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056B1 -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 Google Patents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056B1
KR100447056B1 KR10-2001-0069937A KR20010069937A KR100447056B1 KR 100447056 B1 KR100447056 B1 KR 100447056B1 KR 20010069937 A KR20010069937 A KR 20010069937A KR 100447056 B1 KR100447056 B1 KR 100447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xagonal
cell structure
building
wall panel
hexagonal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8234A (ko
Inventor
이인태
Original Assignee
이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태 filed Critical 이인태
Priority to KR10-2001-0069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056B1/ko
Publication of KR2003003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바닥, 천정, 및 좌우벽에 공용으로 사용되어 육각 셀 구조물을 형성하고, 그 육각 셀 구조물로부터 연속적인 상하좌우로의 조립과 적층에 의해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을 구성하는 직사각형 모양의 제 1 벽체판넬; 상기 제 1 벽체판넬의 연속적인 조립에 의해 구성되는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육각형상의 제 2 벽체판넬; 및 상기 제 1 벽체판넬과 제 2 벽체판넬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건축물의 외곽에 띠구조의 원형상으로 설치되어 전체 건축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강철구조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표준화되고 공용화된 자재를 이용함에 따라 건축비용을 절감하고, 건축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일정한 품질의 유지가 가능하고, 건축물의 내부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며, 지진에 의한 내지진성이 강화되고, 환경친화적인 구조 및 외관에 의한 현대적인 감각의 건축물을 통해 도시의 미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HEXAGON STRUCTURAL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좌우벽과 바닥 및 천정에 사용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제 1 벽체판넬과 건축물의 전면과 후면에 사용되는 육각형상의 제 2 벽체판넬 및 원형의 강철구조물의 연결을 통한 조립에 의해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많은 세대들이 거주하는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 등의 다가구주택은, 주로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기초공사, 형상 구축을 위한 틀제작, 철근작업, 배관작업, 레미콘을 사용한 콘크리트믹스, 주입(타설), 굳힘(양생) 등의 매 작업공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고, 굳힘(양생)이 끝나 먼저 작업한 콘크리트가 견고해지면 틀을 제거한 후 다시 기둥에 대한 철근작업, 틀 제작, 콘크리트 믹스, 주입(타설), 굳힘(양생)등으로 최초의 층에 대한 작업을 완료하며, 이후 다음층에 대하여 상술한 작업공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진행하는 건축기술에 의해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 등의 다가구주택이 완공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축공정을 통해 아파트 또는 연립주택 등의 다가구주택을 건설하고자 하는 경우, 기초공사, 틀제작, 철근작업, 배관작업, 콘크리트 믹스, 주입(타설), 굳힘(양생) 등의 작업공정이 순차적으로 반복 진행됨에 따라 전체적인 공사일정에 많은 시간과 인원과 건축비용이 들게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작업을 하는 사람의 기술적인 측면과, 날씨 및 온도 등의 환경적인 측면과, 모래와 시멘트와 철근 등의 재료에 따른 콘크리트의 강도 등의 재료적인 측면에 의해 건축물에 대한 일정한 품질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건축물의 구조가 획일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됨에 따라 아파트의 실내공간 및 가구 등이 평면배치 구조를 이루게되어 다양한 공간의 활용이 어렵고, 가구 등의 배치에 공간의 제약이 많으며, 특히, 내력벽 등의 설치에 의한 공간제한으로 인해 내부공간의 자유배치가 불가능하며, 또한, 수평의 공간에 방, 거실, 부엌 등이 배치되어 각 개인의 독립공간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현재의 아파트 등의 고층구조의 설계는 물리적 측면에서의 수직 안정성만을 고려하여 설계됨에 따라 측면의 진동 및 충격에 대한 구조가 취약한 상태이며, 이러한 건물구조의 취약한 부분을 강화하기 위한 내진 설계시 경제적 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재의 아파트 등의 구조는 전후면에서 보았을 때 바닥, 기둥, 벽, 천정 등으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구조물을 쌓아서 만들어 콘크리트 타워같은 획일적인 형태를 갖고 있으며, 주변환경과의 적응을 위해서는 단지 외벽에 페인트의 색깔과 그림을 바꾸는 방법만이 사용됨에 따라 획일화된 비 환경친화적인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비용이 절감되고, 건축기간이 단축되며, 일정한 품질이 유지되고, 내부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며, 내지진성이 강화되고, 환경친화적인 구조 및 외관을 가지는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은, 단위 건축물 내부로 거실, 침실, 주방, 욕실, 다용도실 등의 각 용도의 내실이 구성되고, 그 단위 건축물의 각 출입구 전면 바닥에 복도가 형성되며, 그 복도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계단이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다가구주택에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 천정, 및 좌우벽에 공용으로 사용되어 육각 셀 구조물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각 모서리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그 육각 셀 구조물로부터 연속적인 상하좌우로의 조립과 적층에 의해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제 1 벽체판넬;
