용(저장용) kwh 400,000 0.038 15,200
인건비 관리인원 1 18,000 18,000
시험비 6 200 1,200
기 타 비용의 10% 5,240
합 계 54,240 5,424(원/m3)
대 비 -57,640
본 발명의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지하동굴의 특성인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최대한 활용하고, 지상과 지하의 온도 고저차를 이용하여 자연환기를 실시할 수 있으며, 선입선출을 원활하게 준수할 수 있으므로써, 저장물의 품질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2) 저렴한 임야를 활용하여 저장동굴을 건설할 수 있으며 대량저장과 대량운반을 할 수 있으며 반입과 적재를 자동화할 수 있다.
(3) 지하저장동굴의 특성을 이용하여 장기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4) 건설비와 저장유지비가 지상 창고 방식에 비하여 저렴하다.
(5) 자동시설들을 이용하여 최적의 저장 조건을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으로서,
    지하에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실;
    지상으로부터 상기 저장실 각각의 상부로 연결된 저장물 반입통로;
    상기 저장실 아래의 지하에 형성된 터널;
    상기 저장실 각각의 상부로부터 위쪽 지상으로 개구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부 환기공;
    상기 저장실 각각의 하부로부터 터널로 개구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하부 환기공; 및
    상기 저장실 각각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 각각의 저장물을 상기 터널로 반출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저장물 반출장치를 포함하는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환기공에는 배기장치가 추가로 연결되는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장치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실은 바닥이 상기 반출장치를 향해 하향 테이퍼진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장치는,
    중앙 부위에 반출문이 설치되고 상기 반출문을 향해 하향 테어퍼진 반출용 슈트판;
    상기 반출용 슈트판에 설치되어 반출되는 저장물을 계량하는 저울; 및
    상기 저울과 상기 반출문에 연결되어 상기 계량값에 따라 상기 반출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반출문 제어부를 포함하는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판에는 바이브레이터가 추가로 설치된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판에는 컨베이어형 반출 피더장치가 추가로 설치된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통로에 연결되는 반입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반입장치는,
    상기 반입통로의 지상 개구 부위에 설치되는 반입통로문;
    상기 반입통로문의 개폐 작동을 하는 실린더; 및
    상기 반입통로로 연결되는 반입 피더장치를 포함하는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며 몸통에 다수개의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환기공의 적어도 한 개와 상기 하부 환기공의 적어도 한 개에 각각 연결된 자연 환기 파이프라인을 추가로 포함하는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각각의 내부에 설치되며 몸통에 다수개의 기공이 형성된 송풍 파이프라인; 및 상기 송풍 파이프라인에 연결되는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송풍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각각의 내부에 설치된 냉·온풍 파이프라인; 및 상기 냉·온풍 파이프라인에 연결되는 냉풍 및 온풍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냉풍 및 온풍 순환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송풍 및 냉·온풍 파이프라인들은 격자형 구조인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13.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들은 간격을 갖고 배열되며, 상기 간격은 저장실 상부로 갈수록 커지는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 파이프라인은 상기 저장실 내부에서 관로 무개방형인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 파이프라인의 일부 파이프가 상기 저장실 상부에서 관로가 개방된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16. 제 9항, 제 10항, 제 11항, 제 14항 및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설치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가스분석기와, 상기 저장실 외부에서 상기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가스분석기의 측정값 및 분석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값 및 분석치에 따라 상기 컴프레서, 상기 냉풍 및 온풍 공급장치, 및 상기 배기장치를 제어하는 저장조건 유지 시설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KR10-2002-0003416A 2001-12-29 2002-01-21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KR100447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87961 2001-12-29
KR1020010087961 2001-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901A KR20030058901A (ko) 2003-07-07
KR100447527B1 true KR100447527B1 (ko) 2004-09-08

Family

ID=32215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416A KR100447527B1 (ko) 2001-12-29 2002-01-21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52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2678A (en) * 1977-07-18 1979-02-20 Kawasaki Heavy Ind Ltd Underground storage installation of coal
JPS5786221A (en) * 1980-11-18 1982-05-29 Shimizu Construction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grain
JPS57104576A (en) * 1980-12-12 1982-06-29 Takenaka Komuten Co Coal stock silo
KR950026335A (ko) * 1994-03-15 1995-10-16 김호태 광섬유를 이용한 저온창고 시스템
JPH10204816A (ja) * 1997-01-28 1998-08-04 Hayashi:Kk アスファルト合材の貯蔵払い出し方法および販売用サ イロ
KR200166526Y1 (ko) * 1999-07-30 2000-02-15 농어촌진흥공사 농수축산물용 지하저장시설
KR200234056Y1 (ko) * 2001-03-14 2001-10-08 임봉학 터널고도차를 이용한 저온저장창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2678A (en) * 1977-07-18 1979-02-20 Kawasaki Heavy Ind Ltd Underground storage installation of coal
JPS5786221A (en) * 1980-11-18 1982-05-29 Shimizu Construction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grain
JPS57104576A (en) * 1980-12-12 1982-06-29 Takenaka Komuten Co Coal stock silo
KR950026335A (ko) * 1994-03-15 1995-10-16 김호태 광섬유를 이용한 저온창고 시스템
JPH10204816A (ja) * 1997-01-28 1998-08-04 Hayashi:Kk アスファルト合材の貯蔵払い出し方法および販売用サ イロ
KR200166526Y1 (ko) * 1999-07-30 2000-02-15 농어촌진흥공사 농수축산물용 지하저장시설
KR200234056Y1 (ko) * 2001-03-14 2001-10-08 임봉학 터널고도차를 이용한 저온저장창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901A (ko) 2003-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10994A (en) Inflatable inclosure
CN102337790B (zh) 筒仓的施工方法
Wang et al. Optimising the design of confined laying hen house insulation requirements in cold climates without using supplementary heat
CN111368361A (zh) 一种炎热气候下基于bim的超高层超厚大体积混凝土一次性浇筑施工方法
CN106426566B (zh) 一种矿山井下湿喷混凝土搅拌站制浆装置和方法
KR100447527B1 (ko) 곡물의 지하저장시스템
CN103329691A (zh) 稻麦种子安全贮藏方法及其贮藏系统
CN109458180A (zh) 一种与地下仓库建设相结合的采矿方法及通风降温系统
Evett et al. A weighing lysimeter for crop water use determination in the Jordan Valley, Jordan
CN102359299B (zh) 筒仓
CN202170662U (zh) 筒仓的仓顶
CN207700808U (zh) 一种新型带设备夹层的半地下式储仓
CN103375864A (zh) 马铃薯仓库用蒸发冷却与夜间冷辐射蓄冷及通风空调系统
CN108867668A (zh) 生态挡土板结构
CN105220912B (zh) 一种全地上节能甘薯贮藏大棚及其应用
CN201301580Y (zh) 一种地热式保鲜/冷藏库
WO2010027227A2 (ko) 자연을 이용한 빙고와 저장고
CN203378301U (zh) 适用于马铃薯仓库的蒸发冷却蓄冷及通风空调系统
RU84883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или сооружения на вечномерзлых грунтах
CN1040485A (zh) 活动顶面水气逆循环果蔬贮藏保鲜库及其保鲜法
CN204896826U (zh) 一种粗碎机室与下沉式煤场组合系统
CN105133886B (zh) 不锈钢板预埋钢板连接界面护墙板地下粮仓
Rasmussen Evaluation of the climate in a new shared storage facility using passive climate control
CN112173458A (zh) 一种带有自发电装置的智能粮食干燥与储运一体化集装箱
KR100900348B1 (ko) 저온 터널모듈을 이용한 저온저장 터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