상기 제 1 벽체판넬의 연속적인 조립에 의해 구성되는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육각형상의 다수개의 제 2 벽체판넬; 및
상기 제 1 벽체판넬과 제 2 벽체판넬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건축물의 외곽에 띠구조의 원형상으로 설치되어 전체 건축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강철구조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건축물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건축물의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사용되는 제 1 벽체판넬 및 제 2 벽체판넬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사용되는 제 1 벽체판넬들을 연결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사용되는 제 1 벽체판넬간 연결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건축물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건축물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지지대를 사용한 건축물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원룸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 벽체판넬 110 : 연결부재
111 : 판넬 연결고리 112 : 판넬링
113 : 핀부재 200 : 제 2 벽체판넬
300 : 강철구조물 400 : 패킹부재
500 : 강철 지지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건축물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건축물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사용되는 제 1 벽체판넬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사용되는 제 1 벽체판넬들을 연결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참고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은 연결부재(110)가 형성된 제 1 벽체판넬(100), 제 2 벽체판넬(200), 및 강철구조물(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벽체판넬(100)은 직사각형의 단일 평면으로 중심에 금속의 보강재가 내장된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되며, 건축물의 바닥, 천정, 및 좌우벽에 공용으로 사용되어 육각 셀 구조물을 형성하고, 그 육각 셀 구조물로부터 연속적인 상하좌우로의 조립과 적층에 의해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벽체판넬(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다른 제 1 벽체판넬(100)과 서로 연결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각 모서리 부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결부재(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벽체판넬(100)의 보강재로 강화 플라스틱이 내장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금속 혹은 플라스틱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재질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제 1 벽체판넬(100)의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연결부재(110)는 도 3a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벽체판넬(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복수의 판넬 연결고리(111)와, 상기 제 1 벽체판넬(100)들간의 연결시 각 판넬들의 상기 다수개의 연결부재(110)와 연결시키기 위한 핀부재(1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판넬 연결고리(11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원형의 판넬링(112)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핀부재(113)는 상기 연결부재(110)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의 볼트 또는 너트 등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벽체판넬(100)들간의 연결된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각 제1 벽체판넬(100)간의 진동흡수와 방음 및 방수 등의 기능을 위한 패킹부재(4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패킹부재(400)의 재질은 나무,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은 상기 제 1 벽체판넬(100)간의 연결시 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벽체판넬(200)은 상기 제 1 벽체판넬(100)들의 연속적인 조립에 의해 구성되는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건물 내부의 설계에 따라 아파트의 현관문과 같은 출입구나 창문등과 같은 채광, 환기의 기능, 전망용 베란다와 같은 구조로 사용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 2 벽체판넬(2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상하좌우로 조립된 상기 제 1 벽체판넬(100)의 전/후면에 각각 조립될 수 있도록 정육각형의 상하좌우 측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다수개의 연결부재(110)를 형성시켜 단일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물의 구조에 따라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으로도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강철구조물(300)은 상기 제 1 벽체판넬(100)과 상기 제 2 벽체판넬(20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인 전체 건축물의 외곽에 띠구조의 원형상으로 설치되어 전체 건축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강철구조물(300)은 띠구조의 원형상으로 건축설계에 따라 그 갯수가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전체 건축물중 외곽의 육각 셀 구조물에는 전체 건축물의 외곽에 설치되는 강철구조물(300)과 연결되는 강철 지지대(500)가 추가로 설치되어, 건물 전체에 대한 안정성을 2중 지지구조로서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벽체판넬(100)들 간의 연속적인 조립과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은 건축설계에 따라 좌우측의 벽을 수직으로 배치한 수직형의 육각 셀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과 천정을 수평으로 배치한 수평형의 육각 셀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대한 조립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의 단층구조로 이루어진 아파트를 조립하는 과정을 보면, 건축물의 바닥면에 단일 평면으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모양의 제 1 벽체판넬(100)들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위치시킨 후 상기 판넬링(112)의 중앙에 볼트 또는 너트로 이루어진 핀부재(113)를 삽입하여 완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 1 벽체판넬(100)내 연결부재(110)들간의 연결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벽체판넬(100)에 형성된 연결부재(110)내 판넬링(112)들을 동일 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핀부재(113)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 1 벽체판넬(100)들간의 연결된 모서리 부위에 각 판넬간의 진동흡수와 방음 및 방수 등의 기능을 위한 패킹부재(400)가 삽입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육각 셀 구조물이 형성되고, 그 육각 셀 구조물로부터 상기 제 1 벽체판넬(100)들의 연속적인 상하좌우로의 조립과 적층에 의해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이 구성된다.한편,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전면과 후면에 조립되는 제 2 벽체판넬(200)의 연결구조는 상기 제 1 벽체판넬(100)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재(110)와 상기 제 2 벽체판넬(200)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재(110)내 상기 판넬링(112)들을 동일 선상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핀부재(113)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어서, 상기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외곽으로 전체 건축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띠구조의 강철구조물을(300)을 설치한다.
이러한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벽체판넬(100)을 사용한 좌우벽이 수직으로 배치된 구조의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건출물이 형성되고, 그 하나의 육각 셀 구조물의 저면은 아랫방과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상기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을 나타내는 다가구주택의 측면도로서, 강철구조물(300)의 연결이 잘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건축물의 정면도로서, 소형의 단층구조를 가지는 저층 아파트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며, 전체 건축물의 외곽에 형성된 육각 셀 구조물들의 제 1 벽체판넬(100)과 원형의 강철구조물(300)사이에 강철지지대(500)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건축물의 정면도로서, 중형의 복층구조를 가지는 저층 아파트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며,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외곽벽인 제 1 벽체판넬(100)들과 원형의 강철구조물(300)사이에 강철지지대(500)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육각 셀 구조물이 이중화된 복층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바닥과 천정을 수평으로 배치한 수평형의 육각 셀 구조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원형의 강철구조물(300)을 사용하지 않고 강철 지지대(500)를 사용한 건축물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로서, 소형의 단층구조를 가지는 고층 아파트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며,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외곽을 따라 부분적으로 강철 지지대(50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설명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나타낸 개략사시도로서, 대형의 복층구조를 가지는 아파트에 적용된 수직형의 육각 셀 구조물을 나타내며, 대형의 한 세대로 사용되는 좌측의 육각 셀 구조물의 경우, 4개의 공간으로 구분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최상측은 공부방과 창고와 다용도실 등으로 사용되는 다락방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 아래의 공간은 안방, 건너방 등의 침실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아래의 공간은 거실, 주방, 식당, 화장실 등의 거실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가장 아래의 공간은 공부방과 창고와 다용도 실 등의 아랫방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대형의 두 세대로 중간이 분리되어 사용되는 경우, 상측 세대는 다락방과 침실 및 거실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하측 세대는 아랫방과 침실 및 거실용으로 구분하여 그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을 원룸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낸 개략사시도로서, 기숙사와 BOQ와 독신자 숙소 등의 1인용 사물실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벽체판넬(100)과 제 2 벽체판넬 및 강철구조물(300)들의 조립 및 적층에 의해 형성되는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은 고층, 저층 아파트와, 연립주택, 다가구주택, 기숙사, 독신자 숙소와 같은 주거용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오피스텔과 같은 사무공간에도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선박이나 열차 및 항공기와 같은 운송체의 객실공간에 적용되어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육각 셀 구조물은 하나 하나의 셀 구조가 서로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선체나 몸체의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고,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에 의하면, 건축물의 좌우벽과 바닥 및 천정에 사용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제 1 벽체판넬과 건축물의 전면과 후면에 사용되는 육각형상의 제 2 벽체판넬 및 원형의 강철구조물의 연결을 통한 조립에 의해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표준화되고 공용화된 자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조립에 의해 건축비용을 절감하고, 수많은 건축공정을 생략하여 건축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진의 상하진동과 좌우진동을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상호지지력에 의해 서로 연결된 판넬로 분산시킴으로써 내지진성이 강화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정형화되고 표준화 된 판넬 형상으로 정해진 공법과 기계를 사용하여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품질관리를 통하여 고품질의 유지가 가능하며, 콘크리트를 섞어서 일정한 틀에 부어 굳히기만 하면 되므로 최적의 조건하에서 정밀한 제작 및 대량생산을 통해 일정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아파트를 전후면에서 보았을때 기존의 사각형이 아닌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을 유지함으로써 색다른 미감을 전달할 수 있으며, 아파트 전체 건물의 상부는 자연스러운 원형의 강철구조물을 설치하여 환경친화적인 느낌을 줄 수 있으며, 또한, 복층의 구조일 경우 단독주택과 같이 다양하게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단독 주택을 선호하는 잠재 고객을 아파트로 끌어올 수 있고, 1인용 아파트 등의 초소형 다가구 주택건설에서도 건축비가 적게드는 등 경제적인 측면의 유리한 점이 많아 건설회사가 대형아파트 만을 선호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주택건설 정책으로 제시될 수 있다.
그리고, 건축물의 외부의 벽 자체가 무게를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건물 내부에 별도의 기둥이 필요없으며, 복층구조의 경우 한층 전체를 거실로 사용할 수 있는 등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고, 또한, 건물내부에 별도의 내력벽이 필요없으므로 한층 전체에 대하여 전망창을 설치하여 조망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의 내부에 내력벽의 설치가 필요없고 공간의 구분을 위하여는 가벼운 가변벽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중에 임의로 가변벽을 이동 설치하여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아파트이면서도 기존의 주택과 같은 복층구조, 다락방, 아랫방 등의 입체적인 구조의 유지가 가능해지므로 다가구 주택, 복수 세대주택등의 다양한 개념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단위 건축물 내부로 거실, 침실, 주방, 욕실, 다용도실 등의 각 용도의 내실이 구성되고, 그 단위 건축물의 각 출입구 전면 바닥에 복도가 형성되며, 그 복도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계단이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다가구주택에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 천정, 및 좌우벽에 공용으로 사용되어 육각 셀 구조물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각 모서리 부분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그 육각 셀 구조물로부터 연속적인 상하좌우로의 조립과 적층에 의해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제 1 벽체판넬;
    상기 제 1 벽체판넬의 연속적인 조립에 의해 구성되는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설치되는 육각형상의 다수개의 제 2 벽체판넬; 및
    상기 제 1 벽체판넬과 제 2 벽체판넬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건축물의 외곽에 띠구조의 원형상으로 설치되어 전체 건축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강철구조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2. 삭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제 1 벽체판넬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복수의 판넬 연결고리; 및
    상기 제 1 벽체판넬들간의 연결시 각 판넬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핀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판넬 연결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원형의 판넬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와 같은 원통형의 볼트 또는 너트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체판넬은, 직사각형의 단일 평면으로 중심에 금속의 보강재가 내장된 콘크리트, 강화 플라스틱, 및 합판등의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체판넬의 보강재로 강화 플라스틱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벽체판넬들간의 연결된 모서리 부위에는 각 판넬간의 진동흡수, 방음, 및 방수 등의 기능을 위한 패킹부재가 추가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의 재질은 나무, 플라스틱, 고무 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체판넬은, 건물 내부의 설계에 따라 아파트의 현관문과 같은 출입구나 창문등과 같은 채광, 환기의 기능, 전망용 베란다와 같은 구조가 설치된 정육각형의 단일 평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벽체판넬의 형상은 건출물의 구조에 따라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의 단일평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의 전체 건축물중 외곽의 육각 셀 구조물에는 전체 건축물의 외곽에 설치되는 강철구조물과 연결되는 강철 지지대가 추가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은 좌우측의 벽을 수직으로 배치한 수직형의 육각 셀 구조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벌집형태의 육각 셀 구조물은 바닥과 천정을 수평으로 배치한 수평형의육각 셀 구조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KR10-2001-0069937A 2001-11-10 2001-11-10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KR100447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937A KR100447056B1 (ko) 2001-11-10 2001-11-10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937A KR100447056B1 (ko) 2001-11-10 2001-11-10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234A KR20030038234A (ko) 2003-05-16
KR100447056B1 true KR100447056B1 (ko) 2004-09-04

Family

ID=29568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937A KR100447056B1 (ko) 2001-11-10 2001-11-10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41B1 (ko) * 2018-12-03 2019-09-27 최지웅 육각모듈 적층 구조체와, 그것의 조립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193A (en) * 1972-04-18 1976-11-09 Ray Orlando F Prefabricated building module and modular construction method for the module
KR840007417U (ko) * 1983-04-04 1984-12-22 김기주 조립식 주택의 조립 세트(Set)
JPH05112987A (ja) * 1991-10-18 1993-05-07 Tabai Espec Corp 正六角形単位建物の連設構造物
KR950025226A (ko) * 1994-02-16 1995-09-15 정용찬 공동주택 건축물의 구조
KR20010089315A (ko) * 1998-10-20 2001-09-29 윌리엄 리차드 찰스 스튜들리 용적형 모듈식 빌딩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193A (en) * 1972-04-18 1976-11-09 Ray Orlando F Prefabricated building module and modular construction method for the module
KR840007417U (ko) * 1983-04-04 1984-12-22 김기주 조립식 주택의 조립 세트(Set)
JPH05112987A (ja) * 1991-10-18 1993-05-07 Tabai Espec Corp 正六角形単位建物の連設構造物
KR950025226A (ko) * 1994-02-16 1995-09-15 정용찬 공동주택 건축물의 구조
KR20010089315A (ko) * 1998-10-20 2001-09-29 윌리엄 리차드 찰스 스튜들리 용적형 모듈식 빌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41B1 (ko) * 2018-12-03 2019-09-27 최지웅 육각모듈 적층 구조체와, 그것의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234A (ko) 200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3428B2 (en) Sequence for constructing a building from prefabricated components
EP1733100B1 (en) A transportable modular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reof
US10487493B2 (en)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using prefabricated components
US20120131875A1 (en) Novel low-rise prefabricated steel structure house system
US3564786A (en) Mass production housing
US20210164217A1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CN104088366A (zh) 建筑模块和具有该建筑模块的中高层模块化建筑
CN104712055A (zh) 一种基于混凝土框架的木质楼房及其施工方法
US20140059956A1 (en) Internally framed structure
KR100447056B1 (ko) 육각구조의 다가구주택
CN211690743U (zh) 一种蜂窝型建筑模块和具有该建筑模块的低层模块化建筑
JP5750145B2 (ja) Frpサンドイッチパネル工法建物
US20210032855A1 (en) Construction System
CN213539385U (zh) 一种轻钢房屋的墙体
RU140436U1 (ru)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е сейсмоустойчивое здание на основе 20 и 40 футовых контейнеров
US20230383523A1 (en) Pre-manufactured floor-ceiling corridor panel for a multi-story building having load bearing walls
CN201367657Y (zh) 快装房屋用墙体
CN201367656Y (zh) 快装房屋用墙体
CN212802726U (zh) 一种钢结构装配化住宅
CN201915497U (zh) 一种低层混合轻钢结构建筑物
JP3119978U (ja) 積み木式組み立て家屋構造
Han Analysis on Prefabricated Space Structure Based on Overseas Patent Case Study
JP3000627U (ja) 竹製パネル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竹製ユニットハウス
Alshikh et al. Sustainable Off-Site Construction in Desert Environments: Zero-Energy Houses as Case Studies. Sustainability 2023, 15, 11909
Marriage Case study 1: Clearwater Quays: Pacific Environments NZ: Roger French and Enovate: Michael Newcomb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